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028B1 -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 댐퍼 - Google Patents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028B1
KR100632028B1 KR1020017007171A KR20017007171A KR100632028B1 KR 100632028 B1 KR100632028 B1 KR 100632028B1 KR 1020017007171 A KR1020017007171 A KR 1020017007171A KR 20017007171 A KR20017007171 A KR 20017007171A KR 100632028 B1 KR100632028 B1 KR 100632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sealing
vibration damper
sealing elem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0726A (ko
Inventor
게오르그 기레르
빌리 홀트-엔리트
휴버트 렘린거
칼하인츠 마이
허버트 키이브러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01008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16L55/05Buff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6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comprising means for attenuating pressure pul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댐퍼 요소(31)를 가지는 특히 자동차 기어박스용 유압식 제어 회로의 유압시스템에서 유체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 댐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진동 댐퍼는 예를 들어 댐퍼 요소(31)의 파열에 의한 고장의 경우에 유압시스템의 기능을 보증하는 별도의 밀봉 요소(3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 댐퍼{VIBRATION DAMPER FOR DAMPING FLUID VIBRATIONS IN A HYDRAULIC SYSTEM}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변속기용 유압식 제어 회로와 같은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 진동의 감쇄를 위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댐퍼 요소를 가지는 진동 댐퍼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종류의 진동 댐퍼는 밸브 내에서 제어압을 조절하고 유체의 진동을 감쇄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변속기 내에 사용된다. 이 경우에 상기 댐퍼 요소들은 통상적으로는 탄성 중합체로 제조됨으로써 상이한 유압에 의한 부하 변동의 경우에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댐퍼는 예를 들어 독일 공개 특허 공보 제195 24 921 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는 하나의 박막을 가지는 진동 댐퍼를 기재하고 있으며 이 박막은 중공 원통형의 탄성 중합체로 제조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박막의 파열에 의한 누설의 경우와 같이 이 종류의 공지된 탄성 중합체의 댐퍼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대부분 전체의 진동 댐퍼의 고장을 야기한다. 이에 의하여 유압 시스템에서의 제어압은 감소하며 변속기는 제어 불능이 되고 그 결과 변속기가 정지하고 결국 차량이 주행 불능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댐퍼 요소의 손상의 경우에 진동 댐퍼에서의 압력 강하를 방지하여 그로 인한 변속기 고장과 자동차의 주행 불능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댐퍼 요소의 고장시에, 예를 들면 댐퍼 요소의 파열에 의한 누설의 경우에 유압시스템의 기능을 보증하는 밀봉 요소를 구비한 진동 댐퍼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것으로 인하여 바람직하게도 관류 차단기능이 얻어지며, 그 결과로 댐퍼 요소의 고장의 경우에 유압식 제어 회로에서의 압력강하가 방지된다. 이에 따라 댐퍼 요소에 결함이 있는 경우조차도 변속기의 기능은 대체로 유지되며 자동차의 주행 불능을 피할 수 있다. 파열된 댐퍼 요소에 의하여 변속 성능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댐퍼 요소를 교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댐퍼 요소가 하우징 내의 하나의 홈 내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은 한편으로는 댐퍼 요소에로 압축 유체의 공급을 위한, 예를 들면 스로틀과 같은 개구와, 또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의 압력 균등화 개구를 구비한다. 