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451A -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 Google Patents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451A
KR20210058451A KR1020190145914A KR20190145914A KR20210058451A KR 20210058451 A KR20210058451 A KR 20210058451A KR 1020190145914 A KR1020190145914 A KR 1020190145914A KR 20190145914 A KR20190145914 A KR 20190145914A KR 20210058451 A KR20210058451 A KR 20210058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ion
valve chamber
upper frame
chamber body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565B1 (ko
Inventor
유조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영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영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영금속
Priority to KR1020190145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5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매설되고, 상부 프레임이 형성되는 밸브실 본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실; 상기 밸브실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맨홀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간격을 두고 결로를 받을 수 있는 복수의 결로 유도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Valve room with condensation induction member}
본 발명은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관 등의 경로 중간에 연결되는 제수 밸브 등의 설비를 보호하는 한편 이러한 설비의 안전하고 편리한 유지보수 작업을 위하여 제수 밸브 등 설비가 설치되는 위치에 밸브실을 매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밸브실 상측에는 지상으로부터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맨홀은 통상적으로 맨홀의 개폐를 위한 맨홀 뚜껑과, 상기 맨홀 뚜껑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밸브실 상측에 구비되는 맨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밸브실의 상측에 마련되는 맨홀 뚜껑은 특히 여름철에 햇빛에 의해 고온이 되고, 이러한 고온은 밸브실 내부에 전달되어서 고온화될 수 있다.
밸브실 내부의 뜨거운 공기는 상부 프레임쪽에 집중되어서 고온화되며, 상부 프레임의 외부는 소정 깊이로 지하에 매설되는 구조이므로, 상부 프레임의 외면은 저온이고, 내면은 고온화되어서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로가 낙하하는 경우에는 밸브실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자 회로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66413호(등록일자 : 2017년 08월 02일)
본 발명은 밸브실 본체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받아서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매설되고, 상부 프레임이 형성되는 밸브실 본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실; 상기 밸브실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맨홀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간격을 두고 결로를 받을 수 있는 복수의 결로 유도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밸브실 본체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밸브실 본체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는데, 상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발생하는 결로가 낙하하지 않도록 상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결로 유도 부재를 마련하여 낙하하는 결로를 받아서 측면으로 유도시켜서 하부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이 하향 구배를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맺히는 결로가 곡면을 타고 측면으로 이동될 수 있고, 측면으로 이동된 결로는 측면을 타고 하부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결로 유도 부재가 나선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 및 오목부로 이루어져서 낙하하는 결로는 오목부에 자연스럽게 모이게 되고, 오목부에 모인 결로는 나선형 구조를 타고 회전되면서 하부 방향 및 측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로 유도 부재는 밸브실 본체의 상부 프레임 내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기 때문에, 지하에 매설된 밸브실 본체가 토압을 받을때, 곡면으로 이루어진 상부 프레임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보강 리브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밸브실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밸브실의 상부 프레임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밸브실의 상부 프레임 내측에 마련되는 결로 유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결로 유도 부재에 흡수 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밸브실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하(1)에 매설되는 밸브실(100)은 밸브실 본체(110)와, 밸브실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배관(120), 배관(120)에 구비되는 제수 밸브(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밸브실 본체(110)의 상부에는 맨홀 프레임(140) 및 맨홀 뚜껑(15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밸브실 본체(110)는 상부 프레임(112)과 측면 프레임(114) 및 하부 프레임(11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맨홀 뚜껑(150)은 특히 여름철에 뜨거운 태양광으로 인해 지표면과 더불어 고온화되고, 이러한 열기는 그대로 밸브실 본체(110)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밸브실 본체(110)의 내부는 상기 고온화된 맨홀 뚜껑(150)의 열기가 전달되어서 온도가 상승하여 고온화될 수 있다.
