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112B1 -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 - Google Patents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112B1
KR100634112B1 KR1020040020573A KR20040020573A KR100634112B1 KR 100634112 B1 KR100634112 B1 KR 100634112B1 KR 1020040020573 A KR1020040020573 A KR 1020040020573A KR 20040020573 A KR20040020573 A KR 20040020573A KR 100634112 B1 KR100634112 B1 KR 100634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upply
receiving device
moun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5279A (ko
Inventor
서종대
서호진
Original Assignee
서종대
서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대, 서호진 filed Critical 서종대
Priority to KR102004002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11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시공시 배관되는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내 피트(pit)의 벽체와, 슬래브상부에 채움부와, 천정공간 중 어느 하나의 매립부를 통해 건물의 발코니와, 다용도실과, 창고와, 주방과, 욕실 및 보일러실 중 어느 한곳의 실내공간으로 배관되는 급수 유입관과; 급수 유입관의 관로에 결합되며 급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지변과, 역지변과 연이어 결합되는 수용기기 장착관과, 장착관을 결합 및 해체하는 커플링으로 구성되는 수용기기장착부와; 실내공간에서 장착관과 연이어 결합되어 매립부를 통해 급수사용부로 배관되는 급수 유출관으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 시공시 통상 매립부를 통해 배관되는 냉수 및 온수의 급수 유입관을 수용기기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으로 경유시키어 수용기기장착부를 구성하고 연이어 급수 유출관을 매립부를 통해 급수사용부로 배관함으로서, 시공후에 필요조건에 따라 급수관로에 증설되는 수용기기를 별도의 급수관로 증설 공사없이 실내공간에 마련된 수용기기장착부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수용기기를 통한 급수가 유입관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용기기의 설치에 따른 배관 및 건축복구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다.
Figure 112006033485991-pat00007
유입관, 유출관, 수용기기, 급수사용부, 역지변, 커플링

Description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piping method for water equipment instal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의 계략적인 계통도,
도 2는 도 1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계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계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의 계략적인 계통도,
도 5는 도 4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계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의 계략적인 계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수유입관 1a : 냉수유출관
2 : 온수유입관 2a : 온수유출관
4 : 냉수공급주관 5 : 온수공급주관
3 : 온수리턴관 7 : 실내공간
10, 10a, 10b : 수용기기장착부 20, 20a, 20b : 냉수용장착부
21, 31 :역지변 22, 32 : 연결관
22a, 32a : 장착관 23, 23a, 26, 33, 33a, 36 : 개폐밸브
24, 34 : 커플링 25, 35 : 바이패스관
30, 30a, 30b : 온수용장착부 36 : 냉수공급관
38 : 3-방 자동밸브 40 : 냉수용 수용기기
40a : 필터 50 : 온수용 수용기기
50a : 응축열교환기 52 : 열원공급관
53 : 열원리턴관 60 : 급수사용부
70 : 계량기함 80 : 바닥부
81 : 슬리브 90, 90a : 매립부
91 : 슬래브 100 : 단독온수공급장치
본 발명은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를 사용하는 건물(오피스텔, 상업용 건물, 단독 및 공동주택 등) 시공시 배관에 적용되며, 건물 시공시 매립부를 통해 배관되는 급수유입관을 수용기기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으로 경유시키어 수용기기장착부를 구성하고, 연이어 급수 유출관을 매립부를 통해 급수사용부로 배관함으로서, 시공후에 필요조건에 따라 급수관로에 증설되는 수용기기를 별도의 급수관로 증설공사없이 수용기기장착부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수용기기를 통한 급수가 유입관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용기기의 설치에 따른 배관 및 건축복구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는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건위생 문화의 질적향상으로 수돗물의 수질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고 있고, 건물내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활용하려는 에너지절약 대책이 강구되면서 급수의 관로상에 필터, 응축열교환기 등의 수용기기를 장착하는 필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외부의 수도관으로부터 냉수(수돗물)가 공급되고, 온수는 외부의 중앙공급식 열원설비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거나 건물내 단독온수공급장치(보일러 및 전기히터 등)를 통해 온수를 직접 생산하여 사용한다.
