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369B1 -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 Google Patents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369B1
KR102467369B1 KR1020210122397A KR20210122397A KR102467369B1 KR 102467369 B1 KR102467369 B1 KR 102467369B1 KR 1020210122397 A KR1020210122397 A KR 1020210122397A KR 20210122397 A KR20210122397 A KR 20210122397A KR 102467369 B1 KR102467369 B1 KR 102467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mber
double wall
connection hardware
fixing
bol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웅
박제영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동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동서(주) filed Critical 아이에스동서(주)
Priority to KR1020210122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수용가능한 중량 이내의 단위부재를 내부에 볼트연결철물이 매립되도록 생산하고 단위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PC더블월을 제작하도록 함으로써 자중을 감소시켜 제작, 이동, 양중 및 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일정크기의 수직한 판 형상으로 일측면에 돌출하여 전체 높이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되는 단위부재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일정크기 판 형상의 결합판과, 결합판의 배면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정착근으로 이루어지는 볼트연결철물이, 결합판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단위부재의 리브에 높이방향으로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으로 각각 복수개가 매입되어 구성되며 결합판의 배면의 리브에는 일정 크기로 블록아웃되어 체결구가 형성되어, 한 쌍의 단위부재를 리브를 맞대어 볼트연결철물의 결합판이 접하도록 위치시켜, 볼트로 체결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Precast concrete double wall with bolt box}
본 발명은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수용가능한 중량 이내의 단위부재를 내부에 볼트연결철물이 매립되도록 생산하고 단위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PC더블월을 제작하도록 함으로써 자중을 감소시켜 제작, 이동, 양중 및 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더블월의 제작방법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철근을 배근하여 양생함으로써 PC더블월의 한쪽 부재를 형성하고, 다시 뒤집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반대쪽 부재를 완성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중앙부에 트러스 철구조물을 설치하여 PC더블월을 제작하였으나 이는 더블월 피씨판넬을 전도시켜야 하나 기립 및 전도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PC더블월이 대형화되면 과도한 양중무게로 인해 제작, 운반, 설치 등에 한계를 갖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2085143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더블월식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각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상호 간에 타설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2벽체와; 양쪽이 상기 제1,2벽체의 마주하는 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2벽체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연결하는 2개 이상의 연결플레이트와; 상기 제1,2벽체의 마주하는 면에 상기 타설공간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제1,2전단연결재와; 상기 제1,2전단연결재에 결합되는 전단연결재 결속봉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종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으로 시공되며, 상기 제1,2전단연결재는 각각 봉부재로서 중앙부에서 상하로 가면서 벌어지는 형태이면서 종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마주하는 단부가 종방향을 따라 겹쳐지도록 설치되어 종방향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전단연결재 결속봉은 상기 제1,2전단연결재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종방향 관통홀에 체결되어 상기 제1,2벽체를 결속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제1,2벽체 사이를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2벽체의 간격을 유지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쪽에 각각 상기 제1,2벽체의 마주하는 면에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제1,2벽체에 형성된 매립 앵커에 고정되는 한 쌍의 플랜지, 상기 몸체에 종방향을 향해 관통되는 종방향 결속홀을 포함하여 상기 제1,2벽체의 종방향쪽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매립 앵커를 통해 횡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2벽체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종방향 결속홀에 체결되는 종방향 결속봉을 통해 종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것과 체결됨으로써 횡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2벽체와 종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제1벽체들 및 제2벽체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더블월식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하나의 단뷔부재로의 제작이 어렵고 각 벽체간의 결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2085143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더블월식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장에서 수용가능한 중량 이내의 단일한 형상의 단위부재를 제작하고 한 쌍의 단위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PC더블월을 제작하도록 함으로써 자중을 감소시켜 제작, 이동, 양중 및 기립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단위부재의 내부에 매립된 볼트연결철물에 의해 한 쌍의 단위부재가 견고히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압에 의해 이음부의 벌어짐이나 터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수직한 판 형상으로 일측면에 돌출하여 전체 높이방향으로 리브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부재와; 중앙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일정크기 판 형상의 결합판과, 결합판의 배면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정착근으로 이루어지는 볼트연결철물이, 