그러나, 밸브실 본체(110)의 상부 프레임(112) 및 측면 프레임(114)은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D)로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화된 지표면의 열기가 차단되어서 상대적으로 저온화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실 본체(110)의 내부에는 외부인 땅속과의 온도차에 의해 결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밸브실 본체(110)의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는, 밸브실 본체(110)의 측면을 타고 흘러 내리는 경우, 하부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밸브실 본체(110)의 상부 내측면에서 떨어지는 결로는 그 아래에 비치된 각종 전자 회로 부품(미도시)에 떨어져서 손상을 줄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12)은 하향 구배를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2)의 내측면(112a)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로 유도 부재(2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로 유도 부재(200)는 상기 상부 프레임(112)의 내측면(112a)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일측으로 경사지는 제1 경사면(210)과, 제1 경사면(21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오목부(220), 오목부(220)로부터 상기 제1 경사면(210)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경사면(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결로 유도 부재(200)는 내측면(112a)을 따라 나선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로 유도 부재(200)의 하단부는 밸브실 본체(110)의 측면 프레임(114) 내측면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220)는 나선형 통로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결로 유도 부재(200)는 단면상 하나의 결로 유도 부재의 길이(D1)가 제1 경사면(210), 오목부(220) 및 제2 경사면(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결로 유도 부재(2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상 단절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나선형 구조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 상기 결로 유도 부재(200)의 연속되고 하부에 위치하는 결로 유도 부재(200)와 상부에 위치하는 결로 유도 부재(200)간의 겹쳐지는 부분의 길이(D2)는 도 3에 도시된 평면도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맨홀 프레임(140)이 위치한 부분은 내부가 관통되는 구조이므로, 결로 유도 부재(200)의 해당 위치는 관통되는 부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편의상 결로 유도 부재(200)는 밸브실 본체(110)의 상부 프레임(112) 내측면 중심부가 마치 빈 공간으로 형성된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낙하하는 결로가 하부로 바로 떨어지지 않도록 중심부를 커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결로 유도 부재(200)의 외주면에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 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흡수 부재(300)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수 부재(300)는 예를 들어 물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스폰지가 될 수 있다.
맨홀 뚜껑(150) 또는 지표면이 태양광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화되는 경우, 밸브실 본체(1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밸브실 본체(110)의 외주면은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D)만큼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저온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실 본체(110)의 내부와 외주면은 온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온도차에 의해 밸브실 본체(110)의 내부는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밸브실 본체(110)의 상부 프레임(112) 내측면에 발생하는 결로는 아랫 방향으로 바로 낙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112)의 내측면에는 결로 유도 부재(20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프레임(112)의 내측면에 발생하는 결로는 결로 유도 부재(200)에 의해 받아져서 일측 측면 프레임(114)의 내측면쪽으로 유도되어서 배출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2)은 하향 구배를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므로, 상부 프레임(112)의 내측면(112a)에 발생하는 결로는 내측면(112a)을 타고 하부 방향으로 흘러 내릴 수 있고, 곡면을 이루는 내측면(112a)에 결로 유도 부재(20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결로 유도 부재(200)의 오목부(220)에 결로가 낙하되어서 자연스럽게 측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결로 유도 부재(200)는 제1 경사면(210)과 제2 경사면(230)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부 프레임(112)의 내측면(112a)에서 형성되는 결로가 제1 경사면(210)과 제2 경사면(230)에 떨어지는 경우, 자연스럽게 오목부(220)쪽으로 흘러 내리게 될 수 있다.
상기 결로 유도 부재(200)는 나선형 구조를 이루고, 측면 프레임(114) 내측면쪽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오목부(220)에 모이는 결로는 회전을 하면서 이동하여 측면 프레임(114) 내측면쪽으로 이동하고, 이동한 결로는 측면 프레임(114)의 내측면을 타고 하부로 흘러 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결로 유도 부재(200)의 외주면에는 흡수 부재(30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결로 유도 부재(200)의 외주면에 맺힐 수 있는 결로를 흡수할 수 있고, 흡수된 결로는 흡수 부재(300)를 타고 결로 유도 부재(200)의 나선형 구조를 타고 내려가서 측면 프레임(114)의 내측면쪽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112)의 내측면(112a)에 발생하는 결로는 하부로 바로 낙하하지 않고, 결로 유도 부재(200)에 의해 자연스럽게 측면으로 유도되어서 밸브실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자 회로 부품에 수분 침투에 의한 악영향을 주지 않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로 유도 부재(200)는 상부 프레임(112)의 내측면(112a)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기 때문에, 지하에 매설된 밸브실 본체(110)가 토압을 받을때, 곡면으로 이루어진 상부 프레임(112)이 변형되지 않는 보강 리브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1 : 지하
