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992B1 -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 형 마스크 팩 - Google Patents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 형 마스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992B1
KR100633992B1 KR1020050084928A KR20050084928A KR100633992B1 KR 100633992 B1 KR100633992 B1 KR 100633992B1 KR 1020050084928 A KR1020050084928 A KR 1020050084928A KR 20050084928 A KR20050084928 A KR 20050084928A KR 100633992 B1 KR100633992 B1 KR 100633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ask pack
reactive
powder type
ge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김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완 filed Critical 김태완
Priority to KR102005008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3Alginic acid;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청정제(pack제)로서 직접 또는 매개체를 사용하여 피부 부착 후 피막을 형성하지 않고 닦아내거나 씻어내는 방법으로 제거함에 따라 번거로우며 떼어 낸다 하더라도 얼굴이나 피부에 팩의 찌꺼기가 남아 있게 되어 한번에 제거하기 어려우며 건조된 내용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 종래의 워시 오프 타입(Wash-Off Type) 마스크 팩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피부에 도포 후 건조된 피막을 한번에 벗겨서 제거할 수 있어서 간편하며 별도의 매개체가 필요 없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적당한 탄성과 점성을 동시에 가지는 필 오프 타입(Peel-off type)의 분말 형 마스크 팩으로서, 수용성 고분자로 된 증점 안정제로서 해조로부터 추출한 알긴산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고 충전제로 규조토와 백설탕을, 겔화 반응 제로 황산칼슘과 산화 아연(아연화)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팩 조성물을 제공하므로서 간편한 도포와 피막의 제거에 의한 사용자 편의성에 영양성분과 수분, 천연 미네랄의 공급에 따른 기능성이 복합적으로 상승 작용하여 피부에 보습성과 유연성, 탄력성을 효과적으로 부여하는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 형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반응성 겔화 법, 분말 형 마스크 팩, 알긴산, 필 오프 타입(Peel-off type), 겔 막 박리, 해조 추출 다당류, 규조토

Description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 형 마스크 팩{Powder type aesthetic mask pack composition using reactive gellation}
본 발명은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 형 마스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피부 청정제(pack제)로서 직접 또는 매개체를 사용하여 피부 부착후 피막을 형성하지 않고 닦아내거나 씻어내는 방법으로 제거함에 따라 번거로우며 떼어 낸다 하더라도 얼굴이나 피부에 팩의 찌꺼기가 남아 있게 되어 한번에 제거하기 어려우며 건조된 내용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 종래의 워시 오프 타입(Wash-Off Type) 마스크 팩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피부에 도포 후 건조된 피막을 한번에 벗겨서 제거할 수 있어서 간편하며 별도의 매개체가 필요 없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적당한 탄성과 점성을 동시에 가지는 필 오프 타입(Peel-off type)의 분말형 마스크 팩으로서, 수용성 고분자로 된 증점 안정제로서 미네랄, 비타민, 식이섬유 등 천연의 영양성분이 풍부한 해조로부터 추출한 알긴산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고 충전제로 규조토와 백설탕을, 겔화 반응 제로 황산칼슘과 산화 아연(아연화)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팩 조성물을 제공하므로서 간편한 도포와 피막의 제거에 의한 사용자 편의성에 영양성분과 수분, 천연 미네랄의 공급에 따른 기능성이 복합적으로 상승 작용하여 피부에 보습성과 유연성, 탄력성을 효과적으로 부여하는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 형 마스크 팩에 관한 것이다.
종래 땀과 피지 등의 피부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자주 닦거나 씻어 주는 방법 또는 표피와 진피로 구분되는 인체 피부의 피부 노화 과정 중에 표피(각질층)에 나타나게 되는 각질세포와 땀과 피지, 먼지 등의 노폐물 및 오염물의 축적에 의한 각질층의 대사활동 저해요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피부청정제(팩 류)나 청결제(세안료)를 이용하여 노화된 각질과 노폐물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피부를 관리하고 있다.
