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147B1 - 대전방지성 및 과산화물 안정성을 지닌 성형 화합물 - Google Patents

대전방지성 및 과산화물 안정성을 지닌 성형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147B1
KR100627147B1 KR1019990015215A KR19990015215A KR100627147B1 KR 100627147 B1 KR100627147 B1 KR 100627147B1 KR 1019990015215 A KR1019990015215 A KR 1019990015215A KR 19990015215 A KR19990015215 A KR 19990015215A KR 100627147 B1 KR100627147 B1 KR 100627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layer
molding compound
antistatic
pe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3566A (ko
Inventor
게오르크 슈퇴펠만
만프레드 헤벨
Original Assignee
이엠에스-인벤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819565A external-priority patent/DE19819565A1/de
Application filed by 이엠에스-인벤타 아게 filed Critical 이엠에스-인벤타 아게
Publication of KR19990083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01C9/005Coverings around trees forming part of the road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 및 과산화물 안정성을 지닌 폴리아미드계 및/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성형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성형 화합물은 비표면적이 낮은 매우 순수한 전도성 카본 블랙으로 변성된다.
상기 대전방지성 성형 화합물은 사출성형 또는 압출 부품의 제조 및 시트 또는 다층 호스 및 튜브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대전방지성 및 과산화물 안정성을 지닌 성형 화합물{Anti-static and peroxide stable molding compounds}
본 발명은 동시에 대전방지성 및 과산화물 안정성을 지닌 폴리아미드계 및/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성형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대전방지성 성형 화합물은 사출성형 또는 압출 부품의 제조 및 시트 또는 다층 호스 또는 튜브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카본 블랙, 탄소 섬유 및 금속 분말 등의 전도성 첨가제를 사용하여 폴리머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기술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참조 문헌: Gaechter,
Figure 111999004021973-pat00001
in "Plastics Additives" p.762, 1993]. 금속 분말을 사용하면, 다량의 충전재가 필요하므로, 기계적 특성이 강하게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이들 금속 분말은 대부분 매우 비싸다. 탄소 섬유를 첨가하면, 딱딱해지고 충격강도 및 파단 신장율이 감소되는데, 이는 특히 튜브가 대전방지성을 지녀야 하는 경우에 유리하지 못하다.
폴리아미드 등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연료라인은 다년간 차량에 설치되어 왔다. 연료분사식 모터에 전형적인 고 연료 순환에 의해서는, 상기 튜브를 고도로 장입되게 할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이러한 대전방지성 재료의 장입으로 인해 연료라인의 폭발형 파괴를 가져올 수 있고 연료라인에서 연료가 누출될 수 있다. 심각한 화재 위험으로 인해, 안전 위험도가 증가된다. 따라서, 상술한 카본 블랙, 탄소 섬유 및 금속 분말 등의 전도성 첨가제에 블렌드되는 저 전도성을 지닌 폴리머, 특히 폴리아미드 11 또는 폴리아미드 12를 제조하기 위해 개발이 이루어졌다.
DE-A-40 25 301의 공보에는 카본 불랙으로 충전된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이 다층 튜브에 사용된 대전방지성 및 과산화물 안정성 연료라인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과산화물 저항성의 문제가 어떻게 효과적으로 해소되는지에 관해서는 이 공보에 의해서는 결정될 수 없다.
폴리아미드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성형 화합물이 전도성 카본 블랙으로 충전된다면, 대전방지효과를 나타내더라도, 내열성 및 내약품성은 감소된다. 특히, 과산화물 저항성은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가 연료와 일정하게 접촉하고 있는 자동차 구조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를 대전방지성을 띠게 하는 또 다른 수단은 흑연 섬유를 혼입하는 것으로, US 5,171,560 및 WO 94/23433, 및 플라스틱 월드 ((Plastics World) 1996년 9월)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흑연 섬유를 사용하면, 과산화물 안정성을 손실하지 않고서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를 대전방지성을 띠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흑연 섬유는 매우 비싸고, 생성된 화합물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로의 혼입이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산화물 저항성의 손실없이 폴리아미드계 및/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성형 화합물을 대전방지성을 지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비표면적이 낮은 매우 순수한 전도성 카본 블랙으로 변성된 대전방지성 및 과산화물 안정성 성형 화합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비표면적이 낮은" 이란, 질소 흡수에 의한 측정에서 100 m2/g 보다 작은 비표면적을 뜻한다.
