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553B1 -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송신자영역판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위치정보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송신자영역판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위치정보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553B1
KR100627553B1 KR1019990058804A KR19990058804A KR100627553B1 KR 100627553 B1 KR100627553 B1 KR 100627553B1 KR 1019990058804 A KR1019990058804 A KR 1019990058804A KR 19990058804 A KR19990058804 A KR 19990058804A KR 100627553 B1 KR100627553 B1 KR 100627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der
area
scree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057A (ko
Inventor
이지훈
고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19990058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5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송신자영역 판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위치정보 출력장치와,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제한된 크기의 화면장치를 갖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송신자영역을 판단하여 연속된 송신자 영상으로부터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수신자의 영상과 함께 화면장치에 출력함으로써, 송신자가 통화중에 자신의 화면내 위치를 화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송신자영역 판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위치정보 출력장치와,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상대 단말간의 영상 전화를 수행하는데 있어 화면내화면으로 사용자[송신자]의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획득수단; 상기 영상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사용자 영상을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압축하기 위한 영상압축수단;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상대방[수신자]의 영상을 복원하기 위한 영상복원수단; 상기 영상획득수단에서 획득한 현재시점의 사용자 영상과 상기 영상압축수단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이전시점의 사용자 영상을 이용해 그 사용자 영상 내의 움직임 영역 및 정지 영역을 추정하고서, 이 추정한 정보를 토대로 화면 내부 상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한 그 화면내 위치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위치정보 추출수단; 상기 위치정보 추출수단에서 그 화면내 위치정보가 추출된 사용자 영상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영상축소수단; 및 상기 영상축소수단에서 축소한 사용자 영상과 상기 영상복원수단에서 복원한 상대방 영상을 합성하여 화면내화면으로 출력하는 영상합성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 등에 이용됨.
영상, 영역, 움직임영역, 정지영역, 고립지역

Description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송신자영역 판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위치정보 출력장치{Method of decision sender-area and apparatus of display sender location-in-screen using it on device for the wireless video telephony terminal with a small scree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출력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 위치정보 추출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영역 판단부에서의 송신자영역 판단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이진값을 가지는 영상의 1/4 다운샘플링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출력영상 합성부에서 송신자영역의 테두리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장치의 화면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송신자 위치정보 추출부 12 : 다운샘플링부
13 : 출력영상 합성부 14 : 동영상 부호화부
15 : 동영상 복호화부
본 발명은 제한된 크기의 화면장치를 갖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송신자영역을 판단하여 연속된 송신자 영상으로부터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수신자의 영상과 함께 화면장치에 출력함으로써, 송신자가 통화중에 자신의 화면내 위치를 화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송신자영역 판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위치정보 출력장치와,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유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와 노트북을 사용한 무선 영상전화 시스템에서는 송신자의 화면과 수신자의 화면을 화면장치에 동시에 출력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를 사용하여 송신자와 수신자의 화면을 전송할 경우 송신자의 이동과 움직임에 의하여 수신자의 단말장치에 출력되는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는 크게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를 알려줄 수 있 도록 기존의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는 전송되는 송신자의 화면을 수신자의 화면과 함께 화면장치에 출력해 줌으로써 송신자가 자신의 화면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제한된 크기의 화면장치를 가지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의 경우에는 송신자의 화면을 수신자의 화면과 함께 출력하는 방식은 출력되는 수신자의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또한, 송신자의 영상을 수신자의 영상에 그대로 함께 출력할 경우에 수신자의 영상의 정보가 가리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제한된 크기의 화면장치를 갖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송신자영역을 판단하여 연속된 송신자 영상으로부터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수신자의 영상과 함께 화면장치에 출력함으로써, 송신자가 통화중에 자신의 화면내 위치를 화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송신자영역 판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위치정보 출력장치와,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상대 단말간의 영상 전화를 수행하는데 있어 화면내화면으로 사용자[송신자]의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획득수단; 상기 영상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사용자 