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859B1 - 유로폼용 탈형기구 - Google Patents

유로폼용 탈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859B1
KR100636859B1 KR1020050001447A KR20050001447A KR100636859B1 KR 100636859 B1 KR100636859 B1 KR 100636859B1 KR 1020050001447 A KR1020050001447 A KR 1020050001447A KR 20050001447 A KR20050001447 A KR 20050001447A KR 100636859 B1 KR100636859 B1 KR 100636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uroform
support body
hook
slide body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424A (ko
Inventor
문홍길
박순섭
Original Assignee
(주)하우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우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하우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01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859B1/ko
Publication of KR20050026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6Frames for 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로폼의 탈형기구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콘크리트 양생이 끝난 후 유로폼을 좁은 공간에서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해체 작업에 따른 유로폼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전용횟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로폼용 탈형기구를 제공하도록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몸체 상부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부에 외부로 돌출된 고정 손잡이(22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유로폼의 핀구멍에 결속될 수 있는 걸고리(210)가 형성된 지지몸체(200)와, 몸체 상부가 상기 지지몸체(200)의 상부와 종축으로 대칭되는 반원통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유로폼의 핀구멍에 결속되며 상기 지지몸체(100)의 걸고리(210)와 대칭구조를 이루는 걸고리(210)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몸체(100)와, 상기 지지 몸체(200) 상부 및 슬라이드 몸체(100)의 상부가 서로 마주보고 면접하도록 감싸며,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몸체 상부의 외주면 나사와 결합되는 중공 원통부와 상기 중공 원통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손잡이(310)를 구비한 회전체(300)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콘크리트 양생이 끝난 후 유로폼을 해체할 경우에 이용된다.
유로폼, 탈형, 해체, 빠루

