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113A - 벽체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벽체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113A
KR20230040113A KR1020210123327A KR20210123327A KR20230040113A KR 20230040113 A KR20230040113 A KR 20230040113A KR 1020210123327 A KR1020210123327 A KR 1020210123327A KR 20210123327 A KR20210123327 A KR 20210123327A KR 20230040113 A KR20230040113 A KR 20230040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ixing frame
fixing
pin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춘수
Original Assignee
최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춘수 filed Critical 최춘수
Priority to KR1020210123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113A/ko
Publication of KR2023004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19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inserted into grooves i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4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clamp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시공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를 설치함에 있어, 벽체의 상하 간격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횡단면이 후방으로 개방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틀; 상기 고정틀의 측벽 전면(前面)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는 핀과 상기 핀의 전단에 상기 핀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고정판이 구비된 고정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틀은 바닥으로부터 세워진 기둥에 끼워져 고정되고, 수직하게 세워진 벽체가 상방과 하방 중 적어도 일 방향에서 상기 고정판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체시공장치{Apparatus for Wall construction}
본 발명은 벽체시공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를 설치함에 있어, 벽체의 상하 간격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벽체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감재를 내벽에 설치하는 공법에는 습식법과 건식법이 있으며, 습식공법은 모르타르나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해서 내벽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것으로 모르타르나 에폭시 접착제의 경화에 시간이 필요하고 하중분산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소규모 마감에 적용되고 있다.
건식공법은 마감재를 볼트, 너트 및 앵글과 같은 체결물에 의해 내벽에 설치하는 것으로 경화에 필요한 시간이 필요치 않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로방지에 효과적인 공법이다.
이 중 건식공법은 많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콘크리트 벽체에 홀을 뚫고, 앙카볼트와 앙카너트를 설치하고, 마감재의 상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조정판을 배치하여 마감재의 상면에 수직으로 홀을 형성하고 핀을 끼워넣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외벽의 마감재를 고정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콘트리트 벽체에 홀을 형성하여 앙카볼트와 앙카너트를 설치함으로써, 좌우방향 기울기를 맞추기 어렵다는 문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945177호('이하 인용발명'이라함)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채널(30)에 고정되는 브래킷(50)과 브래킷(50)의 앞부분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수평지지판(58)과, 수평지지판(58) 위에 설치되고 인접한 두 석재마감판(21,22)을 지지하는 조정판(70)을 포함하고, 상부조정볼트(61)와 하부조정볼트(62)를 통해 좌우방향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좌우방향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쉬우나 상하 방향의 높낮이를 변경하기 위하여 수직채널(30)에 볼트로 체결되어 있는 브래킷(50)을 해체하여 재설치하고 다시 좌우방향 기울기를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945177호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ㄷ' 형상을 가지는 고정틀이 바닥에 세워진 기둥에 결합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상하 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쉽게 벽체를 설치하는 벽체시공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틀에 전,후방으로 조절이 가능한 고정대가 구비되어 벽체의 전,후 위치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벽체시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횡단면이 후방으로 개방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틀; 상기 고정틀의 측벽 전면(前面)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는 핀과 상기 핀의 전단에 상기 핀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고정판이 구비된 고정대;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틀은 바닥으로부터 세워진 기둥에 끼워져 고정되고, 수직하게 세워진 벽체가 상방과 하방 중 적어도 일 방향에서 상기 고정판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은 후방으로 측벽의 외측을 관통하는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핀은 상기 고정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홀의 깊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측벽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접음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틀은 상기 양 측벽의 후단에 내측 방향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고정틀이 밀착되게 끼워진 상기 기둥의 후면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틀은 양 측벽과 상기 양 측벽을 연결하는 이음벽을 포함하되, 상기 이음벽의 내측에 상기 기둥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1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양 측벽의 내측에 상기 제1 자석과 직교하는 방향의 제2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틀은 탄성을 가지면서 기둥에 끼워진 상기 고정틀의 개방된 부분을 감싸도록 양단이 상기 고정틀의 측벽에 결합되는 안전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를 설치함에 있어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틀이 바닥면으로 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에 자력에 의해 결합하여 쉽게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틀에 구비된 고정대를 통하여 상측, 하측의 두개의 벽체가 바닥면으로 부터 직교하는 동일한 수직면을 가지도록 하여 상,하 기울기를 조절하기가 용이 할 수 있다.
