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007B1 -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 Google Patents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007B1
KR100627007B1 KR1020050035640A KR20050035640A KR100627007B1 KR 100627007 B1 KR100627007 B1 KR 100627007B1 KR 1020050035640 A KR1020050035640 A KR 1020050035640A KR 20050035640 A KR20050035640 A KR 20050035640A KR 100627007 B1 KR100627007 B1 KR 100627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runnion
center line
inner roller
track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숙
오승탁
Original Assignee
오승탁
박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탁, 박미숙 filed Critical 오승탁
Priority to KR1020050035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16D3/20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 F16D3/2055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the pins extending radially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art having three pins, i.e. true tripo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F16D3/202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 F16D2003/202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one coupling part having radially projecting pins, e.g. tripod joints with trunnion rings, i.e. with tripod joints having rollers supported by a ring on the trunnion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이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는 로울러조립체의 기울음에 기인한 마찰저항의 저감에 그 특징이 있는 바, 트러니언의 외면에 상단부가 열려 있는 원통형상을 부여하여, 상기 트러니언이 직접 니이들 로울러에 접촉하는 동시에 내측 로울러를 관통하여 축방향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트러니언의 축방향 이동시 니이들 로울러에 접촉하는 상기 트러니언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폭은 트러니언의 축방향의 이동량에 따라 트랙홈 중심선에 의하여 변동적으로 정해지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내측 로울러는 외측 로울러의 중심선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제한시켜 임의의 트러니언의 축방향 이동에도 항상 작용하중이 외측 로울러와 트랙홈의 중심선상에 작용하도록 하여 외측 로울러의 기울어짐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 의해 로울러조립체 혹은 외측 로울러의 기울음으로 초래되는 마찰저항을 제거하여 긍극적으로는 차량의 진동문제를 저감할 수 있고, 조립방법의 개선을 통하여 최적의 트라이포드 조인트사이즈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찰,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Description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Tripod constant velocity joint with low plunging resistanc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서 임의의 조인트각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서 로울러조립체의 기울음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서 임의의 토오크 상태에서, 트러니언이 최대축방향 이동을 할 경우, 로울러조립체의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자유물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서 로울러조립체를 트러니언에 압입하는 방법과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 있어서 조인트각이 0인 조건에서 토오크(T)가 작용할 경우, 로울러조립체의 작용하는 부하의 자유물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 있어서 임의의 조인트 각에 서 토오크(T)가 작용할 경우, 로울러조립체의 작용하는 부하의 자유물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 있어서 임의의 조인트 각에서 토오크(T)가 작용할 경우, 외측 로울러와 내측 로울러 사이에 작용하는 스핀모우멘트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 있어서 임의의 조인트 각에서 토오크(T)가 작용할 경우, 외측 로울러와 내측 로울러간에 생성되는 접촉타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4,15,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7,18,19는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0,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2,23,2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 있어서 임의의 토오크 상 태에서, 트러니언이 최대 축방향 이동을 할 경우, 로울러조립체의 작용하는 부하의 자유물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4,35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6,37은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 18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 24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 25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 26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48,49,50은 본 발명의 제 27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제 28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 29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2 : 트랙홈
3 : 트라이포드 하우징 4 : 트러니언
5 : 스파이더 6 : 니이들 로울러
7 : 내측 로울러 8 : 외측 로울러
9 : 하단 돌기부 10 : 상단 돌기부
P,Q : 안내면 X-X : 트랙홈의 단면중심선
본 발명은 차량의 구동축에 설치된 트라이포드식 등속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속조인트는 전륜 혹은 후륜구동차량 등에서 종감속 장치에 연결된 구동차축에 설치되어 차량의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동력전달시 등속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트라이포드식 등속조인트는 임의의 조인트 각과 토오크 상태에서 조인트를 회전시키면 위상각에 따라 상기 조인트에서 근본적으로 마찰저항이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있고, 이러한 마찰저항은 조인트각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조인트에서 발생 하는 마찰저항의 발생주파수가 차량의 횡방향 진동수와 일치하게 되면, 차량의 횡방향 진동발생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고 특정차량에 있어서는 핸들진동 등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 이러한 마찰저항 저감에 많은 발명이 있었으나, 여전히 기술적인 문제 가지고 있다. 한편 최근 차량메이커의 연비개선 목적의 일환으로서 차량부품의 중량저감에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는바, 이에 관련하여 등속조인트도 사이즈 다운이 불가피 한 상황으로, 이에 대한 발명도 제안되고 있으나 기술적인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을 도시한 것으로서, 내측둘레에 축방향의 등 간격으로 임의의 곡면형상의 안내면을 갖는 3개의 트랙홈(28(P),28(Q))이 형성된 트라이 포드하우징(21)이 구비되고, 상기 트라이포드 하우징(21)의 트랙홈(28)에 3개 트러니언(29)이 돌출된 스파이더(25)가 설치되며, 상기 각 트러니언(29)의 바깥 둘레에 내측 로울러(24)와 니이들 로울러(23) 및 외측 로울러(2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외측 로울러(22)의 상단과 하단부에 돌기부(26,27)가 부여되어, 니이들 로울러(23)가 이탈되지 않고 조립된 트라이포드 조인트 구조(20)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라이포드 조인트(20)를 임의의 조인트 각(θo)에서 조인트를 회전시키면, 제 1도에서와 같이 로울러 조립체(22,23,24)중에서 외측 로울러(22) 하단부는 트라이 포드 하우징(21)의 트랙홈(28(P),28(Q))의 하단부에 접촉 안내되고, 상기 내측 로울러 (24)의 상단부는 트라이포드 하우징(21)의 내부평면에(32a,32b)에 안내되어, 상기 트라이포드 하우징(21) 트랙홈(28(P),28(Q))상에서 구름운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 로울러(24)에 내접하고 있는 구면 트러니언(29)의 중심O는 중심Od로 이동하여 트랙홈(28P),28(Q)의 중심선에 대하여 δ만큼의 아래에 위치하고, 상 기내측 로울러(24)도 트러니언(29)의 중심이동에 따라 중심선에 대하여 δ만큼 아래에 위치하며, 이와 같은 움직임은 회전위상에 따라 중심(O)에서 Od로 다시 O로 반복운동 을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종래기술은 기본적으로 트러니언이 구면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로울러조립체(22,23,24)는 한 몸체로 트러니언 구면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종래구조에서의 조립은 상기 특성을 이용하여, 도 3과 같이 내측 로울러(24) 혹은 로울러 조립체(22,23,24)을 임의의 최대각 αmax 만큼 기울인 상태에서 트러니언을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조립을 위해서는 내측 로울러(24)는 외측 로울러 중심선(X-X)에서 하단방향으로 δomax만큼 이동한 위치(X3-X3)에서 회전 전에 동일 축이었던 트러니언축(X3-X3)에 대하여 임의의 최대 조립각(αmax) 만큼 기울어져야 하며, 이러한 조립상태에서는 외측 로울러 하단부(22d)는 스파이더의 외면구면 부(25d)에 접근 혹은 접촉 하게 되고, 내측 로울러 하단부(24c)는 트러니언 목부위(25b)에 접근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외측 로울러 하단부(22d)는 스파이더(25d) 외면 구면부에 접근 혹은 접촉하는 조립조건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스파이더 외구면부(25d)의 반경(Rs)이 작게 하여야 하며(혹은 외측 로울러 폭을 작게 하거나), 내측 로울러 하단부(24c)가 트러니언 하단부(25b)에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내측 로울러 하단부(24c)는 트러니언 하단부(25b)에 간섭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내측 로울러의 하단부의 폭(L2)을 줄여야 할 뿐만 아니라, 트러니언 목부위에 적절한 공간(25c)도 확보되어야 한다.