상기 성형 화합물은 사출성형 또는 압출 부품의 제조 및 시트 또는 다층 호스 또는 튜브의 제조(청구항 7, 13)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또한 하나 이상의 층이 비표면적이 낮은 매우 순수한 전도성 카본 블랙으로 변성되는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성형 화합물로 이루어진 청구항 8의 열가소성 다층 복합물에 의해 달성된다. 다층 복합물은 폴리아미드계 성형 화합물을 기제로 하는 상술한 층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층 및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층을 접착에 의해 상술한 폴리아미드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층에 결합시키는 이들 사이에 놓여있는 커플링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다른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의외로, 상기 매우 순수한 카본 블랙이 폴리아미드계 및/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성형 화합물에 혼입되는 경우, 성형 화합물이 과산화물 저항성을 지니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 경우에는, "순수"는 카본 블랙이 구리 또는 철 등의 극소량의 금속 불순물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카본 블랙의 산소 및 황 함유량이 가능한한 소량인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계 성형 화합물은 연속 폴리아미드계 상을 지니고, 폴리에스테르계 성형 화합물은 연속 폴리에스테르계 상을 지닌다.
본 발명의 가능한 폴리아미드는 디카복실산, 디아민, 아미노카복실산 및/또는 락탐에서 유도된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이다. 탄소 원자수가 6∼12인 락탐, 탄소 원자수가 6∼12인 α,ω-아미노카복실산, 탄소 원자수가 2∼44인 디카복실산 및 탄소 원자수가 2∼12인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디아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PA 6, PA 46, PA 66, PA 612, PA 1010, PA 1012, PA 69, PA 11, PA 12, PA 1212, PA 6T, PA 6I, PA 12T, PA 12I, PA 12/6T, PA 12/6I 또는 그 혼합물을 기제로 하는 호모폴리아미드 및/또는 코폴리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폴리아미드들이 바람직하고, PA 12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의 명명법은 국제 표준에 준하며, 제 1 숫자는 출발 아민의 탄소 원자수를 나타내고, 최후에 오는 숫자는 디카복실산의 탄소 원자수를 나타낸다. 한 숫자만으로 나타나 있는 경우에는, 아미노카복실산 또는 이의 락탐이 출발물질인 것을 말한다. 폴리아미드의 수평균분자량은 5,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이어야 한다.
공중합체가 사용되는 한, 이들은 예를 들면 코애시드(co-acid)로서 아디프산, 세바크산, 수베르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디라우르산, 또는 코디아민(co-diamine)으로서 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메탄,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메탄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또는 유사 화합 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코폴리아미드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면 DE-AS 21 52 194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US-PSS 2,071,250, 2,071,251 등의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혼합된 지방족/방향족 중축합물도 또한 폴리아미드로서 적합하다.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또는 폴리에테르아미드는 마찬가지로 폴리아미드로서 적합한 중축합물이다. 이러한 종류의 생성물은 예를 들면 DE OS 27 12 987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DE-A 19 64 313의 공보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아미드는 본 발명의 상황에서 가능한 수단이다.
필요로 하는 한도까지, 폴리아미드는 충격 변성될 수 있다. 적절한 내충격성 변성제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또는 심지어 기타 내충격향상성 고무가 있다.
또한, 안료, 올리고머 및 폴리머, 안정화제 및 가공조제 등의 기타 첨가제, 난연제 및 강화제가 함유될 수 있다. 강화제는 전체 성형 화합물의 50% 이하, 난연제 및 모든 나머지 첨가제는 각각 전체 성형물에 대하여 15% 이하 및 5% 이하가 될 수 있다.
연료라인 분야 또는 자동차 분야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아미드 12 및 반방향족(semi-aromatic) 폴리아미드이다.
