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449B1 - 비데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449B1
KR100635449B1 KR1020050054598A KR20050054598A KR100635449B1 KR 100635449 B1 KR100635449 B1 KR 100635449B1 KR 1020050054598 A KR1020050054598 A KR 1020050054598A KR 20050054598 A KR20050054598 A KR 20050054598A KR 100635449 B1 KR100635449 B1 KR 100635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friction
cover
rotation control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권병
추일호
박지경
추용호
Original Assignee
채권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권병 filed Critical 채권병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대 또는 커버를 개방하는 경우 일정 구간에서 정지시킬 수 있어 자중에 의해 좌대 또는 커버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폐쇄하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한 가속력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비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데본체에 일측이 결합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좌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하우징부재로 구성된 비데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30)의 일측 단부에 일정 높이로 서로 대응되게 돌출된 유동방지턱(32)과; 상기 유동방지턱(32)에 삽입 결합되도록 양측에 유동방지홈(42)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홈(42)의 사이에 탄성회동부(44)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회동부(44)의 일측면에 간섭돌기(46)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20)가 관통되는 회전제어부재(40)와; 상기 간섭돌기(46)에 일정 부분이 간섭되고, 중심부에 상기 회전샤프트(20)가 관통되도록 관통홈(51)이 형성된 마찰부재(50)와; 상기 마찰부재(50)가 관통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20)의 일측 단부에 상기 관통홈(51)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됨에 따라 양측에 형성된 안착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샤프트, 회전제어부재, 유동방지턱, 간섭돌기, 마찰부재

Description

비데용 힌지장치{DEVICE OF HINGE FOR BIDET}
도1a는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힌지장치의 마찰부재를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1b는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힌지장치의 마찰부재와 회전제어부재를 분리한 분리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힌지장치의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제어부재의 사시도,
도4는 도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마찰부재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마찰부재와 회전제어부재의 동작과정을 보인 개략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의 동작과정을 보인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부재가 구비된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부재가 구비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좌대 12: 커버
20: 회전샤프트 22: 안착부
30: 하우징부재 32: 유동방지턱
40: 회전제어부재 42: 유동방지홈
44: 탄성회동부 46: 간섭돌기
50: 마찰부재 51: 관통홈
53: 이동면 54: 마찰돌기
60: 탄성부재
본 발명은 비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대 또는 커버를 개방하는 경우 일정 구간에서 정지시킬 수 있어 자중에 의해 좌대 또는 커버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폐쇄하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한 가속력으로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비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기는 좌변기의 상측에 가설되어 좌변기 사용 후 사용자의 청결유지, 국부위생 및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위생기구이다.
이하, 종래 사용되는 비데기는 좌변기 상측에 고정되고 일측에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이송 제어되며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이 구비된 비데본체와, 상기 비데본체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좌변기의 상면을 개폐하는 변좌대와 변좌대 커버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변좌대와 변좌대 커버를 수동으로 개폐하거나 또는 추가 구비되는 유압 개폐장치에 의해 자동 개폐되도록 구성된 다.
그러나, 변좌대와 변좌대 커버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 개폐되는 경우 일정각 이상에서는 자중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속도가 가속되어 좌변기와 충돌하면서 충격소음이 발생하거나 장시간 사용시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의 개폐시 자중에 의해 가속되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 소음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변좌대와 변좌대 커버를 잡고 완전 개폐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체저항을 이용하여 감속을 유도하는 비데용 개폐장치의 경우 끝단 충격이 없을 정도로 감속력을 발생시킬 경우 전체 닫힘속도가 지나치게 느려지거나, 이와는 반대로 닫힘속도를 증가시킬 경우에는 닫힘 끝단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제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열림 위치에 완전히 변좌대를 이동시켜 놓지 않으면 다시 닫히거나, 실내 온도가 변화하면 작동유체의 점도변화가 뒤따르고 그에 따라 하강 속도가 급격히 변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데본체로부터 좌대 또는 커버를 개폐시킬 경우 일정 구간에서 정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충격에 따른 파손 및 충격소음을 제거함과 동시에 커버가 간섭되거나 오염됨이 없이 소변을 용이하게 볼수 있으며, 좌대 또는 커버의 하강시 좌대의 시트내에 배선된 열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데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대 또는 커버의 개폐시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일정 구간에서 마찰력을 발생시키거나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유도하여 힌지장치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따른 제조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함과 동시에 장기간 사용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비데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비데본체에 일측이 결합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좌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하우징부재로 구성된 비데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의 일측 단부에 일정 높이로 서로 대응되게 돌출된 유동방지턱과; 상기 유동방지턱에 삽입 결합되도록 양측에 유동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홈의 사이에 탄성회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회동부의 일측면에 간섭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가 관통되는 회전제어부재와; 상기 간섭돌기에 일정 부분이 간섭되고, 중심부에 상기 회전샤프트가 관통되도록 관통홈이 형성된 마찰부재와; 상기 마찰부재가 관통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의 일측 단부에 상기 관통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양측에 형성된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경사면은 상기 회전제어부재의 간섭돌기가 간섭되지 않는 이동면과, 상기 이동면의 양측에 일정 높이로 단차지게 돌출된 마찰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면과 마찰돌기는 상기 마찰부재의 일측면 원주를 따라 각각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재와 회전제어부재의 사이 간격에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데용 힌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a는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힌지장치의 마찰부재를 분리한 분리사시도이고, 도1b는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힌지장치의 마찰부재와 회전제어부재를 분리한 분리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힌지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제어부재의 사시도이며, 도4는 도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마찰부재의 사시도이며,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마찰부재와 회전제어부재의 동작과정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의 동작과정을 보인 개략도이다.