상기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인트중심에서 트러니언중심까지의 거리(PCR)를 일정하게 유지 한 상태에서, 트러니언 중심선(X3-X3)에서 트러니언의 목중심선(X4-X4)까지의 거리(K1)와 트러니언 목길이(K)가 커져야 하며, 상기 K, K1치수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스파이더 외구면부(25d)의 반경(Rs)을 줄여함이 불가피하게 된다.
그리고 추가로 트러니언 목의 직경(Dp)도 가늘어져야 하는 제약조건이 있다. 이것을 트러니언 목부위의 걸리는 굽힘응력 식(1)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σ = 32 x F x K1/(π x Dp x Dp x Dp) -----------------(1)
식(1)에서 F는 PCR상에서 트러니언 중심에 작용하는 구동력을 나타내며, Dp는 트러니언의 목부의 직경을, PCR은 조인트중심에서 트러니언중심까지의 거리를, K1은 트러니언 중심에서 트러니언 목부위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식(1)에서 트러니언의 목중심까지의 거리(K1)가 커지고, 트러니언 목직경(Dp)가 작아지면, 트러니언 목부위에 작용하는 굽힘응력이 증가하여, 트라이포드 조인트의 비틀림 강성이 부족하게 되고, 상기 트러니언 목부위에 적절한 공간(25c)을 확보하기 위하여, 스파이더 외구면부(25d)의 반경(Rs)을 줄이지 않고, PCR을 증가시킬 경우에는 식(1)에서 작용하중 F 를 줄일 수 있으나, 트라이포드 조인트사이즈가 커져서, 중량증가 등으로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들이 야기될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 사용한 조립방법으로는 동일사이즈의 일반 트라이포드 조인트와 비교할 때, 트러니언 목부위의 강성이 부족으로 트라이포드 조인트용량이 작 아지거나 혹은 PCR 증가로 트라이포드 조인트사이즈가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여, 로울러조립체를 트러니언에 조립할 경우, 내측 로울러의 하단부(24c)가 트러니언 하단부(25b)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서는 하단부에 있는 내측 로울러(24)의 내구면부 폭을 일부 절단하게 되었고, 따라서 제1도에서와 같이 내측 로울러 내구면부의 하단부폭(L2)은 내측 로울러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측 로울러의 내구면 상단부의 폭(L1)보다 항상 고정적으로 짧게 되어있다.
상기 내측 로울러 내구면부의 상단폭(L1)과 하단폭(L2)의 고정적인 불균형은 임의의 토오크가 조인트에 작용하게 되면, 트러니언과 내측 로울러의 구면중심선상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는 하중(F)의 작용점을 상단방향으로 임의의 량만큼 옵셋시킬려고 원인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옵셋량은 작용하중(F)과 더불어 외측 로울러를 한쪽 방향으로 기울게 하는 인자로 작용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4와 같이 트러니언 및 내측 로울러의 중심선(X1-X1)이 δ만큼 이동하여 트랙의 중심(X-X)와 일치 한 경우에, 하중F의 실제작용점은 트랙홈의 중심선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트랙홈의 중심선에서 상단방향으로 Δ만큼 옵셋된 위치에 작용하기 때문에, 로울러 조립체가 트랙홈 중심선(X-X)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모우멘트(M=F x Δ)가 항상 발생한다.
상기 모우멘트는 기본적으로 트러니언과 내측 로울러의 구면형상에 의하여 로울러조립체(22,23,24)를 기울게 하여 외측 로울러의 상단(22a)이 트리포드하우징 의 내면(32a)에 접촉되어 마찰저항을 일어키는 문제점이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로울러조립체(22,23,24)의 기울음으로 인하여 마찰저항이 발생하는 원인은 내측 로울러 내구면부의 상단폭(L1)과 하단폭(L2)의 고정적인 불균형과 구면형상을 갖는 트러니언을 중심으로 로울로조립체가 회전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있어서 또 다른 조립방법으로서 도5 및, 도6에서와 같이 로울러 조립체의 탄성변형을 이용하여 로울러 조립체를 직접 트러니언(29)에 직접 압입하는 방법에 제시되었어나, 로울러 조립체의 직경방향의 강성이 너무 커서 조립에 필요한 내측 로울러(24)의 탄성변형(Δ1)를 니이들 로울러(24e) 및 외측 로울러(22e)에서 수용할 수가 없으며, 만일 강제로 압입을 시킨다고 할지라도, 내측 로울러 조립부(24f,24e) 및 트러니언 조립부(29f,29e)의 연삭표면에 심하게 응력이 작용하게 되어, 압입과정에서 연삭표면에 심한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니이들 로울러(23)을 외측 로울러와 내측 로울러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외측 로울러(22)의 상단과 하단부에 돌기부(26,27)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외측 로울러 내측의 상단과 하단부에 리테이너링을 설치함으로서 니이들 로울러와 내측 로울러를 상하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일반기술과는 달리, 상기 종래기술은 리테이너링을 삭제하여 제품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내측 로울러가 상하 방향 혹은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문제가 있어 도 3에서의 조립방법으로 조립되기 위하여 공장내에서 공정간 이동하거나, 혹은 조립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내측 로울러 및 니이들 로울 러가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먼저 로울러조립체의 기울음에 기인한 마찰저항의 저감에 있어서는, 트러니언의 외면에 상단부가 열려 있는 원통형상을 부여하여, 상기 트러니언이 직접 니이들 로울러에 접촉하는 동시에, 내측 로울러를 관통하여 축방향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트러니언의 축방향 이동시, 니이들 로울러에 접촉하는 상기 트러니언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폭은 트러니언의 축방향의 이동량에 따라 트랙홈 중심선에 의하여 변동적으로 정해지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동시에, 내측 로울러는 외측 로울러의 중심선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제한시켜, 임의의 트러니언의 축방향 이동에도, 항상 작용하중이 외측 로울러와 트랙홈의 중심선상에 작용하도록 하여 외측 로울러의 기울어짐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고, 특히 조인트 각이 0 일 때, 트랙홈의 중심선 (X-X)을 기준으로 니이들 로울러에 접하는 트러니언의 상단부의 폭(L1)은 하단부의 폭(L2)보다 크게 배치하여, 상기 트러니언이 하단방향으로 축이동하여, 최대 조인트각 일 때, 상기 트러니언의 상단부의 접촉폭(L1)과 상기 하단부의 접촉폭(L2)이 같아지도록 하거나, 조인트각이 0인 상태에서 트러니언이 축방향 이동이 없을 경우, 트랙홈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트랙홈의 중심선에서 트러니언의 상단부 끝단까지 거리는 상기 트랙홈 중심선에서 내측 로울러의 상단 끝단까지의 거리 보다 항상 크고, 니이들 로울러의 하단부 끝단을 기준으로, 상기 니이들 로울러의 하단부 끝단에서 트러니언의 상단부 끝단까지의 거리는 니이들 로울러의 하단부 끝단에서 상단부 끝단을 연결한 거리보다 크게 한다.
