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300Y1 -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 - Google Patents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300Y1
KR200407300Y1 KR2020050032278U KR20050032278U KR200407300Y1 KR 200407300 Y1 KR200407300 Y1 KR 200407300Y1 KR 2020050032278 U KR2020050032278 U KR 2020050032278U KR 20050032278 U KR20050032278 U KR 20050032278U KR 200407300 Y1 KR200407300 Y1 KR 200407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edestal
belt
footres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용호
Original Assignee
남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용호 filed Critical 남용호
Priority to KR2020050032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3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로서 한 번의 전기 스위치 작동으로 나온 배를 안고서 1분에 30회를 뛰게 하고 좌로 30 우로 30을 흔들어주며 허리운동도 겸할 수 있는 1석 4조의 운동을 할 수 있게 구성 되었으며 4기둥이 2단으로 되어있으며 각 기둥에 벨트가 자동차 안전벨트처럼 준비되었으며 피스톤 역할을 할 수 있게 모터와 발판 신부 볼트너트 상하 각종 부제로서 구성되었고, 충격을 흡수해 줄 스프링 원형 봉 베어링 로라 와이어 줄로 준비되었으며 뛰게 하고 좌우로 흔들어주며 나온 배를 감싸 안은 체 상하 좌우로 흔들어주고 1분에도 100회 이상을 흔들어 주면서 주물러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한층 더 향상된 질로서 다가갈 수 있다.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 기둥 조절기

Description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장치를 후면에서 본 예시 사시도
도 2는 기둥 상하 작동을 하게 할 부분 예시 사시도
도 3은 발판을 뛰게 할 예시 분해 사시도
도 4는 고안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예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받침대 (18) 원형 봉 와이어고리
(2) 1단 기둥 (19) 와이어 감기는 홈
(3) 2단 기둥 (20) 원형 봉 기어
(4) 통로이면서 통로 카바 (21) 모터
(5) 기둥 고정 커버 (22) 모터 기어
(6) 볼트 구멍 (23) 베어링
(7) 와이어 고리 (24) 로라
(8) 뚜껑 (25) 발판 신부
(9) 뚜껑 고정 볼트 구멍 (26) 발판고정용 너트부제 상
(10) 벨트 (27) 모터 신부
(11) 벨트 홈 (29) 신부 조립될 홈 구멍
(12) 벨트 걸 고리 (31) 발판 신부 구멍
(13) 스프링 (32) 와이어 줄 구멍
(14) 와이어 줄 (33) 로라 와이어 줄 홈
(15) 발판 (35) 손잡이
(17) 원형 봉 (40) 발판 너트 부제 하
현제 시중에 사용하고 있는 마사지 기계들과는 아주 색다른 건강 마사지 기계를 선보이고자 한다. 한 번의 작동으로 여러 가지 운동을 동시에 겸할 수 있으며 짧은 시간에 운동량이 너무 많으면 전기 스위치로 조절이 가능하고 발끝에서부터 머리카락까지 처음 시작부터 운동이 끝날 때 까지 뛰게 하면서도 좌우로 흔들어주며 나온 배를 감싸 안은 채 주물러 주는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는 힘이 들어서, 귀찮아서, 시간이 없어 하는 분들에게 처음부터 끝까지 자동으로 할 수도 있으며 수동으로 허리운동도 할 수 있는 겸용으로 고안된 것이다.
시간에 쫓기는 분들이나 짧은 시간에 많은 운동량을 원하시는 분들 어린이에서부터 어르신들에 이르기까지 남·여 모든 분들 특히 배 나온 분들이나 비만이신 분들에게 뱃살을 제거 하는 것이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의 출생 계기이고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한 번의 작동으로 여러 가지 운동을 겸할 수 있는 건강 스포츠 마 사지 기계로서 처음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뛰게 하고 흔들어주며 배를 주물러 주도록 구성되는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방적으로 마사지를 할 수 있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마사지 기계를 여러 가지 봐왔지만 배가 나온 분들과 비만이신 분들, 시간에 쫓기는 분들에게 힘 만 들고 효과는 너무나 부족했던 단점이 있었기에 고안되었다 할 수 있다.
