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940B1 -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940B1
KR100629940B1 KR1020060054624A KR20060054624A KR100629940B1 KR 100629940 B1 KR100629940 B1 KR 100629940B1 KR 1020060054624 A KR1020060054624 A KR 1020060054624A KR 20060054624 A KR20060054624 A KR 20060054624A KR 100629940 B1 KR100629940 B1 KR 100629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s
vertical
horizontal
ho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Priority to KR102006005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6Spacers having means to adapt the spacing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전 공동주택의 슬래브에서 벽을 향해 배치되는 주름관을 철근에 고정하여 주는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슬래브철근(20)(22)의 교차부위(24) 상하측에서 대합되어 볼트(30)와 너트(32)에 의해 결합되는 상·하부철근고정판(40)(50)의 결합면에 슬래브철근(20)(22)이 자리하는 반원형의 철근삽입홈(42)(52)을 형성하고, 상부철근고정판(40)의 상면에 다리부(44)를 형성하여 다리부(44) 상단에 중공슬리브(46)를 결합하며, 중공슬리브(46)에 용접되는 수직바(60)(62)의 후면에 면취부(64)를 형성하고, 수직바(60)(62)의 정면에는 체결공(66)을 갖는 가로반원홈(68)을 형성하며, 수직바(60)(62)의 가로반원홈(68)에 양단이 걸리는 수평바(70)(72)에 주름관(26)을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반원절곡부(74)(76)를 형성하고, 수직바(60)(62)에 형성된 체결공(66)과 중심이 일치하는 관통구멍(78)을 수평바(70)(72)에 형성하며, 관통구멍(78)의 좌우측에 수직평면홈(82)(84)을 형성하고, 수직평면홈(82)(84)에 삽입되는 선형밀착부(86)(88)를 갖는"U"자 모양의 와셔(80)에 웰드너트(90)를 용접하여 체결공(66)과 관통구멍(78)을 통해 삽입된 체결볼트(92)를 나사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전기,공동주택,철근,주름관,반원,홈,절곡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Cable duct pipe support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도 1은 종래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부를 보인 상면측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고정부를 보인 저면측 분해사시도
도 6은 도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3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22 : 슬래브철근 24 : 교차부위
26 : 주름관 30 : 볼트
32 : 너트 40 : 상부철근고정판
42,52 : 철근삽입홈 44 : 다리부
46 : 중공슬리브 50 : 하부철근고정판
60,62 : 수직바 64 : 면취부
66 : 체결공 68 : 가로반원홈
70,72 : 수평바 74,76 : 반원절곡부
78 : 관통구멍 80 : 와셔
82,84 : 수직평면홈 86,88 : 선형밀착부
90 : 웰드너트 92 : 체결볼트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전 공동주택의 슬래브에서 벽을 향해 배치되는 주름관의 움직임을 고정하여 주는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는 슬래브와 벽체 속으로 전선을 매입하기 위해 거푸집에 배근된 철근에 전선 삽입을 위한 주름관을 결속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하여 주름관을 슬래브와 벽체에 매설한 다음 주름관으로 전선을 삽입하고 있으며, 특히 슬래브 시공시 주름관의 끝을 수직으로 구부려 슬래브 밖으로 인출하여 벽체 시공시 다른 주름관과 연결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때 주름관이 거푸집으로 주입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철근에 단단히 결속해 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형환봉(10)(11)을 슬래브철근(12)에 철끈으로 결속하고, 그 L형환봉(10)(11)의 상단에 설치된 체결구(13)(14)에 의해 크로스바(15)의 양단을 가로로 고정한 다음 주름관(16)의 상단을 크로스바(15)에 철끈(17)으로 결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는 L형환봉(10)(11)이 전후방향으로는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만 좌우방향으로는 아무런 지지물이 없어 상단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모멘트가 작용되면, 주름관(16)이 좌우방향으로 전도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한 개의 크로스바(15)만 구비되어 있었기 때문에 주름관(16)의 절곡부위(18)가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되어 위치가 변동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슬래브로부터 인출되는 주름관의 끝부분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래브철근의 교차부위 상하측에서 대합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는 중앙이 천공된 상·하부철근고정판의 결합면에 슬래브철근이 자리하는 반원형의 철근삽입홈을 십자형태로 형성하고, 상부철근고정판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중앙을 향해 모이는 다리부를 형성하여 다리부 상단에 중공슬리브를 일체로 결합하며, 중공슬리브의 중심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수직바의 후면에 면취부를 형성하고, 수직바의 정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체결공을 갖는 가로반원홈을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좌우측에 위치된 수직바의 가로반원홈에 양단이 걸려서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복수의 수평바에 주름 관을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반원절곡부를 형성하고, 수직바에 형성된 체결공과 중심이 일치하는 관통구멍을 수평바에 형성하며, 관통구멍의 좌우측에 수직평면홈을 형성하고, 수직평면홈에 삽입되는 선형밀착부를 갖는"U"자 모양의 와셔에 웰드너트를 용접하여 체결공과 관통구멍을 통해 후방에서 삽입된 체결볼트를 나사결합하여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철근(20)(22)의 교차부위(24) 상하측에서 대합되어 볼트(30)와 너트(32)에 의해 결합되는 중앙이 천공된 상·하부철근고정판(40)(50)의 결합면에 슬래브철근(20)(22)이 자리하는 반원형의 철근삽입홈(42)(52)을 십자형태로 형성하고, 상부철근고정판(4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중앙을 향해 모이는 다리부(44)를 형성하여 다리부(44) 상단에 중공슬리브(46)를 일체로 결합하며, 중공슬리브(46)의 중심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수직바(60)(62)의 후면에 면취부(64)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부철근고정판(40)와 하부철근고정판(50)의 4군데 모퉁이 부분에는 볼트(30)를 삽입하기 위하 구멍(40a)(50a)을 형성하며, 단차를 갖는 슬래브철근(20)(22)의 교차부위(24)에 밀착할 수 있도록 상부철근고정판(40)과 하부철근고정판(50)의 중앙을 암수의 사다리꼴 형태로 절곡한다.