한편, 최대 조인트각이 부여된 상태에서 트러니언이 하단방향으로 최대이동을 할 경우, 트러니언의 상단부 끝단이 니이들 로울러 상단부 끝단과 일치 혹은 상기 점 위에 있도록 트러니언의 하단방향의 축이동을 제한하거나, 트랙홈의 중심선에서 트러니언 상단부의 끝단 까지의 거리(LT1)는, 상기 트랙홈 중심선에서 니이들 로울러가 상단부 끝단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크도록 트러니언의 하단방향의 축이동을 제한하거나, 임의의 토오크 상태에서 작용하중(F)은 항상 트랙 중심선(X-X)상에 항상 작용하도록 함으로서 근본적으로 로울러 조립체의 기울음으로 초래되는 마찰저항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구조에 부하를 받는 트러니언의 구면부 중심선을 좌측과 우측을 각각 아랫방향으로 임의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내측 로울러와 접촉하도록 하는 구조를 추가로 부여함으로서, 상기 트러니언의 임의의 축방향 이동에도 항상 로울러 조립체가 기울어지는 반대 방향으로 인위적인 분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트러니언이 하단방향으로 축이동하여, 트랙 중심선 (X-X) 상에 도달할 때, 상기 트러니언의 상단부의 접촉 폭(L1)과 상기 하단부의 접촉폭 (L2)이 같아지도록 하여, 임의의 토오크 상태에서 작용하중(F)은 항상 트랙 중심선(X-X)상에 항상 작용하도록 함으로서 종래기술 에서 문제시 되었던 로울러 조립체의 기울음으로 초래되는 마찰저항 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조립방법에 있어서는 트러니언이 내측 로울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서, 트러니언과 상기 트러니언과의 조립시 트러니언이 통과하는 내측 로울러의 하단부의 에 타원형상을 부여하거나, 트러니언 조립후, 상기 내측 로울러의 하단부에 코킹실시 및 이탈방지 링을 제공하고, 니이들 로울러가 내측 로울러 내면부에 조립될 경우, 니이들 로울러가 내측 로울러 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하단부에 탈락 방지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종래기술 구조에 내측 로울러의 하단부의 입구에 부여된 테이퍼 형상의 챔퍼를 통하여 트러니언을 조립 혹은 압입하거나, 부하를 받는 트러니언의 부위에 있어서는 상단부 구면형상에 우측과 좌측의 높이가 다르게 부여된 테이퍼 형상을 통하여 내측 로울러 혹은 로울러조립체를 조립 혹은 압입하거나, 부하를 받는 트러니언의 수평중심선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아래 방향으로 임의의 각도로 경사진 트러니언 형상을 통하여 내측 로울러를 조립 혹은 압입하도록 하거나, 트러니언의 상단 끝단의 중앙부위에 수직방향으로 임의의 깊이와 형상을 가진 홈을 부여하여 내측 로울러 혹은 로울러조립체를 강제압입하는 방법으로 트러니언에 내측 로울러 혹은 로울러조립체를 조립 혹은 압입하는 방법등을 제공함으로서, 종래의 기술에서 문제시 되었던 로울러 조립체가 임의의 조립각 상태에서 트러니언에 조립될 때, 내측 로울러 및 외측 로울러가 트러니언의 목부위와 스파이더 외부곡면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지나치게 트러 니언의 목부위 치수가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단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의 특징을 갖는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 의해, 로울러조립체 혹 은 외측 로울러 의 기울음으로 초래되는 마찰저항을 제거하여, 긍극적으로는 차량의 진동문제를 저감할 수 있고, 조립방법의 개선을 통하여 최적의 트라이포드 조인트사이즈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니언(4)과 외측 로울러(8) 및 내측 로울러(7)가 있는 바, 상기 트러니언(4)에 있어서는 중심선(X-X)를 기준으로, 조인트각이 0인 상태에서 상기 트러니언(4)이 니이들 로울러(6)에 접하는 상단부의 폭(L1)은 하단부의 폭(L2)보다 크게 되어있고, 상기 트러니언(4)의 하단부(L2)에는 임의의 곡률반경(R3)이 부여되어 있고, 부하를 받는 방향에 위치한 트러니언의 축경은 A로 되어있고, 부하를 받지 않은 방향에 위치한 축경 B로 구성된 타원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내측 로울러(7)에 있어서는, 상기 트러니언과의 조립을 위하여, 내측 로울러 하단의 내경부(B)에 상기 트러니언(4)에 부여된 동일한 타원형상(B, A)이 부여되어 있고, 외측 로울러 내면부에 조립되는 내측 로울러의 외구면 중심은 O이다.
상기 외측 로울러(8)에 있어서는, 상기 외측 로울러의 내면의 하단부에는 하단방향으로 내측 로울러 와 동일 중심선상에, 내측 로울러의 곡률반경(Ri)보다 큰 곡률반경(Ro)가 부여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임의크기 의 평면(ΔL)과 하단부의 곡률형상과 같은 크기의 곡률형상(Ro)이 ΔL크기만큼 상단으로 옵셋된 위치에 부여되 어 있다.
상기 트라이포드 조인트의 구조에 있어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조인트 각이 0인 상태에서, 임의의 토오크(T) 가 작용하게 되면, 내측 로울러(7)의 상단부의 폭(L1)이 하단부의 폭(L2)보다 크기 때문에 작용하중F는 외측 로울러(8)의 중심선(X-X)에서 옵셋된 임의의 위치 ΔL에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작용하중(F)는 내측 로울러(7)와 외측 로울러(8)와 의 접점(I)을 통하여 트핵홈(P)에 전달되며, 상기 트랙홈(2Q)에서는 동일크기의 반력 F가 작용하중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점I 혹은 P를 중심으로 회전모우멘트(M)를 계산하면 M = F x ΔL이 되며, 이는 내측 로울러를 시계방향으로 기울게 하는 인자가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도 1에서와 같이 트러니언의 구면형상을 중심으로 로울러조립체(22,23,24)의 회전이 허용되어 트랙홈의 중심선(X-X)에 대하여 상기 로울러회전체가(22,23,24)가 기울어 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트러니언(4)의 형상이 원통형상이고, 트러니언(4)과 니이들 로울러(6) 및 내측 로울러(7)는 일체형로 스파이더(5) 고정 되어있기 때문에, 회전모우멘트(M)가 작용할지라도 기본적으로 내측 로울러(7)는 중심선(X-X)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대신에 상기 회전모우멘트(M)에 저항하려는 반력이 트러니언 하단부 (4a)에 추가적으로 작용할 뿐이다.
