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641B1 - 비데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641B1
KR101104641B1 KR1020080114000A KR20080114000A KR101104641B1 KR 101104641 B1 KR101104641 B1 KR 101104641B1 KR 1020080114000 A KR1020080114000 A KR 1020080114000A KR 20080114000 A KR20080114000 A KR 20080114000A KR 101104641 B1 KR101104641 B1 KR 101104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oilet seat
flange
ca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5078A (ko
Inventor
이준영
Original Assignee
풍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풍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4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6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55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ilet Suppli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스프링에서 발생하는 압축력과, 토션스프링에서 발생하는 비틀림력을 이용하여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에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늦춰주도록 함으로서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의 폐쇄동작을 안정적으로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비데기용 힌지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114000
비데기, 제 1, 2힌지수단, 제 1, 2토션스프링, 제 1, 2압축스프링

Description

비데용 힌지장치{DEVICE OF HINGE FOR BIDET}
본 발명은 비데용 힌지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의 폐쇄동작이 급격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비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비데기는 좌변기의 상측에 가설되어 좌변기 사용 후 사용자의 청결유지, 국부위생 및 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위생기구로서, 좌변기 상측에 고정되고 일측에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이송 제어되며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이 구비된 비데본체와, 상기 비데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좌변기의 상측을 개폐하는 변좌대 및 상기 변좌대에 덮혀지는 변좌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에는 각각의 힌지기구들이 장착되어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를 각각 개별적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하게 되는 바, 이러한 종래 힌지기구의 내부에는 개폐 동작중인 변좌대나 변좌대 커버가 일정각도 이상에서는 자중 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속도가 가속되어 좌변기와 충돌하지 않도록 적정구간에서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인 압축스프링을 내설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압축스프링이 가지는 압축력은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종래와 같이 압축스프링 하나만으로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도어의 폐쇄동작이 계속 이루어지는 진행구간에 접어들면 이때의 도어 하중을 지탱할 만큼의 더 큰 압축력을 발생시킬 수 없음으로서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효율적으로 늦추어 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힌지기구는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에 각각 별도로 결합시켜 구성함에 따라 힌지기구의 조립에 따른 번잡함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스프링외에 토션스프링을 더 설치하여 상기 토션스프링에서 발생하는 비틀림력을 이용하여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의 폐쇄동작을 안정적으로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비데용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힌지장치로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를 회동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비데용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데기를 구성하는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를 회전 동작시키는 비데기 힌지장치에 있어서, 비데 본체에 고정 설치되며 양단부에는 제 1, 2캡이 체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며 양면에는 고정캠이 각각 굴곡지게 형성된 격판과, 상기 고정캠 및 격판 그리고 상기 제 2캡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변좌대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변좌대 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 동작하는 제 1샤프트와, 상기 제 1샤프트의 끝단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격판 어느 