Description

유로폼용 탈형기구{Device for stripping Euro form}
도 1은 종래 유로폼용 탈형공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유로폼용 탈형공구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로폼용 탈형기구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로폼용 탈형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로폼용 탈형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로폼용 탈형기구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유로폼 11, 21 : 핀구멍
100 : 슬라이드 몸체 110, 210 : 걸고리
120 : 나사부 200 :지지 몸체
220 : 고정 손잡이 230 : 걸림턱
240 : 고정캡 300 : 회전체
310 : 회전손잡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시 사용되는 유로폼을 콘크리트 양생이 끝난 후 간단하고 용이하게 탈형하기 위한 탈형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벽체나 기둥 등과 같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규격화된 시스템 거푸집의 일환으로 유로폼(Euro form)을 사용함으로써 거푸집 공사에 있어서 혁신적인 작업 능률 향상을 꾀하게 되었다.
이러한 유로폼은 규격화된 사각형의 철재 프레임에 합판 등으로 이루어진 패널이 부착된 것으로, 상기 철재 프레임에는 연접되는 철재 프레임간을 조립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으로 뚫어져 있는 다수의 핀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유로폼을 사용한 거푸집 설치작업은 콘크리트가 타설될 해당 시공위치에 상기 유로폼들을 타설 구획별로 소요의 높이 및 너비에 맞게 서로 연접하여 위치시킨 후, 상기 핀구멍간을 웨지핀으로 고정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거푸집 설치작업을 간편하고 정밀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완료된 후 상기 유로폼을 탈형함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탈형공구(Nail puller(1), 현장에서는 일명 '빠루'라 지칭함)를 사용하여 유로폼을 해체하였는 바, 이 같은 해체작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유로폼(20)을 받침점으로 하여 지렛대의 원리로 타측(10)의 유로폼을 들어내게 되므로, 탈형 작업시에 상기 유로폼을 심하게 변형 및 파손시켜 전 용횟수를 크게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에 따라 변형 및 파손된 유로폼을 보수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손상부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다른 부위보다 돌출되게 되므로 이를 보수하기 위해 콘크리트 성형면을 별도로 그라인딩 및 미장 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빠루 등과 같은 탈형공구(1)는 지렛대 원리로 거푸집을 해체하게 되는 것으로, 대형으로 제작된 유로폼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탈형공구(1) 또한 그 길이가 길어져야 하며, 이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해체작업을 하게 될 경우, 온몸으로 지탱하여 힘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는 그 탈형 작업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양생이 끝난 후 유로폼을 좁은 공간에서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해체 작업에 따른 유로폼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전용횟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로폼용 탈형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외부로 돌출된 고정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제1 유로폼의 핀구멍에 결속될 수 있는 걸고리가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부가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와 종축으로 대칭되는 반원통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제2 유로폼의 핀구멍에 결속되며 상기 지지몸체의 걸고리와 대칭구조를 이루는 걸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몸체; 및 상기 지지 몸체의 상부 및 슬라이드 몸체의 상부가 서로 마주보고 면접하도록 감싸며,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몸체 상부의 외주면 나사와 결합되는 중공 원통부와, 상기 중공 원통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손잡이를 구비한 회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로폼용 탈형기구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로폼용 탈형기구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로폼용 탈형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로폼용 탈형기구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로폼용 탈형기구는 연접된 유로폼의 핀 구멍에 대응하여 양측에서 걸 수 있는 1조의 걸고리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1조의 걸고리 중 일측의 걸고리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여 이에 결속된 일측의 유로폼이 탈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은, 몸체 상부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부에 외부로 돌출된 고정 손잡이(22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유로폼의 핀구멍에 결속될 수 있는 걸고리(210)가 형성된 지지몸체 (200)와, 몸체 상부가 상기 지지몸체(200)의 상부와 종축으로 대칭되는 반원통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유로폼의 핀구멍에 결속되며 상기 지지몸체(100)의 걸고리(210)와 대칭구조를 이루는 걸고리(210)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몸체(100)와, 상기 지지 몸체(200) 상부 및 슬라이드 몸체(100)의 상부가 서로 마주보고 면접하도록 감싸는 중공 원통부와 상기 중공 원통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손잡이(310)를 구비한 회전체(30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300)의 중공 원통부는 그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 손잡이(310)는 단부인 손잡이부(311)가 상부로 90도 절첩되어지도록 구성되며, 절첩된 상태에서는 손에 맞닿는 부위가 회전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적은 힘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몸체(100)의 반원통형 상부는 그 외주면으로 나사(12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체(3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체(300)가 회전할 때 상기 회전체(3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지지 몸체(200)는 도 4에 도시된 단면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종축 대칭구조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 몸체(100)의 상부와 면접되어 상기 회전체(300)의 중공 원통부가 외삽되게 된다. 지지몸체(200)는 그 중간부에 걸림턱(230)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300)의 중공 원통부가 외삽 되어질 때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외삽되는 회전체(300)의 중공 원통부와 결합을 위해 반원통 형상의 상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캡(240)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드 몸체 (100)와는 달리 상기 지지 몸체(200)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체(100)의 나사부에 대응하는 별도의 나사부가 없어 상기 회전체(100)가 회전하더라도 상하로는 슬라이드 이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 몸체(200)의 중간부에 형성된 고정 손잡이(220)는 작업자가 한 손으로는 잡아 위치 고정시킬때 사용하도록 하고, 상기 회전 손잡이(310)는 작업자가 다른 한 손으로 잡아 회전체(300)를 돌릴때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몸체(200)에 형성된 걸고리(210)에는 외측으로 절첩되는 절첩부(21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로폼의 핀구멍에 걸고리가 용이하게 결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절첩부(211)는 상기 슬라이드 몸체(100)의 걸고리(1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몸체(100)의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몸체(100)의 반원통 상부에는 슬라이드 코어(130)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 몸체(200)의 반원통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130)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가이드홈(250)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드 몸체(100)가 상기 지지 몸체(200)를 축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폼 탈형기구의 실시 형태를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타설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나면, 우선 양측 유로폼(10, 20)을 조립 결합하고 있는 웨지핀(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들을 해체하고 상기 웨지핀이 해체되고 난 핀구멍(11, 21)에 상기 지지 몸체(200)의 절첩부(211)를 이용하여 양측의 걸고리 (110, 210)를 결속시킨다.
이후, 상기 회전 손잡이(310)의 손잡이부(311)를 90도로 절접한 후, 상기 회전 손잡이(310)를 돌려서 상기 회전체(300)와 나사결합된 상기 슬라이드 몸체(100)를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몸체(100)의 걸고리(110)에 결속되어 있는 일측 유로폼(10)의 마구리면이 콘크리트 성형면으로부터 탈형되어진다.
이후, 콘크리트 성형면으로부터 탈형된 마구리면을 잡아당겨 마저 떼어냄으로써 용이하게 거푸집 탈형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유로폼을 해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유로폼에 손상 없이 해체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유로폼의 전용회수가 증가되고 유로폼의 보수 등을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탈형작업을 할 수 있어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푸집 해체시 발생되는 타설 콘크리트면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추후 발생되는 하자보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유로폼 탈형기구에 있어서,
    상부가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외부로 돌출된 고정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제1 유로폼의 핀구멍에 결속될 수 있는 걸고리가 형성된 지지몸체와;
    상부가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와 종축으로 대칭되는 반원통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제2 유로폼의 핀구멍에 결속되며 상기 지지몸체의 걸고리와 대칭구조를 이루는 걸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몸체; 및,
    상기 지지 몸체의 상부 및 슬라이드 몸체의 상부가 서로 마주보고 면접하도록 감싸며,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몸체 상부의 외주면 나사와 결합되는 중공 원통부 및 상기 중공 원통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손잡이를 구비한 회전체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탈형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몸체 및 지지 몸체에 형성된 걸고리 중 어느 하나는 단부가 외측으로 절첩되도록 하는 제1 절첩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탈형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손잡이는 그 단부를 90도로 절첩시키는 제2 절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폼 탈형기구.
KR1020050001447A 2005-01-07 2005-01-07 유로폼용 탈형기구 KR100636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447A KR100636859B1 (ko) 2005-01-07 2005-01-07 유로폼용 탈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447A KR100636859B1 (ko) 2005-01-07 2005-01-07 유로폼용 탈형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012U Division KR200339363Y1 (ko) 2003-09-09 2003-09-09 유로폼용 탈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424A KR20050026424A (ko) 2005-03-15
KR100636859B1 true KR100636859B1 (ko) 2006-10-23

