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887B1 - 자전거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887B1
KR100627887B1 KR1020040056605A KR20040056605A KR100627887B1 KR 100627887 B1 KR100627887 B1 KR 100627887B1 KR 1020040056605 A KR1020040056605 A KR 1020040056605A KR 20040056605 A KR20040056605 A KR 20040056605A KR 100627887 B1 KR100627887 B1 KR 10062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ock
bicycle
lifting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142A (ko
Inventor
구흥서
Original Assignee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887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1/00Locks specially adapted for bicycles, other than pad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전거의 보관을 위한 거치대(10)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자전거 바퀴(60)가 진입되는 요입부(27)가 형성된 케이싱(20)과; 상기 바퀴(60)의 입출에 대해 상기 요입부(27)를 따라 이동하는 잠금구동판(33)과, 상기 잠금구동판(33)과 연동되어 상기 요입부(27)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며 선단에 연결돌기(35b)를 구비하는 아암(35)을 포함하는 회전구동부(30)와; 상기 연결돌기(35b)의 진입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35b)에 걸어져 상기 아암(35)을 고정하는 체결부(40)와, 키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동바(51)에 의해 상기 아암(35)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부(40)에 연결되는 키 박스(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를 거치대(10)에 안착시키는 동작만으로 연결돌기(35b)가 승강록킹부(43)에 끼워져 자전거를 거치대(10)에 잠금이 완료되고, 보관된 자전거를 사용할 때는 키 박스(50)를 통한 키 작동만으로 자전거를 거치대(10)로부터 해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전거, 잠금, 키, 거치대

Description

자전거 잠금장치{A Device For Fastening A Bicyc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에 대한 해제상태의 내부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에 대한 잠금상태의 내부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3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연결돌기가 승강록킹부에 진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연결돌기가 승강록킹부에 진입 중의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5c는 본 발명 실시예의 연결돌기가 승강록킹부에 진입된 후의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승강단을 중심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거치대 20 : 케이싱
27 : 요입부 30 : 회전구동부
31 : 회전축 33 : 잠금구동판
35 : 아암 36 : 연결핀
37 : 스프링 39 : 스토퍼
40 : 체결부 41 : 고정판
43 : 승강록킹부 50 : 키 박스
51 : 회동바 53 : 지지대
60 : 바퀴
본 발명은 자전거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한 거치대에 설치되는 자전거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차체가 가볍고, 운전이 편리하여 도로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특히 자전거는 무공해 이동수단으로, 그리고 신체단련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전거는 차체가 가벼운 특성 때문에 도난의 위험성이 상존한다.
이러한 자전거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는, 금속와이어나 체인의 양단부에 자물쇠 등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자전거의 프레임을 상호 연결시키거나 지상에 고정된 보관대의 고정물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자전거를 잠그기 위해서는 별도의 잠금장치를 자전거에 항상 휴대하여야 하고, 비 등의 물기에 의해 잠금장치의 자물쇠가 부식되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체인을 이용한 잠금장치는 일단부를 자전거의 바퀴나 프레임 등을 관통시켜서 잠금장치의 체인부분이 바퀴나 프레임 등에 걸리게 한 다음, 잠금장치의 양단부를 함께 고정 구조물에 걸리게 결합시켜서 고정되게 하므로 잠금장치의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시킨 후 다시 잠금장치를 자전거에 걸어서 보관하여야 하므로 잠금장치의 사용 및 해제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거치대에 잠금수단을 구비한 케이싱과 키 박스를 구비하여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자전거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전거를 거치대에 안착시키는 동작만으로 연결돌기가 승강록킹부에 끼워져 자전거가 거치대에 고정되고, 보관된 자전거를 사용할 때는 키 박스를 통한 키 작동만으로 자전거를 거치대로부터 해체시킬 수 있는 자전거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전거의 보관을 위한 거치대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자전거 바퀴가 진입되는 요입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바퀴의 입출에 대해 상기 요입부를 따라 이동하는 잠금구동판과, 상기 잠금구동판과 연동되어 선단이 상기 요입부의 입구를 가로질러 선택적으로 통과하며 선단에 연결돌기를 구비하는 아암과, 일단이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아암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의 진출입에 따라 탄성적으로 상기 회전구동부가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의 회전중심에 권취되는 스프링과, 상기 아암의 후진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연결돌기의 