영상을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압축하기 위한 영상압축수단;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상대방[수신자]의 영상을 복원하기 위한 영상복원수단; 상기 영상획득수단에서 획득한 현재시점의 사용자 영상과 상기 영상압축수단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이전시점의 사용자 영상을 이용해 그 사용자 영상 내의 움직임 영역 및 정지 영역을 추정하고서, 이 추정한 정보를 토대로 화면 내부 상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한 그 화면내 위치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위치정보 추출수단; 상기 위치정보 추출수단에서 그 화면내 위치정보가 추출된 사용자 영상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영상축소수단; 및 상기 영상축소수단에서 축소한 사용자 영상과 상기 영상복원수단에서 복원한 상대방 영상을 합성하여 화면내화면으로 출력하는 영상합성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 상기 영상합성수단은, 상기 영상축소수단에서 축소한 사용자 영상과 상기 영상복원수단에서 복원한 상대방 영상을 합성하여 화면내화면으로 출력하되, 상기 위치정보 추출수단에서 추출한 사용자에 대한 그 화면내 위치정보를 이용해 이 사용자에 대응되는 그 테두리를 사용자 영상으로서 화면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제한된 크기의 화면을 갖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 출력시 현재영상내에서 송신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이 시작된 최초 시점의 송신자영역(Sp)을 구하는 제 1 단계; 시간에 따라 매 영상마다 추출된 움직임영역중 크기가 가장 큰 영역을 선택하는 제 2 단계; 영역이 화면의 하단에 위치할 경우에, 그 영역의 크기(Sn)와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를 비교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검사결과에 따라, 새로운 송신자영역을 상기 영역의 크기(Sn)에 해당하는 움직임영역으로 대체하거나, 상기 현재영상의 송신자영역을 상기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하는 제 4 단계; 및 선택된 최대 크기를 가지는 움직임영역이 하단에 접하지 않을 경우에, 현재영상의 송신자영역을 상기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 출력시 현재영상내에서 송신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통신이 시작된 최초 시점의 송신자영역(Sp)을 구하는 제1 기능; 시간에 따라 매 영상마다 추출된 움직임영역중 크기가 가장 큰 영역을 선택하는 제2 기능; 영역이 화면의 하단에 위치할 경우에, 그 영역의 크기(Sn)와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를 비교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제3 기능; 상기 제3 기능의 검사결과에 따라, 새로운 송신자영역을 상기 영역의 크기(Sn)에 해당하는 움직임영역으로 대체하거나, 상기 현재영상의 송신자영역을 상기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하는 제4 기능; 및 선택된 최대 크기를 가지는 움직임영역이 하단에 접하지 않을 경우에, 현재영상의 송신자영역을 상기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하는 제5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송신자영역을 판단하여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화면장치에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한된 크기의 화면을 가지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송신자가 자신의 모습을 화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추 출하고, 수신자의 영상과 함께 화면장치에 출력함으로써, 제한된 크기의 화면장치에 수신자의 영상과 송신자의 영상을 함께 출력할 수 없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인 화자의 영상을 전송하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연속된 송신자의 영상으로부터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정보를 수신자의 영상과 함께 화면장치에 출력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단말장치의 이동성을 보장하고 송신자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송신자가 자신의 화면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출력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한된 크기의 화면장치를 갖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는, 송신자의 현재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획득된 송신자의 현재영상을 수신측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압축(즉, 부호화)하는 동영상 부호화부(14)와, 수신자의 영상을 전송받아 원영상으로 복원(즉, 복호화)하기 위한 동영상 복호화부(15)와, 카메라에서 획득된 송신자의 현재영상과 동영상 부호화부(14)의 이전영상으로부터 송신자의 이동 및 움직임을 추정하기 위하여, 현재영상에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송신자 위치정보 추출부(11)와, 송신자 위 치정보 추출부(11)에서 추출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축소(즉, 다운샘플링)하기 위한 다운샘플링부(12)와, 다운샘플링부(12)에서 축소(즉, 다운샘플링)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 영상과 동영상 복호화부(15)에서 복원된 수신자 영상을 합성하여 화면장치에 출력하는 출력영상 합성부(13)를 포함한다.
여기서, 동영상 부호화부(14)에서는 입력된 송신자의 영상에 대해 압축부호화를 수행하며 시간적으로 바로 전에 전송된 영상의 복호화된 영상을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한된 크기의 화면장치를 갖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는 일인 화자의 영상을 전송하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입력되는 연속된 송신자의 영상으로부터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수신자의 영상과 함께 출력함으로써, 송신자로 하여금 자신의 화면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송신자 위치정보 추출부(11)에서는 입력된 현재영상과 복호화된 이전영상으로부터 현재영상에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이를 도 2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 위치정보 추출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21"은 차영상 계산부, "22"는 움직임영역 추출부, "23"은 고립지역 변환부, 그리고 "24"는 송신자 영역 판단부를 각각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자 위치정보 추출부(11)는, 화소위치별로 현재영상의 화소값으로부터 이전영상의 화소값을 감산하여 차영상을 계산하기 위한 차영상 계산부(21)와, 차영상 계산부(21)에서 계산된 영상의 화소값의 변화량으로부터 움직임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움직임영역 추출부(22)와, 움직임영역 추출부(22)에서 추출된 움직임영역에 포함된 고립된 정지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움직임영역으로 변환하는 고립지역 변환부(23)와, 움직임영역의 크기와 화면내 위치를 이용하여 현재영상내에서 송신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송신자영역 판단부(24)를 구비한다.