결합판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단위부재의 리브에 높이방향으로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으로 각각 복수개가 매입되어 구성되며 결합판의 배면의 리브에는 일정 크기로 블록아웃되어 체결구가 형성되어, 한 쌍의 단위부재를 리브를 맞대어 볼트연결철물의 결합판이 접하도록 위치시켜, 볼트로 체결하도록 하며, 볼트연결철물은 각각 고정 체결구와 삽입 체결구가 형성되며, 삽입 체결구는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의 고정관과, 고정관의 중앙부에 관통하여 체결공이 통공되어 형성되어, 고정관의 일측 단부가 결합판의 전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여 고정되고, 고정 체결구는 원뿔대 형상의 고정부와, 고정부의 일측 단부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고정부에는 타측 단부에서 일측으로 일정 길이까지 고정관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일정 크기 큰 크기로 통공되어 고정구가 형성되고 고정구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부의 타측 단부까지는 체결공과 통일한 단면 크기를 갖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고정부의 타측 단부가 볼트연결철물의 결합판의 배면에서 고정구와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접합되어, 한 쌍의 단위부재의 결합시, 타측 단위부재의 삽입 체결구의 고정관이 일측 단위부재의 고정의 고정구로 삽입되어 볼트가 체결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리브는 단위부재의 폭방향 단부에서 일정거리 폭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리브와 리브의 사이에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리브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리브는 폭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을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또한, 결합판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 체결구의 연장부와 삽입 체결구의 고정관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인발저항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인발저항플랜지는 각각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은 현장에서 수용가능한 중량 이내의 단일한 형상의 단위부재를 제작하고 한 쌍의 단위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PC더블월을 제작하도록 함으로써 자중을 감소시켜 제작, 이동, 양중 및 기립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단위부재의 내부에 매립된 볼트연결철물에 의해 한 쌍의 단위부재가 견고히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압에 의해 이음부의 벌어짐이나 터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볼트연결철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볼트연결철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볼트연결철물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더블월(10)은 한 쌍의 단위부재(110)를 볼트연결철물(30)을 이용하여 체결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단위부재(110)를 이용하여 PC더블월(10)을 제작하면, 단위부재(110)가 동일한 형상으로 대량 제작할수 있어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단위부재(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수직한 판 형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형성되는데 일측면에는 전체 높이방향으로 리브(110a)가 돌출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리브(110a)는 사각형, 사다리꼴 단면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한 쌍의 단위부재(110)가 리브(110a)가 접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이 접하는 리브(110a)는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리브(110a)는 PC더블월(10)의 형성시에 단위부재(110)와 단위부재(110) 간의 이격거리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내부에 중공(11)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PC더블월의 경우 일측부재에 타측 부재의 조립하거나 제작완료후 기립시켜야 하는데, 이때 지면에 수직으로 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양중시 이음부 등의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엇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위부재(110)가 박판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리브(110a)의 형성으로 강도를 높이고, 특히 단위부재(110) 또는 한 쌍의 단위부재(11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PC더블월(10)의 안정적인 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리브(110a)는 단위부재(110)의 폭방향 단부에서 일정거리 폭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여, 도 1에서와 같이, PC더블월(10)에서 리브(110a)와 리브(110a)의 사이의 중앙부에는 중공(11)이 형성되도록 하며, PC더블월(10) 간의 이음시에도 외측의 리브(110a)와 인접한 PC더블월(10)의 외측의 리브(110a)의 사이에서 또 하나의 중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리브(110a)는 폭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일정크기의 관통부(117)가 형성되도록 하여, 관통부(117)를 통하여 볼트연결철물(30) 등의 현장에서 설치를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때 인접한 PC더블월(10) 간의 일체화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통부(117)는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10a)의 높이방향 중앙부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거나, 볼트연결철물(30)과 볼트연결철물(30)의 사이마다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이와에도 필요한 부분에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리브(110a)는 한 쌍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5에서와 같이, 단위부재가 대형화 되는 경우에는 리브(110a)와 리브(110a)의 사이에 리브(110a)가 추가로 리브(110a)가 한개 또는 그 이상이 일정 간격으로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위부재(110)는 대량제작하여 한 쌍을 볼트연결철물(30)을 이용하여 체결하여 PC더블월(10)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볼트연결철물(30)은 도 1에서와 같이, 리브(110a)에서 외측에만 구성되도록 하여 체결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리브(110a)의 양측에 각각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한 쌍의 단위부재(110)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단위부재(110)에는 제작시 미리 볼트연결철물(30)이 매입되어 구성된다.
