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390B1 -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390B1
KR100631390B1 KR1020060052650A KR20060052650A KR100631390B1 KR 100631390 B1 KR100631390 B1 KR 100631390B1 KR 1020060052650 A KR1020060052650 A KR 1020060052650A KR 20060052650 A KR20060052650 A KR 20060052650A KR 100631390 B1 KR100631390 B1 KR 100631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ocking
base frame
whole body
rotat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철
Original Assignee
시몬통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몬통상(주) filed Critical 시몬통상(주)
Priority to KR1020060052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390B1/ko
Priority to US11/571,765 priority patent/US20080300520A1/en
Priority to JP2007542945A priority patent/JP2008503330A/ja
Priority to CN200680000611XA priority patent/CN101060890B/zh
Priority to PCT/KR2006/004403 priority patent/WO2007052920A1/en
Priority to EP06812244A priority patent/EP1942996A1/en
Priority to TW95149049A priority patent/TWI331540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지방을 분해하면서 전신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패널(54) 및 손잡이(56)가 장착된 포스트(52)가 일측에 마련되고, 수평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50);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일측에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체(60); 상기 구동체(6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50)상에서 수직상태로 회전하는 회전드럼(71); 상기 회전드럼(71)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73); 상기 회전드럼(71)과 함께 회전하면서 두께(T, t) 편차에 의해 기복을 제공하는 롤링디스크(75); 상기 롤링디스크(75)에 안착되어 기복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드럼(77); 상기 요동드럼(77)을 상기 롤링디스크(75)상에 안착시키는 안착수단; 상기 요동드럼(77)에 연결되는 수평발판(8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73)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0)상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드럼(71)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축(73a) 및; 상기 관통축(73a)에 끼워져서 회전하는 상기 회전드럼(71)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니들베이링(73b);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발명은 체지방분해 및 전신근력강화에 필요한 요동운동을 제공한다.
요동, 운동, 니들, 베어링, 회전

Description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 EXERCISE MACHINE FOR DISINTEGRATION OF PHYSICAL FAT AND REINFORCEMENT OF PHYSICAL STRENGTH }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동기구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운동기구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요동제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요동제한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4의 운동기구에 부착되는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시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베이스프레임 52 : 포스트
54 : 제어패널 56 : 손잡이
58 : 철봉대 60 : 구동체
62 : 구동모터 64 : 벨트
71 : 회전드럼 73 : 고정부재
73a : 관통축 73b : 니들베어링
75 : 롤링디스크 75a : 중심축
77 : 요동드럼 80 : 수평발판
92 : 수직봉 94, 96 : 연결띠
ST : 시트
본 발명은 인위적으로 운동을 실행시키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체지방을 분해하면서 전신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등록된 등록 제550052호(명칭: 근력강화운동기구,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 개시된 운동기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체지방분해 및 전신근력강화에 필요한 운동을 제공하는 운동기구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운동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이스부(14)의 수평발판(16)이 요동을 하면서 사용자를 인위적으로 운동시킨다. 이때, 수평발판(1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장치(20)에 의해 요동한다.
여기서, 전술한 구동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2)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하부축(22), 회전드럼(24), 롤링디스크(26) 및 요동드럼(28)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벨트(BT)에 의해 회전드럼(24)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M)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장치(20)는 회전드럼(24)이 회전되면, 경사진 두께(T)를 갖는 롤링디스크(26)가 함께 회전한다. 이에 따라, 수평발판(16)에 연결되고 롤링디스크(26)상에 안착된 요동드럼(28)은, 롤링디스크(26)가 경사진 두께(T)에 의해 기복을 형성하면서 회전함에 따라 롤링디스크(26)상에서 요동한다. 따라서, 요동드럼(28)에 연결된 수평발판(16)은 요동한다. 이때, 수평발판(16)은 단부측에 설치된 스프링(19)에 의해 요동폭이 제한된다. 즉, 스프링(19)은 수평발판(16)의 과도한 요동을 방지한다.
