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273B1 -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273B1
KR100637273B1 KR1020050027081A KR20050027081A KR100637273B1 KR 100637273 B1 KR100637273 B1 KR 100637273B1 KR 1020050027081 A KR1020050027081 A KR 1020050027081A KR 20050027081 A KR20050027081 A KR 20050027081A KR 100637273 B1 KR100637273 B1 KR 100637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temperature
temperature air
gasifier
gasification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4718A (ko
Inventor
최영찬
이재구
김재호
이시훈
홍재창
김용구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27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27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2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suppressing or attenuating harmonic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4Coaxial resonator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것으로, 그 목적은 가스화제로서 산소 대신 고온공기를 사용하여, 고온하에서 무촉매, 부분산화 및 수증기 반응으로 탄화수소 연료로부터 부분산화 반응 및 흡열 가스화반응에 의해 가장 간단한 분자 형태인 H2 및 CO로 구성되는 가스를 제조하는 고온공기 가스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가스화반응기에 공급되는 탄화수소계의 저급연료에 고온의 공기를 가스화제로 공급하여 가스화 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장치 구성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수소제조, 고온공기, 가스화, 석탄, 폐기물

Description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방법 및 그 장치{High temperature air gasification process for hydrogen production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 고온공기 가스화장치 중 가스화반응기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고온공기 가스화 반응기를 포함한 가스화장치 설계도,
도 3은 본 발명 고온공기 가스화반응기의 설치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온공기 제조장치 (2) : 고온공기 가스화반응기
(3) : 연료공급장치 (21) : 분류층
(22) : 축열체 부위 (23) : 열전쌍
(24) : 열교환기 (25) : 가스 배출구
(26) : 보조창 (27) : 가스분석기
(28) : 보조버너 (31) : 호퍼
(32) : 스크류피더
본 발명은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것으로, 자세하게는 고형의 탄화수소계 저급연료(석탄,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를 이용한 수소생산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특히 기존의 가스화공정에서 산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것과 달리 고온의 공기를 가스화제로 사용하여 투자비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향후 연료전지 등과 같은 분산형 발전기술로의 적용이 가능한 신개념의 가스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부각되고 있는 수소에너지는 석유, 석탄 등과 같은 1차 에너지가 아니며 1차 에너지를 변환시켜 얻을 수 있는 2차 에너지이다.
상기 수소에너지는 물, 화석연료, 바이오매스등 천연자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청정에너지이며, 탄소성분이 없으므로 발전용으로 사용후 생성물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수소는 우리 주위에서 가장 흔한 자원이지만 독립적인 에너지원으로 얻기가 힘들며, 독립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면 발전용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적인 연료가 될 수 있다.
연료전지 등 수소이용 발전기술이 점차 현실화됨에 따라 근시일내에 수소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수소제조방법은 천연가스개질방법, 전기분해방법, 열화학적 방법, 광촉매분해반응, 가스화 방법에 의해서 생산이 가능하다. 화석연료로부터의 수소 제조방법의 선택은 천연가스나 나프타와 같은 청정고급 연료 이용방법과 석탄이나 중질유 같은 저급 탄화수소계 연료를 이용 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수소생산 기술중 최근의 고유가 및 환경문제와 결부되어 CO2 발생이 없는 풍력, 태양열 및 원자력을 이용한 물분해 수소제조기술 등과 같은 대체에너지 이용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경제성 확보가 어려우며 상용화를 위한 추가적인 기술개발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고 있다.