통상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다층 오피스텔 등 업무용 건물에서는 실내의 미관을 유지하기위하여 급수공급주관은 피트(pit)내에 설치하고 급수공급주관으로 부터 분기(branch)한 급수 유입관은 단위세대 또는 단위실의 급수사용부까지 천정 또는 바닥을 매립부로하여 매립 배관을 함으로서 실내에서는 배관이 노출되는 경우가 거의없다.
따라서 건물시공후 종래의 매립배관에 수용기기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슬래브 (또는 벽체)등 구조체를 관통공구를 통해 뚫거나 바닥을 파헤쳐 매립 배관을 실내공간으로 경유시키어 수용기기를 장착한후 연이어 매립부 배관에 결합하여야 함으로 건축물을 훼손할 수 있고 배관공사가 어려우며, 배관 및 건축복구 공사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시공시 실내공간에 수용기기 장착부를 제공하여 건물 시공후 사용자가 필요 조건에 따라 수용기기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용기기를 통한 급수가 유입관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용기기의 설치에 따른 배관 및 건축복구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는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시공시 배관되는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에 있어서, 건물내 피트(pit)의 벽체와, 슬래브상부에 채움부와, 천정공간 중 어느 하나의 매립부를 통해 건물의 발코니와, 다용도실과, 창고와, 주방과, 욕실 및 보일러실 중 어느 한곳의 실내공간으로 배관되는 급수 유입관과; 상기 급수 유입관의 관로에 결합되며 급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지변과, 상기 역지변과 연이어 결합되는 수용기기 장착관과, 상기 장착관을 결합 및 해체하는 커플링으로 구성되는 수용기기장착부와; 상기 실내공간에서 상기 장착관과 연이어 결합되어 상기 매립부를 통해 급수사용부로 배관되는 급수 유출관으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기기장착 배관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급수관로상에 설치되는 상기 수용기기(equipment for water)는, 필터, 냉방기(또는 냉동기)의 응축열교환기, 하절기에 중앙공급식 열원설비로부터 난방온수가 공급되지 않는 기간에 실내 난방이 필요할 경우 난방온수 급수관로상에 설치하여 일시적으로 난방하는 난방용 온수히터, 수세 온수용 전기히터, 수압이 약해 급수에 장애를 받는 건물에 설치되는 승압펌프 (booster pump), 온수와 냉수의 급수관로상에 연통하여 설치되는 3-방(또는 2-방)자동밸브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이 매립되는 매립부는 피트(pit)와, 바닥(fl oor)하부와 슬래브(slab)상부 사이에 자갈 및 모래 등으로 채워진 채움부와, 슬래브 저부와 천정재 상부 사이의 천정공간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공간은 건물의 발코니, 다용도실, 창고, 주방, 욕실 및 보일러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은, 냉수가 유동하는 냉수유입관 및 냉수유출관과, 수세(水洗) 및 난방 온수가 유동되는 온수유입관과 온수유출관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온수는 중앙공급식 열원설비 및 단독온수공급장치(보일러 및 전기온수 히터)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기기장착부는 냉수용 장착부, 수세온수용 장착부 및 난방온수용 장착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장착관은 건물시공후 수용기기를 장착하기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수용기기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가지며 양단부에 결합구가 형성된 주름관 (flexible tube) 또는 메탈호스(metal hose)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연도강관, 동관 및 스테인리스관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은 배관의 해체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유니온 또는 플랜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기기의 