일방적으로 어린이에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남·여 모든 분들께서 시간이 없는 분들이나 운동이 힘이 들어서 못하시는 분들 . 짧은 시간에 많은 운동량을 원하시는 분들 . 특히 비만이나 배가 나오신 분들에게는 짧은 시간에 힘들지 않으면서 많은 운동을 하게 구성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2) 1단 기둥 가나다라가 있으며 (3) 2단 기둥 가나다라 (5) 기둥 고정 커버 가나다라가 준비되어 있으며 (1) 받침대와 (2) 기둥 가나다라의 조립되는 과정은 (1) 받침대에 (2) 기둥을 위치 선정 후 (5)번으로 4기둥에 (6) 볼트 구멍에 볼트로 조립한다.
이 때 (2)1단 기둥이 조립된 직하 센터 부위에 (32) 볼펜처럼 구멍을 뚫는다. 즉 받침대 상단에 (32) 가나다라 4구멍을 위치 선정 후 기둥 센터 하부에 뚫는다.
(2)번 1단 기둥과 (3) 번 2단 기둥 조립 시 (7) 와이어 고리에 (14) 와이어 줄을 묶은 다음 도 1 (13) 스프링 삽입 후 받침대 상단에 뚫려진 (32) 홈 구멍에 (14) 와이어 줄을 투입 후 조립한다.
(3)번 2단 기둥에 설치된 자동차 안전벨트랑 흡사한 (10)번 벨트는 수축성이 있어 당기면 조금 풀리면서도 늘어지는 재료를 사용할 것이며 방법을 자동차 안전벨트의 원리도 좋고 줄자의 원리도 좋다. 당기면 풀리고 운동을 하지 않을 때가 현재 상태이다. 기둥마다 똑같다.
그리고 (8)뚜껑이 있으며 (12)벨트 걸 고리 역시 기둥마다 있다. 도 1(32), (14) 와이어 줄이 통과하는 구멍이 기둥 하부 센터마다 뚫려 있어 현재 (7)번에 (14)번 와이어 줄을 한 끝이 묶인 상태에서 한 끝은 (1) 받침대 내부속으로 들어가 있다. 여기서 다시 한 번 (7)번은 와이어 줄 고리이고, (12)번은 벨트 걸 고리이다. (7)번 역시 기둥마다 준비되어 있다.
(4)는 설치 수리 할 때 사용할 통로이다. 도 1 (4)번을 제거 후 (1) 받침대 내부에 (17)원형 봉을 설치하는데 주의 할 것은 원형 봉이 (31)센터 부위를 벗어나 전면 쪽으로 설치 (21) 모터와 (17) 원형 봉이 도 1(31) 센터 부위에 도 3 (25) 발판신부가 상하로 작동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 전면 쪽으로 설치하는데 좌·우 끝 부분에 도 3 (23) 베어링을 위치 선정 후 설치 조립한다.
(17) 원형 봉이 설치된 전면에 (21) 모터를 (17) 원형 봉 전면에 조립하되 (17) 원형 봉에 부착된 (20) 기어랑 (22) 모터 기어랑 일치하게 한 후 고정 조립한다. (17) 원형 봉에 부착된 (20) 기어랑 (21) 모터에 부착된 기어에 체인 설치한 다.
(17) 원형 봉에도 와이어 고리가 (18) 좌·우 2개씩 4개가 있다. 4개의 도 1 (2) 1단 기둥 (32) 하부 센터 직하에 볼펜처럼 구멍이 뚫려져 있는 곳에 (14) 와이어 줄이 통과하여 (1) 받침대 내부로 들어온 것을 알 수 있다.
