KR100638987B1 -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987B1
KR100638987B1 KR1020040117159A KR20040117159A KR100638987B1 KR 100638987 B1 KR100638987 B1 KR 100638987B1 KR 1020040117159 A KR1020040117159 A KR 1020040117159A KR 20040117159 A KR20040117159 A KR 20040117159A KR 100638987 B1 KR100638987 B1 KR 10063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 mask
pad oxide
forming
etching
flash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7648A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987B1/ko
Priority to US11/320,607 priority patent/US20060148201A1/en
Publication of KR2006007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7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01L21/7623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of trenches having a shape other than rectangular or V-shape, e.g. rounded corners, oblique or rounded trench wa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 상에 패드 산화막을 형성하고, 패드 산화막 상에 하드 마스크를 형성하고, 하드 마스크에 의해 노출된 패드 산화막을 식각하여 제거하되 하드 마스크 아래로 리세스(recess)되도록 패드 산화막을 식각한다. 하드 마스크에 의해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 부분을 식각하되 리세스된 부분에 노출된 반도체 기판 부분이 식각됨에 따라 모서리(corner)가 라운드(round)진 트렌치(trench)를 형성한다. 트렌치를 채우는 절연층을 형성하여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STI)를 형성한다.
플래시, STI, 모서리 라운딩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형성 방법{Method for forming STI in flash memory device}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flash memory device)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STI)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STI)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소자의 게이트(gate) 사이를 채우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아형(NOR type)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와 컨트롤 게이트(control gate)의 적층 게이트 구조를 가지고 있다. 터널(tunnel) 산화막 상에 플로팅 게이트 및 컨트롤 게이트의 적층 구조가 2층의 도전성 폴리실리콘 구조로 구비되고 있다. 플로팅 게이트와 컨트롤 게이트 사 이에는 층간 유전층으로 ONO(Oxide - Nitride - Oxide) 구조의 커패시터 구조가 도입된다. 컨트롤 게이트에 바이어스(bias)를 인가해 ONO층을 거쳐 커플링 비(coupling ratio)에 따라 플로팅 게이트에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플래시 메모리는 프로그램(program)과 이레이즈(erase)를 상대적으로 높은 바이어스에서 동작시키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flash memory device)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STI)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a는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도 1b는 비트 라인(bit line) 방향의 단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도 1c는 워드 라인(word line) 방향의 단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10) 상에 활성 영역(active region: 11)을 설정하는 필드 영역(field region: 15)이 STI 소자 분리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활성 영역(11) 상에 터널 산화막(22), 플로팅 게이트(21), 층간 유전층(24) 및 컨트롤 게이트(25)가 형성된다. 워드 라인(20), 즉, 게이트는 비트 라인과 교차하게 레이아웃이 구성된다. 이때, 워드 라인(20)과 비트 라인이 교차되는 지점이 하나의 셀이 구현된다. 그리고, 활성 영역(11)의 일단에는 비트 라인 콘택(bit line contact: 30)이 드레인 콘택(drain contact)으로 구비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서 STI 필드 영역(15)의 가장자리(edge) 부분은 예리한 각도를 가지는 뾰족한 형태로 형성된다. 플래시 셀 자체는 0.18㎛급 이하의 디자인 룰이 적용되지만, 셀 크기를 줄이기 위해 활성 영역(11)은 실질적으로 0.22㎛급 이하의 디자인 룰로, 그리고, 필드 영역(15)은 0.14㎛급 이하로 설정되는 데 기인한다. 즉, 셀 크기는 작아지지만 활성 영역(11)의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유지하기 위해서 필드 영역(15)의 폭을 상대적으로 더 좁게 설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필드 영역(15)의 가장자리가 예리한 각도를 가지는 뾰족한 프로파일(profile)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가장자리 프로파일에 의해 여러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노아 플래시 소자의 메모리 셀을 이레이즈(erase)할 때, FN 터널링(tunneling) 기구를 사용하고 있다. 플로팅 게이트(21)에 모여 있는 전하(charge)는 기판(10)으로 빼내어져 이레이즈 동작이 수행된다. 그런데, 필드 영역(15)의 가장자리가 예리한 각도를 가질 때, 이에 인접하는 부분으로 플로팅 게이트(21)에 모여 있던 전하들이 원하지 않게 기판(10)으로 빠져나가는 현상, 즉, 오버 이레이즈(over erase)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하가 기판(10)으로 균일하게 소거되지 못하고 플로팅 게이트(21)의 한쪽으로만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동작 불량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STI 필드 영역(15)의 프로파일(profile)을 개선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STI) 필드 영역의 프로파일을 개선하여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동작 특성 을 개선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형성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도체 기판 상에 패드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드 산화막 상에 하드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에 의해 노출된 상기 패드 산화막을 식각하여 제거하되, 상기 하드 마스크 아래로 리세스(recess)되도록 상기 패드 산화막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에 의해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 부분을 식각하되, 상기 리세스된 부분에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 부분이 식각됨에 따라 모서리(corner)가 라운드(round)진 트렌치(trench)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STI) 형성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패드 산화막을 식각하는 단계는 상기 노출된 패드 산화막 부분을 등방성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 산화막을 식각하는 등방성 식각은 불산을 포함하는 식각액을 사용하는 습식 식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케미컬 다운 식각(CDE)을 포함하는 등방성 건식 식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STI) 필드 영역의 프로파일을 개선하여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동작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형성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STI) 필드 영역을 형성할 때, 하드 마스크(hard mask)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트렌치(trench)를 형성하기 이전에, 하드 마스크로 도입되는 실리콘 질화막 아래에 패드 산화막(pad oxide)으로 도입되는 실리콘 산화막을 일부 식각하는 과정을 도입한다. 즉, 패드 산화막을 일부 식각하여 하드 마스크 아래에 리세스 홈(recess)을 형성한 후, 하드 마스크에 의해 노출된 부분을 식각하여 반도체 기판에 트렌치를 형성한다. 이후, 트렌치를 채우는 절연막을 형성하여 STI 필드 영역을 형성한다. 이때, 산화막의 식각은 STI의 모서리(coner)를 라운딩(rounding)지게 하기 위해 도입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STI)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예컨대, 실리콘 웨이퍼(Si wafer) 상에 산화 및 실리콘 질화물의 증착을 통해 패드 산화막(210) 및 하드 마스크(hard mask)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활성 영역과 필드 영역을 설정하는 마스크 패턴(mask pattern) 및 식각을 수행하여 하드 마스크(250)를 형성한다. 하드 마스크(250)는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드 마스크(250) 아래의 패드 산화막(210)의 노출된 부분 을 식각 제거한다. 이때, 식각은 등방성 식각, 예컨대, 불산(HF)을 포함하는 식각액을 사용하는 습식 식각을 수행하여 하드 마스크(250)에 의해 노출된 패드 산화막(210) 부분을 제거하고, 또한, 하드 마스크(250) 아래의 패드 산화막(210) 부분의 일부를 제거하여 리세스(recess: 211)를 언더컷(under cut)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불산 습식 식각시의 식각 타겟(target)은 산화물을 대략 250Å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드 마스크(250)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노출된 반도체 기판(100) 부분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트렌치(105)를 형성한다. 이때, 케미컬 다운 식각(CDE: Chemical Down Etch) 장비를 사용하여 식각을 수행한다. 즉, 등방성 건식 식각으로 트렌치(105)를 형성한다. 이러한 CDE 공정은 등방성 식각 특성을 나타내므로, 리세스(211)가 형성된 부분, 즉, 트렌치(105)의 모서리(155)를 식각하여 라운드(round)지게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렌치(105)를 채우는 절연층(150)을 형성한다. 이러한 절연층(150)을 형성하기 이전에 트렌치(105) 벽면에 버퍼막(buffer layer: 151)을 산화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트렌치(105)를 채우는 절연층(150)은 HDP-USG(High Density Plasma - Undoped Silicate Glass) 물질을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STI)의 필드 영역의 모서리(corner) 부분의 프로파일을 보다 더 라운드(round)지게 하여, 오버 이레이즈 등 과 같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동작 불량을 방지하여,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은 여러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Claims (4)