한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캠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 1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밀려나며 상기 제 1샤프트를 우측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캠과, 상기 플랜지와 제 1캡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제 1샤프트의 우측방향 이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수축하며 압축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1샤프트의 회전속도를 늦춰주는 제 1압축스프링과, 상기 제 1샤프트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제 1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비틀림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1압축스프링과 함께 상기 제 1샤프트의 회전속도를 늦춰주는 제 1토션스프링과, 상기 제 1샤프트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변좌대에 결합되어, 상기 변좌대의 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 동작하는 제 2샤프트와, 상기 제 2샤프트의 끝단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타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격판 어느 한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캠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 2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밀려나며 상기 제 2샤프트를 좌측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캠과, 상기 플랜지와 제 2캡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제 2샤프트의 좌측방향 이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수축하며 압축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2샤프트의 회전속도를 늦춰주는 제 2압축스프링 및 상기 제 2샤프트의 외경에 끼워지며 상기 제 2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비틀림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2압축스프링과 함께 상기 제 2샤프트의 회전속도를 늦춰주는 제 2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데기용 힌지장치는 압축스프링에서 발생하는 압축력과, 토션스프링에서 발생하는 비틀림력을 이용하여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에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늦춰주도록 함으로서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의 폐쇄동작을 안정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힌지장치만으로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를 회동 동작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립에 따른 작업성의 간편함을 구현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한편, 하기에서 기술될 힌지장치는 변좌대(110) 및 변좌대 커버(1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비데기에 적용된 것을 대표하여 기술할 것이나, 이 외에 이중 도어방식 구조를 가지는 물품에 다양하게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비데기용 힌지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비데용 힌지장치의 조립구성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데기용 힌지장치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변좌대(110) 및 변좌대 커버(120) 양측에 각각 복수개를 장착시켜 변좌대 (110) 및 변좌대 커버(120)를 회전 동작시키게 되는 바, 하기에서는 변좌대(110) 및 변좌대 커버(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나의 비데기용 힌지장치 구조에 대하여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비데기용 힌지장치는 하우징(10)과, 제 1, 2힌지수단(30, 50)으로 나뉘어져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비데기를 구성하는 비데본체에 내설되는 것으로서, 원통체 형태로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 제작하고, 그 양단부에는 제 1, 2캡(12, 14)으로 밀폐시켜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는 격판(16)이 설치되고, 상기 격판(16)의 양면에는 후술하는 제 1, 2샤프트(32, 52)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캠(36, 56)들이 맞물리기 위한 고정캠(18, 20)들이 각각 일체 형성된다. 상기 격판(16)과 고정캠(18, 20)들의 중앙으로는 제 1힌지수단(30)을 구성하는 제 1샤프트(32)가 관통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시켜 구성한다.