볼트연결철물(30)은 도 2에서와 같이, 중앙부에 관통공(311)이 형성되는 일정크기 판 형상의 결합판(310)과, 결합판(310)의 배면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정착근(320)으로 이루어진다.
결합판(310)의 크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판(310)의 중앙부에는 관통공(311)이 형성되는데, 관통공(311)은 1개 또는 그 이상이 통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정착근(320)은 단위부재(110)의 리브(110a)에 매입되어 정착되도록 구성되며, 철근, 볼트 등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310)의 배면에 돌출하여 직선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단부가 절곡되어 정착이 용이하게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볼트연결철물(30)은 비용이 높은 주물을 이용하지 않고 결합판(310)의 배면에 정착근(320)을 용접하여 고정하거나, 결합판(310)에 탭가공을 하고 정착근(320)의 단부도 이에 맞는 나사가공을 하여 결합판(310)에 정착근(320)을 체결하도록 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볼트연결철물(30)은 결합판(310)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단위부재(110)의 리브(110a)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으로 각각 복수개가 매입되어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판(310)은 한 쌍의 단위부재(110)가 리브(110a)가 접하여 위치하였을때, 결합판(310) 끼리 접할 수 있도록 리브(110a)의 외측면에서 전면이 노출되도록 매입되는데, 도 3에서와 같이 한 쌍의 단위부재(120)를 볼트(360) 등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결합판(310)의 배면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일정 크기로 블록아웃되어 체결구(111)가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판(310)의 체결구(111)로 배면이 노출되도록 하여 마주보는 한 쌍의 단위부재(110)에서 접하는 한 쌍의 결합판(310) 중 일측의 결합판(310)에서 타측 결합판(310)으로 볼트(360)를 관통하고 너트(370)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볼트(360)는 고장력 볼트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구(111)는 한 쌍의 단위부재(110)의 체결 이후에 무수축 몰탈 등을 타설하여 마감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볼트연결철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볼트(360) 및 이에 의해 결합된 한 쌍의 결합판(310)에서 발생되는 지압응력 및 전단응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도 6에서와 같이, 마주보는 한 쌍의 단위부재(110)에 각각 구성되는 볼트연결철물(30)은 각각 고정 체결구(510)와 삽입 체결구(52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a에서와 같이, 고정 체결구(510)와 삽입 체결구(520)는 각각 한 쌍의 단위부재(110)에서 접하는 한 쌍의 볼트연결철물(30)에 각각 용접 등의 방법으로 체결되도록 하며, 도 6b에서와 같이, 볼트(360)가 체결공(516)(522)을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한다.