여기서, 전술한 회전드럼(24) 및 요동드럼(28)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볼베어링(29)에 의해 내주면이 지지된다. 따라서, 회전드럼(24) 및 요동드럼(28)은 볼베어링(29)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하거나 요동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운동기구는 수평발판(16)이 요동드럼(28)에 의해 사방으로 요동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평발판(16)상에서 중심을 잡으면서 인 위적으로 운동을 실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신근력을 움직이므로 체지방이 분해되는 동시에 전신근력이 강화된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운동기구는 사용자를 인위적으로 운동시키는 장치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을 등록받은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전술한 종래기술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시키면서 하중지지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약 6개월의 연구 끝에 본 발명을 개발함에 따라 본 발명을 출원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출원인은 종래기술을 개량발명하여 본 발명을 출원하게 되었다.
다른 한편, 도 1의 미설명부호 14a는 베이스부(14)에 설치된 포스트이고, 14b는 이 포스트(14a)에 지지되는 손잡이이며, 14c는 이 손잡이(14b)의 단부측 상부에 설치된 제어패널이고, R은 이 제어패널(14c)의 일부기능을 원격조정할 수 있는 전술한 손잡이(14b)에 설치된 리모컨이다. 그리고, 도 2의 미설명부호 BR은 전술한 구동모터(M)를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지지하는 브래킷이다.
본 발명은 회전드럼 및 요동드럼의 내주면이 축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합성하중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사방으로 요동하는 수평발판으로부터 가해지는 합성하중을 강직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하중을 강직하게 지지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비금속성 탄성재가 요동드럼을 부분적으로 구속하여 수평발판의 요동 폭을 소음 없이 안정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아울러, 요동운동 뿐만 아니라 상부근력의 강화에 필요한 운동도 실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희적인 형태의 운동도 실시할 수 있는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는, 제어패널 및 손잡이가 장착된 포스트가 일측에 마련되고,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체; 상기 구동체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상에서 수직상태로 회전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하면서 두께편차에 의해 기복을 제공하는 롤링디스크; 상기 롤링디스크에 안착되어 기복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드럼; 상기 요동드럼을 상기 롤링디스크상에 안착시키는 안착수단; 상기 요동드럼에 연결되어, 탑승한 사용자의 체지방 분해 및 전신근력강화에 필요한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요동하는 수평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상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드럼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축 및; 상기 관통축에 끼워져서 회전하는 상기 회전드럼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니들베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운동기구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구동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는, 제어패널(54) 및 손잡이(56)가 장착된 포스트(52)가 일측에 마련되고, 커버(51)에 의해 차폐되는 베이스프레임(50)을 포함한다. 이때, 손잡이(5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52)에 연결되며, 파지가 용이하도록 베이스프레임(50)의 타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어패널(54)은 손잡이(56)의 단부에 위치한 포스트(52)의 상단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구동장치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베이스프레임(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수평발판(80)이 유동가능하도록 노출상태로 배치되며, 내부에는 후술되는 구동장치가 실장된다. 물론, 구동장치는 커버(51)에 의해 은폐된다. 