진입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에 걸어져 상기 아암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아암의 선단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아암의 동선에 따른 홈부가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아암의 진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 구동되며 상기 연결돌기에 체결되는 승강록킹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와; 키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동바에 의해 상기 아암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는 키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승강록킹부는, 상기 승강록킹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회동바가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바의 회전궤적에 대응하여 원호형상으로 절개된 절결부와, 상기 회동바에 걸려 상기 승강록킹부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돌기가 높이방향 상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키 박스는,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게 상기 높 이에 대응하고 상기 승강록킹부를 내장하는 지지대에 의해 상기 케이싱에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를 거치대에 안착시키는 동작만으로 연결돌기가 승강록킹부에 끼워져 자전거를 거치대에 잠금이 완료되고, 보관된 자전거를 사용할 때는 키 박스를 통한 키 작동만으로 자전거를 거치대로부터 해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에 대한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연결돌기가 승강록킹부에 진입되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승강단을 중심으로 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해제상태 및 잠금상태를 각각 도 3a 및 도 3b로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도 5는 연결돌기가 승강록킹부에 진입되기 전의 상태, 진입 중인 상태 및 진입된 후의 상태를 단면 형식으로 각각 도 5a, 도 5b 및 도 5c로 구분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는 자전거 바퀴(60)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바퀴(60)의 양측에 대면하여 구비된다. 상기 거치대(10)는 일반적으로 강관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양단에서 연결봉(11)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자전거의 바퀴(60)가 안착될 수 있게 제작된다.
상기 거치대(10)의 일단에는 케이싱(20)이 장착된다. 이러한 케이싱(20)은 상판(21), 바닥판(23) 및 측판(25)으로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상기 케이싱(20)에서 상기 상판(21), 바닥판(23) 및 측판(25) 각각 별개로 제작되거나 적어도 2개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케이싱(20)에는 상기 바퀴(60)가 거치대(10)에 안착될 때 상기 케이싱(20)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요입부(27)가 형성된다. 이러한 요입부(27)는 상기 바퀴(60)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상기 케이싱(20)의 내측으로 요입되게 절개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20)에 요입부(27)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싱(20)의 상판(21), 바닥판(23)은 상기 요입부(27)의 형상으로 절개된다. 이 때 상기 요입부(27)에 면한 케이싱(20)의 내측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잠금구동판(33)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29)가 상기 잠금구동판(33)의 이동동선을 따라 설치된다.
회전구동부(30)는 상기 케이싱(2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20)의 상판(21)과 바닥판(23)에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31)을 기준으로 상기 자전거의 바퀴(60)가 진출입됨에 따라 소정 각도범위에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구동부(30)는 잠금구동판(33), 아암(35), 스프링(37) 및 스토퍼(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잠금구동판(33)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퀴(60)가 거치대(10)에 안착되면서 상기 요입부(27)로 진입할 때 상기 바퀴(60)의 진입에 의해 밀려 상기 요입부(27)를 따라 이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잠금구동판(33)의 폭방향 양단에는 상기 잠금구동판(33)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29)가 상기 바닥판(23)에 설치된다.
아암(35)은 상기 회전축(31)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싱(20)의 내부를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35)의 일단에는 장공형상의 결합공(35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연결돌기(35b)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35a)에는 상기 잠금구동판(33)이 연결핀(36)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핀(36)에 의한 연결은, 상기 잠금구동판(33)이 상기 연결핀(36)을 중심으로 아암(35)의 일단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잠금구동판(33)의 직선운동이 상기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한 아암(35)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고, 역으로 상기 아암(35)의 회전운동이 잠금구동판(33)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장공형상의 결합공(35a)으로는 잠금구동판(33)의 직선이동에 따라 연결핀(36)이 이동되며 상기 아암(35)과 잠금구동판(33)이 원활한 이동을 하도록 돕는다.
