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577B1 -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 Google Patents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577B1
KR100638577B1 KR1020050035434A KR20050035434A KR100638577B1 KR 100638577 B1 KR100638577 B1 KR 100638577B1 KR 1020050035434 A KR1020050035434 A KR 1020050035434A KR 20050035434 A KR20050035434 A KR 20050035434A KR 100638577 B1 KR100638577 B1 KR 100638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display panel
film display
reinforcing member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841A (ko
Inventor
김성모
Original Assignee
지피에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피에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지피에스코리아(주)
Priority to PCT/KR2005/00136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115309A1/en
Publication of KR2006010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6Containers with stacking ribs in th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제품 형태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에 관한 것으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을 적재하는 포장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포장대는 중앙이 개방된 적층프레임(100)과, 상기 적층프레임(100)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이 수평으로 안착되는 안착턱(2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박막디스플레이, PDP, LCD, 포장대, 수평적재

Description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Packing apparatus for thin film display Panel}
도 1은 종래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포장하는 포장박스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수평으로 포장하는 포장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들 간의 적층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들 간의 적층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수평으로 포장하는 포장대에 보강부재용 핀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강부재용 핀이 구비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들 간의 적층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강부재용 핀이 구비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들 간의 적층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수평으로 포장하는 포장대에 보강부재용 바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보강부재용 바가 구비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들 간의 적층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포장재가 횡으로 중복 연설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횡으로 중복 연설된 각 포장재에 보강부재용 핀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횡으로 중복 연설된 각 포장재에 보강부재용 바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요부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적층프레임 110 : 고정돌기
120 : 고정홈 130 : 파지홈
140 : 안착공간 200 : 안착턱
210 : 요함부 300 ; 덮개
310 : 덮개용 고정홈 320 : 지지턱
400 : 쿠션재 500 : 보강부재용 핀
600 : 보강부재용 바 M : 박막디스플레이 패널
M1 : 구동회로
본 발명은 반제품 형태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제작비도 절감되며, 운송비용이 저렴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에 관한 것이다.
표시용량, 휘도, 콘트라스트, 잔상 및 시야각 등의 각종 표시 능력이 우수하고, 박형이고 대화면 표시가 가능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박막트랜지스터 액정장치(TFT-LCD) 및 유기이엘(OLED) 등의 박막디스플레이는 유망산업으로 빠르게 진보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은 반제품 형태로 출하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영업 전략적 차원에서 완제품이 아닌 패널과 케이스로 분리된 반제품 상태로 수출되어 현지에서 조립하여 판매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은 생산환경에 따라 중간생산 조립업체에서 유리기판, 구동회로부,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비디오카드만이 구비되는 반제품 형태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로 출하되거나, 여기에 TV수신장치(튜너), 스피커 등이 더 부가된 완제품으로 구성하여 최종소비자에게 제공하기도 한다.
그런데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은 박형이고 대형 화면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운송시 작은 진동 및 충격에도 파손의 위험이 있고, 전극, 격벽의 불량 또는 이물질로 인해 구동회로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보다 안전하게 운송하고자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박스는 몸체(1) 및 덮개(2)로 이루어지는데, 몸체(1) 및 덮개(2)의 내부에는 반제품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이 수납될 수 있도록 소정간격마다 구획벽(3)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포장박스 내에 수납되는 반제품인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주면을 포함한 배면 구동회로(M1)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호대(4)를 제작하여 이를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부에 고정되게 조립한 상태로 포장박스에 포장하여 공급하게 되었다.
하지만 상기한 포장방식은 최종소비자에게 완제품 형태로 제공하는 포장에 적합할지 모르나 반제품 형태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 포장에는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있다.
이는 반제품 형태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은 완제품 제조업체에 공급하면 해당 업체에서는 완제품 생산을 위해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도록 부착시킨 보호대를 모두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제거된 보호대는 대부분 폐기하게 되므로 비경제적이다.