물론, 커버(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발판(80)의 유동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커버(51)는 수평발판(80)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도면상 하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돔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손잡이(5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리모컨(R)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컨(R)은 전술한 제어패널(54)의 일부기능을 원격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온/오프(ON/OFF) 기능이나 속도조절을 원격조정할 수 있도 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손잡이(56)의 단부측에는 철봉운동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철봉대(58)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동기구는 철봉운동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철봉대(58)는 손잡이(56)가 아닌 포스트(52)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사용시 손잡이(56)상에서 무게중심을 이루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6)의 단부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철봉대(58)는 도면상 상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철봉대(58)를 분리가능하게 구성하면, 사용자의 키에 따라 철봉대(5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상 미설명부호 58a 및 58b는 끼워지도록 구성된 전술한 철봉대(58)의 하부봉 및 상부봉이고, H는 이 하부 및 상부봉(58a, 58b)에 형성된 체결공이며, P는 이 체결공(H)에 체결되는 체결핀이다. 즉, 철봉대(58)는 서로 대응하는 체결공(H)이 제각기 형성된 하부 및 상부봉(58a, 58b)과 체결핀(P)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철봉대(58)는 도면상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봉(58b)이 하부봉(58a)에 끼워져서 승강한다. 이때, 상부 및 하부봉(58b, 58a)에 형성된 체결공(H)은 일치되며, 체결핀(P)은 일치된 체결공(H)에 체결되면서 상부봉(58b)을 고정시킨다. 따라서, 철봉대(58)는 높이가 조절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프레임(50)은 복수개의 강관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태로 구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는 상부면을 제 공한다. 물론, 베이스프레임(50)은 도시된 바와 달리, 두께가 두꺼운 금속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베이스프레임(50)은 울림이나 휨변형이 최소화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강관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베이스프레임(50)상에는 전술한 제어패널(54)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동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체(60); 회전드럼(71): 고정부재(73); 롤링디스크(75); 요동드럼(77); 안착수단 및; 수평발판(8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구동장치의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구동체(6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BR)에 의해 베이스프레임(50)의 일측에 부양상태로 설치되는 구동모터(62) 및 이 구동모터(62)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벨트(64)를 포함한다. 이때, 벨트(64)의 마찰면에는 도면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돌기(64a)가 형성된다. 이러한 벨트(64)는 후술되는 회전드럼(71)에 와인딩되어 구동모터(62)의 구동력을 회전드럼(71)에 전달한다. 따라서, 회전드럼(71)은 회전된다.
다음, 전술한 회전드럼(71)은 후술되는 고정부재(73)의 관통축(73a)에 장착되어 전술한 벨트(64)에 의해 수직상태로 회전한다. 물론, 회전드럼(7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축(73a)이 관통되는 관통공(71b)을 갖는다. 따라서, 관통축(73a)은 관통공(71b)에 삽입된다.
또한, 회전드럼(71)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64)의 돌기(64a)가 삽입되는 돌기홈(71a)이 형성된다. 따라서, 벨트(64)는 회전드럼(71)에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로 회전한다.
그 다음, 전술한 고정부재(73)는 예커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50)에 볼팅고정되는 관통축(73a) 및, 이 관통축(73a)에 끼워지는 니들베이링(73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관통축(73a)은 베이스프레임(50)상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랜지(P)를 갖는다. 하지만, 볼트가 베이스프레임(50)의 하부를 관통하여 베이스프레임(50)상의 관통축(73a)에 체결될 경우, 전술한 플랜지(P)는 생략이 가능하다.
또한, 관통축(73a)은 도시된 바와 같은 단턱(S)을 갖는다. 이러한 단턱(S)은 전술한 니들베이링(73b)의 하단을 지지한다.
아울러, 관통축(73a)은 상단에 환형홈(G)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환형홈(G)에는 후술되는 스넵링(74c)이 체결된다. 스넵링(74c)은 니들베이링(73b)이 관통축(73a)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니들베이링(73b)은 수평발판(80)에서 합성하중에 가해질 경우, 이 합성하중을 지지하면서 자동조심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테이퍼를 갖는다. 즉, 니들베어링(73b)은 자동조심 테이퍼 니들베이링이다.