천연가스 등을 이용하는 방법은 초기투자비는 저렴하나 연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향후 가격상승 요인을 감안한다면 국내에서는 저급탄화수소 연료를 수소생산에 적용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왜냐하면 국내의 경우 경질유, 가스, 전기등과 같은 고급에너지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석탄,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 등과 같이 취급이 불편한 저급연료나 발열량이 낮은 연료 등은 이용도가 더욱 낮아지게 되어 환경친화적인 고급연료로 전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저급탄화수소 연료의 가스화 기술은 순산소를 사용하고 있어 가스화 플랜트(plant)에는 산소분리장치가 필수적이며 대형화 위주로 이루어졌는데, 대형 시스템은 투자비가 많이 소요되고 분산형 발전방식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분산형 발전 방식에 이용될 수 있는 규모의 가스화기 개발과 합성가스 및 수소의 이용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화제로서 산소 대신 고온공기를 사용하여, 고온하에서 무촉매, 부분산화 및 수증기 반응으로 탄화수소 연료로부터 부분산화 반응 및 흡열 가스화반응에 의해 가장 간단한 분자 형태인 H2 및 CO로 구성되는 가스를 제조하는 고온공기 가스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가스화반응기에 공급되는 탄화수소계의 저급연료에 고온의 공기를 가스화제로 공급하여 가스화 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화반응기는 분류층 가스화로의 하부에 축열체 부위(Pebble bed)를 배치하여 용융회재의 효과적인 회수와, 미반응 고체생성물(char)을 축열체 부위(pebble bed)에 머물게 하여 반응시간을 증가시켜 반응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축열기능을 갖도록 하여 열적 완충성을 확보토록 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축열체 부위(Pebble bed)는 고온용 세라믹 볼을 충전한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온공기는 1000℃이상(바람직하게는 1000 ~ 1100℃)으로 가열된 고온 공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고온의 공기일수록 순산소를 가스화제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고온공기는 수증기와 같이 공급되어 연료와 반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장치 구성은 고온의 공기를 제조하여 가스화 장치로 공급하는 고온공기 제조장치와;
탄화수소계의 저급연료를 가스화 장치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와;
상기 고온공기 제조장치와 연료공급장치로 부터 공급되는 탄화수소계의 저급연료와 고온공기가 혼합 반응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고온공기 가스화반응기로 구성하되, 고온공기 가스화반응기는 분류층 가스화로의 하부에 축열체 부위(Pebble bed)를 배치하여 용융회재의 효과적인 회수와 미반응 고체생성물(char)을 축열체 부위(pebble bed)에 머물게 하여 반응시간을 증가시켜 반응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축열기능을 갖도록 하여 열적 완충성을 확보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온공기 가스화반응기는 반응기 내부의 온도 측정을 위하여 반응기 내부용 4개 및 반응기 벽면 내화재의 온도 측정용 3개의 열전쌍(thermocouple)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온공기 제조장치는 공기의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료 공급장치는 호퍼와 스크류피더(screw feeder)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에 공급되는 탄화수소계 저급연료(석탄,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 등)를 사전에 건조하는 건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온공기 가스화반응기 후단부에 배가스 냉각용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여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온공기 가스화반응기는 가스화 반응 초기에 반응 온도인 1,200℃ 이상(바람직하게는 1200 ~ 1300℃)으로 유지하여 축열체 부위(pebble bed)에 충분한 축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가스화 내부 예열용 LPG용 보조버너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온공기 가스화 반응기는 내벽이 내화 및 단열재로 구성된 고밀도 알루미나 재질을 구성되고, 하부 외벽에는 고온에서 형성된 슬래그의 회수 및 처리를 위하여 보조창이 설치구성되고, 하부에는 생성된 가스가 슬래그와 분리 배출되도록 가스 배출구가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열체 부위(Pebble bed)는 고온용 세라믹 볼을 충전한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 고온공기를 이용한 가스화 장치는 다단계로 폐열을 회수 이용하는 방식(MEET: Multi staged Enthalpy Extraction Technology, 이하 'MEET'라 칭함)의 장치로 가스화를 위한 산화제로 산소 대신에 고온공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상기 본 발명에서 고온공기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이유는 종래 산소를 사용하는 가스화 방식은 합성가스 발열량은 높지만 산소를 제조하는 비용이 추가되므로 고비용의 경제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기 때문이다.