상기 도1a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데용 힌지장치는 비데본체에 일측이 결합되는 회전샤프트(20)와, 상기 회전샤프트(2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좌대(10), 커버(12)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하우징부재(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30)의 일측 단부에 일정 높이로 서로 대응되게 돌출된 유동방지턱(32)과, 상기 유동방지턱(32)에 삽입 결합되도록 양측벽에 유동방지홈(42)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홈(42)의 사이에 탄성회동부(44)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회동부(44)의 일측면에 간섭돌기(46)가 형성된 회전제어부재(40)와, 상기 간섭돌기(46)에 일정 부분이 간섭되고 중심부에 관통홈(51)이 형성된 마찰부재(50)와, 상기 마찰부재(50)가 관통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20)의 일측 단부에 상기 마찰부재(50)의 관통홈(51)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되어 양측에 형성된 안착부(2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샤프트(20)의 일측은 상기 비데본체에 유동 없이 결합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부재(30)는 상기 좌대(10) 또는 커버(12){이하, 커버(12)에 고정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샤프트(20)와 상기 하우징부재(30)는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되도록 동작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샤프트(20)를 상기 커버(12)에 고정하고 상기 하우징부재(30)를 상기 비데본체에 고정하더라도 동작방식은 동일한 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비데본체와 상기 커버(12)에 결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재(30)의 유동방지턱(32)은 상기 유동방지홈(42)이 밀착되도록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제어부재(40)가 상기 회전샤프트(20)의 반경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제어부재(40)에는 상기 유동방지턱(32)에 밀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절곡되게 유동방지홈(4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재(30)에 자연스럽게 지지되게 되어 상기 회전제어부재(40)가 상기 마찰부재(50)와 접촉되면서 마찰력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회전샤프트(20)의 반경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자연스럽게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마찰부재(50)는 상기 회전제어부재(40)의 간섭돌기(46)가 간섭되지 않 고 이동되는 이동면(53)과, 상기 이동면(53)의 양측에 일정 높이로 단차지게 돌출된 마찰돌기(54)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면(53)과 마찰돌기(54)는 상기 마찰부재(50)의 일측면 원주를 따라 각각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면(53)과 한쌍의 마찰돌기(54)는 각각 한쌍씩 서로 대향되게 상기 마찰부재(50)의 일측면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
이를 도6 또는 도7을 참조하여 상기 마찰부재(50)의 형상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마찰부재(50)의 일측을 정점으로 0~80°사이(AB구간)에는 상기 이동면(53)이 형성되며, 80~90°사이(B-C구간)에는 상기 마찰돌기(54)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면(53)과 마찰돌기(54)의 연결부위는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마찰부재(50)는 상기 회전제어부재(40)와 긴밀하게 면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커버(12)의 회전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제어부재(40)의 간섭돌기(46)가 상기 이동면(53)을 경유할 경우에는 간섭되지 않게 되어 상기 커버(12)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마찰돌기(54)를 경유하는 경우에는 상기 간섭돌기(46)가 유동되지 않고 일정 각도에서 고정됨으로써 상기 커버(12)를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찰돌기(54)를 경유한 후에는 상기 커버(12)가 직각을 넘어서게 되고, 이 경우에는 외부의 압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상기 커버(12)는 비데본체로 하강되지 않게 된다.