이러한, 니들베이링(73b)의 하부 및 상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은 홈형링(74a) 및 베어링캡(74b)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통축(73a)에 홈형링(74a)과 니들베이링(73b) 및 베어링캡(74b)을 순차적으로 끼워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홈형링(74a)은 니들베어링(73b) 및 베어링캡(74b)의 하부를 지지 한다. 그리고, 베어링캡(74b)은 니들베어링(73b)을 차폐하여 보호한다. 물론, 베어링캡(74b)은 니들베어링(73b)의 외륜으로 작동할 수 있다. 즉, 베어링캡(74b)은 니들베이링(73b)의 외주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베어링캡(74b)은 내주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베어링(73b)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공(IH)을 갖는다. 따라서, 베어링캡(74b)은 니들베어링(73b)의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계속해서, 전술한 롤링디스크(7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의 판재이다. 이러한 롤링디스크(7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두께(T, t)차로 인하여 경사형성되며, 전술한 회전드럼(71)의 상부면에 볼팅고정되어 회전드럼(71)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롤링디스크(75)는 경사형성됨에 따라 기복을 형성하면서 캠동작을 실시한다. 즉, 롤링디스크(75)는 원판캠이다.
이어서, 전술한 요동드럼(77)은 전술한 회전드럼(71)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롤링디스크(75)상에 안착되어 요동한다. 즉, 요동드럼(77)은 회전되지 않고 롤링디스크(75)상에서 요동만 한다. 이러한 요동드럼(77)은 수평발판(80)의 요동이 가능하도록 상단부가 전술한 커버(51)상으로 돌출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안착수단은 전술한 요동드럼(77)을 전술한 롤링디스크(75)상에 안착시킨다. 이러한 안착수단은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롤링디스크(75)상에 중심축(75a)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중심축(75a)은 전술한 요동드럼(77)의 관통공(77b)에 삽입된다. 따라서, 요동드럼(77)은 롤링디스크(75)상에 구속되면서 안착상태를 유지한다. 즉, 요동드럼(77)은 요동되어도 중심축(75a)에 의해 롤링디스크(75)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때, 중심축(75a)에는 요동드럼(77)의 내주면이 지지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홈형링(74b)과 니들베이링(73b)과 베어링캡(74b) 및 스넵링(74c)를 순차적으로 끼울 수 있다. 이러한, 홈형링(74b)과 니들베이링(73b)과 베어링캡(74b) 및 스넵링(74c)은, 전술한 베이스프레임(50)상의 관통축(73a)에 끼워지는 홈형링(74b)과 니들베이링(73b)과 베어링캡(74b) 및 스넵링(74c)과 동일한 것이다. 물론, 중심축(75a)에는 전술한 관통축(73a)과 동일한 단턱(S) 및 환형홈(G)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수평발판(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요동드럼(77)상에 볼팅고정된다. 물론, 수평발판(80)은 요동드럼(77)의 상단부가 전술한 커버(51)의 상부로 노출되므로,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1)의 상부에 위치한다. 즉, 수평발판(80)은 요동드럼(77)의 상부에 고정됨에 따라 전술한 커버(51)의 상부로 노출된다.
한편, 전술한 요동드럼(77)의 요동폭은 요동제한부재에 의해 제한된다. 이러한 요동제한부재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50)상에 볼팅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봉(92) 및 이 수직봉(92)에 결합되는,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재질의 탄성재 연결띠(9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연결띠(9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및 중간부분이 수직봉(92) 및 요동드럼(77)에 와인딩되며, 정지나사(SC)에 의해 수직봉(92) 및 요동드럼(77)에 고정된다. 즉, 정지나사(SC)는 연결띠(94)를 관통해서 수직봉(92) 및 요동드럼(77)에 제각기 체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띠(94)는 전술한 벨트(64)와 동일하게 내주면에 돌기(94a)가 형성된다. 물론, 요동드럼(77)의 외주면에는 이 돌기와 결합되는 돌기홈(77a)이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홈(77a)은 전술한 회전드럼(71)에 형성된 돌기홈(71a)과 동일하다.
그리고, 전술한 수직봉(92)은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회전드럼(71)과 롤링디스크(75) 및 요동드럼(77)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50)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이때, 요동드럼(77)은 롤링디스크(75)의 중심축(75)에 끼워져서 롤링디스크(75)상에 안착된다. 그리고, 수평발판(80)은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드럼(77)상에 고정된다.