상기 제 1힌지수단(30)은 변좌대(110)를 보호하는 변좌대 커버(120)를 회전 동작시키는 수단으로서, 제 1샤프트(32)와 제 1압축스프링(40) 그리고 제 1토션스프링(4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 1샤프트(32)는 하우징(10)의 격판(16) 및 고정캠(18, 20) 그리고 제 2캡(14)을 차례로 관통한 상태에서 변좌대 커버(120)의 일측에 결합 구성하여 상기 변좌대 커버(120)의 개폐 동작시 정, 역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샤프트(32)의 끝단에는 플랜지(34)가 일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34)의 일면에는 캠(36)이 일체 형성된다. 상기 캠(36)은 전술한 하우징(10)의 격판(16) 양면중 어느 한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캠(18)과 동일한 굴곡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되어 상기 고정캠(18)과 서로 맞물리도록 접촉 구성하게 된다. 상기 캠(36)은 제 1샤프트(32)의 회전 동작시, 상기 고정캠(19)의 굴곡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로 어긋나 상태에서 밀려나며 제 1샤프트(32)를 우측방향(도 3참조) 으로 수평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캠(36)이 형성된 플랜지(34)의 일측 외곽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턱(38a, 38b)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38a, 38b)들로는 제 1토션스프링(42)의 일단(42a)이 각각 걸려지며 비틀림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 1압축스프링(40)은 제 1샤프트(32)의 플랜지(34)와 하우징(10)의 제 1캡(12)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 1압축스프링(40)은 캠(36)의 밀림 동작에 따라 제 1샤프트(32)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력적으로 수축하며 압축력을 발생시켜 제 1샤프트(32)의 회전 속도를 늦춰주도록 한다. 상기 제 1압축스프링(40)의 압축력을 통해 변좌대 커버(120)의 폐쇄 동작시, 상기 변좌대 커버(120)가 천천히 닫혀질 수 있도록 제 1샤프트(32)의 회전속도를 늦춰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토션스프링(42)은 상기 제 1샤프트(32)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42a)은 제 1샤프트(32)의 플랜지(3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38a, 38b)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타단(42b)은 전술한 하우징(10)의 격벽(16)에 형성되어 있는 홈(미 도시 함)에 끼워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 1토션스프링(42)은 제 1샤프트(32)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 동작할 때, 비틀림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1샤프트(32)의 초기 회전 동작시에는 제 1토션스프링(42)의 일단(42a)은 제 1샤프트(32)의 걸림턱(38a, 38b)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걸림턱(38a, 38b)에도 걸려지지 않음으로서 비틀림력을 발생시키지 않는 반면, 제 1샤프트(32)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 동작 하면 상기 제 1토션스프링(42)의 일단(42a)이 제 1샤프트(32)의 걸림턱(38a, 38b)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38a)에 걸려지며 제 1토션스프링(42)을 비틀어주게 됨으로서, 제 1토션스프링(42)의 비틀림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토션스프링(42)의 비틀림력은 제 1압축스프링(40)과 같이 변좌대 커버(120)를 천천히 닫혀질 수 있도록 제 1샤프트(32)의 회전속도를 늦춰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압축스프링(40)은 변좌대 커버(120)의 초기 폐쇄동작시에 압축력을 발생시켜 제 1샤프트(32)의 회전속도를 늦춰주게 되며, 상기 제 1토션스프링(42)은 변좌대 커버(120)의 폐쇄동작이 일정구간 이상 진행된 상태에서 비틀림력을 발생시켜 제 1샤프트(32)의 회전속도를 늦춰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힌지수단(50)은 변좌대 커버(120)에 덮혀져 있는 변좌대(110)를 회전 동작시키는 수단으로서, 제 2샤프트(52)와 제 2압축스프링(60) 그리고 제 2토션스프링(6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 2샤프트(52)는 전술한 제 1힌지수단의 샤프트 외경에 끼워진 상태에서 변좌대(110)에 결합 구성되어 상기 변좌대(110)의 개폐 동작시 정, 역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2샤프트(52)의 끝단에는 플랜지(54)가 일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54)의 타면에는 캠(56)이 일체 형성된다. 상기 캠(56)은 전술한 하우징(10)의 격판(16) 양면중 어느 한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캠(20)과 동일한 굴곡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되어 상기 고정캠(20)과 서로 맞물리도록 접촉 구성하게 된다. 상기 캠(56)은 제 2샤프트(52)의 회전 동작시, 상기 고정캠(20)의 굴곡면을 따라 이동하 는 과정에서 서로 어긋난 상태에서 밀려나며 제 2샤프트(52)를 좌측방향(도 6참조)으로 수평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캠(56)이 형성된 플랜지(54)의 외곽면에는 복수개의 걸림턱(58a, 58b)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58a, 58b)들로는 제 2토션스프링(62)의 일단(62a)이 각각 걸려지며 비틀림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 2압축스프링(60)은 제 2샤프트(52)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측은 상기 제 2샤프트(52)의 플랜지(54)에 접촉되고, 타측은 하우징(10)의 제 2캡(16)에 접촉되도록 조립 구성한다. 