단량체 단위가 서로 현저하게 결합되어 있는(즉,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폴리머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으로 추정된다. 디카복실산, 디올, 비스페놀, 히드록시카 복실산 및/또는 락톤으로부터 유도되는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테트라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1,4-사이클로헥사논디메탄올 및 네오펜틸글리콜이 디올 성분으로서 고려될 수 있으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2,6-, 2,7-, 1,5-, 1,4-나프탈린디카복실산, 디펜산 및 디페닐에테르-4,4'-디카복실산이 디카복실산 성분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디올 성분의 일부는 하기 일반식
HO-[-R-O-]x-H
(상기식에서, x는 10 이상과 같고, R은 탄소 원자수가 2∼4인 2가 포화기를 나타낸다.)으로 나타낸 화합물에 의해 공지된 방법으로 치환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디카복실산 성분 중 최대 20 몰%가 숙신산, 말레인산 또는 푸마르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및 디라우르산 등의 탄소 원자수가 2∼12인 지방족 디카복실산으로 치환될 수 있다. 적절한 비스페놀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비스페놀 T, 히드로퀴논, 테트라메틸비스페놀 A 또는 테트라메틸비스페놀 S가 있고, 적절한 히드록시카복실산은 예를 들면 p-히드록시벤조산이 있으며, 카프로락톤은 락톤으로서 특히 적합하다. 이들 폴리에스테르는 전형적으로 디올,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또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과 방향족 디카복실산,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의 축합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1,4-부탄디올, 디라우르산 및 테레프탈산의 코폴리에스테르를 폴리에스테르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에스테르의 제조공정은 문헌[참조: Ullmanns
Figure 111999004021973-pat00002
der technischen Chemie, Vol. 19, pp. 61+, DE-OS 24 07 155 and DE-OS 24 07 156]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로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성형 화합물은 사출성형 또는 압출 부품의 제조, 또는 시트 또는 다층 호스 또는 튜브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성형 화합물로 된 하나 이상의 제 1 층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층에 인접한 폴리아미드로 된 하나 이상의 제 2 층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다층 복합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층들은 비표면적이 낮은 매우 순수한 카본 블랙의 혼입으로 대전방지성을 지닐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커플링층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층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이 커플링층은 폴리아미드층 또는 폴리에스테르층을 접착에 의해 다른 폴리아미드층과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열가소성 다층 복합물은 폴리아미드 내층 및 외층,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된 내층에 인접하는 배리어층, 필요에 따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아미드 사이의 커플링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층 복합물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층 및 폴리아미드 외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요에 따라 커플링층이 PBT층 과 PA층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다층 복합물은 하나 이상의 단계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단 사출성형 공정에 있어서, 각종 용융물을 주형에 모으고, 성형부품을 냉각시킨다. 일단 압출공정에 있어서, 각종 용융물은 전형적인 방법으로 공압출된다. 다단 공정에 있어서, 성형부품은 처음에 성분(a) 또는 성분(b)로부터 제조된 다음, 남아있는 성분을 수용하여, 프레싱을 통해 사출성형 또는 압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복합물은 주로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우수한 과산화물 저항성이 우수한 내열성 및 내약품성과 결합되어야 하는 전기, 기계 및 자동차 산업분야에 구조 부품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복합물은 또한 호스 또는 튜브 라인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내층은 대전방지성을 지니는데, 즉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폴리아미드계 성형 화합물로 된 층은 비표면적이 낮은 고도로 순수한 전도성 카본 블랙을 함유한다. 이러한 전도성 카본 블랙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산소 및 황 함유량은 매우 낮다. 상기 카본 블랙은 전체 성형 화합물에 대하여 5~25 중량%를 차지하고 바람직하게는 15~25 중량%를 차지하고, 황 함유량이 0.1 중량%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미만이다. 본 발명의 카본 블랙의 특성은 표 2에 나타낸다.
호스 또는 튜브의 층 두께는 중요하지 않다. 보호층 두께는 0.2∼0.6㎜, 배리어 두께는 0.2∼0.7㎜, 커플링층 두께는 0.05∼0.3㎜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삼층 튜브는 하기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층: 전도성 카본 블랙을 혼입하여 대전방지성을 띠게 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0.45∼1㎜; 중간층: 부분적으로 결정성인 고분자량 블록-(코)폴리에스테르아미드계 커플링층으로 이루어짐; 외층: 폴리아미드 12, 0.45㎜.
다층 폴리머 튜브는 또한 부분적으로 주름질 수 도 있다.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호스 또는 튜브는 4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층: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미드 6 또는 폴리아미드 12, 층 두께: 0.1㎜;
필요에 따라,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예를 들면 내층이 폴리아미드로 된 경우에는 그릴라미드(Grilamid) EA2 HV1로 된 커플링층, 층 두께: 0.05∼0.3㎜;
중간층: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층 두께: 0.2∼0.4㎜;
커플링층: 부분적으로 결정성인 고분자량 블록-(코)폴리에스테르아미드;
외층: 폴리아미드 12 또는 폴리아미드 11, 시트 두께: 0.4∼0.5㎜.