삽입 체결구(520)는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의 고정관(521)과, 고정관(521)의 중앙부에 관통하여 체결공(522)이 통공되어 형성되어, 고정관(521)의 일측 단부가 결합판(310)의 전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도록 관통공(311)을 관통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 체결구(510)는 원뿔대 형상의 고정부(511)와, 고정부(511)의 일측 단부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12)로 이루어지며, 고정부(511)에는 타측 단부에서 일측으로 일정 길이까지 고정관(521)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일정 크기 큰 크기로 통공되어 고정구(515)가 형성되고 고정구(515)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부(512)의 타측 단부까지는 체결공(522)과 통일한 단면 크기를 갖는 체결공(516)이 형성되며, 고정부(511)의 타측 단부가 볼트연결철물(30)의 결합판(310)의 배면에서 고정구(515)와 관통공(311)이 일치하도록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 체결구(510)와 삽입 체결구(520)는 각각 양측의 볼트연결철물(30)에 각각 구성하고, 제1 단위부재(110) 및 제2 단위부재(120)의 결합시에는 도 6b에서와 같이, 제2 단위부재(120)의 삽입 체결구(520)의 고정관(521)이 제1 단위부재(110)의 고정부(511)의 고정구(515)로 삽입되어 결합위치를 유도하고, 볼트(360)가 체결공(516)(522)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한 쌍의 단위부재(110)가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고정부(511), 연장부(512) 및 고정관(521)은 볼트(360)가 관통하도록 하며, 볼트(360) 몸체를 구속하여 볼트(360)의 단면을 확장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볼트(360) 몸체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관통공(311)은 볼트(360)의 단면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설치오차를 수렴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고정 체결구(510)와 삽입 체결구(520)를 이용하여 타측 단위부재(110)의 삽입 체결구(520)의 고정관(521)이 일측 단위부재(110)의 고정부(511)의 고정구(515)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단위부재(110)의 결합위치를 유도하면서 단위부재(110) 간의 위치고정시에 이격이나 흔들림 이탈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볼트(360)의 체결 후에 결합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결합판(310)의 배면에 위치하는 연장부(512)와 고정관(521)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인발저항플랜지(513)(522)가 형성되도록 하여 인발저항플랜지(513)(522)의 전후에 각각 홈(523)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인발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인발저항플랜지(513)(522)는 각각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은 현장에서 수용가능한 중량 이내의 단일한 형상의 단위부재를 제작하고 한 쌍의 단위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PC더블월을 제작하도록 함으로써 자중을 감소시켜 제작, 이동, 양중 및 기립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단위부재의 내부에 매립된 볼트연결철물에 의해 한 쌍의 단위부재가 견고히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압에 의해 이음부의 벌어짐이나 터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PC더블월
11 :중공
110 : 단위부재
110a : 리브
30 : 볼트연결철물
310 : 결합판
311 : 관통공
320 : 정착근
360 : 볼트

Claims (7)

  1. 일정크기의 수직한 판 형상으로 일측면에 돌출하여 전체 높이방향으로 리브(110a)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일체로 형성되는 단위부재(110)와;
    중앙부에 관통공(311)이 형성되는 일정크기 판 형상의 결합판(310)과, 결합판(310)의 배면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정착근(320)으로 이루어지는 볼트연결철물(30)이, 결합판(310)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단위부재(110)의 리브(110a)에 높이방향으로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으로 각각 복수개가 매입되어 구성되며,
    결합판(310)의 배면의 리브(110a)에는 일정 크기로 블록아웃되어 체결구(111)가 형성되어, 한 쌍의 단위부재(110)를 리브(110a)를 맞대어 볼트연결철물(30)의 결합판(310)이 접하도록 위치시켜, 볼트(360)로 체결하도록 하며,
    볼트연결철물(30)은 각각 고정 체결구(510)와 삽입 체결구(520)가 형성되며,
    삽입 체결구(520)는 일정 길이의 원기둥 형상의 고정관(521)과, 고정관(521)의 중앙부에 관통하여 체결공(522)이 통공되어 형성되어, 고정관(521)의 일측 단부가 결합판(310)의 전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여 고정되고,
    고정 체결구(510)는 원뿔대 형상의 고정부(511)와, 고정부(511)의 일측 단부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12)로 이루어지며, 고정부(511)에는 타측 단부에서 일측으로 일정 길이까지 고정관(521)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일정 크기 큰 크기로 통공되어 고정구(515)가 형성되고 고정구(515)의 일측 단부에서 연장부(512)의 타측 단부까지는 체결공(522)과 통일한 단면 크기를 갖는 체결공(516)이 형성되어, 고정부(511)의 타측 단부가 볼트연결철물(30)의 결합판(310)의 배면에서 고정구(515)와 관통공(311)이 일치하도록 접합되어,
    한 쌍의 단위부재(110)의 결합시, 타측 단위부재(110)의 삽입 체결구(520)의 고정관(521)이 일측 단위부재(110)의 고정부(511)의 고정구(515)로 삽입되어 볼트(360)가 체결공(516)(522)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2. 청구항 1에 있어서,
    리브(110a)는 단위부재(110)의 폭방향 단부에서 일정거리 폭방향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3. 청구항 1에 있어서,