상기 제 2압축스프링(60)은 캠(56)의 밀림 동작에 따라 제 2샤프트(52)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탄력적으로 수축하며 압축력을 발생시켜 제 2샤프트(52)의 회전 속도를 늦춰 변좌대(110)를 서서히 폐쇄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제 2토션스프링(62)은 상기 제 2샤프트(52)의 플랜지(54)에 형성되어있는 캠(56)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단(62a)은 상기 제 2샤프트(52)의 플랜지(5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58a, 58b)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타단(62b)은 전술한 하우징(10)의 격판(16)에 형성되어 있는 홈(미 도시 함)에 끼워지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 2토션스프링(62)은 제 2샤프트(52)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 동작할 때, 비틀림력을 발생시켜 변좌대(120)가 천천히 닫혀질 수 있도록 제 2샤프트(52)의 회전속도를 늦춰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2샤프트(52)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 동작하면 상기 제 2토션스프링(62)의 일단(62a)이 제 2샤프트(52)의 걸 림턱(58a, 58b)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58a)에 걸려지며 제 2토션스프링(62)을 비틀어주게 됨으로서, 제 2토션스프링(62)의 비틀림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토션스프링(62)의 비틀림력은 제 2압축스프링(60)과 같이 변좌대(110)를 천천히 닫혀질 수 있도록 제 2샤프트(52)의 회전속도를 늦춰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압축스프링(60)은 변좌대(110)의 초기 폐쇄동작시에 압축력을 발생시켜 제 2샤프트(52)의 회전속도를 늦춰주게 되며, 상기 제 2토션스프링(62)은 변좌대(110)의 폐쇄동작이 일정구간 이상 진행된 상태에서 비틀림력을 발생시켜 제 2샤프트(52)의 회전속도를 늦춰주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힌지장치를 이용하여 비데기를 구성하는 변좌대 및 변좌대 커버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통상 비데기의 개방은 변좌대 커버(120)를 먼저 개방시킨 다음, 변좌대(110)를 개방시키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반대로 비데기의 폐쇄는 변좌대(110)를 먼저 폐쇄시킨 다음, 변좌대 커버(120)를 폐쇄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바, 하기에서는 비데기의 폐쇄동작에 대해 대표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3은 비데기를 폐쇄하기 위해 변좌대의 초기 폐쇄동작 구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대(110)가 폐쇄동작을 시작하면 제 2힌지수단(50)인 제 2샤프트(52)가 회전 동작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 2샤프트(52)의 플랜지(54)에 형성되어 있는 캠(56)은 하우징(10)의 격판(16)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캠(20)에 접촉된 상태에서 밀려나며 상기 제 2샤프트(52)를 좌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며, 상 기 제 2압축스프링(60)은 제 2샤프트(52)의 이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수축하며 압축력을 발생시켜 제 2샤프트(52)의 회전 속도를 늦춰 변좌대(110)를 서서히 폐쇄 동작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4는 변좌대의 폐쇄동작이 진행되는 구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대(110)의 폐쇄동작이 진행되면 자중에 의해 변좌대(110)가 점차적으로 빠른 속도로 닫혀지게 되는 데, 이때에는 제 2샤프트(52)의 캠(56) 외경에 끼워져 있는 제 2토션스프링(62)의 비틀림력이 발생하여 제 2압축스프링(60)과 함께 제 2샤프트(52)의 회전속도를 늦춰 변좌대(110)를 서서히 폐쇄 동작시키게 된다. 즉, 변좌대(110)의 폐쇄동작이 진행되면 이에 맞추어 제 2샤프트(52)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는 데, 이때 제 2샤프트(52)의 걸림턱(58a, 58b)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 2토션스프링(62)의 일단(62a)이 도 5에서와 같이 제 2샤프트(52)의 회전에 따라 어느 하나의 걸림턱(58a, 58b)에 걸려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제 2샤프트(52)의 계속적인 회전으로 인해 제 2토션스프링(62)은 비틀림력을 발생시켜 제 2샤프트(52)의 회전속도를 늦춰주게 됨으로서 변좌대(110)를 서서히 폐쇄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 6은 변좌대(110)를 보호하는 변좌대 커버(120)의 초기 폐쇄동작 구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대 커버(120)가 폐쇄동작을 시작하면 제 1힌지수단(30)인 제 1샤프트(32)가 회전 동작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 1샤프트(32)의 플랜지(34)에 형성되어 있는 캠(36)은 하우징(10)의 격판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캠(18)에 접촉된 상태에서 밀려나며 제 1샤프트(32)를 우측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압축스프링(40)은 탄력적으로 수축하며 압축력을 발생시켜 제 1샤프트(32)의 회전 속도를 늦춰 변좌대 커버(120)를 서서히 폐쇄 동작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7은 변좌대 커버의 폐쇄동작이 진행되는 구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대 커버(120)의 폐쇄동작이 진행되면 자중에 의해 변좌대 커버(120)가 점차적으로 빠른 속도로 닫혀지게 되는 데, 이때에는 제 1샤프트(32)의 외경에 끼워져 있는 제 1토션스프링(42)의 비틀림력이 발생하여 제 1압축스프링(40)과 함께 제 1샤프트(32)의 회전속도를 늦춰 변좌대 커버(120)를 서서히 폐쇄 동작시키게 된다. 