차영상 계산부(21)에서는 화소위치별로 (수학식 1)과 같이 현재영상의 화소값(ft(x,y))으로부터 이전영상의 화소값(ft-1(x,y))을 빼는 기능을 수행한다.
ft(x,y)-ft-1(x,y)
움직임영역 추출부(22)에서는 영상의 화소값의 변화는 송신자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점을 고려하여 차영상 계산부(21)로부터 구한 차영상을 왼쪽 상단에서 오른쪽 하단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스캔하면서 각 화소위치에 대해 움직임영역의 화소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각 화소위치의 차영상 화소값과 이웃하는 상단, 하단, 좌측, 우측 4개의 차영상 화소값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보다 클 경우에는 움직임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분류하며, 작을 경우에는 정지영역으로 분류한다. 이때, 정지영역은 0의 화소값을 가지는 것으로 하며, 움직임영역은 1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분리된 움직임영역중 일정한 값보 다 크기가 작은 영역은 정지영역으로 변환한다.
고립지역 변환부(23)에서는 움직임영역 추출부(22)로부터 추출된 영역중에서 움직임영역에 포함된 고립된 정지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움직임영역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신자영역 판단부(24)에서는 현재영상내에서 송신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일인 화자의 영상을 전송할 경우에, 시간에 따른 영상의 화소값 변화는 송신자의 움직임과 얼굴의 표정변화를 통해서 나타나는 점을 이용한다. 만약, 송신자가 움직일 경우에, 화소값의 변화에 의해 추출된 움직임영역은 송신자 영역의 대부분을 포함하게 되며, 송신자의 상반신이 전송되는 영상전화에서는 화면의 하단에 접하는 특성이 있다. 이에 대해, 얼굴의 표정변화에 의한 화소값 변화는 움직임영역의 크기가 작고 정지영역내에 고립된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움직임영역 추출부(22)와 고립지역 변환부(23)를 거쳐 추출된 움직임영역의 크기와 화면내 위치를 사용하여 하기의 도 3을 통해 현재 송신자의 화면내 영역을 판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자영역 판단부(24)에서의 송신자영역 판단방법은, 먼저 통신이 시작된 최초의 시점에 송신자영역(Sp)을 구한다(301).
이후, 시간에 따라 매 영상마다 추출된 움직임영역중 크기가 가장 큰 영역을 선택하고(302), 영역이 화면의 하단에 위치할 경우에(303) 그 영역의 크기(Sn)와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를 비교한다(Sn-Sp
Figure 111999017436775-pat00001
50)(304).
비교결과, Sn이 위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새로운 송신자영역을 Sn에 해당하 는 움직임영역으로 대체하며(305),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현재영상의 송신자영역을 Sp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한다(306).
만약, 선택된 최대 크기를 가지는 움직임영역이 하단에 접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재영상의 송신자영역을 Sp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한다(306). 이때, 선택된 송신자영역을 포함한 송신자의 위치정보 영상은 송신자영역이 1의 값을 가지며, 이외의 영역은 0의 화소값을 가진다.
한편, 다운샘플링부(12)에서는 추출된 송신자의 위치정보 영상을 1/16의 크기로 축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1/16 의 축소는 1/4 다운샘플링을 연속해서 두번 수행한다. 이러한 1/4 다운샘플링은 도 4에서와 같이 다운샘플링된 영상의 위치 a의 값을 샘플링 대상영상의 이웃하는 네개의 위치 b, c, d, e의 값들로부터 판단한다. 즉, 네개의 위치 b, c, d, e의 화소값중에 적어도 1의 값이 하나가 있을 경우 a위치의 화소값을 1로 한다(if[ f(b) OR f(c) OR f(d) OR f(e) ] = 1, 여기서, OR는 논리연산 OR임).
