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671B1 -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671B1
KR100638671B1 KR1020060052692A KR20060052692A KR100638671B1 KR 100638671 B1 KR100638671 B1 KR 100638671B1 KR 1020060052692 A KR1020060052692 A KR 1020060052692A KR 20060052692 A KR20060052692 A KR 20060052692A KR 100638671 B1 KR100638671 B1 KR 10063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rain
drainage
underground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Priority to KR1020060052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벽체면에 형성된 경사진 선형 부재에 의해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신속하게 배수되며,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바로 아래 위치한 경사 부재에 의해 차수되므로 전체 지하 벽체면을 젖게 하거나 동파시켜서 손상되게 하지 않고, 지하 벽체면에서 누수 부위를 감지하기 쉬우며, 지하 벽체면에 조립되어 있는 부재들을 해체하면 일반 벽체로 전환되게 되고, 조립식이어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 주차장의 지하 벽체면(2100)의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서 바로 배수시켜주는 선형의 배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하 벽체면(2100)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있던 매립 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100), 상기 경사 배수부(100)와 결합되는 상기 매립 부재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510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벽체내 매립부(200), 상기 지하 벽체면(2100)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되 지하 바닥면(2600)에 수직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100)의 마구리 부위와 결합해서 상기 지하 벽체면(2100)의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지하 바닥면(2600)의 바닥 배수부(2500)로 배수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수직 배수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Description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Drainage assembly for water leak part on the wall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n an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벽체내 매립부(2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경사 배수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수직 배수부(7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경사 배수부 101 : 경사 배수부 몸체부
102 : 배수부 상부 돌출부 105 : 하부 돌출부
107 : 배수 오목부 110 : 매립부 결합 삽입 돌출부
112 : 삽입 돌출부 상부 예각부 150 : 배수부 너트부
160 : 매립부 결합 볼트부
200 : 벽체내 매립부 201 : 벽체내 매립부 몸체부
210 : 경사 배수부 결합홈부 212 : 결합홈부 상부 예각부
250 : 매립부 너트부 260 : 거푸집 결합 볼트부
700 : 수직 배수부 701 : 수직 배수부 몸체부
710 : 경사 배수부 삽입구
2100 : 지하 벽체면 2200 : 누수 부위
2500 : 바닥 배수부 2600 : 지하 바닥면
5100 : 거푸집
본 발명은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 주차장의 지하 벽체면(2100)의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서 바로 배수시켜주는 선형의 배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하 벽체면(2100)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있던 매립 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100), 상기 경사 배수부(100)와 결합되는 상기 매립 부재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510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벽체내 매립부(200), 상기 지하 벽체면(2100)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되 지하 바닥면(2600)에 수직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100)의 마구리 부위와 결합해서 상기 지하 벽체면(2100)의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지하 바닥면(2600)의 바닥 배수부(2500)로 배수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수직 배수부(70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지하 벽체면에 형성된 경사진 선형 부재에 의해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신속하게 배수되며,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바로 아래 위치한 경사 부재에 의해 차수되므로 전체 지하 벽체면을 젖게 하거나 동파시켜서 손상되게 하지 않고, 지하 벽체면에서 누수 부위를 감지하기 쉬우며, 지하 벽체면에 조립되어 있는 부재들을 해체하면 일반 벽체로 전환되게 되고, 조립식이어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만약, 지하 벽체면에 형성된 경사진 선형 부재에 의해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신속하게 배수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가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바로 아래 위치한 경사 부재에 의해 차수되므로 전체 지하 벽체면을 젖게 하거나 동파시켜서 손상되게 하지 않는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지하 벽체면에서 누수 부위를 감지하기 쉽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지하 벽체면에 조립되어 있는 부재들을 해체하면 일반 벽체로 전환되게 된다면 바람직하겠다.