즉, 변좌대 커버(120)의 폐쇄동작이 진행되면 이에 맞추어 제 1샤프트(32)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는 데, 이때 제 1샤프트(32)의 걸림턱(38a, 38b)들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 1토션스프링(42)의 일단(42a)이 도 8에서와 같이 제 1샤프트(32)의 회전에 따라 어느 하나의 걸림턱(38a)에 걸려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제 1샤프트(32)의 계속적인 회전으로 인해 제 1토션스프링(42)은 비틀림력을 발생시켜 제 2샤프트(32)의 회전속도를 늦춰주게 됨으로서 변좌대 커버(120)를 서서히 폐쇄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비데기용 힌지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비데기용 힌지장치의 조립단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변좌대의 초기 폐쇄동작 구간에서의 힌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변좌대의 폐쇄동작 진행구간에서의 힌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제 2토션스프링의 일단이 제 2샤프트의 걸림턱에 걸려진 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변좌대 커버의 초기 폐쇄동작 구간에서의 힌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변좌대 커버의 폐쇄동작 진행구간에서의 힌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제 1토션스프링의 일단이 제 1샤프트의 걸림턱에 걸려진 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6: 격판
18, 20: 고정캠 32: 제 1샤프트
34: 플랜지 36: 캠
40: 제 1압축스프링 42: 제 1토션스프링
52: 제 2샤프트 54: 플랜지
56: 캠 60: 제 2압축스프링
62: 제 2토션스프링 110: 변좌대
120: 변좌대 커버

Claims (1)

  1. 비데기를 구성하는 변좌대(110) 및 변좌대 커버(120)를 회전 동작시키는 비데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비데 본체에 고정 설치되며 양단부에는 제 1, 2캡(12, 14)이 체결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며 양면에는 고정캠(18, 20)이 각각 굴곡지게 형성된 격판(16)과;
    상기 고정캠(18, 20) 및 격판(16) 그리고 상기 제 2캡(14)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변좌대 커버(120)에 결합되어, 상기 변좌대 커버(120)의 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 동작하는 제 1샤프트(32)와;
    상기 제 1샤프트(32)의 끝단에 형성되는 플랜지(34)와;
    상기 플랜지(34)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격판(16) 어느 한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캠(18)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 1샤프트(32)의 회전 동작에 따라 밀려나며 상기 제 1샤프트(32)를 우측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캠(36)과;
    상기 플랜지(34)와 제 1캡(12)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제 1샤프트(32)의 우측방향 이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수축하며 압축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1샤프트(32)의 회전속도를 늦춰주는 제 1압축스프링(40)과;
    상기 제 1샤프트(32)의 외경에 끼워지며 일단(42a)은 제 1샤프트(32)의 플랜지(3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38a, 38b)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타단(42b)은 전술한 하우징(10)의 격벽(16)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 1샤프트(32)의 회전 동작에 따라 비틀림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1압축스프링(40)과 함께 상기 제 1샤프트(32)의 회전속도를 늦춰주는 제 1토션스프링(42)과;
    상기 제 1샤프트(32)의 외경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변좌대(110)에 결합되어, 상기 변좌대(110)의 개폐 동작에 따라 회전 동작하는 제 2샤프트(52)와;
    상기 제 2샤프트(52)의 끝단에 형성되는 플랜지(54)와;
    상기 플랜지(54)의 타면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격판(16) 어느 한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캠(20)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 2샤프트(52)의 회전 동작에 따라 밀려나며 상기 제 2샤프트(52)를 좌측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캠(56)과;
    상기 플랜지(54)와 제 2캡(14)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제 2샤프트(52)의 좌측방향 이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수축하며 압축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2샤프트(52)의 회전속도를 늦춰주는 제 2압축스프링(60) 및 ;
    상기 제 2샤프트(52)의 플랜지(54)에 형성되어있는 캠(56)의 외경에 끼워지며 일단(62a)은 상기 제 2샤프트(52)의 플랜지(5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58a, 58b)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타단(62b)은 전술한 하우징(10)의 격판(16)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끼워지며 상기 제 2샤프트(52)의 회전 동작에 따라 비틀림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 2압축스프링(60)과 함께 상기 제 2샤프트(52)의 회전속도를 늦춰주는 제 2토션스프링(62)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힌지장치.