그리고 임의의 조인트각 상태에서 토오크(T)를 조인트(1)에 작용시키면, 트 러니언(4)은 하단방향으로 δ만큼 이동하게 되는데,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트러니언(4)이 트러니언의 상단폭(L1)과 하단폭(L2)가 트랙홈중심선(X-X)에 의하여 동일해지는 위치에 도달하면, 도 4의 종래기술에서 트러니언의 중심이 트랙홈중심선(X-X)과 일치하여도 내측 로울러 내구면부의 상단폭(L1)과 하단폭(L2)의 고정적인 불균형에 의하여 작용하중과 반력이 동일선상에 존재하지 못하는 구조와는 달리, 도9에서의 작용하중F는 중심선(X-X)상에 항상 작용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트러니언의 상단폭(L1)과 하단폭(L2)가 트랙홈중심선(X-X)에 의하여 동일해지는 위치에 도달하면, 작용하중과 반력이 항상 동일작용선 상에 있기 때문에, 회전 모멘트(M)도 작용하지 않고, 트러니언 하단부 (4a)에도 어떠한 반력도 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구조는 조인트각의 크기와 트러니언의 축방향이동 위치에 관계없이 외측 로울러가 기울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트라이포드 조인트의 구조에 있어서는 도 10과 같이, 상기 조인트를 트랙홈의 축방향 (Z-Z)의 관점에서 보면, 내측 로울러(7)는 외측 로울러(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도1의 중심선 (X-X)을 기준으로 상대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이 경우에 임의의 토오크가 작용하면, 내측 로울러(7)의 외구면(7a)과 외측 로울러 내면(8a)의 곡률형상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접촉타원(해칭부분)을 통하여 회전하게 되며, 이 경우에, 접촉타원의 면적만큼의 회전에 저항하려고 하는 스핀모우멘트 (Tspin)가 조인트에 작용하여 마찰저항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11(11a는 종래기술을,11b는 본 발 명을 표시한다)과 같이, 상기 외측 로울러(8)의 내면의 하단부(8d)에는 하단방향으로 내측 로울러(7)와 동일 중심선상에, 내측 로울러(7)의 곡률반경(Ri)보다 큰 곡률반경(Ro)가 부여되어 있고, 상단부(8c)에는 임의크기 의 평면(ΔL)과 하단부의 곡률형상과 같은 크기의 곡률형상(Ro)이 ΔL크기만큼 상단으로 옵셋된 위치에 부여됨으로서,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내측 로울러의 외구면과, 외측 로울러 내구면간의 틈새(Δo)가 커지게 되어 접촉면적이 감소(a,b1)함으로서 스핀에 의한 회전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트라이포드조인트(1)에는 다양한 상태의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도 12는 제 1실시예로서 도 8에서 조인트 각이 0인 조건 하에서 임의의 토오크(T)가 작용 할 때, 작용하중 F에 의하여 내측 로울러(7)를 기울게 할려는 회전모우멘트(M)에 저항하려는 힘이 트러니언 하단부(4a)에 작용하게 되며, 이 경우 니이들 로울러 하단(4a)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끝단하중의 완화를 위하여, 니이들 로울러(6)와 접촉하는 트러니언에 있어서, 하단부 곡률반경(RL)을 상단부의 곡률반경(RH)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러니언의 형상이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치수가 커지는 테이퍼 형상(θ)이 부여하여 하단부에 니이들 로울러(6)와 내측 로울러(7) 사이에 틈(Δ)을 제공하는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3은 제 2의 실시예로서, 임의의 최대 조인트각(θmax)상태에서 조인트를 회전시키면, 트러니언(4)은 아래방향으로 δmax만큼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트러니언(4)의 최대 이동량을 L1=L2가 같게 되는 조건인 δ=ΔL을 만족하도록 하여 임의의 토오크 작용에 의한 하중F가 중심선(X-X)상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4와 도 15 및 도 16은 제 3의 실시예로서, 임의의 토오크 상태에서 내측 로울러의 외구면(7)과 외측 로울러 내면(8)에서 만들어지는 접촉타원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동일 중심선(X-X)상에서 외측 로울러의 내구면의 곡률반경(Ro)을, 내측 로울러의 외구면(7)의 곡률형상(Ri)보다 크게 하거나, 외측 로울러의 내면 상단(8c)에는 임의의 평면형상(ΔL) 혹은 테이퍼형상(α) 혹은 볼록 형상을 부여하고, 중심선(X-X)에서 ΔL만큼 옵셋된 선상에서 내측 로울러 외구면의 곡률형상(Ri)보다 큰 반경의 곡률 형상(Ro)을 부여하고, 하단(8d)에는 내측 로울러의 외구면의 곡률형상(Ri)보다 큰 반경(Ro)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7과 도 18 및 도 19는 제 4실시예로서 트러니언(4)이 내측 로울러(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수단으로서, 부하를 받는 방향(X-X)에 위치한 트러니언(4)의 축경은 A로 되어있고, 부하를 받지 않는 방향(Z-Z)에 위치한 축경은 B로 구성되는 타원형상을 이루고, 내측 로울러(7)에 있어서는, 상기 트러니언과의 조립을 위하여, 내측 로울러 하단에 있는 내경부(B)에 상기 트러니언(4)에 부여된 동일한 타원형상(B, A)을 X1-X1축과 Z1-Z1축에 각각 부여하여, 상기 트러니언(4)에 대하여 내측 로울러(7)을 트러니언 축방향 중심선(Y-Y)을 기준으로 임의의 각도(θ)로 회전시키면, 도 19에서와 같이 해칭부위(N)에서 내측 로울러 내경치수(B)가 트러니언의 외경치수(A)보다 작게 되어 내측 로울러가 트러니언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20과 도 21은 제 5실시예로서, 상기 트러니언이 내측 로울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수단으로서, 트러니언(4)에 모든 부품을 조립한 후에, 스파이더(5)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내측 로울러(7)의 하단면(9a)에 임의의 위치에 코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측 로울러 하단면에 조립홈(13)을 부여하여, 탈락 방지링(12)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22와 도 23 및 도 24는 제 6실시의 예로서, 상기 니이들 로울러(6)가 내측 로울러(7) 내면부에 조립될 경우, 니이들 로울러(6)가 내측 로울러(7)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니이들 로울러(6)가 조립되는 하단부(9)에 임의의 형상을 부여하여 트러니언에 조립되는 방향에 위치한 내측 로울러 하단부에 임의 높이(J)의 기울음 방지 턱(J,N)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구조에서 니이들 로울러을 내측 로울러에 조립하기 위한 용이성의 목적으로 상기 기울음 방지턱의 안내면의 각(β)을 니이들 로울러(6)이 조립되는 상단 돌기부 (10)의 안내각(β)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25는 제 7실시예로서 내측 로울러(7)를 외측 로울러(8)에 부여된 조립홈(11)을 통하여 Y방향으로 삽입한 후, Z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26은 제 8의 실시예로서, 도 1에서 내측 로울러 상단부와 하단부에 있는 니이들 로울러 조립용 돌기부(9,10)을 내측 로울러에서 제거하고, 대신에 도 26에서와 같이 니이들 로울러의 조립홈(11,12)을 트러니언에 부여하여 니이들 로울러(6)가 조립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27은 제 9실시 예로서, 도 1에서의 직선형 원통 트러니언 대신에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 수록 치수가 증가하는 테이퍼형 (θ)의 원통 트러니언을 부여하고, 외측 로울러(8)의 내면 중앙부의 상단(8e)에는 트러니언과 동일한 테이퍼각(θ)이 ΔL구간에 부여되어있고, ΔL구간이상의 상단부(8c)에는 내측 로울러 외구면의 곡률형상(Ri)보다 큰 반경의 곡률 형상(Ro)을 부여하고, 하단(8d)에는 내측 로울러의 외구면의 곡률형상(Ri)보다 큰 반경(Ro)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28은 제 10의 실시예로서, 상기 외측 로울러(8)의 외면에 오목형상(R5)과 트랙홈(2P,2Q)에는 볼록형상(R5)을 부여하여, 외측 로울러 (8)가 중심선(X-X)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29는 제 11실시예의 구체적인 예로서, 트랙홈(2P,2Q)에 중심선(X-X)를 기준으로 두 개의 볼록형상의 곡률(R11, R12)을 부여하여 오목형상을 갖는 외측 로울러와 상단부(P1)와 하단부(P2)에서 각각 임의의각도(θ11,θ22)에서 2점 접촉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반대로 외측 로울러(8)에 중심선(X-X)를 기준으로 두 개의 오목 곡률형상(R21, R22)을 부여하여 볼록형상을 갖는 트랙홈(3)의 상단부(P1)와 하단부(P2)에서 각각 임의의 각도(θ11,θ22)각도로 2점 접촉되는 트핵홈(2)과 외측 로울러(8)의 형상을 특징으로 하여, 외측 로울러(8)가 중심선(X-X)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 로울러(8)에 중심선(X-X)를 기준으로 두 개의 오목 곡률형상(R21, R22)과 중앙부(P3)에 한 개의 볼록곡률형상을 부여하여 볼록형상을 갖는 트랙홈(2) 의 상단부(P1)와 하단부(P2)에서 각각 임의의 각도(θ11,θ22)로 2점 접촉하는 동시에, 트랙홈의 중앙부(P3)는 오목형상을 부여하여 볼록형상을 갖는 외측 로울러중앙부(8)에 접촉시켜, 중심부에서 회전이 가능토록 하여 스핀 모우멘트를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30은 제 12의 실시예로서, 내측둘레에 축방향의 등 간격으로 임의의 곡면형상의 안내면을 갖는 3개의 트랙홈(2(P),2(Q))이 형성된 트라이포드 하우징(3)이 구비되고, 상기 트라이포드 하우징(3)의 트랙홈(2)에 3개 트러니언(4)이 돌출된 스파이더(5)가 설치되며, 상기 각 트러니언(4)의 바깥 둘레에 내측 로울러(7)와 니이들 로울러(6) 및 외측 로울러(8)가 각각 설치되고, 니이들 로울러 (6)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외측 로울러(8)의 상단과 하단부에 돌기부(9,10)가 부여되어 있는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구조(1)이다.