상기 커플링층은 부분적으로 결정성인 고분자량 블록-(코)폴리에스테르아미드계 성형 화합물로 이루어지고, 블록-(코)폴리에스테르아미드는 2개의 결정성상을 형성하며, 세그먼트로서 (a)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 또는 균일한 평균 몰질량수가 1000 g/mole 이상인 락탐 함유 폴리아미드계 코폴리아미드 블록, (b) 하나 이상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방향족 디카복실산, 디카복실산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모노머로 생성되는 균일한 평균 몰질량수가 1000g/mole 이상인 코폴리에스테르 블록 (c) 하나 이상의 디올 성분, 즉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을 형성한다.
상기 커플링 또는 상용성 시약은 DE-A-19 64 313.3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보는 본 발명의 목적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것에 의해 한정되어 있지 않다.
사용 재료: 폴리아미드 12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EMS-CHEMIE Company제의 시판품.
Figure 111999004225362-pat00006
PA 12 = 폴리아미드 12
PBT =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IS: 말레인산 무수물로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와 에틸렌-부틸렌 코폴리머(Mitsui company제의 n-타프머(Tafmer) MC-201)의 충격변성제 혼합물
BBSA:부틸벤젠술폰산아미드
이르가녹스(Irganox) 245: Ciba Specialty Chemicals company제 시판품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er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호스타녹스(Hostanox) PAR 24: 시판품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이르가녹스 B1171: Ciba Specialty Chemicals company제 시판품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와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미드)의 1/1 혼합물
카본 블랙:
본 발명: MMM/Belgien company제 시판품: Ensaco 250
비교 발명: Degussa company제 시판품: Printex XE2
이들 두 카본 블랙의 특성은 하기표로부터 유도된다.
Figure 111999004021973-pat00004
카본 블랙으로 충전된 폴리아미드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성형 화합물을 240∼280℃에서 30㎜ 트윈 스크루 압출기 ZSK 30(Werner & Pfleiderer company 제) 상에서 제조한다. 그리하여, 폴리머 및 카본 블랙을 분리하여 압출기의 공급부로 공급한다. 가소제 및 유리 섬유를 액체에 공급한다.
본 발명 및 비교 발명의 성형 화합물의 시험절차를 하기 파라미터에 따라 행 한다.
MVI: ISO 1133에 의해 275℃/5㎏에서 측정된 멜트 볼륨 인덱스
임팩트(Impact; IS): ISO 179/1eU에 의한 충격강도
노치드 임팩트(NIS): ISO 179/1eA에 의한 절결 충격강도
항복시의 인장응력, 파단시의 신장률 및 인장시의 탄성계수를 ISO527에 따라 측정한다.
과산화물 저항성을 1㎜ 인장충격바 상에서 시험한다. 이를 위해, 샘플을 ter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 180 mmole/ℓ 및 Cu++/ℓ 10㎎을 함유하는 42.5% 톨루엔과 42.5% 이소옥탄과 15% 메탄올의 혼합물내에 60℃에서 14일간 보존한다. 보존되지 않은 샘플의 파단시의 신장률을 보존 말기시의 샘플과 비교한다. 파단시의 신장률의 퍼센트 변화를 표 3에 나타낸다.
표면저항: 100×100×3 ㎜ 시트 상에서의 DIN 53482에 의함
본 발명의 대전방지성 성형 화합물은 사출성형 또는 압출 부품의 제조 및 시트 또는 다층 호스 및 튜브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1999004021973-pat00005

Claims (14)

  1. 대전방지성, 과산화물 안정성 성형 화합물로서, 상기 성형 화합물은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기재로 하고, 상기 성형 화합물은 질소 흡수에 의한 측정에서 100 m2/g 보다 작은 비표면적의, 황 함유량이 0.1 중량% 미만인 전도성 카본 블랙으로 변성되고, 상기 카본 블랙은 전체 성형 화합물에 대하여 5∼25 중량%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 방지성, 과산화물 안정성 성형 화합물.
  2. 삭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는 PA 6, PA 46, PA 66, PA 612, PA 1010, PA 1012, PA 69, PA 11, PA 12, PA 1212, PA 6T, PA 6I, PA 12T, PA 12I, PA 12/6T, PA 12/6I, 또는 그 혼합물을 기재로 하는 호모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가공처리 또는 용도를 고려하여 규정된 첨가제를 함유하는 (코)폴리아미드가 변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과산화물 안정성 성형 화합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과산화물 안정성 성형 화합물.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카본 블랙은 전체 성형 화합물에 대하여 15∼25 중량%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전방지성, 과산화물 안정성 성형 화합물.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대전방지성, 과산화물 안정성 성형 화합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또는 압출 부품.