또한, 조립식이어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 벽체면에 형성된 경사진 선형 부재에 의해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신속하게 배수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바로 아래 위치한 경사 부재에 의해 차수되므로 전체 지하 벽체면을 젖게 하거나 동파시켜서 손상되게 하지 않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 벽체면에서 누수 부위를 감지하기 쉬운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하 벽체면에 조립되어 있는 부재들을 해체하면 일반 벽체로 전환되게 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이어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사 배수부(100), 벽체내 매립부(200), 수직 배수부(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하 주차장의 지하 벽체면(2100)의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서 바로 배수시켜주는 선형의 배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하 벽체면(2100)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있던 매립 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100), 상기 경사 배수부(100)와 결합되는 상기 매립 부재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510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벽체내 매립부(200), 상기 지하 벽체면(2100)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되 지하 바닥면(2600)에 수직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100)의 마구리 부위와 결합해서 상기 지하 벽체면(2100)의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지하 바닥면(2600)의 바닥 배수부(2500)로 배수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수직 배수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서 누수 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데,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은 바로 밑에 위치한 상기 경사 배수 부(100)에 의해 신속하게 배수되며, 일부의 누수 부위(2200)가 전체 지하 벽체면(2100)을 젖지 않게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바닥 배수부(2500)는 일반적인 트렌치로 형성되며 그레이팅으로 덮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도는 본 발명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벽체내 매립부(2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콘크리트 타설 전 상태를 보여주며,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가 상기 거푸집(510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끝난 후, 거푸집 결합 볼트부(260)를 분리해 내고, 상기 거푸집(5100)을 해체하면,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는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가 콘크리트 속에 매립된 상태로 남게 된다.
제 3도는 본 발명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의 구성요소인 경사 배수부(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거푸집(5100) 해체 후, 상기 경사 배수부(100)가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와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 주며, 볼트 부재인 매립부 결합 볼트부(160)가 배수부 너트부(150), 매립부 너트부(250)와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 주고 있다.
도 1과 같이 상기 경사 배수부(100)는 상기 수직 배수부(700)측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된다.
제 4도는 본 발명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의 구성요소인 수직 배수부(7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지하 주차장의 지하 벽체면(2100)의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서 바로 배수시켜주는 선형의 배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하 벽체면(2100)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있던 매립 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100), 상기 경사 배수부(100)와 결합되는 상기 매립 부재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510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벽체내 매립부(200), 상기 지하 벽체면(2100)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되 지하 바닥면(2600)에 수직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100)의 마구리 부위와 결합해서 상기 지하 벽체면(2100)의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지하 바닥면(2600)의 바닥 배수부(2500)로 배수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수직 배수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는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의 몸체로 형성되는 벽체내 매립부 몸체부(201)의 표면 중 상기 거푸집(5100)에 접촉되는 면의 표면에 복수 개의 원통 홈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 부재인 거푸집 결합 볼트부(260)에 의해서 상기 거푸집(5100)과 볼트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매립부 너트부(250),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벽체내 매립부 몸체부(201)의 중앙에 기다란 홈이 파여져 형성되며, 상기 홈의 윗부분의 단면은 상기 벽체내 매립부 몸체부(201) 내부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결합홈부 상부 예각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배수부(100)와 맞물려져서 조립되도록 형 성되는 경사 배수부 결합홈부(2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 배수부(100)는 상기 경사 배수부(100)의 몸체로 형성되되 상기 수직 배수부(700) 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 몸체부(101)의 상부면이 상기 경사 배수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오목하게 홈이 파여져 형성되는 배수 오목부(107), 상기 경사 배수부 몸체부(101)가 상기 지하 벽체면(2100) 측의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에 접촉되는 부위 중 상기 경사 배수부 몸체부(101)의 상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위인 배수부 상부 돌출부(102)와 하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위인 배수부 하부 돌출부(105)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그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 부재인 매립부 결합 볼트부(160)에 의해서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와 볼트 체결 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부 너트부(150), 상기 경사 배수부 몸체부(101)가 상기 지하 벽체면(2100) 측의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에 접촉되는 부위 중 상기 경사 배수부 몸체부(101)의 중앙 부위가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경사 배수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된 중앙 부위의 윗부분의 단면은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삽입 돌출부 상부 예각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매립부 결합 삽입 돌출부(1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경사 배수부(100)는 상기 수직 배수부(700)측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서 누수 되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데,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은 바로 밑에 위치한 상기 경사 배수 부(100)에 의해 상기 수직 배수부(700) 측으로 신속하게 배수된다.