    리브(110a)와 리브(110a)의 사이에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리브(110a)가 일정 간격으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4. 청구항 1에 있어서,
    리브(110a)는 폭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관통부(1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판(3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고정 체결구(510)의 연장부(512)와 삽입 체결구(520)의 고정관(521)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인발저항플랜지(513)(5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인발저항플랜지(513)(522)는 각각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KR1020210122397A 2021-09-14 2021-09-14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KR102467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97A KR102467369B1 (ko) 2021-09-14 2021-09-14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397A KR102467369B1 (ko) 2021-09-14 2021-09-14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369B1 true KR102467369B1 (ko) 2022-11-16

Family

ID=8423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397A KR102467369B1 (ko) 2021-09-14 2021-09-14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3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308B1 (ko) * 2006-08-17 2008-02-01 홍석희 캠버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위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박스를 종방향으로 일체연결설치한 캠버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박스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604726B1 (ko) * 2015-07-01 2016-03-22 (주)장맥엔지니어링 전단접합판을 이용하여 연결된 암거 및 그 시공방법
KR101890860B1 (ko) * 2017-03-03 2018-08-22 (주)까뮤이앤씨 이중 피씨벽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벽체 시공 방법
KR102085143B1 (ko) 2018-11-14 2020-03-05 전종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더블월식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308B1 (ko) * 2006-08-17 2008-02-01 홍석희 캠버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위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박스를 종방향으로 일체연결설치한 캠버프리스트레스 프리캐스트박스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604726B1 (ko) * 2015-07-01 2016-03-22 (주)장맥엔지니어링 전단접합판을 이용하여 연결된 암거 및 그 시공방법
KR101890860B1 (ko) * 2017-03-03 2018-08-22 (주)까뮤이앤씨 이중 피씨벽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벽체 시공 방법
KR102085143B1 (ko) 2018-11-14 2020-03-05 전종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더블월식 합성 콘크리트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538B1 (ko) 더블 벽체 및 더블 벽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더블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CA2511630C (en) Masonry wall system
KR100946940B1 (ko)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래브 간의 전단보강 접합구조
KR102467369B1 (ko)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단위부재를 이용한 pc더블월
JP2004504521A (ja) 鋼管杭の頭部とコンクリート基礎との結合のための結合具および結合構造
JP4606603B2 (ja) コンクリート壁用組み型枠の構築方法ならびにこれに使用する鋼製型枠
KR102054990B1 (ko) 커플링근과 t형 보강 부재를 이용한 단부보강 빔 및 이를 이용한 기둥과의 연결구조
KR100628537B1 (ko) 내진성능확보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벽체시스템
CN110173042A (zh) 暗牛腿、连接座、干法连接节点及连接方法
KR102474646B1 (ko) 볼트연결철물이 구성된 분절형 중공형 pc기둥
KR102404023B1 (ko) 바닥판 분리형 pc모듈러 구조물
KR20190081117A (ko) 양중·설치가 용이한 합성 프리캐스트 벽체 시스템
KR102474648B1 (ko) 볼트연결철물을 이용한 접합부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라멘구조물
KR101141885B1 (ko) 강관트러스 복합 거더의 강관과 콘크리트 현재 합성용 연결재 및 그를 이용한 강관트러스 복합 거더
JP364380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ブロックの連結構造
KR20210026900A (ko) 패널존 일체형 pc보를 이용한 pc보-pc기둥 접합방법
KR101685632B1 (ko)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단 접합부
JPH031923Y2 (ko)
JPH06306930A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接合構造
KR101591224B1 (ko) 조립식 플레이트와 정착 채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KR102673775B1 (ko) Pc기둥과 pc보의 기계적이음을 이용한 접합부 구조
CN212984273U (zh) 装配式剪力墙板和装配式剪力墙结构
KR102552341B1 (ko) 에너지 소산형 c형 댐퍼를 이용한 pc 벽체의 수직접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361122B1 (ko) 결속 간격재, 이를 이용한 철근 간격 유지 구조 및 공법
JPS5920492Y2 (ja) Pc版製耐力定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