밀봉 요소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댐퍼 요소가 고장나는 경우에 압력 균등화 개구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제안된다. 이로써 진동 댐퍼의 정상 작동 동안에, 즉 댐퍼 요소가 누설이 없고 탄성 변형에 의하여 유체 압력의 진동을 감쇄하는 동안에, 압력 균등화 개구를 열린 채로 유지하며 그 결과로 밀봉 요소의 전후의 2 개의 공간들의 압력 상쇄가 행하여지고, 댐퍼 요소의 팽창으로 인하여 앞쪽의 공간으로부터 압축된 공기 체적이 압력 균등화 개구를 통하여 일출할 수 있다고 하는 해결책이 주어진다. 이 경우에 상기 공간들은 스로틀로부터 압력 균등화 개구로의 유동방향에서 밀봉 요소의 앞과 뒤에 한정되어 있다.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밀봉 요소 및/또는 댐퍼 요소를 홈 속에서 움직일 수 있게 배열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것으로 인하여 진동 댐퍼의 2 개의 중요한 요소들의 실시 형태에 다양한 가능성들이 나타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스로틀과 압력 균등화 개구가 대향하여 놓여 있는 홈의 단부 위치에 각각 배열되어 있으며, 밀봉 요소는 홈 내에서 스로틀 근처에 설치되고 댐퍼 요소는 압력 균등화 개구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진동 댐퍼의 특별히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밀봉 요소가 본질적으로 원통형 피스톤으로서 그리고 하우징의 홈은 피스톤 구멍으로서 형성되고 피스톤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피스톤 구멍 내에서 안내된다. 피스톤의 원통형 외면은 피스톤 구멍의 원통형 내벽에 대하여 밀봉되며, 그 결과 피스톤의 양쪽 단면의 앞과 뒤에 있는 양 공간들은 서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피스톤은 적어도 하나의 전면측에 예를 들면 원추형 구멍과 같은 하나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원추형 구멍은 댐퍼 요소의 중심 조정을 위하여 사용된다.
댐퍼 요소 자체는 구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구의 직경은 피스톤 또는 피스톤 구멍의 직경보다 작다. 이에 의하여 구는 원추형상의 구멍 내의 피스톤의 일단에서 바람직하게도 중심 조정된다.
피스톤과 이 피스톤을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들로 형성되고, 그 결과 진동 댐퍼의 가능한 가열의 경우에도 피스톤과 피스톤 구멍 사이의 밀봉 기능은 바람직하게도 보증된다.
상기 피스톤은 바람직하게도 특히 라이톤(Ryton)과 같은 합성 수지 또는 유사한 재료로 제조되며, 하우징은 알루미늄 또는 유사한 재료로 제조된다.
이와는 반대로 댐퍼 요소는 특히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nitrile butadiene rubber)와 같은 탄성 중합체 또는 유사한 재료로 제조되며, 이로 인해 유리한 감쇄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을 따르면, 댐퍼 요소를 홈 안에 있는 스로틀 근처에 배열하고 밀봉 요소를 압력 균등화 개구의 근처에 배열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로써 전술한 구성상태에 비하여 반대로 양 요소들을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댐퍼 요소는 대체로 중공 원통형이고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구성 부품으로 형성되고, 댐퍼 요소의 내부 공간내에 유체의 수용을 위하여 대체로 개방된 단면과 닫혀진 단면을 구비한다면 유리할 것이다. 이 밀봉 요소는 본질적으로 원반형, 원환형, 판형, 원추형, 반구형 또는 그와 유사하게 형성된 구성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유리하게는 댐퍼 요소의 닫혀진 단부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원추형 또는 반구형 밀봉 요소의 형성의 경우에 개구는 유리하게는 댐퍼 요소의 개방된 단부와 대면하고 이로써 스로틀 방향을 가리키며, 그 결과로 댐퍼 요소가 파열된 경우와 댐퍼 요소로부터 압력 유체가 나오는 경우에 밀봉 요소에 의한 유효한 밀봉이 이루어진다.
하나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이 밀봉 요소의 반경 방향 외측 가장자리에는 본질적으로 원주 방향 밀봉립이 구비되며, 이 밀봉립은 댐퍼 요소의 정상 작동 중에 거의 완전히 홈의 내벽에 접촉하고, 홈은 유동 방향으로 볼 때 밀봉립의 앞과 뒤의 공간으로 분할된다.