따라서 지하 벽체면에 형성된 경사진 선형 부재에 의해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신속하게 배수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경사 배수부(100)는 상기 수직 배수부(700)측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삽입 돌출부 상부 예각부(112)와 상기 결합홈부 상부 예각부(212)가 맞물려 있어서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은 바로 아래 위치한 상기 경사 배수부(100)를 넘어서 더 밑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차수해주므로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전체 상기 지하 벽체면(2100)을 젖게 하거나 동파시켜서 손상되게 하지 않는다.
따라서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바로 아래 위치한 경사 부재에 의해 차수되므로 전체 지하 벽체면을 젖게 하거나 동파시켜서 손상되게 하지 않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경사 배수부(100)는 상기 수직 배수부(700)측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지하 벽체면(2100)는 상기 경사 배수부(100)에 의해 복수 개의 구역으로 분할된다.
분할된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서 상기 누수 부위(2200)를 감지하기 쉽다.
따라서 지하 벽체면에서 누수 부위를 감지하기 쉬운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수직 배수부(700)는 상기 수직 배수부(700)의 몸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바닥면(2600)에 수직인 속인 빈 기등 부재로 형성되는 수직 배수부 몸체부(701), 상기 수직 배수부 몸체부(70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배수부 몸체부(701)를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경사 배수부(100)의 마구리 부위가 삽입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 삽입구(7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배수부(700)는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 볼트 너트 부재에 의해 조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는 상기 경사 배수부(100),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는 폐합성고무 또는 폐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배수부(700)는 폐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경사 배수부(100), 상기 수직 배수부(700)는 조립식이며,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는 상기 지하 벽체면(2100) 속에 매립되어 있는 것이어서 상기 경사 배수부(100), 상기 수직 배수부(700)를 분리해 내고 마감을 하면 일반 벽체로 전환되게 된다.
따라서 지하 벽체면에 조립되어 있는 부재들을 해체하면 일반 벽체로 전환되게 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용과 같이, 상기 경사 배수부(100), 상기 수직 배수부(700)는 조립식이어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식이어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는 상기 경사 배수부(100), 상기 수직 배수부(700)가 조립된 상태로 계속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경사 배수부(100), 상기 수직 배수부(700) 앞에 장막벽인 조적 벽체를 형성해서 마감할 수도 있다.
본 발명으로 지하 벽체면에 형성된 경사진 선형 부재에 의해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신속하게 배수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바로 아래 위치한 경사 부재에 의해 차수되므로 전체 지하 벽체면을 젖게 하거나 동파시켜서 손상되게 하지 않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지하 벽체면에서 누수 부위를 감지하기 쉬운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지하 벽체면에 조립되어 있는 부재들을 해체하면 일반 벽 체로 전환되게 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조립식이어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부위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를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5)

  1. 지하 주차장의 지하 벽체면(2100)의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서 바로 배수시켜주는 선형의 배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하 벽체면(2100)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있던 매립 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100);
    상기 경사 배수부(100)와 결합되는 상기 매립 부재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5100)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벽체내 매립부(200);
    상기 지하 벽체면(2100)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되 지하 바닥면(2600)에 수직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벽체면(2100)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100)의 마구리 부위와 결합해서 상기 지하 벽체면(2100)의 누수 부위(2200)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지하 바닥면(2600)의 바닥 배수부(2500)로 배수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수직 배수부(7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는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의 몸체로 형성되는 벽체내 매립부 몸체부(201)의 표면 중 상기 거푸집(5100)에 접촉되는 면의 표면에 복수 개의 원통 홈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 부재인 거푸집 결합 볼트부(260)에 의해 서 상기 거푸집(5100)과 볼트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매립부 너트부(250);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벽체내 매립부 몸체부(201)의 중앙에 기다란 홈이 파여져 형성되며, 상기 홈의 윗부분의 단면은 상기 벽체내 매립부 몸체부(201) 내부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결합홈부 상부 예각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배수부(100)와 맞물려져서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 결합홈부(210);