더욱이 이를 제공하는 업체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 하나 하나마다 별도의 보호대를 조립하는 추가 공정은 물론 보호대 제작으로 인해 생산비 상승은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포장박스의 내부에 형성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수납공간은 반제품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에 체결된 보호대까 지도 고려하여 그 수납공간의 폭을 크게 해야 하며 또한, 그 수납공간을 형성시켜 주는 다수의 구획벽도 일정폭을 가지기 때문에 포장박스 내에 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의 수납개수에 제한을 받아 운송회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운송비용의 상승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더욱이, 첨단기술이 적용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해외 각 나라로 수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많은 운송회수에 따른 고액의 운송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제품 형태로 제공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불필요한 공정을 거치지 아니하고 운송된 포장상자에서 분리하는 것만으로 곧바로 생산라인에 투여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 증대를 꾀하는 한편, 반제품 형태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 공급업체는 종래와 같은 별도의 보호장치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순수한 포장대 자체 구조에 의해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게 하여 별개의 보호장치를 이용하는데 따른 제반 문제점과 경제적인 손실을 줄임으로써 가격경쟁력을 높여 주는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수평적재한 후 그 적재된 개개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별로 적층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높이의 규격을 가지는 운송수단용 적재함의 수납공간의 높이에 맞게 가변적 으로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포장박스에서 요구하는 보호대 및 구획벽 없이도 적재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단위포장개수를 증가시켜 적은 운송회수로 인한 운송비용의 절감을 가져다 주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수평으로 포장하는 포장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들 간의 적층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들 간의 적층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수평으로 포장하는 포장대에 보강부재용 핀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보강부재용 핀이 구비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들 간의 적층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보강부재용 핀이 구비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들 간의 적층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수평으로 포장하는 포장대에 보강부재용 바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보강부재용 바가 구비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들 간의 적층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을 적재하는 포장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포장대는 중앙이 개방된 적층프레임(100)과, 상기 적층프레임(100)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이 수평으로 안착되는 안착턱(20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포장대는 적층 시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적층프레임(10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110)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프레임(100)의 하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돌기(1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120)이 형성되며, 그 적층되는 각 포장대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포장대에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줄 수 있도록 적층프레임(100)의 상부를 밀폐시켜 주는 덮개(300)를 포함한다.
또한, 각 포장대들 간에 적층구성 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이이 안착된 각 포장대의 자중에 의해 적층프레임(100)이 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적층프레임(100)에는 보강부재가 포함된다.
여기서, 보강부재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보강부재용 핀(500)인 경우 상기 적층프레임(100)의 테두리에는 상기 보강부재용 핀(500)의 외관에 대응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구된 안착공간(140)이 상기 보강부재용 핀(500)의 개수만큼 형성되어지고, 그 형성된 개개의 안착공간(140)에 상기 각 보강부재용 핀(500)을 억지끼움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보강부재용 바(600)인 경우 상기 적층프레임(100)의 테두리인 각 측면 마다 내삽하여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또한, 덮개(300)는 적층프레임(100)에 견고하게 씌워지도록 적층프레임(10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덮개용 고정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적층프레임(100)의 개방된 중앙부분을 폐쇄하는 지지턱(320)이 각각 형성되되, 그 형성된 지지턱(320)의 전면이 적층프레임(100)에 적재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을 완충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이 안착되는 상기 적층프레임(100) 및 안착턱(200)의 안착면은 상기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외관에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안착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적층프레임(100)의 안착턱(200) 상에는 안착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구동회로(M1)를 보호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요함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적층프레임(100) 내측의 대응면에는 파지홈(130)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입출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파지를 용이하도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일체로 형성된 적층프레임(100)과 안착턱(200)은 수납되는 내용물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견디면서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강도를 가지면서도 신축성이 있는 부재인 EPP(Expanded Polypropylene) 또는 동등 이상의 물성을 지진 재질(예를 들어, EPE(Expanded Polyethylene), EPS)을 사용하는데 이때, 동일재질인 적층프레임(100)과 안착턱(200) 간의 밀도는 서로 상이하도록 제작한다.