밀봉 요소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이 밀봉립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그 결과 홈의 내벽이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경우에 밀봉립과 내벽 사이에 구조상으로 미리 주어진 통과 개구가 형성된다.
밀봉 요소의 특별히 바람직한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밀봉립은 본질적으로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밀봉립의 외경은 댐퍼 요소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본질적으로 원통형 홈의 내경보다 크다. 이것으로 인하여 밀봉립은 조립된 상태에서 홈의 내벽에 압축력을 가지고 압착되는 것이 보장된다.
밀봉립의 앞과 뒤에서 홈의 양 공간의 압력 상쇄가 행하여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과 개구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댐퍼 요소의 파열에 의하는 것과 같은 고장의 경우에는, 밀봉립의 앞의 공간내에 한 방향으로 작동하는 유체 압력에 의하여, 밀봉립이 댐퍼를 둘러싸고 있는 홈의 내벽과 함께 원주상의 밀봉을 형성하도록 통과 개구를 형성하고 또한 밀봉립의 탄성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댐퍼 요소의 파열후에는, 밀봉립이 홈의 내벽에 확실하게 가압되며 이것에 의하여 압력 균등화 개구가 폐쇄되는 것을 보증하는 간단한 해결책이 제안되었다. 이 경우에 상기 감쇄작용은 실로 상당한 정도로 손실되지만, 진동 댐퍼에서 제어 압력이 유지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진동 댐퍼가 고장 나더라도 직접적으로는 변속기의 고장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태양에 따르면, 밀봉 요소는 탄성의 원반형 판으로 형상되어 있으며 댐퍼 요소와는 중앙에서 결합한다.
이 경우에 상기 밀봉 요소는 진동 댐퍼의 정상적인 작동 동안에 홈의 내벽과 바로 접촉하지는 않으며, 그 결과로 밀봉 요소 앞의 공간은 밀봉 요소 뒤의 공간과 연통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서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는 밀봉 요소의 앞과 뒤의 양 공간들 사이의 압력 상쇄가 행하여질 수 있으며 댐퍼 요소의 팽창으로 인하여 전방 공간으로부터 배출된 공기체적은 유리하게는 압력 균등화 개구를 통하여 후방의 공간으로부터 일출할 수 있다.
밀봉 요소 자체와 댐퍼 요소에의 밀봉 요소의 결합은 상기한 밀봉 요소가 고장나는 경우에 압력 상쇄 개구를 폐쇄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져 있다. 예를 들면 댐퍼 요소와 밀봉 요소 사이의 대체로 목형상인 중심 연결편이 한 방향으로부터 밀봉 요소에 가해지는 액체 압력에 의하여 연장되고 밀봉 요소가 홈의 밀봉면에 대하여 가압되는 것에 의하여 전술한 밀봉을 수행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이 밀봉 요소는 유연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결과로 그의 반경방향의 외측의 영역이 일 방향 유체압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홈의 환형의 밀봉면에 대하여 가압되고 이로써 압력 균등화 개구를 폐쇄한다.
밀봉 요소와 댐퍼 요소는 별도의 구성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결함있는 부품의 교환이나 상이한 재료로 된 2 개의 부품을 별도로 제조하는 것이 단순하게 이루어지며, 그 결과로 밀봉 요소 또는 댐퍼 요소로서의 용도에 따라 가장 적합한 재료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 밀봉 요소와 댐퍼 요소는 예를 들면 탄성 중합체로 일체로 제조할 수 있다. 일체로 형성함에 의하여 특히 비용면에서 유리한 밀봉 요소와 댐퍼 요소의 제조가 제안된다.
도 1은 본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댐퍼 요소와 반구형 밀봉 요소를 구비하는 진동 댐퍼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2-2선에 따르는 진동 댐퍼의 횡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표현에 유사하나 선택적인 판형 밀봉 요소를 구비한 진동 댐퍼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밀봉 피스톤과 원추형 댐퍼 요소를 구비한 선택적인 구성 형태로 된 진동 댐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장점 그리고 이용가능성은 도면들에서 더 자세히 표현되어 있는 실시예들의 다음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든 기재된 그리고/또는 도면으로 표현된 특징들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의미있는 조합에서 청구항 및 당해 본문에 기재된 그 요지와 무관하게 본 발명의 대상을 형성한다.
