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918B1 -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 Google Patents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2918B1 KR100632918B1 KR1020050030345A KR20050030345A KR100632918B1 KR 100632918 B1 KR100632918 B1 KR 100632918B1 KR 1020050030345 A KR1020050030345 A KR 1020050030345A KR 20050030345 A KR20050030345 A KR 20050030345A KR 100632918 B1 KR100632918 B1 KR 1006329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addle
- wedge
- mounting portion
- climb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concrete placing boom)을 소정의 작업위치로 높일 수 있도록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을 지지하는 마스트(mast)를 위로 승강시키는 오토 크라이밍 장치에서 마스트를 고정하는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은 4개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이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100; 300, 200; 400)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어느 한 프레임(100)의 일단에 형성된 끼움 장착부(110)가 이웃하는 프레임(400)의 수용 장착부(420)에 끼워진 후 록킹핀(510)이 끼움 장착부(110)와 수용 장착부(410)에 체결됨으로써, 4각틀 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을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본 발명은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concrete placing boom)을 소정의 작업위치로 높일 수 있도록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을 지지하는 마스트(mast)를 위로 승강시키는 오토 크라이밍 장치에서 마스트를 고정하는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4개의 프레임으로 분해할 수 있게 조립되고, 제 1 쐐기가 프레임을 슬라브 개구부에 고정하는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461633호(2004년 12월 3일 등록)에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오토 크라이밍 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여기에 소개된 새들은 양단 및 중간에 다수의 볼트 체결용 홀을 갖는 2개의 가로부재와 이것들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세로부재를 사각틀 형태로 조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본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받침부; 대칭위치에 배치되는 4곳의 가이드 롤러 및 2곳의 체결용 플레이트를 가지면서 다수의 볼트 체결용 홀을 이용하여 받침부 위에 조립가능한 사각틀 구조로 되어 있으며, 크라이밍 작업시 튜브라 마스터를 지지 및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프레임;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볼트 체결용 홀을 통해 받침부의 각 가로부재 양단에 조립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코어벽 상에 지지되면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및 튜브라 마스터 전체의 좌우 흔들림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힌지 구조의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 각각의 좌우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에 1개씩 배속되면서 그 일측에 일체식으로 조립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4개가 1세트로 되어 있어 4점 지지방식으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및 튜브라 마스터 전체의 전후 흔들림을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후 흔들림 방지용 고정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새들은 전체적인 조립이 복잡하여 작업 현장에서 설치하기가 매우 어렵고, 받침부가 사각틀 형태로 용접되어 있어, 작업자가 상기 받침부를 아래층 슬라브에서 위층 슬라브로 옮기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4개의 프레임이 분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어, 작업자가 아래층 슬라브에서 위층 슬라브로 각각의 부품을 옮기기 용이하고, 설치시 앙카볼트를 박을 필요가 없어 마스트가 설치되는 슬라브 개구부의 주위 환경(예를 들어, 앙카볼트를 개구부 주위에 박을 수 없는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은 4개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이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100; 300, 200; 400)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어느 한 프레임(100)의 일단에 형성된 끼움 장착부(110)가 이웃하는 프레임(400)의 수용 장착부(420)에 끼워진 후 록킹핀(510)이 끼움 장착부(110)와 수용 장착부(410)에 체결됨으로써, 4각틀 형상으로 조립된다.
상기 4개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은 모두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어느 한 프레임(100)의 형상을 대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0)은 마스트(600 ; 도 3 참조)의 핀구멍에 끼워진 새들핀(610)을 안착시킬 수 있는 오목 받침부(130)가 중앙에 형성되고, 일단에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수용 장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 장착부(110)의 내측면에 롤러(145)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대(140)가 배치되고, 상기 오목 받침부(130)와 수용 장착부(110) 사이에 프레임(100)을 슬라브(700)의 개구부(7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쐐기 장착부(150)가 형성되고, 타단에 끼움 장착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장착부(120)와 오목 받침부(130) 사이에 마스트(600)를 고정하기 위한 제 2 쐐기 장착부(160)가 배치된다.