도 1 (2)번 4개의 1단 기둥을 자세히 보면 받침대 위에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32) 와이어 줄 구멍은 (1) 받침대 상단에 뚫려져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1) 받침대 내부 안 (32) 와이어 줄 구멍 직하에 도 3 (24) 로라를 설치한다. 4기둥 직하에 (33) 로라 홈이 전후에서 볼 때 쉽게 볼 수 있게 도 3 (33) 현재그림 방향 그대로 설치한다. 이로써 4기둥 직하 (1) 받침대 내부에는 도 3 (24) 로라와 도 2 (17) 원형 봉이 설치되어 있다.
(17) 원형 봉 좌·우 양쪽 2개씩 (18) 와이어 고리가 있고 (1) 받침대 내부안에 즉 기둥 하부에 (14) 와이어 줄이 도 3 (24)로라 (33) 홈을 거쳐서 도 2 (17) 원형 봉에 (18)와이어 고리에 묶는다. 이로써 도 2 (22) 모터기어와 (20) 원형 봉 기어에 체인을 연결하여 작동을 하게 되면 (17) 원형봉은 (21) 모터로 하여금 회전을 하게 된다. 즉 키가 큰 분이 운동을 하시거나 작은분이 하실 때는 기둥에 준비된 10번 벨트의 높낮이가 조정이 되어야 하기에 쉽게 운동을 하시는 분이 조정할 수 있게 스위치로 준비한다.
높이를 낮추고자 할 때는 도 4 (21)모터가 도 1(3) 2단 기둥을 키 작은 분들을 위해서 아래로 당겨주고 모터가 반대로 회전하면 즉 키 큰 분을 위해서 도 1 (13) 스프링이 (3) 2단 기둥을 위로 상승케 한다. 즉 키 큰 사람들에게 높이를 생 각하여 벨트가 높아진다.
도 1 (3) 2단에 기둥이 상하로 작동하게 되어 있다. 모터가 회전을 하면서 2단 기둥을 아래로 당겨주고 반대로 회전을 할 때 도 1 (13) 스프링이 도 1 (3) 2단 기둥을 상승하게 해준다.
다시 한 번 확인 해보자. 도 1(3) 2단 기둥 4개에 (7) 와이어 줄을 묶을 고리가 있다. 기둥마다 (13) 스프링이 설치 될 것이다. 기둥마다 도 1(2) 1단 기둥 하부 중앙 센터 부분에 (32) 와이어 줄 구멍이 뚫어져 있으며 (7)번에 묶인 와이어 줄이 스프링 중앙을 통과하여 (32) 와이어 줄 구멍 속으로 투입한다. 즉 받침대 속으로 투입된다. 받침대 내부 속에는 도 1 (4) 번에 (31)에 발판신부가 피스톤 역할을 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31)을 중심으로 전면 쪽으로 설치된 도 2 (17) 원형 봉 좌우에 (23) 베어링 투입 후 현재 도 2 (17) 원형 봉을 그대로 옮겨 놓는다.
그리고 도 2 (21) 모터 역시 그대로 옮겨 놓은 뒤 (22) 모터 기어랑 (20) 원형 봉 기어가 체인으로 연결하고 도 1(32) 와이어 줄 구멍 직하 받침대 바닥면에 도 3 (24) 로라를 (33) 와이어 줄이 타고 도는 홈을 도 2 (32) 와이어 줄 구멍 직하에 조준하여 용접도 무방하다. 이로써 모터가 작동하면 4개의 기둥도 상하로 작동이 된다.
도 1(8)번 뚜껑은 가·나는 같으면서 (35) 손잡이가 있고 다·라는 손잡이가 없으면서 뚜껑이 짧다. (10) 벨트는 기둥마다 다 있으니 (10)벨트 뚜껑 조립되는 (9) 볼트 구멍에서 5cm정도 위로 없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8) 뚜껑이 긴 것은 손잡이가 있기 위하여 길어진 것이니 그만큼 손잡이가 없는 다·라의 기둥 뚜껑은 최대한 짧은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벨트 역시 가·나는 현재 위치이고 다·라는 가·나의 반대 위치이다.