출력영상 합성부(13)에서는 단말장치의 화면장치에 출력하기 위해 동영상 복호화부(15)로부터 복원된 수신자영상과 다운샘플링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 영상을 합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화면크기의 1/16로 축소된 위치정보 영상을 도 6과 같이 화면의 우측 상단에 위치시키고 송신자영역의 테두리와 축소된 위치정보 영상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수신자 영상의 화소값을 255로 한다. 이때, 송신자영역의 테두리는 위치정보 영상에서 1의 값을 가지는 화소(x,y)에 대해 도 5와 같이 이웃하는 4개의 화소중에 0의 값을 가지는 화소가 적어도 한 개가 존재 할 경우에, 그 화소를 송신자영역의 테두리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한다(if[ f(x, y-1) AND f(x,y+1) AND f(x-1,y) AND f(x+1, y) ] = 0, 여기서 AND는 논리연산 AND임).
위의 과정을 통해서 출력영상 합성부(13)에서 화면장치로 출력되는 합성영상은 도 6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제한된 크기의 화면장치를 가지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송신자가 자신의 화면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선 영상전화 시스템이 사용자의 움직임과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내에서의 송신자 위치정보를 추출해 이를 이용해 화면장치에 수신자 영상과 함께 송신자 영상을 그 테두리로서 출력함으로써 수신자 영상의 배경정보가 가려지게 되는 단점을 없앨 수 있으며, 제한된 전력소모와 적은 계산량을 제공하는 무선 단말장치에서 영역분할방식보다 적은 계산량으로 송신자영역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상대 단말간의 영상 전화를 수행하는데 있어 화면내화면으로 사용자[송신자]의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획득수단;
    상기 영상획득수단에서 획득한 사용자 영상을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압축하기 위한 영상압축수단;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상대방[수신자]의 영상을 복원하기 위한 영상복원수단;
    상기 영상획득수단에서 획득한 현재시점의 사용자 영상과 상기 영상압축수단에 기 저장되어 있는 이전시점의 사용자 영상을 이용해 그 사용자 영상 내의 움직임 영역 및 정지 영역을 추정하고서, 이 추정한 정보를 토대로 화면 내부 상에 위치한 사용자에 대한 그 화면내 위치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위치정보 추출수단;
    상기 위치정보 추출수단에서 그 화면내 위치정보가 추출된 사용자 영상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영상축소수단; 및
    상기 영상축소수단에서 축소한 사용자 영상과 상기 영상복원수단에서 복원한 상대방 영상을 합성하여 화면내화면으로 출력하는 영상합성수단
    을 포함하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위치정보 출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합성수단은,
    상기 영상축소수단에서 축소한 사용자 영상과 상기 영상복원수단에서 복원한 상대방 영상을 합성하여 화면내화면으로 출력하되, 상기 위치정보 추출수단에서 추출한 사용자에 대한 그 화면내 위치정보를 이용해 이 사용자에 대응되는 그 테두리를 사용자 영상으로서 화면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위치정보 출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압축수단은,
    입력된 송신자의 현재영상에 대해 압축 부호화를 수행하며 시간적으로 바로 전에 전송된 영상의 복호화된 이전영상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위치정보 출력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추출수단은,
    화소위치별로 현재영상의 화소값으로부터 이전영상의 화소값을 감산하여 차영상을 계산하기 위한 차영상 계산수단;
    상기 차영상 계산수단에서 계산된 영상의 화소값의 변화량으로부터 움직임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움직임영역 추출수단;
    상기 움직임영역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움직임영역으로 화면내에서 고립된 정지영역을, 그 둘러싸고 있는 움직임영역에 포함되도록 움직임영역으로 변환하는 고립지역 변환수단; 및
    상기 움직임영역의 크기와 화면내 위치를 이용하여 현재영상내에서 송신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송신자영역 판단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위치정보 출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자영역 판단수단이 현재영상내에서 송신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은,
    통신이 시작된 최초의 시점에 송신자영역(Sp)을 구하는 제1 과정;
    시간에 따라 매 영상마다 추출된 움직임영역중 크기가 가장 큰 영역을 선택하는 제2 과정;
    영역이 화면의 하단에 위치할 경우에, 그 영역의 크기(Sn)와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를 비교하여 소정의 조건(Sn-Sp
    Figure 111999017436775-pat00002
    50)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제3 과정;
    상기 제3 과정의 검사결과, 상기 소정의 만족하면, 새로운 송신자영역을 상기 영역의 크기(Sn)에 해당하는 움직임영역으로 대체하며, 그렇지 않으면 현재영상 의 송신자영역을 상기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하는 제4 과정; 및
    선택된 최대 크기를 가지는 움직임영역이 하단에 접하지 않을 경우에, 현재영상의 송신자영역을 상기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하는 제5 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위치정보 출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영역 추출수단은,
    영상의 화소값의 변화는 송신자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차영상 계산수단으로부터 구한 차영상을 왼쪽 상단에서 오른쪽 하단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스캔하면서 각 화소위치에 대해 상기 움직임영역의 화소인지를 판단하며, 각 화소위치의 차영상 화소값과 이웃하는 상단, 하단, 좌측, 우측 네 개의 차영상 화소값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정해진 임계값과 비교하여 임계값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분류하며,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정지영역으로 분류하되, 정지영역은 영("0")의 화소값을 가지는 것으로 하며, 상기 움직임영역은 일("1")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하고, 분리된 상기 움직임영역중 일정한 값보다 크기가 작은 영역은 상기 정지영역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무 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위치정보 출력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축소수단은,
    상기 위치정보 추출수단에서 추출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를 1/4 다운샘플링을 연속해서 두 번 수행한 1/16의 크기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위치정보 출력장치.