또한, 수직바(60)(62)의 정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체결공(66)을 갖는 가로반원홈(68)을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좌우측에 위치된 수직 바(60)(62)의 가로반원홈(68)에 양단이 걸려서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복수의 수평바(70)(72)에 주름관(26)을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반원절곡부(74)(76)를 형성하고, 수직바(60)(62)에 형성된 체결공(66)과 중심이 일치하는 관통구멍(78)을 수평바(70)(72)에 형성하며, 관통구멍(78)의 좌우측에 수직평면홈(82)(84)을 형성한다.
또, 수직평면홈(82)(84)에 삽입되는 선형밀착부(86)(88)를 갖는"U"자 모양의 와셔(80)에 웰드너트(90)를 용접하여 체결공(66)과 관통구멍(78)을 통해 후방에서 삽입된 체결볼트(92)를 나사결합하며, 수평바(70)(72)에 형성된 수직평면홈(82)(84)으로 삽입되는 와셔(80)의 선형밀착부(86)(88)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직평면홈(82)(84)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0,102는 주름관(26)을 수평바(70)(72)에 결속하기 위한 철끈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철근(20)(22)과 거푸집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슬래브철근(20)(22)의 교차부위(24) 하측으로 하부철근고정판(50)을 넣어서 위치시킨 다음 슬래브철근(20)(22)의 교차부위(24) 상측을 상부철근고정판(40)으로 덮고 상부철근고정판(40)과 하부철근고정판(50)을 밀착시키게 되면, 상부철근고정판(40)과 하부철근고정판(50)에 각각 형성된 철근삽입홈(42)(52)에 슬래브철근(20)(22)의 교차부위(24)가 삽입되는데, 이때 상부철근고정판(40)과 하부철근고정판(50)의 4군데 모퉁이 부분에 형성된 구멍(40a)(50a)을 통해 볼트(30)를 삽입하고 너트(32)와 나사결합하여 조이게 되면, 상부철근고정판(40)과 하부철근고정판(50)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적당한 거리를 두고 슬래브철근(20)(22)의 교차부위(24)에 두 개의 상부철근고정판(40)과 하부철근고정판(50)를 결합하게 되면, 상부철근고정판(40)에 형성된 중공슬리브(46)에 각각 용접되어 있는 두 개의 수직바(60)(62)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그 다음 수직바(60)(62)의 정면에 형성된 가로반원홈(68)에 수평바(70)(72)의 후면을 밀착시키면서 수직바(60)(62)에 형성된 체결공(66)과 수평바(70)(72)에 형성된 관통구멍(78)의 중심을 일직선으로 일치시킨 다음 수평바(70)(72)의 정면에 형성된 수직평면홈(82)(84)에 와셔(80)의 선형밀착부(86)(88)을 끼워서 밀착시킨 후 와셔(80)에 용접되어 있는 웰드너트(90)의 중심을 관통구멍(78)과 일치시킨 다음 수직바(60)(62)의 후면으로부터 체결공(66)과 관통구멍(78)을 통해 체결볼트(92)를 삽입하여 웰드너트(90)에 나사결합하여 조이게 되면, 수평바(70)(72)가 수직바(60)(62)에 직각으로 고정된다.