즉, 적층프레임(100)의 밀도는 70∼60 kg/m3가 되고, 안착턱(200)의 밀도는 25 ∼35 kg/m3가 되도록 제작한다. 이는, 운송 시 외부로부터 충격이 전달될 경우 본 발명의 포장재의 외측을 구성하는 적층프레임(100)의 밀도는 크게 하여 전달된 충격에 형상의 변형이 없도록 함이고, 포장재의 내측을 구성하는 안착턱(200)의 밀도는 작게 하여 외부로부터 충격이 안착턱(200)으로 전달된 경우 일정형상의 변형이 발생하도록 안내하여 수납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을 완충보호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일체로 형성된 동일재질인 적층프레임(100)과 안착턱(200) 간의 이중밀도(dual density)를 갖게 제작하는 공정은 캐비티(cavity)와 상기 캐비티에 내삽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포장대와 실질적인 동양(同樣)의 금형공간으로 이루어진 플러그를 구비하되, 상기 적층프레임(100)과 안착턱(200)을 구분 짓는 곳에 막을 설치한 후, 캐비티 내에 그 설치된 막에 의해 구분되는 적층프레임(100)과 안착턱(200)의 형상을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적층프레임(100)의 형상이 위치되는 캐비티 내로 밀도가 큰 비드(bead) 상태의 발포입자를 충전하여 성형시킨다.
밀도가 큰 비드 상태의 발포입자를 이용한 1차 충전 이후 그 설치된 막을 제거한 후에 안착턱(200)의 형상이 위치되는 캐비티 내로 밀도가 작은 비드(bead) 상태의 발포입자를 충전하여 2차 성형시킴으로써 동일재질이 이중밀도를 가지는 제품의 사출품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층으로 적층되어 서로 마주보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전면 및 배면 사이에는 조각편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쿠션재(400)를 놓음으로서 충격에 의해 안착턱(200)의 변형이 발생할 경우에도 적층되어 서로 마주보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전면 및 배면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쿠션재(400)에 의해 부딪히지 않게 함과 동시에 보조완충작용도 함께 제공함으로서 보다 안전한 운송을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쿠션재(400)의 밀도는 안착턱(200)의 밀도와 같거나 또는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포장재가 횡으로 중복 연설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횡으로 중복 연설된 각 포장재에 보강부재용 핀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횡으로 중복 연설된 각 포장재에 보강부재용 바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요부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포장대의 외측면에는 그 포장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다른 포장대가 수평으로 중복되게 연설되어 다층으로 적층된 포장대 간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컨테이너 등과 같은 운반수단에 수납되는 포장대 간의 사이 간격을 최소화하여 보다 많은 포장대가 수납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적층구성 시 견고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으로 중복연설되는 포장대인 각 적층프레임(100)에도 보강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보강부재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보강부재용 핀(500)인 경우 상기 수평으로 중복연설되는 각 적층프레임(100)의 테두리 및 내측면 상에는 상기 보강부재용 핀(500)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구된 안착공간(140)이 상기 보강부재 용 핀(500)의 개수만큼 형성되어지고, 그 형성된 개개의 안착공간(140)에 상기 각 보강부재용 핀(500)을 억지끼움하여 사용한다.
상기 보강부재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보강부재용 바(600)인 경우 상기 적층프레임(100)의 테두리 및 내측면을 구성하는 각 측면 마다 내삽시켜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포장대 상에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을 수납하기 위해 먼저, 적층프레임(100)의 개방된 부분에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을 수납한다.
이때, 수납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과 맞닿는 적층프레임(100)과 안착턱(200)의 안착면은 그 수납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외관 형상에 대응되기 때문에 운송 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배면이 바닥으로 향하도록 수납되는데 이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배면에 형성된 구동회로(M1)가 안착턱(200)에 형성된 요함부(210) 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간섭 및 접촉으로 인한 훼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개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을 각각의 포장대에 수평적재한다.