상기 회전제어부재(40)는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기 간섭돌기(46)가 상기 마찰돌기(54)를 경유할 때, 상기 하우징부재(30)와 유동방지턱(32)의 사이에 형성 된 공간부로 탄성회동부(44)가 탄성적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회전제어부재(3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재(50)와 회전제어부재(40)에는 마찰력이 작용되는 바, 마찰을 방지하고 충격력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점성이 높은 그리스 또는 윤활유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상기 회전샤프트(20)의 중앙부에는 윤활유가 누설되지 않도록 O링이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탄성부재가 구비된 상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탄성부재가 구비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재(30)와 회전제어부재(40)의 사이에는 상기 탄성회동부(44)의 탄성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60)를 더 구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60)는 고무재질을 포함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재(30)의 유동방지턱(32)이 형성된 돌출부에 밀착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부재(30)와 회전제어부재(40)의 사이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커버의 동작과정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먼저 회전샤프트(20)의 일측을 비데본체에 고정하고, 상기 회전샤프트(2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게 위치한 후, 하우징부재(30)를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커버(12)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재(30)의 유동방지턱(32)에 회전제어부재(40)의 유동방 지홈(42)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회전제어부재(4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재(30)와 회전제어부재(40)의 사이 간격에는 탄성부재(60)가 구비되어 있어 회전제어부재(40)의 탄성회동부(44)가 마찰부재(50)와 간섭되어 탄성되는 경우 소음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힌지장치가 비데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커버(12)를 비데의 상측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며, 상기 커버(12)를 비데의 상측으로 회전시킬 경우, 회전제어부재(40), 하우징부재(30)가 상기 회전샤프트(20)를 중심축으로 하여 동일하게 회전되는데, 이를 도6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상기 힌지장치의 마찰부재(50)와 회전제어부재(40)의 작동상태를 구간에 따라 구분지어 설명한다.
(1) 제1구간{커버(12)를 0~80°로 회전시키는 경우(A-B구간)}
제1구간에서는 상기 간섭돌기(46)가 상기 마찰돌기(54)의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이동면(53)으로 마찰되지 않고 이동됨으로써 상기 커버(12)를 용이하게 비데의 상부로 회전시키게 된다.
(2) 제2구간{커버(12)를 80~90°로 회전시키는 경우(B-C구간)}
제2구간에서는 상기 간섭돌기(46)가 상기 마찰돌기(54)를 경유하게 되어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커버(12)를 임의로 가압하지 않으면 정지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간섭돌기(46)와 상기 마찰돌기(54)가 접촉될 경우, 상기 간섭돌기(46) 하부의 탄성회동부(44)가 후방부측으로 탄력적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회전제어부재(40)가 파손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재(30)와 회전제어부재(4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6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탄성회동부(44)의 탄성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게 된다.
(3) 제3구간{커버(12)를 90~110°로 회전시키는 경우(C-D구간)}
제3구간에서는 상기 간섭돌기(46)가 상기 마찰돌기(54)을 벗어나게 되어 유동상태가 되고, 이 경우 상기 커버(12)는 외부의 압력 또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간섭돌기(46)가 상기 마찰돌기(54)에 걸리게 되어 비데본체로 하강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제어부재(40)는 유동방지홈(42)이 상기 하우징부재(30)의 유동방지턱(32)에 밀착 결속된 상태이므로, 상기 간섭돌기(46)가 상기 마찰돌기(54)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회전제어부재(40)가 상기 회전샤프트(20)의 반경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회전모멘트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마찰부재(50)와 상기 회전제어부제(40)와의 상호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힌지장치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비데본체와 좌대(10)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좌대(10)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간별로 회전시킨 후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남성인 경우 상기 좌대(10) 또는 커버(12)의 간섭됨이 없이 용이하게 소변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변에 의해 상기 좌대(10) 또는 커버(12)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12)의 개방 동작과는 반대로, 소변을 본 후 상기 커버(12)를 하강시켜 변좌대를 밀폐시킬 경우에는 D-C구간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임으로 가압하게 되면, C-B구간에서 상기 간섭돌기(46)가 상기 마찰돌기(54)를 경유하게 되어 상기 커버(12)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되고, B-A구간 사이에서는 상기 간섭돌기(46)가 상기 마찰돌기(54)에 간섭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커버(12)의 하강속도가 서서히 증가하면서 상기 좌대(10)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구간의 A점에서는 상기 간섭돌기(46)가 상기 마찰돌기(54)의 경사면에 간섭되게 되어 서서히 하강하면서 상기 좌대(10)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동작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커버(12)를 상부로 개방시킬 경우 B-C구간 또는 