한편, 벨트(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62)의 구동축 및 회전드럼(71)에 긴장상태로 와인딩된다. 그리고, 연결띠(94)는 요동드럼(77) 및 수직봉(92)에 긴장상태로 와인딩되어 정지나사(SC)에 의해 고정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베어링캡(74b)에 지지되는 니들베어링(73b)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드럼(71) 및 요동드럼(77)의 내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베어링캡(74b)은 관통축(73a) 및 중심축(75a)의 상단에 끼워진 스넵링(74c)에 의해 상부가 지지된다.
한편, 회전드럼(71) 및 롤링디스크(75)는 볼팅고정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를 이룬다. 그리고, 롤링디스크(75)에 안착된 요동드럼(77)은 롤링디스크(75)의 경사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를 형성한다. 따라서, 요동드럼(77)의 상부에 볼팅고정된 수평발판(80)은 경사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의 작동을 첨부된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62)는 벨트(64)를 통해 회전드럼(71)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드럼(71)에 고정된 롤링디스크(75)는 회전드럼(71)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롤링디스크(75)는 경사형성됨에 따라 기복을 형성하면서 회전한다. 따라서, 롤링디스크(75)에 안착된 요동드럼(77)은 롤링디스크(75)의 기복에 의해 요동하면서 수평발판(80)을 요동시킨다.
이렇게, 수평발판(80)이 요동됨에 따라 수평발판(80)에 탑승한 사용자는 중심을 잡기 위해 몸을 움직이면서 운동을 실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요동하는 수평발판(80)에 의한 인위적인 운동으로 인하여 체지방이 분해되면서 전신의 근력이 강화된다.
한편, 요동드럼(77)이 요동될 경우, 긴장상태를 유지하는 연결띠(94)는 신축력을 이용하여 요동드럼(77)의 과도한 요동을 제한한다. 즉, 요동드럼(77)은 연결띠(94)의 신축력에 의해 과도한 요동이 제한된다. 물론, 연결띠(94)는 재질상 특성으로 인하여 소음을 유발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 첨부된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요동제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동제한부재는 전술한 수직봉(92)을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로 구성한 것이 차이점이다. 이때, 수직봉(92)은 도시된 바와 같 이 4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연결띠(94)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수직봉(92)에 와인딩된다.
이러한 수직봉(92)은 긴장된 연결띠(94)가 도시된 바와 같이 나비모양을 형성하도록 베이스프레임(50)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연결띠(94)가 나비모양을 형성하면, 연결띠(94)의 탄성력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이때, 도면상 좌측 하단의 확대도는 브래킷(BR)을 이용하여 수직봉(92)을 고정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수직봉(92)은 브래킷(BR)에 의해 베이스프레임(50)상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상 우측 하단의 확대도는 수직봉(92)을 반원형으로 형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수직봉(9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강관일 수 있다. 물론, 수직봉(92)은 사각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삼각일 수도 있다. 다만, 수직봉(92)은 환상의 연결띠(94)가 와인딩되도록 베이스프레임(5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을 형성하면 족하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요동제한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0은 전술한 요동제한부재를 고무재의 띠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전술한 요동제한부재를 판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2 및 도 13은 전술한 요동제한부재를 로드베이링으로 구성한 사시도 및 사용상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동제한부재는 도시된 바 와 같이 요동드럼(77)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50)에 타단부가 실질적으로 연결되어 긴장상태를 유지하는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재질의 탄성재 연결띠(96)로 구성된다. 이때, 연결띠(96)는 도면상 좌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볼트(B)에 의해 요동드럼(77) 및 베이스프레임(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요동드럼(77)은 연결띠(96)의 탄성력에 의해 요동폭이 제한된다.