상기 트러니언의 구면형상에 의하여 내측 로울러 내구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폭이 분할되어, 상기 폭의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울음 모우멘트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트러니언(4)에 있어서는 상기 트러니언의 부하를 받는 방향에 위치한 구면부의 수평 중심선을 좌측과 우측을 각각 아래방향으로 임의의 각도(θ)로 경사진 중심선(X1-X1)상에서 내측 로울러(7)의 내구면(Φdi)에 내접될 수 있도록 내측 로울러(7)의 내구면경(φdi) 보다 작은 볼록 구면 형상(Rt)이 좌우측에 각각 부여되어 있고, 상기 트러니언(4)의 상단부위의 좌우 끝단(4a,4b) 부위에 있어서는 우측과 좌측의 높이가 다르게 부여된 임의의 각도(θ1)의 테이퍼 형상이 부여되어 있다.
상기 내측 로울러(7)에서 는 수직 중심선 (Y-Y)를 기준으로 임의의 각(θ2)을 회전시킨 축(Y1-Y1)을 기준으로 내측 로울러(7)의 하단부의 입구에 테이퍼 형상의 챔퍼경(φC)이 부여되어 있고, 그리고 트랙홈 중심선(X-X)을 기준으로 니이들 로울러(6)와 내접하는 내측 로울러(7)의 상단부의 폭(L1)을 하단부의 폭(L2)보다 크게 부여하여, 트러니언의 하단방향의 최대 이동량(δmax)을 조인트 각이 0인 상태의 트랙홈 중심선(X-X)에 의하여 니이들 로울러에 접촉하는 내측 로울러 상단부의 접촉 폭(L1)과 상기 하단부의 접촉폭(L2)이 같아지는 위치까지로 제한시킨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상단과 하단부에 있는 돌기부(9,10)상에 임의 형상의 홈(14,15)이 부여하여 내측 로울러의 외경치수(φJ)보다 작게 외측 로울러 의 내경치수(N)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4의 종래 기술에서 적용된 동일조건을 도 31에서의 본 발명구조에 적용하면, 도 31에서는 외측 로울러와 트라이포드 하우징이 접촉하는 접점 P를 중심으로 회전 모우멘트(M1)을 구하면 식(2)과 같이 얻어지고, 도4에서는 동일접점(P)을 중심으로 회전 모우멘트(M2)을 구하면 식(3)과 같이 얻어진다.
M1 = Fcosθ x Δ2 - Fsinθ x H1 ------(2)
M2 = Fcosθ x Δ --------(3)
상기 식(2),(3)에서 작용하중(F)이 중심선(X-X)상에서 내측 로울러에 작용하여도, 종래기술인 도 5에서는 여전히 한 방향으로 로울러 조립체를 기울게만 하는 모우멘트 성분(F x Δ)이 존재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트러니언의 중심이 X1-X1축에서 임의의 각(θ)만큼 회전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Δ2가 Δ보다 작아서 기본적으로 회전모우멘트 성분(Fcosθ x Δ2)을 작게하고, 로울러 조립체를 기울게 하는 반대방향으로 추가분력(Fsinθ x H1)이 작용하여 로울러조립체의 기울음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32는 제 13실시예로서, 제 12실시예의 구조에서 외측 로울러(8)에 있어서는 외측 로울러의 외구면(Ro)이 상기 중심선 (X1-X1)선상에서 트라이포드 하우징의 트랙홈(2P,2Q)에 내접된 구조가 포함된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33은 제 14 실시예로서 상기 제 13의 실시예에서 임의의 각도로 경사진 중심선(X1-X1) 상에서 내측 로울러(7)의 내구면(Φdi)에 내접될 수 있도록 내측 로울러(7)의 내구면경(φdi) 보다 작은 볼록 구면 형상(Rt)이 부여된 트러니언의 적용 예가 제외되어 있는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34과 도 35는 제 15 실시예로서, 부하를 받는 방향에 위치한 트러니언 구면부(4)에서 상기 트러니언의 구면부의 수평 중심선을 좌측과 우측을 각각 아래방향으로 임의의 각도로 경사진 중심선(X1-X1)상에서 내측 로울러(7)의 내구면에 내접될 수 있도록 내측 로울러(7)의 내구면경(φdi) 보다 작은 볼록 구면 형상(Rt)이 부여된 트러니언의 좌측과 우측의 구면점(J1,J2)을 연결한 치수(A) 가 수직 중심선(Y-Y)을 기준으로 임의의 각(θ3)을 회전시킨 축(Y1-Y1)을 기준으로 내측 로울러(7a)의 하단부 입구에 부여된 테이퍼 형상의 챔퍼 직경(ΦC)보다 작게 하거나 혹은 크게 하여 내측 로울러 및 로울러조립체를 트러니언에 조립 혹은 압입하여, 종래기술에서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문제시 되었던 트러니언의 목부의 강성저하 혹은 강성저하 보강을 위해 조인트 사이즈의 커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36과 도 37은 제 16의 실시예로서, 상단부에는 부하를 받는 방향에 위치한 트러니언에는, 우측의 높이(H2)와 좌측의 높이(H1)가 다른 임의의 각도(θ1)의 테이퍼 형상이 부여되고, 하단부에는 좌측과 우측을 각각 아래방향으로 임의의 각도(θ)로 경사진 중심선(X1-X1)상에서 내측 로울러(7)의 내구면에 내접될 수 있도록 내측 로울러(7)의 내구면경(φdi) 보다 작은 볼록 구면 형상(Rt)이 부여되어 있는 트러니언의 형상에서 우측상단부에 있는 테이퍼 형상(H2)과 좌측 하단부에 있는 구면점(J1)를 연결한 치수인 B를, 수직 중심선(Y-Y)을 기준으로 임의의 각(θ2)을 회전시킨 축(Y1-Y1)을 기준으로 하단부의 입구에 테이퍼 형상이 부여된 내측 로울러의 챔퍼경(φC)보다 같거나, 작게 혹은 크게 하여 내측 로울러 혹은 로울러조립체를 조립 혹은 압입하여 종래기술에서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문제시 되었던 트러니언의 목부의 강성저하 혹은 강성저하 보강을 위해 조인트 사이즈의 커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38은 제 17실시예로서 상단부에는 부하(혹은 하중)를 받는 방향으로 우측의 높이(H62)와 좌측의 높이(H61)가 다른 임의의 각도(θ1)의 테이퍼 형상에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챔퍼경(φC)을 갖는 내측 로울러를 트러니언상에 올려서 압입할 경우, 임의의 압입각(α3)을 갖고, 트러니언 우측테이퍼 형상과 내측 로울러(7)가 접촉하는 부위(H62)에는 F2의 하중으로, 좌측 트러니언 구면형상과 내측 로울러의 챔퍼면과 접촉하는 부위(H61)에는 F2보다 큰 하중F2를 가하여 압입하여 종래기술에서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문제시 되었던 트러니언의 목부의 강성저하 혹은 강성저하 보강을 위해 조인트 사이즈의 커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39는 제 18실시예로서 상기 제 16실시예에서 내측 로울러를 트러니언에 압입조립 할 경우에, 임의의 압입각(α3) 으로 내측 로울러의 챔퍼가 큰부위(H51)는 트러니언의 상단부의 좌측에 위치시키고, 챔퍼가 작은 부위(H52)는 트러니언 상단부의 우측에 위치시켜 원주방향으로 압입력이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압입하여 종래기술 에서 조립의 용이성을 위하여 문제시 되었던 트러니언의 목부의 강성저하 혹은 강성저하 보강을 위해 조인트 사이즈의 커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40는 제 19실시예로서 내측 로울러 및 로울러 조립체를 트러니언에 조립 혹은 압입할 경우, 조립 및 압입의 용이성을 위하여, 트러니언의 상단부에는 일정구간 높이(e11)에는 상단부 끝단 직경(ΦD1)이 아래방향 으로 내려올수록 커지는 원통형 원추형상을 부여하고, 중간구간(e1)에서는 부하가 작용하는 방향의 트러니언의 구면형상부분에 원주방향으로 임의구간(?)