상기 본 발명에서 MEET 방식을 채택한 이유는 탄화수소계의 어떠한 저급연료에 대해서도 거의 동일한 기기구성으로 대응할 수 있고 연소에 수반하는 환경부하를 최저상태로 제어하면서 고효율 발전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경제적이고 컴팩트(compact)하며, 또한 신뢰성이 높은 획기적인 발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고온공기를 이용한 가스화 반응기는 로의 하부에 열을 유지할 수 있는 축열체 부위를 설치하여 중소규모 플랜트 위주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중소규모 플랜트에 적합한 이유는 순산소 대신에 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으로 보통 순산소를 얻기 위한 산소분리장치는 전체 투자비의 30%를 차지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고온공기 가스화 장치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에서는, 1000℃이상(바람직하게는 1000 ~ 1100℃)으로 가열된 고온 공기로 연료의 가스화를 통해 생성 가스 중의 환경오염 물질을 제거한 후에, 생성 가스를 다시 고온 공기로 저 NOx 연소시켜, 증기터빈이나 가스터빈을 구동하거나 수소생산을 위한 추가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 고온공기 가스화장치에서 석탄이나 잔사유, 폐기물등의 연료는 가스화반응기 내부에서 가스화되어 연료용 합성가스로 전환된다.
가스화제로는 1,000℃정도의 공기 및 수증기가 포함되거나 단독형태의 공기를 이용한다.
공급된 연료로부터 가스화에 의해 생긴 합성가스는 열교환하여 온도를 내린 후에, 정제한다.
정제된 합성가스는 그 일부를 가스화제인 공기를 고온에 가열하기 위해서 이용하고 나머지는 여러가지 용도의 연료로 이용한다.
고체연료 중 회분은 가스화로인 가스화반응기 내부에서 용해 분리되어 슬래그로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고온공기를 이용하고 축열체(Pebble)를 이용하는 방식은 회분을 포함하는 고체연료를 가스상 연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가스온도를 회분의 융점 이상으로 하여 용융슬래그를 만들어 회재를 회수하는 기술이다.
용융 슬래그는 드라이 애쉬(dry ash)와 달리 비체적이 작으며 건자재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축열체 부위(Pebble bed) 가스화 반응기는 가연분을 가스화함과 동시에 회분을 용융하는 용융가스화로의 일종으로 MEET방식에 의한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기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고온공기 가스화장치 중 가스화반응기의 개념도인데, 본 발명의 가스화반응기는 고온공기를 가스화제로 이용하는 회재 용융방식의 가스화로이며, 종래의 분류층 가스화로의 하부에 축열체(pebble)를 배치한 형태의 용융가스화 로이다. 여기서 축열체 부위(Pebble bed)라 함은 고온용 세라믹 볼을 충전한 층이다.
고체연료는 분쇄된 상태로 상부에서 반응기 내부로 투입되며 가스화제로는 고온으로 예열된 공기에 수증기를 첨가한 것이 사용된다.
반응기 상부에서 공급된 고체연료는 가스화제와 혼합되어 반응한 후, 회분은 용융슬래그로 되어 축열체 부위(pebble bed) 바닥에서 용융상태로 흘러내려 하부에서 합성가스와 분리된다.
축열체 부위(Pebble bed) 가스화반응기(가스화로)는 로의 크기를 작게 유지할 수 있어 석탄, 폐기물, 바이오매스(biomass)등의 입경이나 조성이 다른 다양한 고체연료를 동일한 형식에서 가스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축열체 부위(Pebble bed)를 가지는 가스화로에서는 상부의 분류층(Entrained Flow Section) 아래에 고정층 형태의 축열체 부위(pebble bed)를 설치함으로써 용융회재의 효과적인 회수, 미반응 고체생성물(char)을 축열체 부위(pebble bed)에 머물게 하여 반응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반응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축열체 부위(pebble bed)는 축열기능을 갖게 되어 열적 완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 고온공기 가스화 반응기를 포함한 가스화장치 설계도인데, 본 발명의 가스화장치는 크게 고온공기 제조장치(Electric high temperature air heater, 1), 고온공기 가스화반응기(High temperature air-blown gasifier, 2), 연 료공급장치(Screw feeder, 3)로 구성된다.