벽체를 시공하기 위하여 따로 형틀을 제작하여 형틀에 벽체를 시공하지 않고 벽체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벽체시공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벽체시공장치의 정면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벽체시공장치의 평면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고정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일자 형태의 고정대가 구비된 고정틀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벽체시공장치가 기둥에 삽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벽체시공장치의 측면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안전고리를 구비한 벽체시공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는, 고정판에 이탈방지 돌기가 구비된 고정대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 마감재의 설치할 때 형틀을 제작하지 않으면서 세워진 기둥을 통해 마감재의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후방으로 개방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틀과, 고정틀의 측벽 전면(前面)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되는 핀과 상기 핀의 전단에 상기 핀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고정판이 구비된 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시공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인 벽체시공장치(A)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이 'ㄷ' 자 형태로 후방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으로부터 세워진 기둥(40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고정틀(100)과, 고정틀(100)에 형성된 고정홀(1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고정홀(121)에 삽입되는 핀(210)과, 핀(210)의 전단에 위치하여 핀(210)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고정판(220)을 가지는 고정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틀(10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측벽(120)과 측벽(120) 사이를 연결하는 이음벽(11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측벽(120)의 전면에는 고정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틀(100)은 이음벽(110)의 내측에 복수의 제1 자석(111)이 일정한 방향으로 구비되고, 복수의 측벽(120)의 내측에는 복수의 제2 자석(123)이 구비되되 제1 자석(111)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틀(100)은 바닥으로부터 수직되도록 세워진 기둥(400)에 'ㄷ'자 형상이 끼워져 밀착됨으로써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1 자석(111)과 제2 자석(123)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은 고정틀(100)과 기둥(400)간에 자력 결합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으로 고정되기 위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일 방향으로 동일하게 배치될 때보다 더 큰 결합력을 가질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둥(400)은 고정틀(100)이 기둥(400)과 자력에 의해 결합될 때 더 큰 결합력을 가지기 위하여 기둥(400)과 고정틀(100)이 밀착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틀(100)의 내측과 대응하는 크기의 철재로 형성되는 사각형상의 기둥(400)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틀(100)은 양 측벽(120)의 후단에 내측방향을 향하는 걸림돌기(122)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122)는 기둥(400)이 고정틀(100)에 쉽게 삽입되면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후방을 향하여 경사면을 가지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걸림돌기(1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ㄷ'자 형상을 가지는 고정틀(100)을 기둥(400)에 체결함에 있어서, 작업자는 고정틀(100)을 기둥(400)에 밀어넣을 때, 걸림돌기(122)의 경사면을 따라 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고정틀(100)을 기둥(400)에서 탈착하는 경우에는 걸림돌기(122)의 턱이 걸리게 되어 고정틀(100)이 기둥(400)에서 쉽게 탈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정홀(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100)의 측벽(120) 전면(前面)에 형성되면서 횡단면이 후방으로 측벽(120)의 외측을 관통하는 만곡한 형상의 홀 경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홀(121)은 종단면이 상하 방향이 더 긴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각 형상의 핀(210)이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고정홀(121)이 상하 방향이 더 긴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벽체시공에 있어서, 복수의 벽체(500)는 상하 방향으로 적재됨에 따라 시공되는 벽체(500)는 무게가 하방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더 긴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상의 고정대(200)가 삽입되어 더 큰 하중을 버티도록 상하 방향이 더 긴 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상의 고정홀(1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대(2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이 고정홀(121)의 종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횡단면은 고정홀(121)의 횡단면과 대응하는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핀(210)과, 전면이 편평한 판으로 형성되고 핀(210)의 전단에 핀(21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고정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핀(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지점에서 접을 수 있도록 일정 강도를 가지면서 접힐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거나, 일 지점에서 접히도록 구조가 형성되며 핀(210)은 고정홀(121)에 삽입되고, 일정 지점에서 고정틀(100) 방향으로 핀(210)을 고정틀(100) 방향으로 접어 고정대(200)를 고정시켜 고정대(200)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220)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벽체(500)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지며, 벽체(500)는 상면과 하면의 중심에 각각 고정판(220)의 크기에 대응하는 끼움홈(510)이 형성되어, 고정판(220)은 두개의 벽체(500)사이의 끼움홈(510)에 끼워져 벽체(500)를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울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 고정홀(121)은 후방으로 일정 길이의 직선형상을 가지는 홀 경로를 가질 수 있으며, 고정홀(121)의 깊이는 측벽(12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거나, 측벽(120)의 전후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벽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고정볼트가 구비되어 고정홀(121)에 대응하는 형상의 직선형상의 핀(210)이 고정홀(121)에 일정길이 이상 삽입되는 경우,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볼트를 조여 고정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100)은 탄성을 가지면서 기둥(400)에 끼워진 고정틀(100)의 개방된 부분을 감싸는 형태의 안전고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고리는 고정틀(100)의 양 측벽(12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틀(100)을 사각 기둥(400)에 삽입한 후, 안전고리를 고정틀(100)의 양 측벽(120) 외측에 각각 형성된 안전고리 홀(124)에 안전고리(300)의 양단을 거치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실시예로, 고정대(200)는 이탈방지 돌기가 구비된 고정판(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탈방지 돌기에 대응하는 끼움홈(510)이 벽체(500)에 형성되어 이탈방지 돌기가 끼움홈(510)에 끼워지고 벽체(500)로부터 고정판(220)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인 벽체시공장치(A)를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철재 사각기둥(400)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각기둥(400)과 맞닿는 각 내측면에 자석이 구비된 고정틀(100)을 끼워 자력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다. 이 후,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200)를 고정틀(100)에 형성된 고정홈에 핀(210)을 삽입한 후, 관통되어 나온 핀(210)을 접어 전,후 방향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핀(210)의 전단에 결합된 고정판(220)이 벽체(500)에 형성된 끼움홈(510)에 끼워지면서 벽체가 고정판(220)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다.