진동 댐퍼(1)의 제 1 실시형태(도 1, 도 2)는 대체로 밀봉 요소(7)와 댐퍼 요소 (3)로부터 되어 있다. 밀봉 요소는 예를 들면 자동차 변속기의 케이싱(9)의 홈(11) 안으로 삽입되어 있다. 댐퍼 요소(3)는 본질적으로 중공 원통형 중심 부분(5)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 중심부분의 개방된 단부에는 대략 플랜지 형상의 대(4)를 구비하며, 이 대는 케이싱(9) 내에서 덮개(1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타측 단부에 놓여 있는 댐퍼 요소(3)는 본질적으로 반구형 닫혀진 저면(6)을 구비하며 이로써 댐퍼 요소(3)의 대략 원통형의 내부 공간(8)을 형성한다. 저면(6)의 외측상에는 본질적으로 반구형 밀봉 요소(7)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 밀봉 요소는 중앙에서 댐퍼 요소(3)와 결합한다.
댐퍼 요소(3)는 상기 홈(11)의 내벽에 대하여 반경 방향의 간격을 가지고 이 홈속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밀봉 요소(7)는 특히 밀봉 요소의 반경 방향 외측 가장자리에서 밀봉립을 구비하고 대체로 상기 홈(11)의 내벽에 접하고 있다. 압력(P)이 가해지는 유체를 댐퍼 요소(3)의 내부 공간(8) 속으로 들여 보내기 위하여 덮개(10)에는 예를 들면 스로틀(12)의 형태로 된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유동방향에서 보아서 반대방향에 놓여있는 홈(11)의 전면에는 예를 들면 구멍의 형태로 된 압력 균등화 개구(13)가 설치되어 있다. 댐퍼 요소의 정상적인 작동 중에는 댐퍼 요소(3)의 내부 공간(8)에 있는 유체의 압력상승의 경우에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중앙 부분(5)은 외측을 향하여 팽창하고 이로써 밀봉 요소(7)의 상부에서 공간(15)의 체적은 축소한다. 그렇게 공간(15)으로부터 배출된 체적은 반경 방향으로 외측에 놓여 있는 밀봉립(7)에 있는 양 통과 개구들(14)을 통하여 밀봉립의 하부의 공간(16)속으로 눌려진다. 이것으로 인하여 양 공간(15, 16) 사이의 압력 평형이 행하여지며, 여기서 이 공간(16)은 압력 균등화 개구(13)를 통하여 주위와 연결된다. 상기 통과 개구(14)는 밀봉 요소(7)에 대하여 예를 들면 정반대 쪽에 배열되어 있다.
이제 고장의 경우에 예를 들면 댐퍼 요소(3)의 중앙 부분(5)의 벽이 찢어지거나 파열되고 압력이 걸린 유체가 밀봉 요소(7)의 위쪽의 공간(15) 내부로 밀려 들어온다면, 밀봉립의 작은 크기의 2 개의 통과 개구들(14)에 의하여 난류가 발생하며, 이 난류는 밀봉립(7)이 홈(11)의 내벽과 접촉하도록 한다. 상기 차단 기능으로 인하여 한편으로는 댐핑 작용이 상당히 손실되지만, 다른 한편으로 댐퍼 요소들(3)의 내부 공간(8)에서 제어 압력과, 내부 공간에 연결된 유압제어 회로에서의 제어 압력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변속기 고장이 바람직하게도 방지될 수 있다.