고장과 보수 해체시를 대비하여 상기 장착관에 연결된 연결관과 유출관을 연통하여 바이패스(bypass)관과 개폐밸브롤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유입관에는 급수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유입관으로부터 온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냉수를 온수관로로 유입시키거나, 냉수유입관으로부터 냉수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온수를 냉수관로로 유입시키거나, 운전조건에 따라 온수와 냉수의 혼합을 제어하는 하는 3-방 자동밸브를 온수유입관과 냉수유입관 중 어느 한곳에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3-방 자동밸브의 작동은 응축열교환기의 출구수온(또는 응축냉매온도)을 감온하는 온도조절기(thermostat)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은 바닥 구조체, 슬래브 및 벽체를 관통하여 실내공간에서 수용기기장착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유입관, 연결관 및 유출관의 결합방식은 나사식 또는 용접식 배관으로 적용할 수 있고, 아연도강관, 동관 및 스테인리스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 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실시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의 계략적인 계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계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계략적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은, 필터(40a)와 열교환기((50a)를 장착한 수용기기장착부(10)를 나타낸 것으로서, 계량기함(70)과 매립부(90)와 바닥부(81)의 슬리브(81)를 통해 실내공간(7)으로 배관되는 냉수유입관(1)과; 상기 냉수유입관(1)에 결합되며 급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변(21)과, 상기 역지변(21)과 일측 커프링(24)사이에 연결되는 연결관 (22)과, 상기 일측 커플링(24)에서 타측 커플링(24)사이에 결합되는 장착관(22a)으로 구성되는 냉수용장착부(2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타측 커플링(24)에 결합되어 바닥부(81)의 슬리브(81)와 매립 부(90)를 통해 주방 및 발코니(61), 욕실(62), 타측 발코니(63)의 급수사용부(60)로 배관되는 냉수유출관(1a)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계량기함(70)과 매립부(90)와 바닥부(81)의 슬리브(81)를 통해 실내공간(7)으로 배관되는 온수유입관(2)과; 상기 온수유입관(2)에 결합되며 급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변(31)과, 상기 역지변(31)과 일측 커프링(34)사이에 연결되는 연결관(32)과, 상기 일측 커플링(34)에서 타측 커플링(34)사이에 결합되는 장착관 (32a)으로 구성되는 온수용장착부(3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타측 커플링(34)에 결합되어 바닥부(81)의 슬리브(81)와 매립부 (90)를 통해 주방 및 발코니(61), 욕실(62), 타측 발코니(63)의 급수사용부(60)로 배관되는 온수 유출관(2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온수유출관(2a)의 말단에는 중앙공급식 열원설비(미도시)로 온수를 재순환하는 온수리턴관(3)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건물 시공후 수용기기장착부(10)를 통해 통상의 조건으로 냉수와 온수를 사용할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조건에 따라 필터(40a)와 응축열교환기(50a)를 장착하는 경우로서, 상기 온수 연결관(32)에 3-방 자동밸브(38)를 장착하고 상기 냉수 연결관 (22)에서 분기된 냉수 공급관(37)을 3-방 자동밸브 (38)의 일방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냉수용장착부(20)에 형성된 장착관(22a)에는 필터(40a)를 장착하고 상기 온수용장착부(30)에 형성된 장착관(32a)에는 열원공급관(52) 및 열원리턴관(53)이 결합되며 온수 또는 냉수공급관(37)으로 부터 유입되는 냉수와 열교환하는 응축열교환기(50a)를 장착한다.