그리고 아암(35)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돌기(35b)는 이하에서 설명될 체결부(40)의 승강록킹부(43)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기 아암(35)을 체결부(4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연결돌기(35b) 선단은 상기 승강록킹부(4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곡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단은 아암(35)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함몰 형성된다. 즉, 상기 바퀴(60) 내측의 바퀴살(61) 사이로 아암(35)의 선단에 구비된 연결돌기(35b)가 이동되어 연결돌기(35b)의 후단이 상기 승강록킹부(41)에 걸림으로써 상기 바퀴(60)가 상기 거치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아암(35)의 역할을 위해 상기 아암(35)은 전체적으로 'ㄷ'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ㄷ'형상의 모서리 중 하나에 상기 회전축(31)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동부(30)의 회전축(31)에는 스프링(37)이 권취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37)의 일단은 상기 케이싱(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아암(35)에 연결된다. 따라서 바퀴(60)의 진입하는 힘에 의해 상기 잠금구동판(33)이 요입부(27)로 진입하며 아암(35)이 회전할 때 스프링(37)은 상기 아암(35)을 따라 늘어나면서 탄성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 때 발생된 탄성력은 이 후 상기 아암(35)이 체결부(40)로부터 이탈될 때 상기 아암(35)과 잠금구동판(33)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스토퍼(39)는 상기 케이싱(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암(35)의 후진범위를 제한한다. 즉, 상기 바퀴(60)가 상기 요입부(27)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잠금구동판(33)은 상기 스프링(37)에 의해 후진하며 상기 아암(35)의 일단을 당기게 되므로 상기 아암(35)은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스토퍼(39)가 상기 아암(35)의 후진범위를 제한하여 상기 아암(35)이 상기 케이싱(20)의 측판(25)을 타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스토퍼(39)는 상기 아암(35)의 연결돌기(35b)가 상기 케이싱(2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정지되어 상기 아암(35)이 상기 바퀴(60)의 진출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측판(25)에 근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40)는 연결돌기(35b)의 진입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35b)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상기 아암(35)을 고정한다. 이를 위해 체결부(40)는 고정판(41) 및 승강 록킹부(43)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정판(41)은 상기 아암(35)의 선단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아암(35)의 동선에 따른 홈부(41a)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41a)는 상기 아암(35)의 단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아암(35)의 단면을 원형으로 하였으므로 상기 홈부(41a)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록킹부(43)는 상기 고정판(41)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승강록킹부(43)는 항상 중력에 의해 상기 고정판(41)를 향하도록 이하에서 설명될 지지대(53)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승강록킹부(43)는 걸림추(45), 연결단(47)과 승강단(49)으로 구성된다.
걸림추(45)는 봉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추(45)의 하단은 상기 연결돌기(35b)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곡면 형상의 구동면(45a)과 연결돌기(35b)의 후단에 걸릴수 있도록 모서리가 형성된 로킹면(45b)으로 이루어 지는데, 전체적으로 칼날 형상과 유사하다.
상기 걸림추(45)의 상단에는 연결단(47)이 동축방향으로 연결된다. 이 때 걸림추(45)와 연결단(47)의 결합은 상기 걸림추(45)에 암나사가 천공되고 상기 연결단(47)의 외주연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나사결합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단(47)의 상단부에는 승강단(49)이 연결되어 키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며 승강록킹부(43)를 상/하 구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단(49)은 'ㄷ'형상으로 구성되는데, 폭방향 양단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를 제 1단(49a), 제 2단(49b) 및 제 3단(49c)으로 구분하여 나타내기로 하면, 제 1단(49a)의 양단에 제 2단(49b) 및 제 3단(49c)이 각각 직각으로 구비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 2단(49b) 및 제 3단(49c)에는 부분절개되어 펀치로 가공된 지지돌기(49d)가 형성되어 승강단(49) 내측으로 지나는 연결단(47)을 향해 돌출된다. 이러한 지지돌기(49d)는 2개 지점에서 상기 연결단(47)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 2단(49b) 및 제 3단(49c)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2개씩 쌍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지지돌기(49d) 중 어느 하나의 쌍에는 제 1단(49a)으로부터 삽입된 볼트(49e)가 인접하게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49d)와 볼트(49e) 사이에 상기 연결단(47)이 위치하게 될 때 상기 볼트(49e)를 조이면 상기 연결단(47)은 지지돌기(49d)와 볼트(49e) 사이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볼트(49e)를 통한 조임은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연결단(47)에 위치되는 승강단(49)의 위치를 쉽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단(49c)의 측면은 원호형상으로 절개되는 절결부(49f)가 형성된다. 상기 절결부(49f)는 이하에서 설명될 키 박스(50)의 회동바(51)가 이동되는데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회동바(51)의 회전궤적에 따라 절개된다.