에 임의의 곡율(R1)을 갖는 돌기부(M)를 부여 하고, 하단부의 구간(e22) 에는 상단구간과 반대로 직경이 ΦD2에서 ΦD3로 줄어드는 원통형 원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1은 제 20실시예로서, 로울러 조립체를 트러니언의 트러니언에 강제압입 할 경우, 도 7에서의 종래기술방법으로 압입 조립할 경우에 야기될 수 있는 내측 로울러(7) 및 트러니언(4)의 구면손상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수단으로서, 트러니언 상단부(4)에 반경 방향으로 탄성변형(Δ21)을 일어 킬 수 있도록 상단부(4)에 임의형상 및 임의깊이 크기의 홈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2는 제 21실시예로서, 도 7에서의 종래기술방법 으로 압입 조립할 경우에 야기될 수 있는 내측 로울러 및 트러니언의 구면손상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수단으로서, 부하을 받는 방향(X-X)에 위치한 트러니언 상단부에는 직경Φd 과 홈깊이(H5)가 부여되고, 부하를 받지 않는 방향(Z-Z)에 위치한 트러니언 형상은 일정폭(W)를 부여하여 부하을 받는 방향(X-X)에 위치한 트러니언 상단부에만 반경방향으로만 탄성변형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3는 제 22실시예로서, 도 7에서의 종래기술 방법으로 압입 조립할 경우에 야기될 수 있는 내측 로울러 및 트러니언의 구면손상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수단으로서, 트러니언의 외구면부위(Φd1, Φdi)는 원형을 유지하고, 깊이 H5의 홈형상은 장축길이 e, 단축길이d 를 갖는 타원형상을 부여하여, 부하를 받지 않는 방향에 위치한 트러니언부위(Z-Z)보다 부하을 받는부위(X-X)에서의 탄성변형을 크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4은 제 23실시예로서 도 7에서의 종래기술 방법으로 압입 조립할 경우에 야기될 수 있는 내측 로울러 및 트러니언의 구면부 손상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수단으로서, 트러니언내 부여된 깊이H5 크기의 홈형상은 원형(Φd)을 유지하고, 트러니언의 외구면부위는 부하을 받는 부위(X-X)의 트러니언 형상은 di,d1크기를 갖 고, 트랙홈의 길이방향에 위치한 트러니언의 형상은 di, d1보다 작은 치수 di1,d11를 갖는 타원형상을 부여하여, 부하를 받지 않는 방향에 위치한 트러니언부위(Z-Z)보다 부하을 받는부위(X-X)에서의 탄성변형을 크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5은 제 24의 실시예로서, 종래기술의 도6과 비교한 것으로서, 점선은 종래기술을 나타내고, 실선은 본 발명에서 제안된 실시예를 적용한 것으로서, 트러니언의 목부위의 강성측면에서는 상기 목부위의 직경이 Dp 만큼 증가되어 있고, 조인트사이즈도 ΔPCR 만큼 줄어들어 조립성개선을 통하여, 조인트사이즈를 줄일수 있는 동시에, 목부위의 강성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6은 제 25의 실시예로서, 종래기술에서 내측 로울러(7)가 외측 로울러(8)로 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측 로울러의 상단하단부(9,10)에 깊이h, 폭w 크기의 홈(14,15)을 부여하여, 원주방향으로 일정하게 코킹하거나, 원주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코킹하여 반경방향의 코킹량(Δ41)의 2배 만큼 외측 로울러의 내경부치수가 줄어든 치수(ΦDN1)가 내측 로울러의 외경치수 ΦDN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 로울러의 코킹시에 상하부위에서 코킹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코킹용 상하공구(41,42)에 원주방향으로, 높이가 hk이고, 코킹전에 상기 외측 로울러의 홈(14,15)위에 혹은 아래에 상기 공구의 돌기(41a,42a)를 위치시켰을 때, 공구 돌기부의 끝단(41a,42b)과 코킹홈(9a,10a) 사이에는 δ41크기의 틈새가 부여될 수 있도록 공구 끝단부의 폭이 상기 홈폭인 w보다 작은 wk이고, 코킹을 위하여 외측 로울러(8)를 코킹공구 상하단 사이에 위치시켜 상단코킹공구(41)에 일정하중을 가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코킹홈의 내측부위가 소성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구돌기부(41a,42a)의 안쪽면에는 임의의 테이퍼각(α41)이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7는 제 26 실시예로서, 종래기술에서 내측 로울러(7)가 외측 로울러(8)로 부터 이탈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단부에는 제 25 실시예와 같이 코킹을 하고, 하단부에는 원형형상이 아닌 돌기부(Ri, J)를 원주상에 3곳에 균일하게 설치하여, 상기 돌기부에 의하여 내측 로울러(7)이 외측 로울러(8)에서 이탈이 방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8과 도 49 및 도 50은 제 27 실시예로서, 상기 제 14 실시예에 추가로 내측 로울러 내구면부 상단부분, 하단부분 혹은 중앙부위에 임의크기의 평면부(ΔL)을 부여한 것으로서, 임의의 조립각(θo)상태에서 로울러 조립체를 트러니언이 중심에서 아랫방향으로 δ만큼 이동할 때, 종래기술에서는 내측 로울러만 하단방향으로 δ만큼 이동하는 것을, 본 발명에서는 도 50과 같이 니이들 로울러의 접촉평면에서 내측 로울러가 δ11만큼 아랫방향으로 이동하고, 내측 로울러의 내구면부 아래부위에 부여된 평면부에서 트러니언이 δ12만큼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δ11+δ12 = δ의 관계가 되도록하여, 내측 로울러가 트러니언목부위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51는 제 28 실시예로서, 상기 제 12 실시예에 외측 로울러(8)의 외면에 오목형상(R5)과 트랙홈 (2P,2Q)에는 볼록형상(R5)을 부여하여, 중심선(X-X)을 기준 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2점 앵귤러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2점을 연결한 치수(L)는 니이들 로울러 길이 혹은 니이들 로울러 조립홈 길이(LN)보다 크게하여, 외측 로울러 혹은 로울러조립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52는 제 29 실시예로서 내측둘레에 축방향의 등 간격으로 임의의 곡면형상의 안내면을 갖는 3개의 트랙홈(2P,2Q)이 형성된 트라이 포드하우징(3)이 구비되고, 상기 트라이포드 하우징의 트랙홈에 3개 트러니언이 돌출된 스파이더(5)가 설치되며, 상기 각 트러니언의 바깥 둘레에 니이들 로울러(6) 및 내측 로울러(7)와 외측 로울러(8)가 각각 설치되고, 니이들 로울러(6)가 내측 로울러(7)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 로울러 의 상단과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돌기부가 부여되어 있는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구조이다.