KR1020080114000A 2008-11-17 2008-11-17 비데용 힌지장치 KR101104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00A KR101104641B1 (ko) 2008-11-17 2008-11-17 비데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4000A KR101104641B1 (ko) 2008-11-17 2008-11-17 비데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078A KR20100055078A (ko) 2010-05-26
KR101104641B1 true KR101104641B1 (ko) 2012-01-12

Family

ID=4227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000A KR101104641B1 (ko) 2008-11-17 2008-11-17 비데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953B1 (ko) * 2018-06-08 2021-03-31 정태영 댐핑 기능이 있는 관람용 폴딩 의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759A (ko) * 2000-10-05 2003-08-02 케나메탈 아이엔씨. 충격 드릴 비트용 절삭 인서트
KR20030067657A (ko) * 2000-07-14 2003-08-14 지벡스 코포레이션 완전히 분리된 마이크로콤포넌트들을 속박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0364759Y1 (ko) 2004-07-13 2004-10-16 (주)힌지코리아 비데용 힌지 장치
KR200367657Y1 (ko) 2004-08-04 2004-11-10 (주)힌지코리아 힌지 장치
KR100635449B1 (ko) 2005-05-10 2006-10-17 채권병 비데용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657A (ko) * 2000-07-14 2003-08-14 지벡스 코포레이션 완전히 분리된 마이크로콤포넌트들을 속박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030064759A (ko) * 2000-10-05 2003-08-02 케나메탈 아이엔씨. 충격 드릴 비트용 절삭 인서트
KR200364759Y1 (ko) 2004-07-13 2004-10-16 (주)힌지코리아 비데용 힌지 장치
KR200367657Y1 (ko) 2004-08-04 2004-11-10 (주)힌지코리아 힌지 장치
KR100635449B1 (ko) 2005-05-10 2006-10-17 채권병 비데용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078A (ko)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7247B2 (ja) 減衰装置を有する家具用ヒンジ
JP6412885B2 (ja) 緩衝機能を有するマルチリンクヒンジ
JP6592508B2 (ja) ヒンジ
JP6815018B2 (ja) 摺動ドアのためのガイドデバイス
JP6709790B2 (ja) 家具用減速ヒンジ
KR20160058082A (ko) 가구의 감속 힌지
JPWO2005095742A1 (ja) ダンパー付きヒンジ
JP2021528582A (ja) 家具用減速ヒンジ
KR101417664B1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 장치
KR101104641B1 (ko) 비데용 힌지장치
WO2003106860A1 (ja) 回転ダンパ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8057259A (ja) 戸閉具及び引戸の戸閉装置
RU2762657C2 (ru) Демпфирующий узел и фурнитура створки
WO2010082028A1 (en) Damped hinge assemblies
KR101545436B1 (ko) 프리 스톱 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 클로저
KR20100025783A (ko) 오토 힌지 겸용 플로어 힌지
EP1992770B1 (en) Door handle for a refrigerator
TR201815117T4 (tr) Ev aleti̇.
KR20140105164A (ko) 욕실용 도어 힌지
CN101906919B (zh) 一种用于淋浴房的缓冲式转轴门
JP6891573B2 (ja) 引戸障子用ブレーキ装置
KR100449588B1 (ko)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동력전달구조
JP5426466B2 (ja) 戸当り
CN201810127U (zh) 一种用于淋浴房的缓冲式转轴门
JP7466180B2 (ja) 回転往復作動装置、ストッパ操作装置、ストッパ、及びストッパ付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