그리고 제 3단(49c)에는 승강돌기(49g)가 형성된다. 이러한 승강돌기(49g)는 상기 지지돌기(49d)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상단은 완만한 경사면이 되고 하단은 급경사면이 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승강돌기(49g)는 회동바(51)의 회전시 급경사면을 통해 상기 회동바(51)에 걸리게 되어 상기 회동바(51)의 회전과 함께 승강록킹부(43)를 들어 올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키 박스(50)는 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아암(35)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상기 체결부(40)에 연결된다. 즉, 키 박스(50)에는 상기 키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동바(51)가 구비된다. 따라서 키를 회전시키면 동시에 회동바(51)가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록킹부(43)를 높이방향 상단으로 이동시킨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동바(51)는 상기 승강돌기(49g)에 걸린 상태로 일정각도 회전하며 상기 승강록킹부(43)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이 때 회동바(51)에는 탄성부재(미도시)가 연결되어 잠금장치가 열려 있을 때는 도 5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키 박스(5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소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싱(20)의 상판(21)에 설치되는 지지대(53)의 상단에 상기 키 박스(50)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지지대(53)는 상기 케이싱(20)으로부터 상기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키 박스(50)에는 동전 또는 지폐 등을 넣을 수 있는 장치가 더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일정 시간동안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잠금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자전거를 주차시키기 위해 상기 거치대(10)에 자전거의 바퀴(60)를 안착시킨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후륜보다는 전륜을 들어 올리거나 진입시키기 용이하므로 상기 거치대(10)에는 자전거의 전륜이 진입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자전거의 바퀴(60)는 상기 거치대(10)에 안착되면서 동시에 상기 케이싱(20)의 요입부(27)로 진입한다. 이는 상기 케이싱(20)이 상기 거치대(10)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20)에는 상기 바퀴(60)에 대응하는 요입부(27)가 상기 바퀴(60)의 진입방향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입부(27)에는 잠금구동판(33)이 구비되는데, 상기 바퀴(60)의 진입에 따라 상기 잠금구동판(33)은 상기 요입부(27)를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아암(35)은 회전축(31)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싱(20)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고, 연결핀(36)에 의해 상기 잠금구동판(33)에 연결된다. 따라서 잠금구동판(33)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37)은 탄성력을 보유하면서 연장되고 상기 아암(35)은 상기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아암(35)은 상기 바퀴(60) 내측의 바퀴살(61)을 통과하여 체결부(40)로 향하게 된다. 이 때 아암(35)에 형성된 연결돌기(35b)의 후단은 함몰 형성되어 상기 승강록킹부(43)의 로킹면(45b)이 걸리게 된다. 다시 말하면, 연결돌기(35b)의 선단은 곡면 형상이므로 상기 승강록킹부(43)의 구동면(45a)에 진입하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록킹부(43)를 높이방향으로 들어 올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승강록킹부(43)는 연결돌기(35b)에 상기 구동면(45a)이 접한 상태로 상승을 계속하게 된다. 이 후 상기 승강록킹부(43)가 연결돌기(35b)의 후단에 이르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돌기(35b) 후단의 함몰부위로 하강한다. 이 때 상기 승강록킹부(43)의 로킹면(45b)에 의해 상기 아암(35)의 연결돌기(35b)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회동바(51)의 상태변화를 설명하면, 회동바(51)는 도 5a의 상태에서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승강단(49)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승강단(49)의 절결부(49f) 궤적과 회동바(51)의 회전궤적(점선으로 표시)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키를 돌려 회동바(51)를 회전시켜도 상기 승강단(49)에 걸려 회동바(51)의 회전은 제한된다. 즉, 자전거의 바퀴(60)가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키를 통해 잠글 수 없는 상태가 달성되는 것이다.