하나의 선택적인 구성(도 3)에 따르면, 돌출 플랜지(18)와 중간 부분(19) 및 저면(20)을 가지는 댐퍼 요소(17)는 본질적으로 도 1에서의 도시에 상응한다. 상기 댐퍼 요소(17)는 하우징(24)의 홈(25)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여기서 홈(25)은 그 일측 단부에서 스로틀(27)을 갖춘 덮개(26)를 구비하고, 타측 단부에서 압력 균등화 개구(28)를 갖추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구성의 중요한 차이는, 밀봉 요소(21)가 본질적으로 원반형 판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판은 중앙에 배열된 넥크(22)에 의하여 댐퍼 요소(17)의 저면(20)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밀봉 요소(21)는 조립된 상태에서 그리고 댐퍼 요소(17)의 정상적인 작동 중에, 즉 예를 들면 중간 부분(19)에 틈새가 생기지 않은 동안에, 밀봉 요소(21)와 홈(25)의 내벽 사이에 주위의 틈새(29)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밀봉 요소(21)의 상부의 공간(30)과 압력 균등화 개구(28) 사이의 압력 상쇄를 위한 연결이 만들어진다. 고장의 경우에는, 즉 예를 들면 댐퍼 요소(17)의 중간 부분(19)의 파열에 의하여 공간(30)에서 압력이 상승되며, 여기서 밀봉 요소(21)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의 링형상의 범위는 마찬가지로 하우징(24)내에서 홈(25)의 마찬가지로 링형상의 밀봉면에 대하여 가압된다, 이것으로 인하여 댐퍼 요소(17)의 내부 공간(23) 내지 공간(30)은 대기압에 대하여 닫혀진다. 이 경우에 댐퍼 요소(17)의 감쇄 작용은 상실되나 유압제어 회로에서의 제어압은 유지될 수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변속기 고장은 방지된다.
또 다른 구성(도 4)에서는 대체로 원통형의 피스톤(32)으로서 밀봉 요소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었으며 이 피스톤은 하우징(34) 내에 피스톤 구멍(41)의 내벽에 대하여 밀봉한다. 이 피스톤(32)은 한편으로 하우징(35)에서 스로틀(36)을 거쳐서 압력으로 채워지며, 그 결과로 피스톤(32)은 홈(37)에서 압력 균등화 개구(40)로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압력 균등화 개구(40)는 스로틀(36)에 반대편에 놓여있는 홈(37)의 전면측에 배열되어 있다. 유동방향에서 보아서 피스톤(32)의 뒤에 존재하는 공간(39)에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구의 형태인 댐퍼 요소(31)가 배열되어 있다. 이 구는 원추형 구멍(33)에 의하여 피스톤(32)의 전면 상에 중심이 맞추어진다. 유동방향으로 보아서 피스톤(32) 이전에 존재하는 공간(38)의 압력을 채움에 의하여 댐퍼 요소(31)는 접하고 있는 유체압에 의존하여 압축된다. 이것에 의하여 공간(39)으로부터 구축된 공기체적은 압력 균등화 개구(40)를 통하여 하우징(34)으로 부터 일출할 수 있다.
피스톤(32)과 피스톤을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34)은, 바람직하게도 근사적으로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가지는 재료로 되어 있으며, 즉 이 피스톤(32)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라이톤이라는 합성 수지로부터 제조되며, 하우징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그 결과로 역시 수축 댐퍼의 가열시에도 피스톤(32)은 끊임없이 확실하게 피스톤 구멍(41)에 대하여 밀봉한다. 원추형 댐퍼 요소(31)는 바람직하게도 특히 NBR과 같은 탄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서 댐퍼의 탄성 중합체가 부서지거나 파열되는 댐퍼 요소의 가능한 고장의 경우에는 이로써 한편으로는 댐핑 작용이 손상되지만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피스톤(32)에 의하여 진동 댐퍼의 밀봉 기능이 보증된다. 그 결과로 유압식 제어 회로에서 제어압력이 유지될 수 있으며 변속기 고장이 피하여 진다.