즉 마주보게 설치한다. 벨트가 일정부분 들락날락 하는 홈도 가·나는 동일하고, 다·라는 반대 방향이다. 즉, 마주보게 설치한다. 지금 (1) 받침대 내부에 도 2 (21) 모터랑 (17) 원형 봉이 설치 된 곳은 도 1 (31) 직하에서 전면 쪽으로 설치되어 있고 도 2 (18) 와이어 고리 2개 후면에 있는 것과 도 1 (2) 1단 기둥 후면에 있는 것과 와이어 줄이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의 후면에 있는 기둥과 기둥사이 공간과 도 1(31) 발판 신부 홈 구멍과 후면 기둥사이 공간이 있다.
즉, 가·나 사이와 가·나와 (31) 빨판신부사이 공간에 도 3(37)모터 방향을 (27)모터 신부가 전면을 향하게 설치하되 위치를 발판 신부 홈 구멍과 상·하 일치하게 설치한다. (27)즉 모터 신부가 전면을 향하게 고정 조립한다.
도 3(27)모터 신부에 (28)을 조립하는데 여기서 (28)길이가 짧으면 짧을수록 운동을 하는 상태에서 흔들림이 적다. 길이가 길면 흔들림이 크다. (37) 모터는 고정되어 있고, (27) 모터 신부랑 (28) 하나의 홈 구멍에 고정이 되어 있으니 (37) 모터가 회전하면 (28) 나머지 홈 구멍은 따라서 360도 회전을 하게 된다.
도 3 (28)나머지 홈 구멍에 베어링 설치 후 조립한다. (37) 모터는 정지 되어 있어도 (28) 홈 내부에 베어링을 설치하여 38을 베어링 홈에 설치했기 때문에 (38)은 (28) 내부에서 회전을 하게 되어 있다. 다시 한 번 설명을 하면 (38)은 (28) 홈 내에서 회전을 하게 되어 있다.
(29) 홈 구멍에 (30)이 조립된 후 도 3 (16) 부위가 도 2 (4)번 (31) 홈 구멍 밖으로 돌출되게 맞춘 다음 도 2 (14) 볼트너트 구멍에 볼트로 고정 조립한다. 도 2 (4)번은 도면상으로 일정한 높이가 있으나 없어도 무방하다. 도 2 (31) 홈 구멍으로 도 3 (25) 발판 신부상단이 나와 있는데 (4) 너트 부제 하를 조립한다. 그리고 이어서 (25) 발판 신부에 스프링을 투입 후 도 2 (15) 발판 (31) 신부 홈을 일치하게 한 후 도 3 (26) 너트 부제 상으로 고정 조립한다. 이젠 조립은 끝났으나 충분이 이해하시게끔 설명을 하고자 한다. 도 3 (37) 모터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27) 모터 신부에 (28) 한 개의 홈 구멍이 고정 조립이 된다.
현재 (27) 모터 신부에 (28) 한 개의 홈 구멍이 조립이 된 상태이다. (37)모터가 작동하면 (27) 모터 신부의 회전에 따라 (28) 남은 한 개의 홈 구멍은 360도 회전을 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28) 남은 한 개의 홈 구멍에 베어링 설치 한 후 (38)를 조립한다. 여기서는 (37) 모터가 정지되어 있는데도 (38)은 회전을 할 수 있다.