상기 내측 로울러(7)와 외측 로울러(8)의 내면과 외면의 곡률중심은 트라이포드 하우징의 트랙홈의 단면 중심선(X-X) 상에 항상 존재하고, 상기 중심선(X-X)상에서 내측 로울러의 중심은 트랙홈의 중심과 동일하고, 외측 로울러의 내면의 곡률반경은 내측 로울러의 외면 곡률반경보다 항상 크며, 트러니언(4)의 형상은 상단부가 열려 있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트러니언(4)이 직접 트러니언이 니이들 로울러(6)와 접촉하여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조인트각이 0인 상태에서 트러니언이 축방향 이동이 없을 경우에는, 트랙홈의 중심선(X-X)을 기준으로 상기 트랙홈의 중심선(X-X)에서 트러니언의 상단부 끝단(S3)까지 거리(LT1)는 상기 트랙홈 중심선(X-X)에서 내측 로울러의 상단 끝단 까지의 거리(LI) 보다 항상 크고, 니이들 로울러의 하단부끝단(S1)을 기준으로, 상기 니이들 로울러의 하단부끝단(S1))에서 트러니언의 상단부 끝단(S3)까지의 거리(LT)는 니이들 로울러 하단부 끝단(S1)에서 상단부끝단(S2)을 연결한 거리보다 크게 하여, 임의의 트러니언의 축방향 이동에도, 항상 작용하중(F)이 외측 로울러와 트랙홈의 중심선상에 작용하도록 외측 로울러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대 조인트각이 부여된 상태에서 트러니언이 하단방향으로 최대이동을 할 경우에는, 트러니언의 상단부 끝단(S3)이 니이들 로울러의 상단부 끝단(S2)과 일치 혹은 위에 있도록 트러니언의 하단 축방향 움직임을 제한 하여, 트랙홈의 중심선(X-X)에서 트러니언 상단부의 끝단(S3) 까지의 거리(LT1)는, 상기 트랙홈 중심선(X-X)에서 니이들 로울러가 상단부 끝단(S2)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크도록 트러니언의 하단 축방향 움직임을 제한하여, 최대의 트러니언의 축방향 이동에도, 항상 작용하중(F)이 외측 로울러와 트랙홈의 중심선상에 작용하도록 외측 로울러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 의하면, 상기 조인트에서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 하면서도 조인트가 원활하게 구동됨으로써 차량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고, 차량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제작되는 자동차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한편, 조립방법의 개선을 통하여, 조인트의 강성 이 저하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긍극적으로는 최적설계에 의한 원가절감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Claims (18)

  1. 내측둘레에 축방향의 등 간격으로 임의의 곡면형상의 안내면을 갖는 3개의 트랙홈이 형성된 트라이 포드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트라이포드 하우징의 트랙홈에 3개 트러니언이 돌출된 스파이더가 설치되며, 상기 각 트러니언의 바깥 둘레에 니이들 로울러 및 내측 로울러와 외측 로울러가 각각 설치되고, 니이들 로울러가 내측 로울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 로울러의 상단과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돌기부가 부여되어 있는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울러와 외측 로울러의 내면과 외면의 곡률중심은 트라이포드 하우징의 트랙홈의 단면 중심선(X-X) 상에 존재하고, 상기 중심선상에서 내측 로울러의 중심은 트랙홈의 중심과 동일하고, 상기 외측 로울러의 내면의 곡률반경은 내측 로울러의 외면 곡률반경 보다 크며, 상기 트러니언의 형상은 상단부가 열려 있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트러니언이 상기 내측 로울러를 중앙부까지 관통하여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트러니언의 축방향 이동시 상기 니이들 로울러에 접촉하는 트러니언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폭은, 상기 트랙홈 혹은 외측 로울러 혹은 내측 로울러의 구면 중심선에 의하여 변동적으로 분할되어, 축방향이동에 따라 내측 로울러에 이동하중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울러가 외측 로울러의 중심선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제한시켜, 임의의 트러니언의 축방향 이동에도 작용하중(F)이 외측 로울 러와 트랙홈의 중심선상에 작용하고, 상기 조인트 각이 0인 상태에서 트러니언의 축방향 이동이 없을 경우, 상기 트랙홈의 중심선(X-X)을 기준으로 니이들 로울러에 접하는 상단부의 폭(L1)이 하단부의 폭(L2)보다 크도록 배치하여, 최대 조인트각 상태에서 트러니언이 하단방향으로 최대 이동하였을 경우, 상기 트랙홈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단부의 접촉 폭(L1)과 상기 하단부의 접촉폭(L2)이 같아지도록 트러니언의 하단방향 축이동을 제한시켜서, 트러니언이 최대이동 거리(δmax)에 도달할 경우에도 내측 로울러에 작용하중F은 트랙 중심선(X-X)상에 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니언의 형상이 원통형을 갖추고 직접 내측 로울러를 관통하여, 상기 내측 로울러의 상단부에서 중심부까지 축방향 이동을 하면서, 상기 니이들 로울러에 축방향의 이동하중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울러의 외구면과 외측 로울러 내구면이 접촉하는 점에서, 상기 내측 로울러의 외구면의 곡률반경(R1)이 외측 로울러의 내구면 곡률 반경(Ro)보다 작게 하여,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내측 로울러의 외구면과 외측 로울러 내구면간의 틈새가 커지게 하거나, 혹은 상기 외측 로울러의 내구면의 곡률반경은(Ro)을 내측 로울러의 외구면 곡률 반경(Ri)보다 크게 하여,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상기 내측 로울러의 외구면과 상기 외측 로울러 내구면간 의 틈새가 커지도록 함으로서, 상기 부품의 접점에서 접촉타원의 감소로 스핀저항을 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이들 로울러가 접촉하는 구간에서 트러니언의 하단부 끝단에 부여된 임의의 곡률반경이 상단부에 부여된 곡률반경보다 크게 하거나, 상기 트러니언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내려갈수록 치수가 줄어드는 테이퍼형상을 부여하여, 상기 트러니언과 니이들 로울러간에 반경방향 틈새가 상단부에에서 하단부로 내려올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6. 