본 발명의 진동 댐퍼는 밸브내에서 제어압의 조절을 위하여 그리고 유체의 진동의 감쇄를 위하여 자동차의 변속기 내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4)

  1. 하우징의 홈(11, 25, 37) 내에 배치되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댐퍼 요소(3, 17, 31)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9, 24, 34)은 압축 유체를 댐퍼 요소로 공급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는, 특히 자동차 변속기용 유압식 제어 회로와 같은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 진동의 감쇄를 위한 진동 댐퍼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9, 24, 34)은 압력 균등화 개구(13, 28, 40)를 구비하며, 진동 댐퍼(1)는 밀봉 요소(7, 21, 32)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요소는 댐퍼 요소(3, 17, 31)의 고장시에 압력 균등화 개구(13, 28, 40)를 폐쇄하여 유압 시스템의 기능을 보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유체를 댐퍼 요소(3, 17, 31)로 공급하기 위한 개구는 스로틀(12, 27, 36)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7, 21, 32)와 댐퍼 요소(3, 17, 31) 중 하나 이상은 홈(11, 25, 37)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와 압력 균등화 개구(13, 28, 40)는 홈(11, 25, 37)의 대향하는 단부들에 배치되며, 상기 홈(37) 내에서 밀봉 요소(32)는 압축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댐퍼 요소(31)는 압력 균등화 개구(40)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는 원통형 피스톤(32)으로서 그리고 홈(37)은 피스톤 구멍(41)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32)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피스톤 구멍(41) 내에서 안내되고, 상기 피스톤(32)의 원통형 외면은 피스톤 구멍(41)의 원통형 내벽에 대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2)의 하나 이상의 단부에는 댐퍼 요소(31)의 중심 조정을 위한 홈(3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요소(31)는 구로서 형성되며, 상기 구의 직경은 피스톤(32) 또는 피스톤 구멍(41)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2)과 하우징(34)은 동일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2)은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하우징(34)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요소(31)는 탄성 중합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요소(3, 17)는 홈(11, 25) 내에서 압축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밀봉 요소(7, 21)는 홈(11, 25) 내에서 압력 균등화 개구(13, 28)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요소(3, 17)는 상기 댐퍼 요소(3, 17)의 내부 공간(8, 23) 내에 유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일측 단부는 개방되고 타측 단부는 닫혀진 중공 원통형의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구성 부품(5, 19)으로 구성되며, 상기 밀봉 요소(7, 21)는 탄성의 원반형, 원환형, 판형, 원추형, 반구형 또는 그와 유사하게 형성된 구성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댐퍼 요소(3, 17)의 닫혀진 단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7, 21)의 원추형 또는 반구형 개구는 댐퍼 요소(3, 17)의 개방된 단부와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7)의 반경 방향 외측 가장자리에는 원주 방향 밀봉립이 구비되며, 상기 밀봉립은 댐퍼 요소(3)의 작동 중에 홈(11)의 내벽에 접촉하고, 상기 홈(11)은 스로틀(12)로부터 압력 균등화 개구(13)로 향하는 유동 방향으로 볼 때 각각 밀봉립(7)의 앞과 뒤에 있는 공간(15, 16)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립은 타원형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립(7)은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봉립(7)의 외경은 댐퍼 요소(3)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통형 홈(11)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밀봉립(7)은 상기 밀봉립(7)의 앞과 뒤에서 홈(11)의 2개의 공간(15, 16)의 압력 균등화를 위한 하나 이상의 통과 개구(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요소(3)의 고장시에 밀봉립(7)이 상기 밀봉립(7)의 앞쪽 공간(15)의 일방향 유체압(P)에 의하여 댐퍼 요소(3)를 둘러싸는 홈(11)의 내벽과 함께 원주형의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통과 개구(14)가 형성되고 밀봉립(7)의 탄성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21)는 탄성의 원반형 판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댐퍼 요소(17)와 중심부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19. 제18항에 있어서,
    진동 댐퍼가 정상 작동하는 동안에는, 상기 밀봉 요소(21)가 홈(25)의 내벽과 접촉하지 않아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밀봉 요소(21) 앞쪽의 공간(30)은 밀봉 요소(21) 뒤쪽의 공간 및 압력 균등화 개구(28)와 연통되고, 상기 진동 댐퍼가 고장일 때에는, 상기 밀봉 요소(21)가 일방향 유체압에 의해서 압력 균등화 개구(28)를 폐쇄하며, 상기 밀봉 요소(21)의 최소한 반경 방향 외측 영역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홈(25)의 환형 밀봉면에 대하여 눌려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32)와 댐퍼 요소(31)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7, 21)는 댐퍼 요소(3, 17)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21)의 최소한 반경 방향 외측 영역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며 홈(25)의 환형 밀봉면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2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32)와 댐퍼 요소(31)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7, 21)는 탄성 중합체로 형성된 댐퍼 요소(3, 17)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댐퍼.