이후,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이 수평적재된 각 포장대들을 적층하기 위해 각 포장대에 수평적재된 개개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 상에 쿠션재(400)를 깔아 놓은 후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이 수평적재된 다른 하나의 포장대를 그 하나의 포장대의 상부에 적층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포장대를 구성하는 적층프레임(100)의 상,하면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110) 및 그 복수개의 고정돌기(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120)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2층으로 적층되는 각 포장대의 맞닿는 일측 적층면의 복수개의 고정돌기(110)가 타측 적층면의 복수개의 고정홈(120)에 내삽됨으로써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줄 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적층구성되는 각 적층프레임(100)에는 보강부재용 핀(500) 또는 보강부재용 바(600)가 구비되어 있어 10층 이상의 다층으로 적층할 경우에도 견고하게 적층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적층되어 서로 마주보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전면 및 배면 사이에 놓여진 복수개의 쿠션재(400)에 의해 외부로부터 충격 전달 시 그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안착턱(200)의 변형이 발생할 경우에도 적층되어 서로 마주보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전면 및 배면 사이에 놓여진 쿠션재(400)에 의해 부딪히지 않게 함과 동시에 보조완충작용을 함께 제공함으로서 안전한 운송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소망하는 높이까지 포장대를 다층 적재한 후 최상층에 적층된 포장대 상에 덮개(300)를 씌워 밀폐함으로써 수납을 완료한다. 여기서, 최상층에 적층된 포장대를 구성하는 적층프레임(100)의 상면과 덮개(300)의 하면의 동일위치에는 각각 복수개의 고정돌기(110)와 덮개용 고정홈(310)이 형성되어 있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덮개(300)의 하면에 형성된 지지턱(320)이 최상층의 포장대에 수납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을 완충지지하여 준다.
여기서, 다층 적재되는 포장대의 소망하는 높이란 다양한 크기의 규격을 가 지는 운송수단용 적재함(예를 들어, 차량의 적재함 및 수송용 컨테이너 등등)의 수납공간의 높이에 맞게 가변적으로 쌓을 수 있는 높이를 말하는 것으로 종래의 포장박스는 일정높이를 가지는 규격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적층높이를 가지는 운송수단용 적재함에 종래의 포장박스를 다층 적재 시 최상층에 적재되는 종래의 포장박스의 일정규격(적층 높이)보다 운송수단용 적재함의 수납공간이 수㎝ 만 작더라도 적재 자체가 불가능하여 낮은 적재효율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준다.
또한, 종래의 포장박스는 수직으로 패널을 적재할 시 그 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을 보호하기 위해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에 보호대를 체결해야기 때문에 수납공간 또한 클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수납공간을 형성시켜 주는 다수의 구획벽도 일정폭을 가짐으로써 포장박스 내에 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의 수납개수에 제한을 받는데, 본 발명의 포장대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수평저장 시 수납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과 맞닿는 적층프레임(100) 및 안착턱(200)의 안착면은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에 체결되는 보호대가 요구되지 않고 또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과 맞닿는 적층프레임(100) 및 안착턱(200)의 안착면이 종래 포장박스의 구획벽 역할도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종래의 포장박스보다 단위포장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인자로 인해, 본 발명의 포장대의 적재효율은 종래의 포장박스의 적재효율보다 40% 정도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포장대를 구성하는 적층프레임(100)과 안착턱(200)은 동일 재질로 제작되나, 밀도의 경우 적층프레임(100)이 안착턱(200)보다 큰 이중밀도를 가지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운송 시 외부로부터 충격이 전달될 경우 본 발명의 포장재의 외측을 구성하는 적층프레임(100)의 밀도가 크기 때문에 전달된 충격에 의해 적층프레임(100)의 형상 변형이 없어 적층프레임(100)의 휘어짐 등과 같은 변형으로 인해 야기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훼손을 예방하고 또한, 적층프레임(100)을 통해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로 외부충격이 전달될 경우에는 밀도가 낳은 안착턱(200) 어느 정도 형상의 변형이 있도록 하여 충격을 완화시켜 준다.