즉, 손으로 만지면서 돌려도 쉽게 돌릴 수 있게 할 것이다. (29)홈 구멍에 (30) 발판 신부 하단이 조립된 후 도 2 (4)의 (31) 홈 구멍에 (25) 빨판신부 상단이 나오게끔 맞춘 후 (40) 볼트너트 하를 조립한 후 적합한 (13)스프링을 삽입 후 도 2 (15)에 (31)발판신부 홈 구멍과 일치하게 한 후 도 3 (26) 볼트너트 상단을 조립한다. 여기서 더욱 상세히 설명을 하자면 도 3 (25) 네모 안에 있는 그림은 모터가 작동하여 발판 신부도 움직이는 그림이다. (27) 모터 신부가 회전을 함으로 함께 조립된 (28)도 따라서 회전을 하게 되어 있다. (28) 나머지 홈 구멍에 (38)이 지적한 부분을 베어링 투입 후 고정 조립 하게 된다. 베어링 투입이 되었기에 (29)는 분해되지 않으면서 (28) 내부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
즉, (37) 모터가 정지되어 있어도 (29)는 (28) 내부에서 회전을 할 수 있게 한다. 즉, 언제든지 회전을 할 수 있는 (29) 홈 구멍에 (25) 발판신부 하단 (30)을 조립을 하게 되고 (25) 발판신부 상단이 도 2 (4) 통로커버 (31) 신부 홈 구멍에 나오게끔 맞춘 다음 (40) 볼트너트 하단을 조립하고 스프링 투입 후 (15)발판 설치 후 (26) 상단을 고정 조립한다. (28)한 개의 홈 구멍이 (27) 모터신부에 조립이 되었고, 남은 한 개의 홈구멍이 (25) 모터신부 하단에 조립이 되었기 때문에 모터가 회전 시 (15)발판도 함께 움직인다.
즉, 남은 한 개의 구멍은 360도 회전을 하게 된다. 즉, 말하자면 발판신부 (30)하단 끝 부분이 (27) 모터 신부를 중심으로 좌·우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있는 것을 도 3 (25) 네모는 좌·우로만 움직이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37) 모터가 작동을 하여 (17) 모터 신부와 연결된 (28) 한 개의 홈 구멍이 (27) 모터 신부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을 한다는 것은 (28) 한 개의 홈 구멍이 우로 갔다 좌로 갔다 상하로도 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28) 나머지 홈 구멍에 연결이 된 (29)도 (28)자체에서 회전이 되면서도 (37)모터가 돌아가면 아주 미세하게 움직이게 되어있다. (25)발판신부하단 (30)이 (29) 홈 구멍에 조립이 되어 있기 때문에 (25) 발판 신부는 (25) 네모 안 그림처럼 좌·우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도 1 (4)를 없애 버리고 도 2 (4)를 제작하여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2(4)의 (31) 홈 구멍에 도 3 (25) 상단부위가 나와 있고 상단 부위에 도 2(15)랑 도2 (4)가운데 (31)홈 구멍이 발판신부랑 조립이 되어있다. 도 3 (25)네모 안 그림처럼 신부가 좌·우 상하로 움직인다는 것은 도 2(15)발판이 수평일 때도 있고, 좌·우로 기울 때도 있으며 상하로 발판이 올라갔다 내려갔다 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15) 발판위에 운동을 하고자 하는 분이 도 1(35)손잡이를 잡고 섰을 때 모터가 1분에 30회전만 한다 해도 (35)손잡이를 잡고 그냥 서있기만 하여도 1분에 30번 뛰어야 하고 좌·우로 30번씩 기우뚱 기우뚱 해야 하는 것은 즉, 한 쪽 다리는 펴고 한쪽 다리는 구부려야 하는 것이다. (37) 모터가1분에 30회전보다 더 할 수도 덜 할 수도 있는 것은 그만큼 운동량은 손쉽게 무한정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것 뿐만이 아니다.
도 1(3) 2단 기둥에 설치된 (10) 벨트에 관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비만이시거나 배가 나오신 분들 운동을 힘이 들어 하기 싫으신 분들 시간에 쫓기는 남·여 모든 분들에게 권하고 싶은 것이다. 도 1 가운데 네모가 제거되고 도 2 (4)가 조립이 되어 있으며 도 2(4)가운데에도 홈 (31)구멍이 있다. 여기에 도 3(25) 발판신부 상단이 돌출되어 (15)발판이 조립이 되어 있다.