    를 포함하는 벽체내 매립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배수부(100)는
    상기 경사 배수부(100)의 몸체로 형성되되 상기 수직 배수부(700) 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 몸체부(101)의 상부면이 상기 경사 배수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단면이 오목하게 홈이 파여져 형성되는 배수 오목부(107);
    상기 경사 배수부 몸체부(101)가 상기 지하 벽체면(2100) 측의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에 접촉되는 부위 중 상기 경사 배수부 몸체부(101)의 상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위인 배수부 상부 돌출부(102)와 하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위인 배수부 하부 돌출부(105)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로 형성되며, 그 내부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볼트 부재인 매립부 결합 볼트부(160)에 의해서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와 볼트 체결 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부 너트부(150);
    를 포함하는 경사 배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수부(700)는
    상기 수직 배수부(700)의 몸체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바닥면(2600)에 수직인 속이 빈 기둥 부재로 형성되는 수직 배수부 몸체부(701);
    상기 수직 배수부 몸체부(70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배수부 몸체부(701)를 관통하는 관통구로 형성되되 상기 경사 배수부(100)의 마구리 부위가 삽입 결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 삽입구(710);
    를 포함하는 수직 배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는
    상기 경사 배수부(100), 상기 벽체내 매립부(200)는 폐합성고무 또는 폐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배수부(700)는 폐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KR1020060052692A 2006-06-12 2006-06-12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KR10063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692A KR100638671B1 (ko) 2006-06-12 2006-06-12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692A KR100638671B1 (ko) 2006-06-12 2006-06-12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671B1 true KR100638671B1 (ko) 2006-10-31

Family

ID=3762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692A KR100638671B1 (ko) 2006-06-12 2006-06-12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882B1 (ko) 2009-12-15 2011-08-29 손병율 차수패널이 구비된 벽체용 단열구조
KR20210058451A (ko) *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서영금속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882B1 (ko) 2009-12-15 2011-08-29 손병율 차수패널이 구비된 벽체용 단열구조
KR20210058451A (ko) *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서영금속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KR102353565B1 (ko) * 2019-11-14 2022-01-20 주식회사 서영금속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223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KR100638671B1 (ko)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KR10127854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 매립형 피씨 월 및 상기 피씨 월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935862B1 (ko) 콘트리트 우수저류조 제작방법
KR101774952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RU2310364C2 (ru) Опорный корпус для чаши душа
US20100229485A1 (en) System for collecting seepage water in buildings
JP5061260B1 (ja) 既設鋼管柱補強材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06432Y1 (ko) 콘크리트 배수로
KR20060098965A (ko) 결로방지용 배수판을 이용한 지하층 바닥시공방법
KR100629157B1 (ko) 주택단지내 옹벽 배수 조립체.
KR200297984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지지장치
KR101737411B1 (ko)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
KR200436480Y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 구조체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101737410B1 (ko) 에폭시 수지층을 갖는 강관을 이용한 공동구 차집관
KR20210015070A (ko) 모듈식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KR102452899B1 (ko) 휀스 기초석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휀스 기초석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KR200240285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구조
JP5522702B1 (ja) 橋梁床板埋設式排水装置および該装置を使用した橋梁床板新設又は改修工法
KR100592337B1 (ko) 공동주택 및 일반 건축물의 지하 벽체 내설용 배수판
KR200406140Y1 (ko) 맨홀거푸집과 그에 의해 제작된 d-type 원형맨홀
KR200233670Y1 (ko) 도수로용 거푸집
KR20049236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