이 후 도 5b와 같이 자전거가 진입하여 연결돌기(35b)가 승강록킹부(43)의 걸림추(45)로 진입하며 들어올리게 되면 승강록킹부(43)는 전체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 때 회동바(51)의 회전궤적은 상기 승강단(49)의 절결부(49f) 내측에서 형성되므로 상기 절결부(49f)를 따라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5c와 같이 자전거가 잠기게 되면, 걸림추(45)는 연결돌기(35b) 후단에 걸리게 되면서 승강록킹부(43)가 전체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회동바(51)는 절결부(49f)를 따라 회전될 수 있으므로 키를 돌리면 회동바(51)는 회전하면서 도 5c와 같은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바(51)는 승강돌기(49g)의 상단이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므로 승강돌기(49g)에 걸리지 않고 내려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동에 의해 자전거의 바퀴(60)는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잠금장치에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되면 사용자는 키 박스(50)에 꽂혀 있는 키를 빼낼 수 있다. 이 때 만일 누군가가 승강록킹부(43)의 걸림추(45)를 들어올려 잠금상태를 해제하려고 하면, 회동바(51)가 고정된 상태로 있어 절결부(49f)에 걸리게 되므로 승강록킹부(43)의 상승이 억제된다.
이 후 사용자가 자전거를 상기 거치대(10)로부터 빼내 사용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키 박스(50)에 키를 꽂고 상기 키를 정해진 방향으로 돌리게 된다. 이러한 키의 회전은 상기 키 박스(50)에 연결된 상기 회동바(51)를 회전시키는 결과를 유발한다. 따라서 회동바(51)가 회전하면서 절결부(49f)를 원주방향으로 지나며 상기 절결부(49f)의 일측에 위치한 승강돌기(49g)와 만나게 된다.
이 때 회동바(51)는 회전을 지속하면서 상기 승강돌기(49g)를 들어 올리고, 이로써 상기 승강록킹부(43)가 높이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키 박스(50)에 의한 회동바(51)의 회전은 승강돌기(49g)를 밀어 올려 상기 승강록킹부(43)의 로킹면(45b)이 연결돌기(35b)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그런데 상기 회동바(51)는 잠긴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약 90°정도 회전하므로 중간에서 승강돌기(49g)와 이동동선이 빗겨나게 된다. 따라서 승강돌기(49g)로부터 회동바(51)가 이탈되면 승강록킹부(43)는 자유낙하하게 된다. 그러나 승강록킹부(43)로부터 이탈된 아암(35)은 이미 일정정도 후진한 상태이므로 다시 승강록킹부(43)에 의해 아암(35)의 연결돌기(35b)가 체결되지는 않는다. 이 때 회동바(51)는 탄성부재에 의해 도 5a의 위치를 유지한다.
여기서 아암(35)의 후진에 의한 잠금해제는 상기 회전구동부(30)의 회전축(31)에 권취된 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바퀴(60)를 상기 거치대(10)로부터 이탈시키는 동작이 진행되어 상기 잠금구동판(33)이 상기 요입부(27)를 따라 이동되면 상기 아암(35)도 동시에 후진된다.