운동을 하고자 하는 배 나오신 분이나 비만이신 분들이 발판위에 섰을 때 도 3 (37)모터나 도 4 (37)로 하여금 엄청난 운동이 되는데 도 1(10) 벨트와도 운동을 함께 하고자 하는 분께서 나의 (10)벨트를 다의 좌측 벨트 걸고리에 걸고 기둥 라의 (10) 벨트를 가의 좌측 벨트 걸 고리에 걸어주고 다의 (10) 벨트를 나의 우측 벨트걸 고리에 걸어주고 가의 (10) 벨트를 라의 벨트 걸고리에 걸어줌으로 도 2(21) 모터가 작동하면 4개의 기둥에 (10)번 벨트 4개가 비만이나 배나온 분의 배를 감싸 안고서 들었다 났다 들었다 났다 1분에 30∼40회를 뛰게 해주면서 나온 배를 주물러 주게 된다.
나 스스로 내 배를 손으로 잡고서 상하로 흔들어 보면 알 수 있듯이 벨트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나온 배와 옆구리 등을 감싸 안은 채 쉬지 않고 상하로 작동하는 도 2 (15) 발판이 벨트로 하여금 나온 배를 주물러 주는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작동 스위치는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부위에 설치 할 것이다. 운동량이 너무 많으면 모터 스위치를 쓰고 벨트만 한 채 허리운동은 수동으로 할 수 있다.
도 2(15) 발판은 모터가 정지를 하여도 수동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있어서 짧은 시간에 많은 운동을 하고자 하는 분에게 권하고자 고안 되었다 할 수 있다. 도 4에 가나다라와 화살표시는 벨트 걸 순서이다. 도 4 둥근 원 4개는 1단 기둥하부 즉, 받침대 상단이다.
그리고 4각은 받침대로 보면 되고, 도 4 (1)는 받침대 상단이다. 가나다라 원형은 받침대 상단이고 도 1기둥 직하 부분이다. 나머지는 받침대 내부 안에 조립되는 모양이다. 까만 점 가나다라 4개는 받침대 상단에 뚫려진 (14) 와이어 줄 구멍이다. 도 4 위에 그림 역시 일부는 받침대 내부 안에 조립되고 일부는 받침대 외부상단에 조립되는 그림이다. 도 4 하부도면은 즉,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37) 모터가 (1) 받침대 내부 안에 도 4 아래 그림 (37) 과 같은 것이다. 함께 고정이 되어야 하는데 그림에 자신이 없어 위에 (37) 모터 방향을 바꾼 것이다. 위 에 좌측 그림(37),(27),(28),(25),(29)는 도 1 받침대 내부 안에 조립이 된다. 즉, 아래 도면 네모 안에 (27) 모터 신부에 조립이 되었다 생각 하면 되는 것이다.
(13), (26), (15), (40)은 (1)받침대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 4(40) 볼트너트 하는 받침대 상단이다. 그 위에 공간에는 (13) 스프링이 설치되고 그 위에 (15)발판이 설치된 후 (26)볼트너트 상으로 마무리한다. 도 4 아래그림 가나다라원은 (1)받침대 상단이고 원 안에 까만 점은 도 1(32)는 와이어 줄 구멍이며, 받침대 상단에 뚫려져 있고 (32) 와이어 줄 구멍 직하 받침대 내부 안에 (24) 로라가 설치되어 있다.