그 중 자주 닦거나 씻어 주는 방법은 수분 손실로 인하여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청결제(세안료)를 이용하여 세안하는 방법은 각질 형성을 예방하는 효과는 있으나 기 형성된 각질을 제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서, 팩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피부 분비물을 흡수 제거하고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래 전부터 이용되어진 화장품의 하나로서 팩(피부 청정제)은 피부 표면에 도포하여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보습효과를 부여하고 노화된 각질의 제거, 모공이나 땀샘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등 혈액순환촉진, 영양공급, 탄력부여, 청정작용, 피로회복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성상과 사용방법에 따라 Peel-Off Type. Wash-Off Type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사용성, 기능성, 효과를 갖춘 팩 제품이 경쟁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 워시 오프 타입(Wash-Off Type) 마스크 팩은 직접 또는 매개체를 사용하여 피막을 형성하지 않는 방법으로 피부 부착후 일정 시간 경과후 닦아내거나 씻어 냄으로서 피부에 영양과 보습성, 유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제거하기가 번거로우며 떼어 낸다 하더라도 얼굴이나 피부에 팩의 찌꺼기가 남아 있게 되어 한번에 제거하기 어려우며 건조된 내용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며 피부에 긴장감을 부여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일반적인 필 오프 타입(Peel-off type)의 팩은 수용성 고분자 물질에 의해 물이 증발하면서 고분자가 필름을 형성하여 피부에 강한 긴장감을 부여하고 산뜻한 장점이 있으나 보습효과나 영양효과가 약하며 물로 씻어 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단순한 진흙 팩 역시 수분의 건조에 의해 긴장감이 있으나 일반 워시 오프 타입(Wash-Off Type) 마스크 팩에 비하여 보습과 영양 공급 효과가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보령산 머드나 황토, 맥반석 등 특정 원료 성분의 특성을 활용하여 특정 원료를 분말화하고 그 분말과 용매(정제수)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고안된 Wash-Off Type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고, 이런 제품들은 특정 원료 유효 활성 성분을 이용하여 피부청정제(팩 류)의 고유 기능인 노화된 각질과 노폐물 및 오염 물질 제거 기능과 특정성분이 갖고 있는 독성제거효과. 미네랄 공급. 피부진정 효과 등의 효능을 충분히 구현시켜 상용화되고 있으나, 사용후 내용물 제거시에 나타나는 건조된 내용물이 의류(옷. 침구 등)나 용기(세숫대야, 세면기 등) 및 바닥(영업장, 거실. 욕조 등)에 떨어져서 주변을 오염시키는 등 사용상의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Peel-Off Type이나 Wash-Off Type의 마스크 팩(피부 청정제)이 가지는 장점을 살리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팩제의 천연 유효활성성분이 가지는 영양분과 수분의 공급에 따른 보습기능과 피부 유연성 부여, 피부 탄성 부여 등의 기능성에 부가하여 물과 반응하여 탄성과 점성으로 적절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피부 부착력과 탈피력이 우수하여 간편한 도포와 피막의 제거에 의한 사용자 편의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복합 상승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마스크 팩(피부 청정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일반적인 Wash-Off Type의 마스크 팩(피부 청정제)을 지양하고 피부에 탄력성을 주기 좋은 Peel-Off Type의 분말 상 마스크 팩을 형성하되 사용상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고유의 영양 공급 및 보습 기능, 피부 청정 기능을 유지하면서 간편한 피부 도포와 피막의 제거로 사용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된 마스크 팩을 제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겔 상으로 만들어서 얼굴에 바른 후 적당한 시간이 경과 후 간편하게 박리시킬 수 있으며 피부대사에 관여하는 수분과 천연 미네랄을 공급하여 피부대사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반응성 PEEL-OFF TYPE의 팩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를 가교시키는 화학적 방법으로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반응성 겔을 제조하기 위하여 관련된 원료성분을 구성군별로 검토하고, 실험한 결과 최적의 성분 조성비에 의한 제조방법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용성 고분자로 된 증점 안정제로서 미네랄, 비타민, 식이섬유 등 천연의 영양성분이 풍부한 해조로부터 추출한 알길산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고 충전제로 규조토와 백설탕을, 겔화 반응 제로 황산칼슘과 산화 아연(아연화)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팩 조성물을 제조하므로서 수분의 접촉에 따른 겔화 반응으로 간편한 도포와 피막의 제거가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영양성분과 수분, 천연 미네랄의 공급에 따른 피부대사 촉진 기능성이 복합적으로 상승 작용하여 피부에 보습성과 유연성, 탄력성을 효과적으로 부여하는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 형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얼굴 등 피부에 도포하여 생체 친화적이고 점착성과 보습성, 영양성을 부여하여 피부 대사를 촉진시키는 수용성 고분자 하이드로 겔을 형성하기 위하여, 겔화 증점 안정제인 하이드로 콜로이드(hydro-colloid, 수용성 고분자)물질로 해조 추출 다당류인 알긴산과 그의 유도체 1.0~20.0%(중량비), 충전제로 당류인 백설탕 0.0 ~70.0%(중량비), 체질 안료로서 규조토(Diatomaceous Earth) 0.0~70.0%(중량비)에 겔화 반응제로 황산칼슘 5.0~30.0%(중량비). 산화 아연(아연화) 0.0~10.0%(중량비)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형 피부청정제(마스크 팩)이다.