Family

ID=3738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447A KR100636859B1 (ko) 2005-01-07 2005-01-07 유로폼용 탈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4558A (zh) * 2020-11-27 2021-03-26 肇庆创富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模板的快速装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424A (ko) 2005-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842B1 (ko) 보 시공용 거푸집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200002390A (ko) 기존 철근망과 틸팅형 거푸집을 이용한 더블월 피씨판넬 제작방법
CN105064678A (zh) 收支模机构、内筒模以及电梯井模板装置
KR100636859B1 (ko) 유로폼용 탈형기구
KR200339363Y1 (ko) 유로폼용 탈형기구
CN210105294U (zh) 一种旋转控制整体支脱模机械系统
CN106088595A (zh) 支模装置及支模方法
CN114016747B (zh) 一种预制构件快速吊装就位连接方法
KR200405414Y1 (ko) 각형 구조체 타설용 내부거푸집
KR100680761B1 (ko) 공동 주택 유로폼 지지용 턴버클
KR200436781Y1 (ko) 기둥 거푸집용 고정밴드.
WO2017179194A1 (ja) 機器固定具
CN215907416U (zh) 一种建筑施工浇筑模板
CN204983642U (zh) 收支模机构、内筒模以及电梯井模板装置
CN210766406U (zh) 一种桥墩无缝现浇模具
KR200444420Y1 (ko) 매립형 판넬연결바 앵커
KR200378314Y1 (ko) 공동 주택 유로폼 지지용 턴버클
KR101398530B1 (ko) 신축기구를 구비한 거푸집 장치
KR20110068459A (ko) 외부장착이 가능한 거푸집 연결구
CN215254632U (zh) 一种装配式结构间现浇带模板加固夹具
KR100846831B1 (ko) 건축용 가설재
CN111691592B (zh) 用于密肋模板高限位模壳固定装置以及安装方法
KR20200001802U (ko) 타설막이
KR200278096Y1 (ko) 아이엘엠용 피씨박스 거더 교량에서의 세그먼트의 내벽면 형성용 거푸집 시스템
CN215564426U (zh) 一种反坎模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