상기 수용 장착부(110)는 정면에 개구부(111)가 형성된 사각 박스 형태이며, 측면에 핀구멍(113)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100, 200, 300, 400)들 중 어느 한 프레임(100)의 수용 장착부(110)에는 상부면에 절개부(115)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수용 장착부(110)에 결합되는 이웃 프레임(400)의 끼움 장착부(410)가 상기 절개부(115)를 통해 끼움 장착부(110)에 끼워질 수 있어, 프레임의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쐐기 장착부(150)는 프레임(100)의 수평부(101)에 상부 수평부(151)가 용접되고, 상기 상부 수평부(151)에 쐐기 구멍(15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평부(151)의 선단에서 수직부(155)가 하부로 굴절됨으로서, 조립된 프레임(100)을 슬라브(700)의 개구부(710)에 설치한 후, 제 1 쐐기(157)를 상기 상부 수평부(151)의 쐐기 구멍(153)을 통해 박으면, 제 1 쐐기(157)의 앞뒷면이 개구부(710)의 측면(711)과 수직부(155)에 동시에 압착되어, 새들이 슬라브의 개구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쐐기 장착부(160)는 쐐기 밀착부(161)의 양측부에 가이드부(163)가 형성되어, 제 2 쐐기(165)를 상기 제 2 쐐기 장착부(160)에 끼워 마스트(600)를 고정할 때, 제 2 쐐기(165)가 가이드부(163)에 의해 안내되어 흔들리지 않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0)은 제 2 쐐기 장착부(160)의 측부에 수평조절볼트(175)가 체결되는 너트부(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너트부(170)에 체결되는 수평조절볼트(175)는 각각의 프레임(100)이 슬 라브(700)의 개구부(710)에 안착되어 서로 결합될 때, 수평조절볼트(175)를 조이면, 수평조절볼트(175)의 끝단이 슬라브의 개구부(170)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프레임(100)의 끼움 장착부(120)를 슬라브의 개구부(710) 안쪽으로 밀어내어, 슬라브의 개구부 둘레에 놓이는 프레임(100)의 배치를 조절함으로서, 프레임(1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은 4개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을 각각 분해하여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마스트(600)를 상승시킨 후, 각각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을 분해하여 작업자가 다음 위층으로 옮길 수 있으며, 위층에서 4개의 프레임을 다시 결합하여 마스트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쐐기 고정부(150)에 제 1 쐐기(157)를 끼워 넣음으로서, 앙카볼트없이 슬라브(700)의 개구부(710)의 둘레에 배치된 새들이 고정되기 때문에, 개구부(710) 주위의 상황(예를 들어, 앙카볼트를 개구부 주위에 박을 수 없는 상황)에 간섭을 받지 않는다.
또한, 마스트(600)를 들어 올릴 때, 마스트(600)의 가이드 돌기(620 ; 도 3 참조)가 새들의 롤러(145)에 의해 안내되어 흔들리지 않으며, 상승된 마스트(600)에 새들핀(610)이 끼워지고, 새들핀(610)의 양단부가 새들의 오목 받침대(130)에 안착된 후, 제 2 쐐기(165)에 의해 마스트(600)가 새들에 고정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은 4개의 프레임으로 분해할 수 잇어, 작업자가 아래층 슬라브에서 위층 슬라브로 각각의 부품을 옮기기 용이하고, 설치시 제 1 쐐기로 새들을 슬라브의 개구부에 고정할 수 있어, 슬라브 개구부의 주위 환경(예를 들어, 앙카볼트를 개구부 주위에 박을 수 없는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4개의 프레임(100, 200, 300, 400)이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프레임(100; 300, 200; 400)에 대해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어느 한 프레임(100)의 일단에 형성된 끼움 장착부(110)가 이웃하는 프레임(400)의 수용 장착부(420)에 끼워진 후 록킹핀(510)이 끼움 장착부(110)와 수용 장착부(410)에 체결됨으로써, 4각틀 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100)은 마스트(600)의 핀구멍에 끼워진 새들핀(610)을 안착시킬 수 있는 오목 받침부(130)가 중앙에 형성되고, 일단에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수용 장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 장착부(110)의 내측면에 롤러(145)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대(140)가 배치되고, 상기 오목 받침부(130)와 수용 장착부(110) 사이에 프레임(100)을 슬라브(700)의 개구부(7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쐐기 장착부(150)가 형성되고, 타단에 끼움 장착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장착부(120)와 오목 받침부(130) 사이에 마스트(600)를 고정하기 위한 제 2 쐐기 장착부(16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수용 장착부(110)는 정면에 개구부(111)가 형성된 사각 박스 형태이며, 측면에 핀구멍(1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100)의 수용 장착부(110)에는 상부면에 절개부(1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쐐기 장착부(150)는 프레임(100)의 수평부(101)에 상부 수평부(151)가 용접되고, 상기 상부 수평부(151)에 쐐기 구멍(15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평부(151)의 선단에서 수직부(155)가 하부로 굴절됨으로서, 조립된 프레임(100)을 슬라브(700)의 개구부(710)에 설치한 후, 제 1 쐐기(157)를 상기 상부 수평부(151)의 쐐기 구멍(153)을 통해 박으면, 제 1 쐐기(157)의 앞뒷면이 개구부(710)의 측면(711)과 수직부(155)에 동시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0345A KR100632918B1 (ko) | 2005-04-12 | 2005-04-12 |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30345A KR100632918B1 (ko) | 2005-04-12 | 2005-04-12 |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32918B1 true KR100632918B1 (ko) | 2006-10-12 |