  8. 제한된 크기의 화면을 갖는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 출력시 현재영상내에서 송신자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이 시작된 최초 시점의 송신자영역(Sp)을 구하는 제 1 단계;
    시간에 따라 매 영상마다 추출된 움직임영역중 크기가 가장 큰 영역을 선택하는 제 2 단계;
    영역이 화면의 하단에 위치할 경우에, 그 영역의 크기(Sn)와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를 비교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검사결과에 따라, 새로운 송신자영역을 상기 영역의 크기(Sn)에 해당하는 움직임영역으로 대체하거나, 상기 현재영상의 송신자영역을 상기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하는 제 4 단계; 및
    선택된 최대 크기를 가지는 움직임영역이 하단에 접하지 않을 경우에, 현재영상의 송신자영역을 상기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송신자영역 판단방법.
  9.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
    송신자의 화면내 위치정보 출력시 현재영상내에서 송신자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하여, 통신이 시작된 최초 시점의 송신자영역(Sp)을 구하는 제1 기능;
    시간에 따라 매 영상마다 추출된 움직임영역중 크기가 가장 큰 영역을 선택하는 제2 기능;
    영역이 화면의 하단에 위치할 경우에, 그 영역의 크기(Sn)와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를 비교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사하는 제3 기능;
    상기 제3 기능의 검사결과에 따라, 새로운 송신자영역을 상기 영역의 크기(Sn)에 해당하는 움직임영역으로 대체하거나, 상기 현재영상의 송신자영역을 상기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하는 제4 기능; 및
    선택된 최대 크기를 가지는 움직임영역이 하단에 접하지 않을 경우에, 현재영상의 송신자영역을 상기 이전영상에서 추출된 송신자영역의 크기(Sp)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하는 제5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58804A 1999-12-17 1999-12-17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송신자영역판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위치정보 출력장치 KR100627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804A KR100627553B1 (ko) 1999-12-17 1999-12-17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송신자영역판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위치정보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804A KR100627553B1 (ko) 1999-12-17 1999-12-17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송신자영역판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위치정보 출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057A KR20010057057A (ko) 2001-07-04
KR100627553B1 true KR100627553B1 (ko) 2006-09-22

Family

ID=1962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8804A KR100627553B1 (ko) 1999-12-17 1999-12-17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송신자영역판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위치정보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5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388B1 (ko) * 2003-12-27 2007-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지듀 영상 다운/업 샘플링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이용한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057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598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8295350B2 (en) Image coding apparatus with segment classification and segmentation-type motion prediction circuit
JP3258840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領域抽出装置
JP3197420B2 (ja) 画像符号化装置
US6563513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low resolution, low bit depth images
CN102484710B (zh) 用于像素内插的系统及方法
JP2000504911A (ja) ファクシミリ準拠画像圧縮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2531020A (ja) 立体画像符号化処理におけるフォアグラウンド情報抽出方法
JP3046379B2 (ja) 画像符号化装置
CN111696039A (zh) 图像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WO2010101063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627553B1 (ko) 소형의 무선 영상전화 단말장치에서의 송신자영역판단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위치정보 출력장치
KR1005759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섬네일 영상 데이터 서비스 방법
JP2000059772A (ja) 映像表示方式
JPH0646414A (ja) テレビ電話
JP3955909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S58215869A (ja) グレ−スケ−ル映像デ−タを縮少する方法
JP2916057B2 (ja) 動画像の顔領域抽出装置
JPH11215482A (ja) 監視システム
JP3197894B2 (ja) 画像伝送装置
JP2001346208A (ja) 画像信号復号化装置および方法
JPH07222048A (ja) 撮像装置
US20230105436A1 (e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for video compression
KR100298184B1 (ko) 동영상부호화장치에서눈동자영상처리방법
JPH05304662A (ja) 画像符号化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