(14) 와이어 줄이 4가닥이 원형 봉에 전 후 2가닥씩 묶여 있는 상태에서 각각 가닥 끝은 로라 중앙 (33) 홈을 거쳐서 도 1 2단 기둥 (3)에 (7) 와이어 고리에 묶는다. 이로써 도 4(21) 모터가 작동함과 동시에 체인을 통하여 (17) 원형 봉에 전달이 되고 원형 봉이 회전을 함과 동시에 와이어 줄이 도 1(3) 2단 기둥을 아래로 당기기도 하고 반대로 될 때는 상승하게도 한다. (17) 원형 봉이 회전하다 반대로 돈다는 것은 도 1(13) 스프링이 2단 기둥 (3) 을 상승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로써 2개의 모터가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고 흔들어주고 뛰게 하며 주물러 줄 수 있게 구성된 스포츠 마사지 기계를 위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좌명하다.
현재까지 작동은 모터로 하였으나 유압 실린드나 에어로드 가능함은 물론 기 둥이 보이는 면이 후면이다. 도 4 아래 도면 역시 후면이다. 그리고 유압도 에어도 가능하다.
.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하나의 기계 장치로 짧은 시간에 여러 가지 운동을 겸할 수 있으며 현재보다 더욱 많은 운동량을 기대할 수 도 있는 유리함 비만과 배나온 분들에게 더욱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장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상기 기둥이 이단으로 설치된 4개의 기둥이 한 쌍으로 각 기둥이 한 개씩 벨트를 고루 갖춘 채 동시에 벨트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4개의 기둥을 받침대 내부 안에서 모터랑 원형 봉 로라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발판을 뛰게 하면서도 좌·우로 흔들어 주는 받침대 내부 속 모터랑 발판 신부 너트 부제 모터의 회전을 활용하여 피스톤 운동을 하게 한 각종 부제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기둥을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작동케하는 모터랑 원형 봉 로라 와이어 줄과 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
  3. 제 1항에 있어서 나온 배를 주무르면서 마사지를 해주는 4개의 벨트와 손잡이 벨트 고리 물질 양면으로 도움을 주는 4개의 기둥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마사지 기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이 좌우로 흔들어 주면서 뛰게 하고 회전 하게 한 모터와 발판신부 너트부제 상하와 스프링 각종 부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
KR2020050032278U 2005-11-11 2005-11-11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 KR200407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278U KR200407300Y1 (ko) 2005-11-11 2005-11-11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278U KR200407300Y1 (ko) 2005-11-11 2005-11-11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300Y1 true KR200407300Y1 (ko) 2006-01-26

Family

ID=4175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278U KR200407300Y1 (ko) 2005-11-11 2005-11-11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3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5204B2 (en) Leisure equipment with a hanging assembly
US5776041A (en) Exercise device with an elastic member
KR101442558B1 (ko) 복합 체험 시설물
KR101345163B1 (ko) 절첩식 다목적 공중걷기 운동기구
CN206852991U (zh) 一种健身座椅
KR20070018205A (ko) 승마용 운동기구
US20060205575A1 (en) Waist and belly stretching exerciser
KR200407300Y1 (ko) 건강 스포츠 마사지 기계
US20030045405A1 (en) Pogo stick structure
KR101827253B1 (ko) 다기능 복합운동기구
US9427370B2 (en) Kit for rehabilitation apparatus
KR20060017936A (ko) 다기능 운동기구
KR200440357Y1 (ko) 휴대용 건강 사이클
KR101245074B1 (ko) 헬스자전거용 안장의 높낮이 조절기구
KR101266149B1 (ko) 운동기구
KR200429261Y1 (ko) 외줄타기용 민속운동기구
KR101634065B1 (ko) 하체 근력 강화용 운동기
KR200429304Y1 (ko) 복합 서킷 트레이닝 운동기구
KR200431321Y1 (ko) 건강겸용 다이렉트기계
KR200322633Y1 (ko) 신체 운동기구
KR100847669B1 (ko) 형상그리기두뇌개발운동기구
CN213159243U (zh) 一种多功能综合性组合健身器
KR200414471Y1 (ko) 안마겸용 운동기구
CN212631611U (zh) 一种锻炼装置
KR200434032Y1 (ko) 전신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