  8. (a)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성형 화합물로 된 하나 이상의 제 1 층, (b) 적어도 부분적으로 (a) 층에 인접하는 폴리아미드계의 성형 화합물로 된 하나 이상의 제 2 층 및 경우에 따라, (a)의 폴리아미드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층을 (b)의 폴리아미드 층과 접착결합시키는 커플링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다층 복합물.
  9.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된 내층 및 폴리아미드로 된 외층, 경우에 따라 내층에 인접하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된 배리어층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과 폴리아미드층 사이의 하나 이상의 커플링층을 포함하며,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내층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폴리아미드계 성형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다층 복합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내층이, 질소 흡수에 의한 측정에서 100 m2/g 보다 작은 비표면적의, 황 함유량이 0.1 중량% 미만인 전도성 카본 블랙으로 변성되어 대전방지성을 지니는 호스 또는 튜브 형태인 열가소성 다층 복합물.
  11. 제 9 항의 열가소성 다층 복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부품 또는 중공 부품.
  12. 제 3 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가 PA 12인 대전방지성, 과산화물 안정성 성형 화합물.
  13. 제 1항 또는 제 2 항의 대전방지성, 과산화물 안정성 성형 화합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호스 또는 튜브.
  14. 제 8 항의 열가소성 다층 복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부품 또는 중공 부품.
KR1019990015215A 1998-04-30 1999-04-28 대전방지성 및 과산화물 안정성을 지닌 성형 화합물 KR100627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19565.6 1998-04-30
DE19819565A DE19819565A1 (de) 1998-04-30 1998-04-30 Antistatische und peroxidstabile Formmass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566A KR19990083566A (ko) 1999-11-25
KR100627147B1 true KR100627147B1 (ko) 2006-09-22

Family

ID=4572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215A KR100627147B1 (ko) 1998-04-30 1999-04-28 대전방지성 및 과산화물 안정성을 지닌 성형 화합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7147B1 (ko)
AR (1) AR008745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4868A (ja) * 1992-12-18 1996-05-28 キャボ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低灰分カーボンブラック
JPH09176483A (ja) * 1995-12-19 1997-07-08 Elf Atochem Sa ポリアミドを主成分とした帯電防止性かつ接着性の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4868A (ja) * 1992-12-18 1996-05-28 キャボ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低灰分カーボンブラック
JPH09176483A (ja) * 1995-12-19 1997-07-08 Elf Atochem Sa ポリアミドを主成分とした帯電防止性かつ接着性の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08745A1 (es) 2000-02-23
KR19990083566A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901B1 (ko) 자유 유동성 폴리에스테르 성형 조성물
EP0461836B1 (en) Multi-layer plastic fuel tank
KR101014777B1 (ko) 압출된 중공부 형태의 다층 복합재료
KR900005077B1 (ko) 다층 플라스틱 적층구조물
US6733854B2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and synthetic resin product prepared therefrom
CA2191587C (en) Retortable, high oxygen barrier polymeric films
KR100311964B1 (ko) 폴리아미드복합구조물용접착제및그제조방법
EP2013020B1 (en) Multilayer polymer structure
US20080193691A1 (en) Mxd. 10 Polyamide-Based Barrier Structures
CA2299589A1 (en) Composite having more than one layer
US5140065A (en) Cold impact resistant, pigment-compatible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CA2066383A1 (en) Multilayer thermoplastic composites
EP1328606A1 (en) Blends of stretchable liquid crystal polymers with thermoplastics
USRE39207E1 (en) Anti-static and peroxide-stable molding compounds
KR101192372B1 (ko)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0572267B1 (en) Polypropylene-copolyphthalamide blends
KR100627147B1 (ko) 대전방지성 및 과산화물 안정성을 지닌 성형 화합물
US20050025920A1 (en) Thermoplastic multilayer composite in the form of a hollow body
JP3487033B2 (ja) Pbt樹脂成形材料
JP2019026686A (ja) 樹脂組成物、成形品、繊維およびフィルム
US4853282A (en) Multi-layer polyamide moulded article
JP2001316574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系弾性体組成物
JPS58222849A (ja) 熱可塑性樹脂多層管状体
JP2744667B2 (ja) 樹脂組成物
JPH0229017B2 (ja) Netsukasoseijushitasokanjota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