본 발명은 천연의 고분자 물질로서 미네랄 및 비타민. 식이섬유, 다당류 등 유효 활성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해조류로부터 추출한 해조 추출 다당류로서 알긴산에 규조토, 백설탕을 충전제로 사용하고 황산칼슘과 산화 아연을 겔화 반응제로 이용하는 반응성 겔화법에 의하여 흡수성이 좋은 하이드로 겔을 형성할 수 있는 분말형 피부청정제(마스크 팩)를 제공하므로서 피부 부착 후 건조 막 박리에 따른 통증이나 잔재 물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깨끗하게 건조된 피막을 제거함으로서 사용자 편의성이 대폭 향상된 분말상의 피부청정제를 구현함에 특징이 있다.
해조 추출물은 일반적으로 피부를 보호하고 수화(Hydration)하며 부드럽게 가꾸어 주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서, 피부의 단백질과 반응하여 방어 보습 복합체 를 구성함과 동시에 흡습성이 강하여 피부 수화 성분으로 작용하며 증발을 통한 수분 손실 기능을 수행하며 독성이 없고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는 안정된 원료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피막 형성, 점도 유지, 안정성 확보, 보습 기능을 수행하여 겔화 증점제 및 안정제로서 작용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hydro-colloid, 수용성 고분자)상태 물질인 알긴산은 천연의 기능성 영양성분이 풍부한 미역, 다시마 등의 해조류에서 수용성 및 유용성 성분을 추출한 해조 추출 다당류로서 수용액의 존재하에서 겔화 반응 제나 가교제(착염 제)와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하이드로 겔을 형성하므로서 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수용성 고분자로 인하여 피부 흡수성이 좋아지게 되어 유효 활성 성분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며 점성이 좋아 겔의 수분이 증발할 경우에도 부착성과 팽윤성이 우수하며 건조 피막이 물을 함유하는 보습성이 좋아서 피부 부착 사용 후 간편하게 피막 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알길산 자체적으로도 점착성이 있으나, 충전제와 배합하고 겔화 반응시켜 사용하므로서 효능을 복합적으로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겔화 증점제 및 안정제로서 알긴산(alginic acid)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농도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1.0중량% 이하이면 알긴산에 의한 팩 효과가 반감되며 20 중량% 이상이면 부피가 커지고 점도가 너무 높게 되어 겔 강도가 낮게 되므로 서 겔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고분자의 농도를 20 중량%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적당하다.
무기물 충전제로서 체질 안료인 규조토는 미세한 입자로서 덩어리 지지 않는 성질을 가진 피부 부착 성 점토광물로서 제품의 제형을 부드럽고 매끈하게 유지하게 되며 피부 부착 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피부 표면에 부드럽게 작용하여 노화된 각질이나 노폐물을 제거해 줌으로서 피부 세정력과 피부 개선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규조토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70.0 중량% 까지의 농도로 투입하며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충전제로서 당류인 백설탕도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70.0 중량% 까지의 농도로 투입하며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데 피부에 미네랄과 비타민을 공급하여 피부를 윤기 있고 깨끗하게 하며 수분을 유지하는 보습효과와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는 리프팅 효과가 있으며 물과 결합하여 겔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와 반응하여 반응성 겔을 형성하는 겔화 반응제로는 수용성 고분자와 충전제 등과 반응하여 곱게 혼합되는 황산칼슘 5.0~30.0%(중량비)에 산화 아연(아연화) 0.0~10.0%(중량비)을 선택적으로 적용한다.