이에 의하여, 별도의 급수관로 공사없이 단위세대 및 단위실에 급수하는 냉수 및 온수 유입관(1, 2)에 연결된 장착관(22a, 32a)을 통해 필터(40a)와 응축열교환기(50a)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냉수 및 온수 유입관(22a, 32a)에 구성된 역지변(21, 31)을 통해 외부로 역류없이 여과된 냉수와 열교환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의 계략적인 계통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계략적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은, 냉수용장착부(20a)와 온수용장착부(30a)로 구성되는 수용기기장착부(10a)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냉수용장착부(20a)에 구성된 연결관(22)과 냉수유출관(1a)을 분기하여 개폐밸브(26)와 커플링(24)이 장착된 바이패스관 (25)이 결 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2)과 장착관(22a) 사이에는 냉수용수용기기(40)에 급수를 개폐하는 개폐밸브(23)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온수용장착부(30a)에 구성된 연결관(32)과 온수유출관(2a)을 분기하여 개폐밸브(36)와 커플링(34)이 장착된 바이패스관(35)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32)과 장착관(32a) 사이에는 온수용수용기기(50)에 급수를 개폐하는 개폐밸브(33)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실내에 마련된 단독온수공급장치(100)로부터 온수를 공급받는 온수유입관(2)이 온수용장착부(30a)에 연결되어 있고 냉수용장착부(20a)를 통한 냉수 유출관(1a)이 단독온수공급장치(10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건물 시공후 수용기기장착부(10a)를 통해 통상의 조건으로 냉수와 온수를 사용할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조건에 따라 냉수용수용기기 (40)와 온수용수용기기(50)를 장착할 경우, 냉수용 장착관(22a)에는 냉수용수용기기(40)를 장착하고 온수용 장착관(32a)에는 온수용수용기기(50)를 장착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별도의 급수관로 공사없이 단위세대 및 단위실에 급수하는 냉수 및 온수유입관(1, 2)에 연결된 장착관(22a, 32a)을 통해 냉수용수용기기(40) 및 온수용수용기기(50)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냉수 및 온수유입관(22a, 32a)에 구성된 역지변(21, 31)을 통해 외부로 역류없이 냉수와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의 계략적인 계통도이다. 도면에 도시한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은, 냉수용장착부(20b)와 온수용장착부(30b)로 구성되는 수용기기장착부(10b)를 나타낸 것으로서, 피트(90a)내에는 냉수공급주관(4)과 온수공급주관(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공급주관(4)에서 분기되며 단위세대(또는 단위실)에 냉수공급을 개폐하는 개폐밸브(23a)가 구성된 냉수유입관(1)이 피트(90a) 벽체를 관통하여 실내공간(7)에 냉수용장착부(20b)에 연결되고 냉수용장착부(20b) 통한 냉수유출관(1a)은 바닥부(81)와 매립부(90)를 통해 급수사용부(미도시)로 배관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온수공급주관(5)에서 분기되며 단위세대(또는 단위실)에 온수공급을 개폐하는 개폐밸브(33a)가 구성된 온수유입관(2)이 피트(90a) 벽체를 관통하여 실내공간(7)에 온수용장착부(30b)에 연결되고 온수용장착부(30b) 통한 온수유출관(2a)은 바닥부(81)와 매립부(90)를 통해 급수사용부(미도시)로 배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건물 시공후 수용기기장착부(10b)를 통해 통상의 조건으로 냉수와 온수를 사용할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조건에 따라 냉수용수용기 (40)와 온수용수용기기(50)를 장착할 경우, 냉수용 장착관(22a)에는 냉수용수용기기(40)를 장착하고 온수용 장착관(32a)에는 온수용수용기기(50)를 장착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별도의 급수관로 공사없이 단위세대 및 단위실에 급수하는 냉수 및 온수 유입관(1, 2)에 연결된 장착관(22a, 32a)을 통해 냉수용수용기기(40) 및 온수용수용기기(50)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냉수 및 온수 유입관(22a, 32a)에 구성된 역지변(21, 31)을 통해 외부로 역류없이 냉수와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급수 유입관 후단에 역지변을 구성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실내공간에서 이격된 급수 유입관 전단 또는 관로상에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냉수용장착부와 온수용장착부를 병설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냉수용장착부와 온수용장착부 중 어느 하나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3-방 자동밸브를 온수관로에 구성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온수관로가 아닌 냉수관로에도 구성할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온수관로에 3-방 자동밸브를 장착하고 냉수관로에서 분기된 냉수 공급관을 3-방 자동밸브의 일방에 결합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온수관로에 하나의 2-방 자동밸브를 장착하고 