100 : 밸브실 110 : 밸브실 본체
112 : 상부 프레임 112a : 내측면
114 : 측면 프레임 116 : 하부 프레임
120 : 배관 130 ; 제수 밸브
140 : 맨홀 프레임 150 : 맨홀 뚜껑
200 : 결로 유도 부재 210 : 제1 경사면
220 : 오목부 230 : 제2 경사면
300 : 흡수 부재
D : 깊이 D1,D2 : 길이

Claims (6)

  1. 지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매설되고, 상부 프레임이 형성되는 밸브실 본체로 이루어지는 밸브실;
    상기 밸브실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맨홀 뚜껑;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간격을 두고 결로를 받을 수 있는 복수의 결로 유도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유도 부재는 상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걸쳐서 측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유도 부재는 상부 프레임의 내측면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낙하하는 결로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유도 부재는 아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1 경사면과, 제1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오목부,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제1 경사면과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유도 부재의 외주면에는, 결로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하향 구배를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KR1020190145914A 2019-11-14 2019-11-14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KR102353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14A KR102353565B1 (ko) 2019-11-14 2019-11-14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14A KR102353565B1 (ko) 2019-11-14 2019-11-14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451A true KR20210058451A (ko) 2021-05-24
KR102353565B1 KR102353565B1 (ko) 2022-01-20

Family

ID=7615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914A KR102353565B1 (ko) 2019-11-14 2019-11-14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5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2547A (zh) * 2022-04-06 2022-06-07 南通大学 薄型防跌落井盖内板及其安装方法
KR102604914B1 (ko) * 2023-06-19 2023-11-22 김선애 밸브실의 결로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973U (ko) * 1998-05-12 1999-12-06 염병호 급속여과지의 낙수소음 방지장치
KR100638671B1 (ko) * 2006-06-12 2006-10-31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KR20130043918A (ko) * 2011-10-21 2013-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벽체 결로 방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683426B1 (ko) * 2016-06-16 2016-12-06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결로방지 및 수충격흡수가 가능한 밸브실
KR101766413B1 (ko) 2017-01-10 2017-08-09 (주) 디케이금속 결로 방지기능을 구비한 밸브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973U (ko) * 1998-05-12 1999-12-06 염병호 급속여과지의 낙수소음 방지장치
KR100638671B1 (ko) * 2006-06-12 2006-10-31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벽체 누수 부위를 위한 배수 조립체.
KR20130043918A (ko) * 2011-10-21 2013-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벽체 결로 방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683426B1 (ko) * 2016-06-16 2016-12-06 주성이엔지 주식회사 결로방지 및 수충격흡수가 가능한 밸브실
KR101766413B1 (ko) 2017-01-10 2017-08-09 (주) 디케이금속 결로 방지기능을 구비한 밸브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2547A (zh) * 2022-04-06 2022-06-07 南通大学 薄型防跌落井盖内板及其安装方法
KR102604914B1 (ko) * 2023-06-19 2023-11-22 김선애 밸브실의 결로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565B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8451A (ko)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US4798239A (en) Device for the protection against freezing of installations for the storage or the supply of a freezing liquid, in particular water
KR100963486B1 (ko) 부력을 이용한 역류방지 탈기장치
CN107355242B (zh) 隧道防排水系统
FI74318B (fi) Anordning vid dagvatten- och nedstigningsbrunnar foer att begraensa lokala variationer i marknivaon.
KR102579636B1 (ko) 건물 누수 유도배출장치
KR102303853B1 (ko) 다공성 열전달부를 구비한 밸브실
KR200486818Y1 (ko) 이중벽 구조를 갖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JP6325838B2 (ja) トンネル構造および覆工背面水圧調整方法
KR20160100435A (ko) 정합식 맨홀
KR102172256B1 (ko) 히트 파이프 구조체를 구비한 밸브실
JP2016114211A (ja) 低温地下式貯槽および低温地下式貯槽の施工方法
US3368355A (en) Ground water table level control well gate system
SU1090893A1 (ru) Дрен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00050170A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0485695Y1 (ko) 상광하협 형상의 지열전달용 연결구를 갖는 수도미터 보호통
KR102156759B1 (ko) 히트 파이프를 구비한 밸브실
KR101862935B1 (ko) 유공관 내부 확인이 용이한 배수로 시스템
KR100945595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0841563B1 (ko) 매립형 단열이중관의 신축 조인트장치
JPS6111339Y2 (ko)
CN216813416U (zh) 热力管道升降井
CN203516976U (zh) 一种新型可进行防渗检漏的直埋管道布置结构
KR20160014194A (ko)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KR101310384B1 (ko) 맨홀블럭과 이를 이용한 맨홀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