또한 겔화 증정 안정제와 가교 결합하여 반응성 겔을 형성하기 위한 2가 금속 이온 착염제로서 Magnesium(Mg+2), Calcium(Ca+2). Zinc(Zn+2). Iron(Fe+2)의 산화물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합하게 조정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의 pH 조정제겸 금속 이온 봉쇄제로 인체에 자극성이 미약하고 pH 변화폭이 좁으며 용해도가 높은 메타인산나트륨과 피로인산나트륨을 각각 0.1∼10 %(중량비) 혼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는 이온교환수지로 정제 처리하고 여과 및 멸균처리한 정제수를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성된 본 발명의 마스크 팩 조성물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여 물에 반응하되 용해되지 않으며 피부에 적절한 겔 강도와 유연성을 가지면서 피부 친화적인 반응성 겔을 형성하므로서 피부 부착시 점착성과 흡수성이 좋으며 적절히 팽윤되고 형태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건조된 피막을 분리 시 한꺼번에 간단히 분리되는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 및 시험 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그러나 이들 실시 예 및 비교 시험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자는 착화합물을 형성하여 반응성 겔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 성분으로서 아래와 같은 원료 성분을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검토하였다.
1.원료성분
1-1.겔화 증점 안정제로서 하이드로 콜로이드(hydro-colloid, 수용성고분자/다당체)로 사용할 원료성분 :
해조 추출 다당류(카라기난, 한천, 알긴산). 과실 다당류(펙틴). 종자 다당류(구아 검, 로 카스트빈 검, 타미린드시드 검, 사이리움). 대두 다당류. 발효 다당류(잔탄 검, 카드란, 겔란 검). 동물 단백(젤라틴). 저장성 다당류(글루코만난), 수액 다당류(아라비아 검) 등
1-2 겔화 증점 안정제와 반응성 겔을 형성하기 위한 2가 금속이온 착염 제:
2가 금속 이온 중 신체에 독성을 부여하지 않으며 피부대사에 관여하는 미량금속이온으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Magnesium(Mg+2), Calcium(Ca+2). Zinc(Zn+2). Iron(Fe+2)의 산화물.
1-3.충전제로 사용 가능한 체질안료로 사용할 원료성분 :
규조토(Diatomaceous Earth). 탤크(Talc). 카올린(Caoline). Mica(마이카).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등.
1-4.충전제로 사용 가능한 당류로 사용할 원료성분 :
전분질원료나 당액을 가공하여 얻은 원료성분으로 당류인 설탕 류(백설탕, 갈색 설탕, 흑설탕). 포도당류(액상포도당, 정제포도당, 함수결정포도당, 무수결정포도당). 과당류(액상과당, 결정과당). 올리고당류(프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 당, 말토올리고당, 혼합올리고당)등의 제품군 중에서 분말 형 제품에 사용할 수 있도록 분말 형태의 원료성분.
1-5.겔화 반응제로 사용할 원료성분 :
산화칼슘. 황산칼슘. 산화아연(아연화). 산화마그네슘. 산화철(Fe+2). 황산마그네슘 등.
1-6.pH 조정제 및 금속이온봉쇄제로 사용할 원료성분 :
인체에 자극이 우려되는 무기산보다 자극성이 약한 유기산과 인산염계를 pH 조정제 및 금속이온봉쇄제로 사용하기 위하여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제1인산나트륨. 제2인산나트륨. 제3인산나트륨. 제1인산칼슘. 제2인산칼슘. 제3인산칼슘. 메타인산나트륨. 포리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등
2.원료성분의 선택실험 :
2-1.실험조건설정 :
1)원료성분의 선택조건 :
a.구하기 쉬울 것.
b.가격이 저렴할 것.
c.대량공급 시 품질이 일정할 것.
d.원하는 성능이 잘 발현 될 것.
2)처방구성시의 기본조건 :
a.색이 명료할 것.
b.가격은 저렴하되 기능을 극대화할 것.
c.건조 후 떼어낼 때 함께 떼어낼 수 있을 것.
d.테두리가 건조됐어도 떼어내는 과정에서 잘 떼어질 것.