냉수관로에서 분기된 냉수공급관에 다른 하나의 2-방 자동밸브를 장착하여 3-방 자동밸브를 대체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에 의하면, 건물 시공시 매립부를 통해 배관되는 급수 유입관을 수용기기가 설치되는 실내공간으로 경유시키어 수용기기장착부를 구성하고, 연이어 급수 유출관을 매립부를 통해 급수사용부로 배관함으로서, 시공후에 필요조건에 따라 급수관로에 증설되는 수용기기를 별도의 급수관로 증설공사없이 수용기기장착부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수용기기를 통한 급수가 유입관을 통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용기기의 설치에 따른 배관 및 건축복구 공사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건물 시공시 배관되는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에 있어서,
    건물내 피트(pit)의 벽체와, 슬래브상부에 채움부와, 천정공간 중 어느 하나의 매립부를 통해 건물의 발코니와, 다용도실과, 창고와, 주방과, 욕실 및 보일러실 중 어느 한곳의 실내공간으로 배관되는 급수 유입관과;
    상기 급수 유입관의 관로에 결합되며 급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역지변과, 상기 역지변과 연이어 결합되는 수용기기 장착관과, 상기 장착관을 결합 및 해체하는 커플링으로 구성되는 수용기기장착부와;
    상기 실내공간에서 상기 장착관과 연이어 결합되어 상기 매립부를 통해 급수사용부로 배관되는 급수 유출관으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에는 개폐밸브가 구성된 바이패스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에는 3-방 자동밸브와, 2-방 자동밸브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관은, 양단부에 결합구가 형성된 주름관과 메탈호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입관과 급수 유출관은, 냉수를 급수하는 유입관 및 유출관과 온수를 급수하는 유입관 및 유출관으로 구성되는 것과, 냉수를 급수하는 유입관 및 유출관 만으로 구성되는 것과, 온수를 급수하는 유입관 및 유출관 만으로 구성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
KR1020040020573A 2004-03-26 2004-03-26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 KR100634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573A KR100634112B1 (ko) 2004-03-26 2004-03-26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573A KR100634112B1 (ko) 2004-03-26 2004-03-26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279A KR20050095279A (ko) 2005-09-29
KR100634112B1 true KR100634112B1 (ko) 2006-10-16

Family

ID=3727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573A KR100634112B1 (ko) 2004-03-26 2004-03-26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112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21121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279A (ko)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761B1 (ko) 냉온수배관 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0695219B1 (ko) 냉온수 배관시스템
KR100634112B1 (ko) 수용기기장착 배관방법
KR20060120544A (ko) 1개의 공급관을 이용한 냉온수 배관시스템
JPH0735662B2 (ja) 住戸内給水・給湯用配管および工法
KR100679605B1 (ko) 배관의 동파방지 및 급속온수공급시스템
JP2002054204A (ja) 給湯器のドレイン配管の接続方法及びチーズ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CN217520067U (zh) 一种多层建筑物的上加热供水管路
CN217519948U (zh) 一种多层建筑物的下加热供水管路及系统
CN218119882U (zh) 一种多层建筑物的上加热供水系统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CN113883928B (zh) 一种自力式冷热水循环利用的生活节水装置
CN203823869U (zh) 住宅可选热源分户计量采暖系统
JPH0618088A (ja) 家庭用温排水の熱回収装置及び家庭用給湯装置
Alama et al. Design of Mechanical Systems for a Sham Hotel building in Tulkarm city
RU2188359C1 (ru) Квартирная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я
CN217520066U (zh) 一种多层建筑物的下加热热水管路及系统
KR200431836Y1 (ko) 냉온수 배관시스템
Shakhtour Design of Mechanical Systems for a Cultural Center in Hebron
Tomeiza et al. Design of Mechanical Systems for Residential Building in Hebron
CN100432577C (zh) 组合式水源热泵中央空调
Ugwuoke et al. MECHANICAL SERVICES DESIGN OF AN ESTATE WITH A SINGLE OVERHEAD WATER SUPPLY
JP2002070093A (ja) 給水・排水・給湯一体型配管工法
Hasona Design of Mechanical Systems for Hotel building in Hebron 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