즉, 수직바(60)(62)의 후면에 형성된 면취부(64)는 체결볼트(92)의 두부가 면접촉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게 되며, 수직바(60)(62)의 정면에 형성된 가로반원홈(68)은 수평바(70)(72)의 수평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고, 수직바(60)(62)와 수평바(70)(72)에 형성된 체결공(66)과 관통구멍(78) 및 수평바(70)(72)에 형성된 수직평면홈(82)(84) 그리고 와셔(80)에 형성된 선형밀착부(86)(88)는 수평바(70)(72)의 회전을 방지하여 수평바(70)(72)에 형성된 반원절곡부(74)(76)가 수 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후 평행한 두 개의 수평바(70)(72)에 형성된 반원절곡부(74)(76)에 주름관(26)의 골부위를 밀착시킨 다음 철끈(100)(102)으로 결속하게 되면, 주름관(26)이 견고하게 고정되며, 수직바(60)(62)의 전후좌우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수직바(60)(62)의 하단이 슬래브철근(20)(22)의 교차부위(24)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철근고정판(4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도될 염려가 없게 되고, 특히 수평바(70)(72)가 두 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주름관(26)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슬래브철근의 교차부위에 고정되는 상부철근고정판과 하부철근고정판에 의해 수직바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바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두 개의 수직바 사이를 걸지는 수평바가 평행하게 복수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주름관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수평바에 형성된 반원절곡부에 주름관을 끼워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름관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수평바의 정면에 형성된 수직평면홈과 선형밀착부을 갖는 와셔에 의해 수평바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름관의 고정이 보다 견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슬래브철근(20)(22)의 교차부위(24) 상하측에서 대합되어 볼트(30)와 너트(32)에 의해 결합되는 중앙이 천공된 상·하부철근고정판(40)(50)의 결합면에 슬래브철근(20)(22)이 자리하는 반원형의 철근삽입홈(42)(52)을 십자형태로 형성하고, 상부철근고정판(4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 중앙을 향해 모이는 다리부(44)를 형성하여 다리부(44) 상단에 중공슬리브(46)를 일체로 결합하며, 중공슬리브(46)의 중심에 삽입되어 용접되는 수직바(60)(62)의 후면에 면취부(64)를 형성하고, 수직바(60)(62)의 정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체결공(66)을 갖는 가로반원홈(68)을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며, 좌우측에 위치된 수직바(60)(62)의 가로반원홈(68)에 양단이 걸려서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되는 복수의 수평바(70)(72)에 주름관(26)을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반원절곡부(74)(76)를 형성하고, 수직바(60)(62)에 형성된 체결공(66)과 중심이 일치하는 관통구멍(78)을 수평바(70)(72)에 형성하며, 관통구멍(78)의 좌우측에 수직평면홈(82)(84)을 형성하고, 수직평면홈(82)(84)에 삽입되는 선형밀착부(86)(88)를 갖는"U"자 모양의 와셔(80)에 웰드너트(90)를 용접하여 체결공(66)과 관통구멍(78)을 통해 후방에서 삽입된 체결볼트(92)를 나사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
KR1020060054624A 2006-06-17 2006-06-17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 KR100629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624A KR100629940B1 (ko) 2006-06-17 2006-06-17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624A KR100629940B1 (ko) 2006-06-17 2006-06-17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9940B1 true KR100629940B1 (ko) 2006-10-02

Family

ID=3762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624A KR100629940B1 (ko) 2006-06-17 2006-06-17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544A (ko) * 2018-12-30 2020-07-08 임종완 슬래브위로 수직으로 인출하는 매입배관이나, 벽면에 배열되는 배관을 지지 및 고정하는 pvc배관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544A (ko) * 2018-12-30 2020-07-08 임종완 슬래브위로 수직으로 인출하는 매입배관이나, 벽면에 배열되는 배관을 지지 및 고정하는 pvc배관고정장치
KR102185845B1 (ko) * 2018-12-30 2020-12-02 임종완 슬래브위로 수직으로 인출하는 매입배관이나, 벽면에 배열되는 배관을 지지 및 고정하는 pvc배관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797B2 (en) Structure constructed using precast member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KR100720319B1 (ko) 케이블배관용 사이드 클램프
KR200412859Y1 (ko) 철근 결속구.
KR100644745B1 (ko) 피씨 기둥-보 접합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KR100629940B1 (ko) 공동주택용 케이블 덕트관 지지구조
KR20080015200A (ko)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KR20090010869U (ko)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KR100658733B1 (ko) 콘크리트 충전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무량판의 접합구조
KR20070027431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스폿용접으로고정시키는 결속구
KR102602175B1 (ko) 기구물 부착을 위한 건식 벽체용 보강대
JP5832053B1 (ja) 耐震壁構築用型枠構造
JP5413712B2 (ja) 受け台
JP2019019555A (ja) 擁壁用ブロックユニット及び擁壁
JP2006233577A (ja) 法枠構築用型枠及び法枠構築方法
JP2875776B2 (ja) L形擁壁コーナー部の構築方法
RU2072408C1 (ru) Сты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теновых панелей с колонной
JP3068789B2 (ja) Pc基礎梁部材
KR102467369B1 (ko)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KR102626358B1 (ko) 매립배관 또는 매립 조인트박스 고정용 보호가대
JP2009138399A (ja) 誘導埋込み材及びそれを用いたひび割れ誘導構造
JP3064764U (ja) 木造建築物の基礎部分の補強構造及びその補強金具
KR102451671B1 (ko) 고정력이 강화된 천장레일 시공용 클립브라켓
KR200463386Y1 (ko) 철근난간대 결속재
KR200285282Y1 (ko)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