KR1020017007171A 1998-12-09 1999-12-03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 댐퍼 KR100632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6697.2 1998-12-09
DE19856697A DE19856697C2 (de) 1998-12-09 1998-12-09 Schwingungsdämpfer zur Dämpfung von Flüssigkeits-Schwingungen in einem hydraulische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726A KR20010080726A (ko) 2001-08-22
KR100632028B1 true KR100632028B1 (ko) 2006-10-04

Family

ID=789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171A KR100632028B1 (ko) 1998-12-09 1999-12-03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 댐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69309B1 (ko)
EP (1) EP1137562B1 (ko)
JP (1) JP4354119B2 (ko)
KR (1) KR100632028B1 (ko)
DE (2) DE19856697C2 (ko)
WO (1) WO2000034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7854A1 (de) * 2003-04-16 2004-11-04 Volkswagen Ag Druckspeicher einer hydraulischen Steuer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höhung der Betriebssicherheit eines Druckspeichers
GB0420890D0 (en) * 2004-09-21 2004-10-20 Ap France S A Hydraulic actuators
DE102005028562A1 (de) * 2005-04-20 2006-10-2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kaggregat
US20100264348A1 (en) * 2009-04-20 2010-10-21 Food Global Technologies LLC Dynamic Bore Plug Assembly
KR101350847B1 (ko) * 2012-02-22 2014-01-24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 시스템의 압력 완충장치
DE102012012971A1 (de) 2012-06-29 2014-04-17 Lucas Automotive Gmbh Dämpfungselement für eine Kraftfahrzeug-Hydraulikanlage
US9481401B2 (en) * 2014-05-09 2016-11-01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Adjustable and flexible damper structure for instrument clusters
DE102015209468A1 (de) * 2015-05-22 2016-11-2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Anordnung zum Schutz von Elektronik gegenüber Störstrahlung
KR102443094B1 (ko) * 2015-10-05 2022-09-14 주식회사 만도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
CN107870292B (zh) * 2016-09-26 2020-03-03 创意电子股份有限公司 减震元件及应用其的晶片测试装置
DE102019212350A1 (de) * 2019-08-19 2021-04-01 Robert Bosch Gmbh Bremssystemdämpfvorrichtung mit einem Durchlass in einem Trennelement
DE102019215988A1 (de) * 2019-10-17 2021-04-2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Pulsationsdämpf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91159C (de) * 1927-04-13 1930-02-07 Rudolf Weber Stopfbuechse
US3433330A (en) * 1967-12-15 1969-03-18 George W Murray Safety device for hydraulic brake systems
DE2438978A1 (de) * 1974-08-14 1976-02-26 Adalbert Freyler Teleskopstossdaempfer, insbesondere kompressions- bzw. luftkissenstossdaempfer
US4998609A (en) * 1990-01-16 1991-03-12 Automotive Products Plc Damper for hydraulic clutch actuator
US5265942A (en) * 1990-03-12 1993-11-30 Jones Ed F Variable response fluid brake system regulators
DE4032875A1 (de) * 1990-10-17 1992-04-23 Teves Gmbh Alfred Hydraulikspeicher fuer eine hydraulische anlage, insbesondere bremsanlage
US5540486A (en) * 1993-12-07 1996-07-30 Kelsey-Hayes Company Anti-lock brake system noise attenuator
US5720474A (en) * 1995-04-17 1998-02-24 Sugiyama; Kazuo Shock absorbing mechanism of displacement for stick, leg, etc.