C-D구간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위치하도록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완전 개방을 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12)의 하강시 A점에서 상기 간섭돌기(46)가 상기 마찰돌기(54)의 경사면에 간섭됨과 동시에 힌지장치의 타측에 설치된 댐퍼(미도시)에 의해 하강속도가 제어됨으로써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데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장치에 의해 좌대 또는 커버를 구간별로 단속해줌으로써, 커버가 간섭되거나 오염됨이 없이 소변을 용이하게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와 커버의 하강시 발생되는 충격이 현저하게 감소됨으로 인하여 시트 내에 배선된 열선이 손상되거나 충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비데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비데본체로부터 좌대 또는 커버를 개폐시킬 경우 일정 구간에서 정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충격에 따른 파손 및 충격소 음을 제거함과 동시에 커버가 간섭되거나 오염됨이 없이 소변을 용이하게 볼수 있으며, 좌대 또는 커버의 하강시 좌대의 시트내에 배선된 열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좌대 또는 커버의 개폐시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일정 구간에서 마찰력을 발생시키거나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유도하여 힌지장치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에 따른 제조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함과 동시에 장기간 사용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비데본체에 일측이 결합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좌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하우징부재로 구성된 비데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30)의 일측 단부에 일정 높이로 서로 대응되게 돌출된 유동방지턱(32)과;
    상기 유동방지턱(32)에 삽입 결합되도록 양측에 유동방지홈(42)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홈(42)의 사이에 탄성회동부(44)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회동부(44)의 일측면에 간섭돌기(46)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20)가 관통되는 회전제어부재(40)와;
    상기 간섭돌기(46)에 일정 부분이 간섭되고, 중심부에 상기 회전샤프트(20)가 관통되도록 관통홈(51)이 형성된 마찰부재(50)와;
    상기 마찰부재(50)가 관통되어 안착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20)의 일측 단부에 상기 관통홈(51)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됨에 따라 양측에 형성된 안착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50)는, 상기 회전제어부재(40)의 간섭돌기(46)가 간섭되지 않는 이동면(53)과, 상기 이동면(53)의 양측에 일정 높이로 단차지게 돌출된 마찰돌 기(54)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면(53)과 마찰돌기(54)는 상기 마찰부재(50)의 일측면 원주를 따라 각각 서로 대응되게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힌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30)와 회전제어부재(40)의 사이에 탄성부재(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힌지장치.
KR1020050054598A 2005-05-10 2005-06-23 비데용 힌지장치 KR100635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036 2005-05-10
KR20050039036 2005-05-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5449B1 true KR100635449B1 (ko) 2006-10-17

Family

ID=3762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598A KR100635449B1 (ko) 2005-05-10 2005-06-23 비데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641B1 (ko) 2008-11-17 2012-01-12 풍원공업 주식회사 비데용 힌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9338A (ja) 1997-06-05 1998-12-22 Tokai Rika Hanbai Kk 回転減速装置
KR200364759Y1 (ko) 2004-07-13 2004-10-16 (주)힌지코리아 비데용 힌지 장치
KR200388674Y1 (ko) 2005-04-06 2005-07-01 채권병 비데용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9338A (ja) 1997-06-05 1998-12-22 Tokai Rika Hanbai Kk 回転減速装置
KR200364759Y1 (ko) 2004-07-13 2004-10-16 (주)힌지코리아 비데용 힌지 장치
KR200388674Y1 (ko) 2005-04-06 2005-07-01 채권병 비데용 힌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641B1 (ko) 2008-11-17 2012-01-12 풍원공업 주식회사 비데용 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1367A1 (en) Oil damper using a cam
KR100635449B1 (ko) 비데용 힌지장치
CA1312177C (en) Bathtub drain control valve and overflow plate
CA2944092A1 (en) Shower door hinge mechanism
KR200459856Y1 (ko)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콕
CA2556634A1 (en) A motor activated bathtub drain closure
KR200411763Y1 (ko) 양변기용 댐퍼장치
CN107288184B (zh) 一种去水器
KR200388674Y1 (ko) 비데용 힌지장치
JP4907335B2 (ja) ダンパー装置
EP1338707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plug for sanitary fittings
KR100686648B1 (ko) 비데용 힌지장치
KR100802326B1 (ko) 양변기용 댐퍼장치
KR100635448B1 (ko) 김치냉장고 도어용 힌지장치
KR200325011Y1 (ko) 스위치형 도어 고정장치
US20090007322A1 (en) Waste trap movement system
JP4621622B2 (ja) 便座昇降装置
CN218061960U (zh) 一种用于淋浴房的无障碍导轨
KR200458651Y1 (ko) 원터치 방수콘센트
JP3853451B2 (ja) 水圧を利用した自動扉
KR200229068Y1 (ko) 도어 스톱퍼
KR100587514B1 (ko) 버터플라이 밸브의 개폐장치
KR200444411Y1 (ko) 세면대용 원터치 배수장치
JP4020852B2 (ja) 吊り引き戸の制動装置
JP2009084950A (ja) 浴室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