Family
ID=3762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0345A KR100632918B1 (ko) | 2005-04-12 | 2005-04-12 |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2918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4018B1 (ko) | 2009-04-09 | 2011-03-2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크라이밍 장치 |
CN102535854A (zh) * | 2012-02-16 | 2012-07-04 |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 一种爬升支架及其爬升方法、混凝土布料杆及其爬升方法 |
CN114704096A (zh) * | 2022-03-18 | 2022-07-05 | 中建八局发展建设有限公司 | 一种井筒内爬式快拆混凝土布料机 |
KR20220108473A (ko) * | 2021-01-27 | 2022-08-03 | 코리아머신주식회사 |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
KR102515205B1 (ko) * | 2022-10-21 | 2023-03-30 | (주)원진이엔지 |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보호커버 |
-
2005
- 2005-04-12 KR KR1020050030345A patent/KR10063291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4018B1 (ko) | 2009-04-09 | 2011-03-29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크라이밍 장치 |
CN102535854A (zh) * | 2012-02-16 | 2012-07-04 |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 一种爬升支架及其爬升方法、混凝土布料杆及其爬升方法 |
KR20220108473A (ko) * | 2021-01-27 | 2022-08-03 | 코리아머신주식회사 |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
KR102482847B1 (ko) * | 2021-01-27 | 2022-12-29 | 코리아머신주식회사 |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클라이밍 장치 |
CN114704096A (zh) * | 2022-03-18 | 2022-07-05 | 中建八局发展建设有限公司 | 一种井筒内爬式快拆混凝土布料机 |
KR102515205B1 (ko) * | 2022-10-21 | 2023-03-30 | (주)원진이엔지 |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의 보호커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32918B1 (ko) | 오토 클라이밍 장치용 새들 | |
KR200486927Y1 (ko) | 그레이팅 결합 고정구 | |
KR20200012791A (ko) | 브레이싱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베어링 헤드 및 이와 연결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 |
KR101116345B1 (ko) |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
US8366068B2 (en) | Bracing structure, fastener and method for bracing a support structure having props for ceiling formworks | |
KR100609284B1 (ko) | 경사진 콘크리트면에 설치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및 설치방법. | |
KR101171822B1 (ko) | 드롭어셈블리 | |
AU2008219357A1 (en) | Guardrail System | |
JP2015169022A (ja) | ブラケット足場用踏板 | |
JP2019031837A (ja) | 仮設足場用階段手摺 | |
KR101171823B1 (ko) | 슬라브패널 조립체 | |
KR20100034577A (ko) | 시스템 서포트 | |
JP4585228B2 (ja) | エレベータの揚重梁固定装置 | |
JP4119943B1 (ja) | 基礎型枠間隔保持用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保持用金物 | |
KR20100080992A (ko) |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 |
JP3982808B2 (ja) | 足場装置における巾木の取付装置 | |
KR200377459Y1 (ko) | 격자형 십자중문 조립체 | |
KR20200120184A (ko) | 작업용 발판 | |
KR102181014B1 (ko) | 족장용 브라켓 및 스텐션 | |
KR101197491B1 (ko) | 필러패널 | |
JP4389097B2 (ja) | アンカーボルト固定装置 | |
US20060034069A1 (en) | Frame for ceiling light fixture | |
KR20180107401A (ko) | 프롭헤드가 구비된 서포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230040113A (ko) | 벽체시공장치 | |
JP2004137831A (ja) | メッシュフェンス用のストレート継手並びにコーナ継手及び継手座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