2-2.처방구성 :
각 원료 군에 대하여 물가정보지를 이용하여 제조원. 공급원. 가격, 포장단위, 공급 기간을 조사하고 관련업체에 실험용 견본을 요청하였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원료군에서 상기 실험 조건을 충족하기에 바람직한 원료를 한정시켜 선택하였다.
1)겔화 증점 안정제인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수용성고분자)물질 : 미네랄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해조 추출 다당류(카라기난. 한천, 알긴산)중에서 결정.
2)충전제로 사용 가능한 체질안료 원료성분 : 용매(정제수)와 혼합 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비교하여 곱게 혼합되는 규조토(Diatomaceous Earth)와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중에서 결정.
3)충전제로 사용 가능한 당류 원료성분 : 용매(정제수)와 혼합 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비교하여 곱게 혼합되는 설탕 류(백설탕, 갈색 설탕, 흑설탕)중에서 결정.
4)겔화 반응 제로 사용할 원료성분 :
용매(정제수)와 혼합 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비교하여 곱게 혼합되는 황산칼슘. 산화 아연(아연화). 산화마그네슘 중에서 결정.
5)pH 조정제 및 금속이온봉쇄제로 사용할 원료성분 :
인체에 자극성이 미약하고 pH 변화폭이 좁은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포리인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중에서 결정.
3.실험처방을 작성하기 위한 준비조작 :
각 원료성분의 물리적, 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사용 가능한 함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3-1) 겔화 증점 안정제 선택
겔화 증점 안정제인 하이드로콜로이드(hydro-colloid, 수용성고분자)물질로 미네랄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해조 추출 다당류 중 카라기난, 한천, 알긴산에 대하여 용매(정제수)에 용해하였을 때의 콜로이드의 상태(점도. 탄력성. 냄새. 색상. 미생물오염. 보습력. 끈적임, 분산상태 등)를 비교하고 적당한 함량을 선택하고자 함량 비교실험을 하였다.
* 실험방법 : 용매를 정제수로하고 원료 각각에 대하여 1. 2. 3. 5. 7. 10. %로 분산 시킨 다음 각 평가 항목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5511198857-pat00001
* 결과 : 상기 8 가지의 실험항목을 종합하여 검토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점성이 높으며 보습력이 우수하고 탄력성이 있으며 용매의 분산력이 좋은 알긴산으로 결정하였다.
3-2)충전제로 사용 가능한 당류와 체질안료로 사용할 원료성분 :
용매(정제수)와 혼합 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비교하여 곱게 혼합되는 당류로는 백설탕, 체질안료로는 규조토(Diatomaceous Earth)로 결정하였다
3-3)겔화 반응 제로 사용할 원료성분 :
용매(정제수)와 혼합 시에 나타나는 현상을 비교하여 곱게 혼합되는 황산칼슘. 산화 아연(아연화)으로 결정하였다.
3-4)pH 조정제 및 금속이온봉쇄제로 사용할 원료성분 :
인체에 자극성이 미약하고 pH 변화폭이 좁으며 용해도가 높은 메타인산나트륨과 피로인산나트륨으로 결정하였다.
4.실험처방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기준 :
a.피부에 자극이 없을 것.
b.화장품 법에서 규정하는 pH범위(3~9)일 것.
c.소비자가 사용 후 만족할 수 있는 기능(진정. 미백. 보습. 여드름치유.
모공수축 등)을 부여할 것.
d.반응시간을 5~10분 사이에 맞출 것
e.소비자가 적용하는 시간으로는 15~20분 사이로 조정할 것.
f.장기간 보관 시에 경시변화(냄새. 색상. 뭉침 등)가 없을 것 등과 내용물 원가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서 처방을 작성하고 평가하였다.
[표 2]
Figure 112005511198857-pat00002
5.실험처방 및 평가
(시험예 1)
5-1.알긴산의 함량 선택실험
[표 3]
Figure 112005511198857-pat00003
결론 1 : 실험처방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기준에 처방 3이 가장 근접하였다.
(시험예 2)
5-2.아연화의 함량 선택실험
[표 4]
Figure 112005511198857-pat00004
결론2. 실험처방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기준에 처방 3이 가장 근접하였다.
(시험예 3)
5-3.황산칼슘의 함량 선택실험
[표 5]
Figure 112005511198857-pat00005
결론3. 실험처방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기준에 처방 3이 가장 근접하였다.