A: 벽체시공장치
100: 고정틀
110: 이음벽 111: 제1 자석
120: 측벽 121: 고정홀
122: 걸림돌기 123: 제2 자석
124: 안전고리 홀
200: 고정대 210: 핀
220: 고정판
300: 안전고리
400: 기둥
500: 벽체 510: 끼움홈

Claims (5)

  1. 횡단면이 후방으로 개방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틀(100);
    상기 고정틀(100)의 측벽(120) 전면(前面)에 형성된 고정홀(121)에 삽입되는 핀(210)과, 상기 핀(210)의 전단에 상기 핀(210)과 직교하도록 형성된 고정판(220)이 구비된 고정대(200);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틀(100)은 바닥으로부터 세워진 기둥(400)에 끼워져 고정되고, 수직하게 세워진 벽체(500)가 상방과 하방 중 적어도 일 방향에서 상기 고정판(220)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121)은 후방으로 측벽(120)의 외측을 관통하는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핀(210)은 상기 고정홀(12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홀(121)의 깊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측벽(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접음에 따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설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100)은 상기 양 측벽(120)의 후단에 내측 방향으로 걸림돌기(122)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22)는 상기 고정틀(100)이 밀착되게 끼워진 상기 기둥(400)의 후면 가장자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설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100)은 양 측벽(120)과 상기 양 측벽(120)을 연결하는 이음벽(110)을 포함하되,
    상기 이음벽(110)의 내측에 상기 기둥(400)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제1 자석(111)이 구비되고, 상기 양 측벽(120)의 내측에 상기 제1 자석(111)과 직교하는 방향의 제2 자석(123)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설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100)은 탄성을 가지면서 상기 기둥(400)에 끼워진 상기 고정틀(100)의 개방된 부분을 감싸도록 양단이 상기 고정틀(100)의 측벽(120)에 결합되는 안전고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설치장치.
KR1020210123327A 2021-09-15 2021-09-15 벽체시공장치 KR20230040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327A KR20230040113A (ko) 2021-09-15 2021-09-15 벽체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327A KR20230040113A (ko) 2021-09-15 2021-09-15 벽체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113A true KR20230040113A (ko) 2023-03-22

Family

ID=8600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327A KR20230040113A (ko) 2021-09-15 2021-09-15 벽체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01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177B1 (ko) 2018-08-28 2019-02-07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177B1 (ko) 2018-08-28 2019-02-07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118B1 (ko) 천장 마감 몰딩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1617441B1 (ko) 거푸집 고정장치
JP6430721B2 (ja)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
KR20200012791A (ko) 브레이싱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베어링 헤드 및 이와 연결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20090088106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102039732B1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1766810B1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US10167626B1 (en) Masonry support apparatus
KR20230040113A (ko) 벽체시공장치
KR200420504Y1 (ko) 거푸집 지지장치
JP5620839B2 (ja) アンカーフレーム及びそれを用いた基礎構造体の構築工法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20170044236A (ko) Pc기둥에 설치된 영구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KR200480637Y1 (ko) 통폼 연결 브래킷
KR20110002260U (ko) 서포터의 사용성이 개선된 보 거푸집용 지지어셈블리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101029829B1 (ko) 거푸집용 멍에재 지지장치
JP7460447B2 (ja) 階段型枠
CA2987666C (en) Masonry support apparatus
KR101748128B1 (ko) 시스템 동바리 u헤드
JP2566470Y2 (ja) 構築用アンカーボルトの固定装置
JP7363863B2 (ja) 布基礎用型枠
JP2018165451A (ja) 柵取付部材及び壁構造体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