상기 고온공기 가스화반응기는 내부 상부의 분류층(21)과 하부의 축열체 부위(22)로 나뉘어 구성되고, 반응기 내부의 온도 측정을 위하여 가스화 반응기 내부용 4개 및 반응기 벽면 내화재의 온도 측정용 3개의 열전쌍(thermocouple, 23)을 포함한다.
아울러, 가스화를 통해 생성되는 가스의 온도는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냉각시켜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가스화반응기 후단부에 설치된 배가스 냉각용 열교환기(24)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고온공기 가스화 반응기는 내벽이 내화 및 단열재로 구성된 고밀도 알루미나 재질을 구성되고, 하부 외벽에는 고온에서 형성된 슬래그의 회수 및 처리를 위하여 보조창(26)이 설치구성되고, 하부에는 생성된 가스가 슬래그와 분리 배출되도록 가스 배출구(25)가 설치 구성된다. 또한 배출구에는 일부의 가스를 가스분석기(27)로 보내 가스조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스화 반응기는 반응초기에 반응 온도인 1,200℃ 이상(바람직하게는 1200 ~ 1300℃)으로 유지하여 축열체 부위(22)에 충분한 축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가스화 내부 예열용 LPG용 보조버너(2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온공기 제조장치(1)는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셔(12)와 공급량을 제어하는 공기플로우미터(13), 체크벨브(14) 및 이들을 연결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공기공급라인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온도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기히터 (11)를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연료의 공급은 호퍼(31)와 스크류피더(screw feeder, 32)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연료 공급시 약간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공급 중 연료의 응집으로 연속적인 공급에 매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연료는 사전에 건조기(도시 없음)를 이용하여 건조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 고온공기 가스화반응기의 설치사진으로서, 가스화 반응 초기에 반응 온도인 1,200℃ 이상(바람직하게는 1200 ~ 1300℃)으로 유지하여 축열체 부위(pebble bed)에 충분한 축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가스화 내부 예열용 LPG용 보조버너(도 2참조)를 포함하며, 가스화 반응기 내벽은 열손실 방지를 위하여 내화 및 단열재로 구성된 고밀도 알루미나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가스화 반응기 하부는 고온에서 형성된 슬래그의 회수 및 처리를 위하여 보조창을 설치하여 회수된 슬래그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생성된 가스는 슬래그와 분리되어 가스 배출구(25)를 통하여 배출되며, 배출구에는 일부의 가스를 가스분석기(27)로 보내 가스조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스화 반응기 상부에서 공급된 고체연료는 가스화제로 사용되는 고온의 공 기와 혼합되어 반응한 후, 회분은 용융슬래그로 되어 축열체 부위(pebble bed) 바닥에서 용융상태로 흘러내려 하부에서 합성가스와 분리된 후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단계로 폐열을 회수 이용하는 방식(MEET: Multi staged Enthalpy Extraction Technology)의 고온공기를 이용한 가스화장치는 가스화를 위한 산화제로 산소 대신에 고온공기를 사용하는 장치로 종래 산소를 사용하는 가스화 방식에서 발생했던 문제점인 합성가스 발열량은 높지만 산소를 제조하는 비용이 추가되므로 고비용의 경제적 문제점을 해결하였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에서 채택한 MEET 방식은 탄화수소계의 어떠한 저급연료에 대해서도 거의 동일한 기기구성으로 대응할 수 있고 연소에 수반하는 환경부하를 최저상태로 제어하면서 고효율 발전을 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컴팩트(compact)하며, 또한 신뢰성이 높은 획기적인 발전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 고온공기를 이용한 가스화 방식은 열을 유지할 수 있는 축열체 부위(Pebble Bed)를 설치하여 중소규모 플랜트 위주에 적합하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 고온공기 가스화 방식을 포함한 발전 시스템에서는, 1000℃이상으로 가열된 고온 공기로 연료의 가스화를 통해 생성 가스중의 환경오염 물질을 제거한 후에, 생성 가스를 다시 고온 공기로 저 NOx 연소시켜, 증기터빈이나 가스터빈을 구동하거나 수소생산을 위한 추가공정으로 이송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져 기존 가스화 공정의 초기투자비에서 약 30%를 차지하는 산소 분리공정이 제외되어 발전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미래에너지원인 수소를 저급탄화수소 연료를 이용하여 고효율의 환경 친화적, 경제적으로 생산함으로써 소규모 및 대형 제조공정 기술개발로 연료전지 등과 연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가스화반응기에 공급되는 탄화수소계의 저급연료(석탄,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에 고온(1000 ~ 1100℃)의 공기를 가스화제로 공급하여 가스화 반응시켜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반응기는 분류층 가스화로의 하부에 축열체 부위(축열체로 고온용 세라믹 볼을 충전한 층)를 배치하여 용융회재의 효과적인 회수와, 미반응 고체생성물(char)을 축열체 부위(축열체로 고온용 세라믹 볼을 충전한 층)에 머물게 하여 반응시간을 증가시켜 반응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축열기능을 갖도록 하여 열적 완충성을 확보토록 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방법.