이때, 전술한 연결띠(96)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되어 요동드럼(77)의 사방에 대향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2개로 구성되어 요동드럼(77)의 양측에 대향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연결띠(96)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2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연결띠(96)는 설명한 바와 달리 1개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4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면상 우측에 확대 도시된 도면은 전술한 연결띠(96)를 코일형 스프링(97)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요동제한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은 코일형 스프링(97)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술한 요동제한부재는 일직선의 연결띠(96)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코일형 스프링(97)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도 11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요동제한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은 판재형 스프링(9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판재형 스프링(98)은 탄성력이 확보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도면상 하단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S'자 형태로 절곡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상 하단 우측에 확대 도시된 도면은 베이스프레임(50)에 고정되 는 'S'자 모양의 판재형 스프링(98) 하단을 한번 더 절곡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판재형 스프링(98)은 하단이 한번 더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상 상단에 확대 도시된 도면은 판재형 스프링(98)의 탄성력이 보강되도록 판재형 스프링(98)을 양갈래로 분리하여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전술한 판재형 스프링(98)은 도면상 상단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하측이 양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12를 참조하면, 전술한 요동제한부재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베이스프레임(50)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고정부(LB-1) 및 이 고정부(LB-1)에 일단부가 직교상태로 연결되고, 일단부를 중심으로 편축유동하는 유동부(LB-2)를 갖는 볼죠인트 형태의 로드베어링(LB) 및; 이 로드베어링(LB)의 유동부(LB-2)를 전술한 요동드럼(77)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F);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고정부재(F)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드럼(77)의 외주면에 볼팅(B)고정되는 고정브래킷(FB) 및; 이 고정브래킷(FB) 및 전술한 유동부(LB-2)의 타단부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핀(P);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로드베어링(LB)의 유동부(LB-2)는 연결핀(P)에 의해 타단부가 유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유동부(LB-2)의 타단부는 연결핀(P)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13을 참조하면, 로드베어링(LB)은 요동드럼(77)의 요동에 의해 유동부(LB-2)가 유동한다. 즉, 유동부(LB-2)는 요동드럼(77)의 요동에 의해 난운동 한다. 이때, 유동부(LB-2)는 일단 및 타단의 고정부(LB-1) 및 핀(P)에 의해 유동스 트로크가 제한된다. 따라서, 로드베어링(LB)은 요동드럼(77)의 요동폭을 제한한다.
이렇게, 요동제한부재를 로드베어링(LB) 및 고정부재(F)로 구성할 경우, 요동드럼(77)의 표면에 형성된 전술한 돌기홈(77a: 전술한 도 5 참조)은 생략된다. 즉,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요동제한부재는, 내주면에 돌기(94a)가 형성된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띠(94: 전술한 도 5 참조)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돌기홈(77a)이 생략된다.
한편, 도 14는 도 4의 운동기구에 부착되는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시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요동하는 수평발판(80)에는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시트(ST)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ST)는 도시된 바와 같은 기둥(C)을 통해 수평발판(80)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수평발판(80)에 직결될 수도 있다.
이때, 시트(ST)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C)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돌기(CP) 및 수평발판(80)에 마련되어 이 돌기(CP)가 끼워지는 끼움관(P)에 의해 수평발판(80)에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트(ST)는 돌기(CP) 및 끼움관(P)에 의해 수평발판(80)에 설치된다. 따라서, 시트(ST)는 수평발판(80)에 용이하게 착탈된다. 이러한 시트(ST)는 수평발판(80)의 유동시 함께 유동한다.