또한, 적층되어 서로 마주보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전면 및 배면 사이에 놓여진 복수개의 쿠션재(400)에 의한 보조완충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전하게 운송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운송 후 본 발명의 포장대에 적재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을 수납해제할 경우 적층프레임(100)의 내측의 대응면에 형성된 파지홈(130)에 손을 인입하여 꺼내기 때문에 용이하게 수납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을 꺼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하나의 포장대의 외측면에는 그 포장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다른 포장대가 수평으로 중복되게 연설되어 다층으로 적층된 포장대 간의 사이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컨테이너 등과 같은 운반수단에 수납되는 포장대 간의 수납공간을 최소화하여 보다 많은 포장대가 수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적층구성 시 견고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으로 중복연설되는 포장대인 각 적층프레임(100)에도 보강부재가 포함되는데,
보강부재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보강부재용 핀(500)인 경우 수평으로 중복연 설되는 각 적층프레임(100)의 테두리 및 내측면에는 그 보강부재용 핀(500)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으로 양단이 개구된 안착공간(140)이 복수개의 보강부재용 핀(500) 만큼 형성되어지고, 그 형성된 개개의 안착공간(140)에 상기 각 보강부재용 핀(500)을 억지끼움하여 사용한다.
또한, 보강부재가 복수개로 이루어진 보강부재용 바(600)인 경우 수평으로 중복연설되는 적층프레임(100)의 테두리 및 내측면을 구성하는 각 측면 마다 내삽되어 10층 이상의 다층으로 적층할 경우에도 견고하게 적층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반제품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수납하는 포장대에 한정되어 설명하였지만 완제품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도 수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정되게 운송 및 이동을 위해 수납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과 맞닿는 적층프레임(100)과 안착턱(200)의 안착면을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되, 적층프레임(100)과 안착턱(200)에 밀도차를 두어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포장박스를 이용하였을 때 보다 취급이 간단하고, 재료비가 휠씬 적게 소요되며 제작비도 저렴하여 아주 경제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종래와 같이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배면부에 형성되는 일부 구동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장치를 이용하는데 따른 번거로움 및 불편함이 없이도 장거리 운송에 따른 충격흡수와 온전한 포장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고,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형성되는 구동회로(M1)와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요함부(210)가 구비되고 있어 구동회로(M1)가 훼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적층되는 포장대의 적층 수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규격을 가지는 포장재 내에 수납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위포장개수를 증가시켜 운송회수 및 운송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3)

  1. 반제품 상태의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을 적재하기 위해, 중앙이 개방되고, 상면에는 복수개의 고정돌기(110)가 형성되고, 하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돌기(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120)이 형성된 적층프레임(100)과, 상기 적층프레임(100)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이 수평으로 안착되는 안착턱(200)이 형성된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에 있어서,
    상기 적층프레임(100)의 밀도는 70∼60 kg/m3 이고,
    상기 안착턱(200)의 밀도는 25 ∼35 kg/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턱(200) 상에는 안착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M)의 구동회로(M1)를 보호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요함부(2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대의 외측면에는 그 포장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다른 포장대가 적어도 1개 이상 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프레임(100)에는 보강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보강부재용 핀(500)이고,
    상기 적층프레임(100)의 테두리에는 상기 보강부재용 핀(500)의 외관에 대응되는 안착공간(140)이 상기 보강부재용 핀(500)의 개수만큼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보강부재용 바(600)이고,
    상기 복수개의 보강부재용 바(600)는 상기 적층프레임(100) 내에 내삽되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프레임(100)에는 보강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보강부재용 핀(500)이고,
    상기 적층프레임(100)의 테두리에는 상기 보강부재용 핀(500)의 외관에 대응되는 안착공간(140)이 상기 보강부재용 핀(500)의 개수만큼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보강부재용 바(600)이고,