  1. 반도체 기판 상에 패드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드 산화막 상에 하드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에 의해 노출된 상기 패드 산화막을 불산을 포함하는 식각액을 사용하는 등방성 식각을 이용하여 제거하되, 상기 하드 마스크 아래로 리세스(recess)되도록 상기 패드 산화막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하드 마스크에 의해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 부분을 등방성 건식 식각을 이용하여 식각하되, 상기 리세스된 부분에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 부분이 식각됨에 따라 모서리(corner)가 라운드(round)진 트렌치(trench)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를 채우는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STI) 형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의 상기 등방성 건식 식각은 케미컬 다운 식각(CDE)을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STI) 형성 방법.
KR1020040117159A 2004-12-30 2004-12-30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형성 방법 KR100638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159A KR100638987B1 (ko) 2004-12-30 2004-12-30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형성 방법
US11/320,607 US20060148201A1 (en) 2004-12-30 2005-12-30 Method for forming an STI in a flash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7159A KR100638987B1 (ko) 2004-12-30 2004-12-30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7648A KR20060077648A (ko) 2006-07-05
KR100638987B1 true KR100638987B1 (ko) 2006-10-26

Family

ID=3664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7159A KR100638987B1 (ko) 2004-12-30 2004-12-30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148201A1 (ko)
KR (1) KR100638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85061B (zh) * 2016-05-04 2020-02-11 聯華電子股份有限公司 半導體元件及其製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0004A (en) * 1997-06-10 1999-03-09 Winbond Electronics Corp. Trench isolation process
US6074932A (en) * 1998-01-28 2000-06-13 Texas Instruments - Acer Incorporated Method for forming a stress-free shallow trench isolation
KR20000013397A (ko) * 1998-08-07 2000-03-06 윤종용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JP4244456B2 (ja) * 1999-08-04 2009-03-25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絶縁ゲート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及び絶縁ゲート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JP4200626B2 (ja) * 2000-02-28 2008-12-24 株式会社デンソー 絶縁ゲート型パワー素子の製造方法
US7560359B2 (en) * 2004-11-26 2009-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orming asymmetric recesses and gate structures that fill such recesses and related methods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s that include such recesses and gate structures
JP2006303307A (ja) * 2005-04-22 2006-11-0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48201A1 (en) 2006-07-06
KR20060077648A (ko)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408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054466A (ja) 不揮発性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712981B (zh) 存储器及其形成方法
JP2005530357A (ja) 導電スペーサで拡張された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
KR100807112B1 (ko) 플래쉬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JP2006049915A (ja) 不揮発性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70339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53134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2008000374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nand flash memory device
KR100723764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JP4558420B2 (ja) スペーサー酸化工程を利用する分離ゲートフラッシュメモリセル製造方法
KR100638987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형성 방법
US6893918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flash memory
US7205194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flash memory cell
TWI508232B (zh) 非揮發性記憶胞及其造方法
US7923770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958627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00955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442151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셀의 플로팅 게이트 제조방법
KR100877098B1 (ko) 셀간 간섭을 억제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
KR100604187B1 (ko) 플래시 메모리 제조방법
KR100474739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셀의 경사진 플로팅 게이트 제조방법
KR100559522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셀 제조 방법
KR100945228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KR100811280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