이로써 상기 잠금구동판(33)과 아암(35)은 스프링(37)의 탄성력으로 원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그런데 잠금구동판(33)과 아암(35)의 이동은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기 이동은 상기 잠금구동판(33)과 아암(35)의 원위치를 넘어서까지 계속되며 원위치 부근에서 왕복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암(35)은 후진시 최초 1 ~ 2회 정도 상기 케이싱(20)의 측판(25)을 타격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암(35)의 후진 제한 지점에 스토퍼(39)를 구비하여 상기 아암(35)이 후진에 의해 상기 케이싱(20)의 측판(25)에 타격을 가하지 않고 원위치에 정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자전거의 바퀴(60)를 잠그고 푸는 동작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동전 등의 주입 및 배출, 사용시간과의 관계 등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지하철 등에서 사용되는 물품보관함의 구조나 기능이 적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이 생략된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 잠금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거치대에 잠금수단을 구비한 케이싱과 키 박스를 구비하여 자전거 자물쇠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자전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전거를 거치대에 안착시키는 동작만으로 연결돌기가 승강록킹부에 끼워져 자전거를 거치대에 잠금이 완료되고, 보관된 자전거를 사용할 때는 키 박스를 통한 키 작동만으로 자전거를 거치대로부터 해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자전거의 보관을 위한 거치대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자전거 바퀴가 진입되는 요입부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바퀴의 입출에 대해 상기 요입부를 따라 이동하는 잠금구동판과, 상기 잠금구동판과 연동되어 선단이 상기 요입부의 입구를 가로질러 선택적으로 통과하며 선단에 연결돌기를 구비하는 아암과, 일단이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아암에 연결되어 상기 바퀴의 진출입에 따라 탄성적으로 상기 회전구동부가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의 회전중심에 권취되는 스프링과, 상기 아암의 후진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연결돌기의 진입에 따라 상기 연결돌기에 걸어져 상기 아암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아암의 선단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아암의 동선에 따른 홈부가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아암의 진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 구동되며 상기 연결돌기에 체결되는 승강록킹부를 포함하는 체결부와;
    키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동바에 의해 상기 아암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는 키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록킹부는, 상기 승강록킹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회동바가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바의 회전궤적에 대응하여 원호형상으로 절개된 절결부와, 상기 회동바에 걸려 상기 승강록킹부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돌기가 높이방향 상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잠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 박스는,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될 수 있게 상기 높이에 대응하고 상기 승강록킹부를 내장하는 지지대에 의해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잠금장치.
KR1020040056605A 2004-07-20 2004-07-20 자전거 잠금장치 KR10062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605A KR100627887B1 (ko) 2004-07-20 2004-07-20 자전거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605A KR100627887B1 (ko) 2004-07-20 2004-07-20 자전거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142A KR20060009142A (ko) 2006-01-31
KR100627887B1 true KR100627887B1 (ko) 2006-09-25

Family

ID=3711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605A KR100627887B1 (ko) 2004-07-20 2004-07-20 자전거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555B1 (ko) * 2008-03-20 2008-09-16 (주)위트콤 자전거 보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6682A (ja) 1997-07-22 1999-02-09 Takigen Mfg Co Ltd 駐輪用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6682A (ja) 1997-07-22 1999-02-09 Takigen Mfg Co Ltd 駐輪用ロッ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555B1 (ko) * 2008-03-20 2008-09-16 (주)위트콤 자전거 보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142A (ko)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9440B1 (en) Adjustable cable lock
US3988910A (en) Locking device for a spoke wheel of a bicycle, moped or similar vehicle
US4232537A (en) Wheeled vehicle lock
EP0774598B1 (en) Cable lock and seal with coiled spring
US5488845A (en) Single insertion locking U-shaped padlock structure
KR100627887B1 (ko) 자전거 잠금장치
ES2252401T3 (es) Cerradura y cerradero, particularmente para carpinteria metalica.
JP4807865B2 (ja) 起伏回転操作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3564570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US20040011096A1 (en) Theft deterrent-device for ATV'S (all terrain vehicles)
US5473920A (en) Manipulation proof combination lock
JP2000159167A (ja) 自転車用ハンドルの転向装置
JP2547881Y2 (ja) 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
WO1995003206A1 (en) Anti-theft device for bicycle
JP4220712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JPH0643206Y2 (ja) チェーン用ロック装置
JP3461318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持上げ防止機構
JPH088213Y2 (ja) ゲ−ム機用施錠装置
JPH0449221Y2 (ko)
WO1991006735A1 (en) A releasable locking bolt assembly
JP4203847B2 (ja) 自転車用スタンド装置
ES2369187A1 (es) Un dispositivo con un pestillo basculante, y un sistema de bloqueo que comprende un pestillo basculante, principalmente para puertas seccionales.
EP0495736A1 (fr) Serrure, du type destinée à être encastrée dans le chant d'une porte et comportant un pène dormant
JPS647041Y2 (ko)
KR200193659Y1 (ko) 트레일러의 적재사다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