여기서, 전술한 시트(ST)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형태로 형성된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시트(ST)에 착석한 착석자가 시트(ST)의 유동시 로데오 경기를 하는 것과 같은 유희적인 기분을 느끼면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재미있게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도 15를 참조하면, 기둥(C)을 통해 수평발판(80)에 고정된 시트(ST)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발판(80)에 의해 사방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안장형태의 시트(ST)는 로데오를 하는 것과 같은 요동운동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시트(ST)를 통해 로데오를 하는 것과 같은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트(ST)는 기둥(C)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PL)가 수평발판(80)에 볼팅고정됨에 따라 수평발판(80)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16에 도시된 시트(ST)는 기둥(C)의 하단에 플랜지(PL)가 형성된 것이 전술한 도 14에 도시된 시트(ST)와 다른 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는, 요동식 운동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중심을 잡기 위해 인위적으로 운동하는 동안 체지방이 분해되는 동시에 전신근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니들베어링이 회전드럼 및 요동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일직선으로 지지하므로, 회전드럼 및 요동드럼을 보다 강직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니들베어링의 외주면에 테이퍼를 형성할 경우, 수평발판에서 가해지는 합성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니들베어링의 자동조심이 가능하므로, 안정적인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요동을 실시하는 구동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철봉대를 이용할 경우, 전신근력 뿐만 아니라 상부근력도 함께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철봉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키가 작은 사람도 철봉대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요동제한부재가 요동드럼의 요동폭을 소음 없이 제한하므로, 수평발판의 요동폭을 보다 소프트하게 제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발판의 요동을 훨씬 안정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수평발판상에 시트를 설치할 경우, 사용자가 착석상태로 운동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운동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시트가 요동하므로 배나 허리부분의 체지방을 집중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데오 경기를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제공함에 따라 재미있게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체지방을 분해하면서 전신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에 있어서,
    제어패널(54) 및 손잡이(56)가 장착된 포스트(52)가 일측에 마련되고,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는 베이스프레임(50);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일측에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체(60);
    상기 구동체(6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50)상에서 수직상태로 회전하는 회전드럼(71);
    상기 회전드럼(71)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73);
    상기 회전드럼(71)과 함께 회전하면서 두께(T, t) 편차에 의해 기복을 제공하는 롤링디스크(75);
    상기 롤링디스크(75)에 안착되어 기복에 의해 요동하는 요동드럼(77);
    상기 요동드럼(77)을 상기 롤링디스크(75)상에 안착시키는 안착수단;
    상기 요동드럼(77)에 연결되어, 탑승한 사용자의 체지방 분해 및 전신근력강화에 필요한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요동하는 수평발판(8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73)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0)상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드럼(71)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축(73a); 및
    상기 관통축(73a)에 끼워져서 회전하는 상기 회전드럼(71)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니들베이링(73b);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수단은, 상기 롤링디스크(75)에 상기 요동드럼(77)의 센터부를 관통하는 중심축(75a)을 형성하여, 상기 요동드럼(77)이 상기 롤링디스크(75)상에 구속되면서 안착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롤링디스크(75)의 중심축(75a)에 끼워져서 요동하는 상기 요동드럼(77)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니들베이링(73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베이링(73b)은,
    상기 수평발판(80)에서 가해지는 요동에 의한 합성하중을 지지하면서 자동조심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테이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드럼(77)의 요동폭을 제한하는 요동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제한부재는,
    상기 요동드럼(77)과 이격되는 수직봉(92); 및
    상기 수직봉(92) 및 요동드럼(77)에 양측이 연결되어 긴장상태를 유지하는 탄성재 연결띠(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제한부재는,
    상기 요동드럼(77)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50)에 타단부가 실질적으로 연결되어 긴장상태를 유지하는 탄성재 연결띠(9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제한부재는,
    상기 요동드럼(77)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50)에 타단부가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스프링(97, 9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제한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0)상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고정부(LB-1) 및 이 고정부(LB-1)에 일단부가 직교상태로 연결되고, 일단부를 중심으로 편축유동하는 유동부(LB-2)를 갖는 로드베어링(LB); 및