  4. 삭제
  5. 삭제
  6. 고온의 공기(1000 ~ 1100℃)를 제조하여 가스화 장치로 공급하는 고온공기 제조장치와;
    탄화수소계의 저급연료(석탄,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를 가스화 장치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와;
    상기 고온공기 제조장치와 연료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탄화수소계의 저급연료(석탄,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와 고온의 공기(1000 ~ 1100℃)가 혼합 반응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고온공기 가스화반응기로 구성하되, 고온공기 가스화반응기는 분류층 가스화로의 하부에 축열체 부위(축열체로 고온용 세라믹 볼을 충전한 층)를 배치하여 용융회재의 효과적인 회수와 미반응 고체생성물(char)을 축열체 부위(축열체로 고온용 세라믹 볼을 충전한 층)에 머물게 하여 반응시간을 증가시켜 반응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축열기능을 갖도록 하여 열적 완충성을 확보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공기 가스화반응기는 반응기 내부의 온도 측정을 위하여 반응기 내부용 4개 및 반응기 벽면 내화재의 온도 측정용 3개의 열전쌍(thermocouple)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공기 제조장치는 전기히터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장치는 호퍼와 스크류피더(screw feeder)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에 공급되는 석탄을 사전에 건조하는 건조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공기 가스화 반응기 후단부에 배가스 냉각용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여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공기 가스화 반응기는 가스화 반응 초기에 반응 온도인 1,200~1300℃로 유지하여 축열체 부위(pebble bed)에 충분한 축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가스화 내부 예열용 LPG용 보조버너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장치.
  13. 제 6항 또는 1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공기 가스화 반응기는 내벽이 내화 및 단열재로 구성된 고밀도 알루미나 재질을 구성되고, 하부 외벽에는 고온에서 형성된 슬래그의 회수 및 처리를 위하여 보조창이 설치구성되고, 하부에는 생성된 가스가 슬래그와 분리 배출되도록 가스 배출구가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장치.