    상기 복수개의 보강부재용 바(600)는 상기 적층프레임(100) 내에 내삽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KR1020050035434A 2005-03-21 2005-04-28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KR100638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1363 WO2006115309A1 (en) 2005-04-28 2005-05-10 Apparatus for horizontally packing thin film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3262 2005-03-21
KR1020050023262 2005-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841A KR20060101841A (ko) 2006-09-26
KR100638577B1 true KR100638577B1 (ko) 2006-10-27

Family

ID=3763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434A KR100638577B1 (ko) 2005-03-21 2005-04-28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284A (ko) 2020-07-08 2022-01-17 주식회사 유원에스씨 디스플레이패널 보호용포장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146B1 (ko) * 2005-09-02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포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 조립체
KR100765811B1 (ko) * 2006-03-23 2007-10-12 지피에스코리아(주) 보강수단이 구비된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포장대
TWI321119B (en) * 2006-12-15 2010-03-01 Au Optronics Corp Container having product protecting structure
KR100818744B1 (ko) * 2007-03-26 2008-04-02 주식회사 카스 판재 형상 제품의 포장 클립
KR101633117B1 (ko) * 2009-12-18 2016-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의 포장 컨테이너 및 포장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855A (ja) * 1997-01-07 1998-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透明電極付基板用の搬送トレイ
JP2000165070A (ja) * 1998-11-25 2000-06-16 Watanabe Shoko:Kk 板状基体の収納ユニットおよび収納装置
KR200328145Y1 (ko) * 2003-07-15 2003-09-26 주식회사 포맥스 이피피 브라운관 유리 운송용 패킹
US20040020823A1 (en) * 2002-07-31 2004-02-05 Takenori Yoshizawa Display substrate accommodating tra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the display substr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855A (ja) * 1997-01-07 1998-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透明電極付基板用の搬送トレイ
JP2000165070A (ja) * 1998-11-25 2000-06-16 Watanabe Shoko:Kk 板状基体の収納ユニットおよび収納装置
US20040020823A1 (en) * 2002-07-31 2004-02-05 Takenori Yoshizawa Display substrate accommodating tra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the display substrate
KR200328145Y1 (ko) * 2003-07-15 2003-09-26 주식회사 포맥스 이피피 브라운관 유리 운송용 패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284A (ko) 2020-07-08 2022-01-17 주식회사 유원에스씨 디스플레이패널 보호용포장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841A (ko) 200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577B1 (ko)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US9352900B2 (en) Support frame for packaging liquid crystal glass panel
US10221002B2 (en) Packing of polycrystalline silicon
KR100673405B1 (ko) 보강수단이 구비된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포장대
US10442597B1 (en) Retention package with article-loading apertur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WO2013185386A1 (zh) 用于液晶玻璃面板包装的支撑架
US20080245697A1 (en) Packaging system for carrying an item, preferably bulky and/or heavy item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0629273B1 (ko)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 포장대
JP4597495B2 (ja) ガラス板梱包ユニット
KR20110002494U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WO2012105633A1 (ja) リユースコンテナ
JP2018193122A (ja) 組立および分解が可能な断熱容器
TWI722134B (zh) 捆包用構件、捆包體及捆包體之製造方法
EP2590873B1 (en) Dual-purpose packaging insert and packaging box for sensitive flat objects
JP5176938B2 (ja) 梱包用緩衝材
WO2006115309A1 (en) Apparatus for horizontally packing thin film display panel
JP4911326B2 (ja) ガラス板梱包ユニット
KR200395284Y1 (ko) 편광필름 이송용 카트리지
KR100765811B1 (ko) 보강수단이 구비된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포장대
KR200238851Y1 (ko) 포장박스의 모서리 기둥 구조
KR101550382B1 (ko) 부품 포장 및 운반용 트레이장치
WO2021045078A1 (ja) 箱の支持体、箱の梱包方法および箱の輸送方法
KR200464052Y1 (ko) 패널제품용 포장박스
KR200401590Y1 (ko) 네크리스 훤넬 포장 조립체 및 다단적재용 상자의 가이드부재
WO2020090501A1 (ja) ガラス板梱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