(시험예 4)
5-4 pH조정제의 함량 선택 실험
[표 6]
Figure 112005511198857-pat00006
실험처방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기준에 처방 4가 가장 근접하였다.
(시험예 5)
5-5. 충전제의 함량 선택실험
[표 7]
Figure 112005511198857-pat00007
결론5 : 실험처방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기준에 처방1 과 처방5가 가장 근접하였으나, 분말에 혼합되는 용매는 규조토가 많이 함유된 처방의 비율이 높다,
6. 소비자 테스트용 처방 조정 실험
상기한 처방 실험에서 획득된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조정 처방 한 처방1과 처방2를 가지고 다양한 검토항목에 따라 1차적으로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112005511198857-pat00008
평가방법:(panel test)
1차적으로 테스트하여 표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처방1에 비하여 처방2가 전체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처방2를 10Kg 제조하여 20대에서 50대의 남성 및 여성으로 구성된 10명의 평가자에게 분말 25g과 정제수 25g을 혼합하여 3~5mm 두께로 얼굴에 도포하고 나서 만족도 10점 만점 (수치가 높을수록 좋음, 수치가 낮을수록 나쁨을 나타냄)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Figure 112005511198857-pat00009
표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혼합 간편성, 건조시간, 촉촉한 정도가 대체적으로 우량하며 특히 사용후 피부 촉감이나 떼어내는 정도 면에서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상은 물론 민감성 피부에 적용하여 특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한 평가 결과로 판단할 때 본 발명의 실험 시작 단계에서 기획한 내용과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고 충남 보령시청에서 제공한 보령산 머드에 상기 처방을 응용하여 진흙 팩으로 제품화한 결과 머드의 효과가 부가되어 만족 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오프 타입의 화장용 팩제로서 본 발명은 피부에 도포한 다음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건조되면서 적절한 겔강도와 유연성, 흡착성을 가지게 되므로 도포하고 일정 시간 경과후 건조된 겔 막을 한번에 간편하게 피부에 팩 내용물 찌꺼기나 자국을 남기지 않은 상태로 떨어지게 제거할 수 있어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해조 추출물 등의 영양공급 및 보습효과를 그 대로 유지한 채로 사용하게 되므로서, 유효활성성분의 작용으로 보습효과, 주름 살 제거효과, 피부 개선 및 재생효과, 피부 분비물 및 노폐물의 흡수 제거효과를 종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제형이 분말상이므로 예를 들어 비타민, 아미노산 등 다양한 영양성분과 피부개선제 등 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로 된 증점 안정제로서 미네랄, 비타민, 식이섬유 등 천연의 영양성분이 풍부한 해조로부터 추출한 알긴산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고 충전제로 규조토와 백설탕을, 겔화 반응 제로 황산칼슘과 산화 아연(아연화)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 팩 조성물을 제조하므로서 수분의 접촉에 따른 겔화 반응으로 간편한 도포와 건조된 피막 겔의 제거가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영양공급 및 보습효과를 그대로 유지하므로서 영양성분과 수분, 천연 미네랄의 공급에 따른 피부대사 촉진 기능성이 복합적으로 상승 작용하여 피부에 보습성과 유연성, 탄력성을 효과적으로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필 오프 타입(Peel-off type)의 마스크 팩 조성물에 있어서,
    얼굴 등 피부에 도포하여 점착성과 보습성, 영양성을 부여하여 피부 대사를 촉진시키는 수용성 고분자 하이드로 겔을 형성하기 위하여, 겔화 증점 안정제인 하이드로 콜로이드(hydro-colloid, 수용성 고분자)물질로 해조 추출 다당류인 알긴산과 그의 유도체 1.0~20.0%(중량비), 충전제로 당류인 백설탕 0.0 ~70.0%(중량비), 체질 안료로서 규조토(Diatomaceous Earth) 0.0~70.0%(중량비)에 겔화 반응제로 황산칼슘 5.0~30.0%(중량비). 산화 아연(아연화) 0.0~10.0%(중량비)를 포함하여 조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 형 마스크 팩
KR1020050084928A 2005-09-13 2005-09-13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 형 마스크 팩 KR100633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928A KR100633992B1 (ko) 2005-09-13 2005-09-13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 형 마스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928A KR100633992B1 (ko) 2005-09-13 2005-09-13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 형 마스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3992B1 true KR100633992B1 (ko) 2006-10-16