  14. 삭제
KR1020050027081A 2005-03-31 2005-03-31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방법 및 그 장치 KR100637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081A KR100637273B1 (ko) 2005-03-31 2005-03-31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081A KR100637273B1 (ko) 2005-03-31 2005-03-31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718A KR20060104718A (ko) 2006-10-09
KR100637273B1 true KR100637273B1 (ko) 2006-10-23

Family

ID=3763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081A KR100637273B1 (ko) 2005-03-31 2005-03-31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127B1 (ko) * 2005-12-30 2007-06-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저급탄화수소 연료의 가스화를 위한 고온공기 제조장치
KR100967577B1 (ko) * 2008-07-04 2010-07-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합성가스를 이용한 고정층 및 유동층 수성가스 반응장치와이를 이용한 수소 생산방법
KR101036949B1 (ko) * 2009-02-06 2011-05-25 주식회사 동성에코어 폐타이어 열분해 오일화 장치에 사용되는 고온 가스 발생기
EP3814274B1 (en) 2018-06-29 2022-05-04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Electrically heated reactor and a process for gas conversions using said reac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2406A (ko) * 1990-09-11 1992-09-04 하.-요트. 엑케르트 가스화 물질을 가스화하고 및/또는 가스를 개질하기 위한 공정 및 장치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고온 열교환기
US5958365A (en) * 1998-06-25 1999-09-28 Atlantic Richfield Company Method of producing hydrogen from heavy crude oil using solvent deasphalting and partial oxidation methods
JP2001158885A (ja) * 1999-09-20 2001-06-12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有形燃料のガス化装置及びガス化方法
JP2004123477A (ja) * 2002-10-04 2004-04-22 Nissan Motor Co Ltd 燃料改質器
JP2004123478A (ja) * 2002-10-04 2004-04-22 Nissan Motor Co Ltd 燃料改質器
KR20050016802A (ko) * 2003-08-04 2005-02-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동층 반응로를 이용한 열분해가스 수소개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2406A (ko) * 1990-09-11 1992-09-04 하.-요트. 엑케르트 가스화 물질을 가스화하고 및/또는 가스를 개질하기 위한 공정 및 장치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고온 열교환기
US5958365A (en) * 1998-06-25 1999-09-28 Atlantic Richfield Company Method of producing hydrogen from heavy crude oil using solvent deasphalting and partial oxidation methods
JP2001158885A (ja) * 1999-09-20 2001-06-12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有形燃料のガス化装置及びガス化方法
JP2004123477A (ja) * 2002-10-04 2004-04-22 Nissan Motor Co Ltd 燃料改質器
JP2004123478A (ja) * 2002-10-04 2004-04-22 Nissan Motor Co Ltd 燃料改質器
KR20050016802A (ko) * 2003-08-04 2005-02-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동층 반응로를 이용한 열분해가스 수소개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718A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0766B2 (en) Gasification equipment
Hayashi et al. Gasification of low-rank solid fuels with thermochemical energy recuperation for hydrogen production and power generation
ES2804520T3 (es) Gasificación en dos etapas con enfriamiento rápido dual
KR100794914B1 (ko) Igcc 시스템에서 석탄가스화 방법과 장치
CA2755353A1 (en) Two stage dry feed gasification system and process
Babu Biomass gasification for hydrogen production–process description and research needs
JP5130459B2 (ja) 石炭熱分解ガス化炉の操業方法
US10435295B2 (en) Coupling an electric furnace with a liquid fuel synthesis process to improve performance when processing heterogeneous wastes
KR20000015802A (ko) 석탄 가스화 장치, 석탄 가스화 방법 및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시스템
KR100637273B1 (ko) 수소제조용 고온공기 가스화방법 및 그 장치
JP2013518150A (ja) 炭素を含有する原材料からco2変換により熱力学的エネルギー源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4074144A (ja) 三塔式循環流動層による石炭/バイオマス共ガス化方法及びその装置
McMullan et al. Clean coal technologies
Kohl Black liquor gasification
Zuberbühler et al. Gasification of Biomass–An overview on available technologies
CN112126469B (zh) 一种联产燃油和天然气的igcc联合循环发电方法
JP3976888B2 (ja) 石炭の気流床ガス化方法および装置
Doering et al. Advances in the Shell coal gasification process
JP3559163B2 (ja) バイオマスと化石燃料を用いたガス化方法
JP4435966B2 (ja) 石炭の気流床型ガス化方法
KR20100090936A (ko) 석탄 건조 공정 및 이를 이용한 설비
Kalisz et al. Continuous high temperature air/steam gasification (HTAG) of biomass
JP2003027072A (ja) 石炭の熱分解ガス化反応生成物による発電方法
KR100726127B1 (ko) 저급탄화수소 연료의 가스화를 위한 고온공기 제조장치
JP7118341B2 (ja) 水素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