DE19524921B4 (de) * 1995-07-08 2006-08-31 Robert Bosch Gmbh Schwingungsdämpfer zur Dämpfung von Flüssigkeitsschwingungen in einem hydraulischen, schlupfgeregelten Bremssystem von Kraftfahrzeugen
DE19538615B4 (de) 1995-10-17 2007-11-1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sche Bremsanlage mit Pulsationsdämpfer
DE19539779A1 (de) 1995-10-26 1997-04-30 Bosch Gmbh Robert Speicherkammer für Bremmsflüssigkeit einer hydraulischen Fahrzeug-Bremsanlage
DE19544221A1 (de) * 1995-11-28 1997-06-05 Bosch Gmbh Robert Dämpfer, insbesondere zur Dämpfung von Druckschwankungen in Bremsflüssigkeit hydraulischer Fahrzeugbremsanlagen
US5682923A (en) * 1996-09-30 1997-11-04 Caterpillar Inc. Accumulator having an internal elastomeric member
US5992948A (en) * 1997-04-14 1999-11-3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Plastic piston
US5967623A (en) * 1997-06-13 1999-10-19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Pre-loaded elastomeric accumulator for hydraulic system
FR2780369B1 (fr) * 1998-06-26 2000-08-18 Bosch Syst Freinage Capacite hydraulique a absorption controlee en pre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726A (ko) 2001-08-22
DE19856697A1 (de) 2000-06-15
EP1137562B1 (de) 2003-05-14
EP1137562A1 (de) 2001-10-04
US6669309B1 (en) 2003-12-30
JP2002531791A (ja) 2002-09-24
DE59905587D1 (de) 2003-06-18
WO2000034096A1 (de) 2000-06-15
DE19856697C2 (de) 2001-02-22
JP4354119B2 (ja)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2028B1 (ko) 유압 시스템에서 유체 진동을 감쇄하기 위한 진동 댐퍼
CA2380795C (en) Primary rod and piston seal
US5167419A (en) Fluid seal with integral check valve
US4527673A (en) Multi-purpose fluid seal for movement control dampers and the like
US4790520A (en) Vibration insulating device with flexible diaphragm between radially outer gas chamber and radially inner liquid chamber
US11255404B2 (en) Anti-vibration device
US6622832B2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4826126A (en) Fluid-filled elastic mounting structure
KR940002890B1 (ko) 자동차 축받이용의 수력학적 감쇠작용(水力學的 減衰作用)을 갖는 스리브상 고무탄성체
US4830346A (en) Hydraulically damped elastic mounting
US5516083A (en) Sleeve rubber spring for mounts in a motor vehicle
US5340093A (en) Hydraulically damped rubber bearing
US5758880A (en) Self piloting seal head assembly
JP4041138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US4880215A (en) Fluid-filled elastic mounting structure
KR19980081159A (ko) 유체 유량 제어 밸브
JP2007071314A (ja) 防振装置
JP3763024B1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3678253B2 (ja) 液体封入式マウント
GB2142118A (en) Foam prevention in a double-tube vibration damper
JP2019215052A (ja) 防振装置
JP6207866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JP4792417B2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3118492U (ja) アキュムレータ
JPH0632481Y2 (ja) フリーピストン式アキュム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