Family

ID=3762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928A KR100633992B1 (ko) 2005-09-13 2005-09-13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 형 마스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9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017B1 (ko) 2007-12-12 2008-08-26 (주)이노페이스 편리성이 향상된 피부 마스크 방법
KR100905852B1 (ko) * 2007-09-17 2009-07-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백선토, 황토, 석고, 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팩 조성물
KR101245861B1 (ko) * 2010-11-23 2013-03-20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다중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6228A (ko) 2017-02-21 2018-08-29 (주)크린스킨 설탕과 기능성 발효액을 이용한 필오프형 마스크팩
KR102074306B1 (ko) * 2018-09-11 2020-02-11 유태선 세안용 스킨 파우더 조성물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9608A (ja) 1981-09-02 1983-03-08 Shiseido Co Ltd パツク化粧料
JP2000026227A (ja) 1998-07-08 2000-01-25 Mitsubishi Chemicals Corp 歯科用アルギン酸塩印象材
KR100506968B1 (ko) 2003-06-11 2005-08-09 조옥현 미용맛사지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9608A (ja) 1981-09-02 1983-03-08 Shiseido Co Ltd パツク化粧料
JP2000026227A (ja) 1998-07-08 2000-01-25 Mitsubishi Chemicals Corp 歯科用アルギン酸塩印象材
KR100506968B1 (ko) 2003-06-11 2005-08-09 조옥현 미용맛사지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852B1 (ko) * 2007-09-17 2009-07-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백선토, 황토, 석고, 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팩 조성물
KR100854017B1 (ko) 2007-12-12 2008-08-26 (주)이노페이스 편리성이 향상된 피부 마스크 방법
KR101245861B1 (ko) * 2010-11-23 2013-03-20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다중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6228A (ko) 2017-02-21 2018-08-29 (주)크린스킨 설탕과 기능성 발효액을 이용한 필오프형 마스크팩
KR101985745B1 (ko) * 2017-02-21 2019-06-04 (주)크린스킨 설탕과 기능성 발효액을 이용한 필오프형 마스크팩
KR102074306B1 (ko) * 2018-09-11 2020-02-11 유태선 세안용 스킨 파우더 조성물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61450B (zh) 特征在于含有α,α-海藻糖的糖类衍生物的皮肤外用剂
CN102935055B (zh) 一种纯露保湿面膜
CN105342882B (zh) 一种多功效复合保湿原液及其应用方法
KR100633992B1 (ko) 반응성 겔화 법을 이용한 분말 형 마스크 팩
CN108261376B (zh) 一种三维保湿因子
CN101180033A (zh) 用含有张力聚合物的组合物处理皮肤和粘膜组织萎缩的方法
CN1682690A (zh) 沐浴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653045A (zh) 一种改善牙齿黑黄问题的牙膏及其制造方法
CN113440432A (zh) 祛痘调理剂、祛痘面膜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3032356A (ja) 粘性組成物の粘性改善から二酸化炭素の発生量を高めて、炭素ガスの皮膚効果を向上させた化粧品組成物。
KR101419271B1 (ko) 실온 반응형 캡슐이 혼합된 하이드로겔 팩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하이드로겔 팩제
CN106063770B (zh) 一种含有生长因子的凝胶贴膜及其制备方法
CN106366207A (zh) 一种葫芦巴水溶性多糖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06727132A (zh) 一种温和润肤洁面乳及其制备方法
WO2011072500A1 (zh) 一种手脚去死皮角质的有机酸组合物及含该组合物的膜片
KR20080027758A (ko) 편리성이 향상된 피부 마스크 방법
CN107137306A (zh) 一种纳米银净化洗卸二合一溶液
CN113318008B (zh) 一种沐浴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S61158912A (ja) 皮膚改善用組成物
CN111939087B (zh) 一种啫喱面贴膜及其制备方法
KR101753832B1 (ko) 하이드로겔화 알지네이트 부직포 마스크팩
CN103340781A (zh) 香紫苏油化妆水
JPS63139108A (ja) 皮膚化粧料
CN106619333A (zh) 一种卸妆水及其制备方法
JPH03200709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