    상기 로드베어링(LB)의 유동부(LB-2)를 상기 요동드럼(77)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F);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F)는 상기 요동드럼(77)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FB); 및
    상기 고정브래킷(FB) 및 로드베어링(LB)의 유동부(LB-2)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핀(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발판(80)상에서 철봉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상부에 제공되는 철봉대(5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드럼(77)에 의해 요동하는 상기 수평발판(80)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S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20060052650A 2005-11-01 2006-06-12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0631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650A KR100631390B1 (ko) 2006-06-12 2006-06-12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US11/571,765 US20080300520A1 (en) 2005-11-01 2006-10-27 Exercise Machine for Burning Body Fat and Increasing Muscle
JP2007542945A JP2008503330A (ja) 2005-11-01 2006-10-27 体脂肪分解及び全身筋力強化用運動器具
CN200680000611XA CN101060890B (zh) 2005-11-01 2006-10-27 用于燃烧身体脂肪及增强肌肉的健身器
PCT/KR2006/004403 WO2007052920A1 (en) 2005-11-01 2006-10-27 Exercise machine for burning body fat and increasing muscle
EP06812244A EP1942996A1 (en) 2005-11-01 2006-10-27 Exercise machine for burning body fat and increasing muscle
TW95149049A TWI331540B (en) 2006-06-12 2006-12-26 Exercise machine for burning body fat and strengthening mus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650A KR100631390B1 (ko) 2006-06-12 2006-06-12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1390B1 true KR100631390B1 (ko) 2006-10-09

Family

ID=3763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650A KR100631390B1 (ko) 2005-11-01 2006-06-12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3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64B1 (ko) * 2006-10-11 2007-06-19 시몬통상(주)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1050704B1 (ko) 2009-07-17 2011-07-20 봉정현 운동용 요동기구
KR101427046B1 (ko) * 2013-05-15 2014-08-05 권현주 승마 운동 기구
KR101674414B1 (ko) * 2016-05-09 2016-11-09 김미진 다목적 진동운동기구
KR20220025480A (ko) *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세움피엔에프 운동기구의 수평 이동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101Y1 (ko) 2005-01-18 2005-04-07 주식회사 학성스포츠 진동운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101Y1 (ko) 2005-01-18 2005-04-07 주식회사 학성스포츠 진동운동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5500520000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864B1 (ko) * 2006-10-11 2007-06-19 시몬통상(주)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1050704B1 (ko) 2009-07-17 2011-07-20 봉정현 운동용 요동기구
KR101427046B1 (ko) * 2013-05-15 2014-08-05 권현주 승마 운동 기구
KR101674414B1 (ko) * 2016-05-09 2016-11-09 김미진 다목적 진동운동기구
KR20220025480A (ko) * 2020-08-24 2022-03-03 주식회사 세움피엔에프 운동기구의 수평 이동 장치
KR102454363B1 (ko) * 2020-08-24 2022-10-14 주식회사 세움피엔에프 운동기구의 수평 이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390B1 (ko)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JP2008503330A (ja) 体脂肪分解及び全身筋力強化用運動器具
KR20090073143A (ko) 유희장치
GB2516024A (en) Activity frame
CN101744477A (zh) 进行多轴运动的儿童开发设备
KR100866660B1 (ko) 밸런스 훈련장치
JP2792682B2 (ja) マッサージ機
JP2021175533A (ja) ネット遊具
JP3669416B2 (ja) 吊り下げ手段を備えたネット状の遊具
KR20120120126A (ko) 회전 놀이 기구
US11511172B2 (en) Physical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2010263864A (ja) 犬猫の四肢リハビリ用バランス装置
KR101873688B1 (ko) 트램폴린의 도약판 고정기구
TWI331540B (en) Exercise machine for burning body fat and strengthening muscle
KR100728864B1 (ko) 체지방분해 전신근력강화 운동기구
US20080173254A1 (en) Equine trainer and exerciser
KR200407300Y1 (ko)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
JP3074828U (ja) 長縄用縄飛び回し機
US11559457B1 (en) Rotational swing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estibular stimulation
CA3157313C (en) Controlled trajectory and oscillation system delivering pendular movement over the geometry of the system&#39;s structure
KR200396971Y1 (ko) 그네머신
KR200416281Y1 (ko) 트위스트 운동기구
KR200436822Y1 (ko) 깃발원단 감김 방지장치를 가지는 깃발.
CN106080891A (zh) 一种电动平衡车
JP2012100725A (ja) 遊具用ロ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ブランコ、遊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