제 1 항에 있어서, 부하를 받는 방향(X-X)에 위치한 상기 트러니언의 축경(A)은 부하를 받지 않은 방향(Z-Z)에 위치한 트러니언의 축경(B)보다 크게 또는 작게 하여 타원형상을 이루고, 상기 트러니언 조립되는 내측 로울러의 하단부 내경에도 상기 트러니언과 동일한 타원형상을 부여하며, 상기 타원형상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상기 내측 로울러 하단부로 트러니언을 조립하고, 상기 트러니언에 대하여 상기 내측 로울러를 트러니언 축방향 중심선(Y-Y)을 기준으로 임의의 각도(θ)로 회전시켜 내측 로울러가 트러니언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울러의 하단 돌기부에 니이들 로울러의 트러 니언에 접촉되는 방향에 위치한 내측 로울러 하단부에 임의형상의 높이(J)의 기울음방지용 턱을 부여하고, 상기 기울음방지용 턱에 니이들 로울러의 끝단 곡면형상과 앵귤러 접촉하도록 하며, 상기 기울음방지용 턱의 안내면의 각(β)을 니이들 로울러가 조립되는 상단 돌기부의 안내각(β)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니언에는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치수가 증가하는 역 원추형 테이퍼 형상(θ)을 부여하고, 상기 외측 로울러의 내면 상단에는 트러니언에 부여된 동일각(θ)을 갖는 테이퍼형상의 폭(ΔL)과 상기 내측 로울러 외구면의 곡률형상(Ri)보다 큰 반경(Ro) 곡률 형상(Ro)을 부여하며, 상기 외측 로울러 내면 하단에는 상기 내측 로울러의 외구면의 곡률형상(Ri)보다 큰 반경(Ro)을 부여한 것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로울러의 외면에 오목형상(RS)과 상기 트랙홈에는 볼록형상(RS)을 부여하여, 중심선(X-X)를 기준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2점 앵귤러 접촉이 될 수 있고, 상기 2점에서 앵귤러 접촉을 이루는 상기 외측 로울러의 외면과 상기 트랙홈의 제반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10. 내측둘레에 축방향의 등 간격으로 임의의 곡면형상의 안내면을 갖는 3개의 트랙홈이 형성된 트라이 포드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트라이포드 하우징의 트랙홈에 볼록형상의 3개 트러니언이 돌출된 스파이더가 설치되며, 상기 각 트러니언의 바깥 둘레에 오목형상의 내측 로울러와 니이들 로울러 및 오목형상의 로울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내측 로울러는 니이들 로울러 상에서 축방향으로 습동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니이들 로울러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외측 로울러의 상단과 하단부에 돌기부가 부여되어 있는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부하를 받는 위치에 있는 상기 트러니언의 구면부에는 조인트각이 0인 상태에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트러니언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축방향으로 임의의 각도(θ)만큼 경사지게 하고, 상기 경사진 중심선상(X1-X1)에 상기 내측 로울러의 내구경보다 작은 볼록곡률 반경을 트러니언부의 좌측과 우측에 부여하여 상기 내측 로울러의 내구면부에 내접시키며, 상기 외측 로울러는 트랙홈의 중심선상(X-X)에서 트랙홈에 내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각이 0인 상태이고, 부하를 받는 위치에 있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트러니언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축방향으로 임의의 각도(θ)만큼 경사진 중심선(X1-X1) 상에는 볼록형상의 상기 외측 로울러 외구면만 오목형상의 트랙홈에 내접시키고, 상기 조인트각이 0인 상태에서의 중심선에는 트러니언의 외구면과 상기 내측 로울러의 내구면이 동일곡률반경으로 상호 내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니언의 구면부에는 조인트각이 0인 상태에서의 중심선으로 부터 상기 트러니언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축방향으로 임의의 각도(θ)만큼 회전된 새로운 중심선상(X1-X1)에서 상기 내측 로울러의 내구면에 내접하도록 트러니언의 좌측과 우측 부여된 볼록한 구면형상의 정점(J1,J2)을 서로 연결한 거리(A)는 상기 외측 로울러 수평 중심선(X-X)에 수직하는 중심선(Y-Y)에서 임의의 각(θ3)을 회전시킨 축(Y1-Y1)을 기준으로 내측 로울러의 하단부의 입구에 부여된 테이퍼 형상의 챔퍼 직경 (ΦC)보다 작게 하거나 혹은 크게 하여 내측 로울러 및 로울러 조립체를 트러니언에 조립 혹은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울러 또는 로울러조립체를 상기 트러니언에 압입조립하고, 상기 트러니언 상단의 중앙부에 반경 방향으로 탄성변형(Δ21)을 일으킬 수 있도록 상단부에 임의형상 및 임의 깊이 크기의 홈을 부여한 것과, 상기 트러니언 상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탄성변형을 통하여 상기 내측 로울러 및 로울러 조립체를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니이들 로울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 로울러의 상단과 하단부에 부여된 돌기부의 외주면상에 임의깊이(h) 및 임의폭(w)의 홈을 부여하고, 상기 니이들 로울러와 내측 로울러를 상기 외측 로울 러에 조립함으로써 외측 로울러의 내경부치수(ΦDN1)가 내측 로울러의 외경부치수(ΦDN)보다 작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울러 내구면부의 중앙부위에 혹은 중앙부위의 상단에만 혹은 중앙부위의 하단에만 임의크기의 평면부(ΔL)을 부여한 것과, 임의의 조인트각(α)상태에서 조인트각 회전할 경우, 상기 트러니언이 중심에서 아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총이동량(δ)이 상기 니이들 로울러에 접촉되어 있는 내측 로울러의 외주면에서 일부 축방향으로 이동(δ11)하고, 상기 내측 로울러의 내구면부 중앙부위 혹은 중앙부위의 상단에만 혹은 중앙부위의 하단에 부여된 평면부에서 상기 트러니언의 축방향이동(δ12)이 아래방향으로 가능하도록 하여, δ11+δ12 = δ의 관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로울러와 트랙홈에 외측 로울러의 외면에 오목형상(RS)과 트랙홈에는 볼록형상(RS)을 부여하여, 중심선(X-X)를 기준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2점 앵귤러 접촉이 되고, 상기 외측 로울러와 트랙홈에 외측 로울러의 외면에 오목형상(RS)과 트랙홈에는 볼록형상(RS)을 부여하여, 중심선(X-X)를 기준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2점 앵귤러 접촉이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17. 내측둘레에 축방향의 등 간격으로 임의의 곡면형상의 안내면을 갖는 3개의 트랙홈이 형성된 트라이 포드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트라이포드 하우징의 트랙홈에 3개 트러니언이 돌출된 스파이더 가 설치되며, 상기 각 트러니언의 바깥 둘레에 니이들 로울러 및 내측 로울러와 외측 로울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니이들 로울러가 내측 로울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 로울러 의 상단과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돌기부가 부여되어 있는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내측 로울러와 외측 로울러의 내면과 외면의 곡률중심은 트라이포드 하우징의 트랙홈의 단면 중심선(X-X) 상에 존재하고, 상기 중심선상에서 내측 로울러의 중심은 트랙홈의 중심과 동일하고, 상기 외측 로울러의 내면의 곡률반경은 내측 로울러의 외면 곡률반경보다 크며, 상기 트러니언의 형상은 상단부가 열려 있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트러니언이 직접 니이들 로울러와 접촉하여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조인트각이 0인 상태에서 트러니언이 축방향 이동이 없을 경우, 상기 트랙홈의 중심선에서 트러니언의 상단부 끝단(S3)까지 거리(LT1)는 상기 트랙홈 중심선(X-X)에서 내측 로울러의 상단 끝단까지의 거리(LI) 보다 크고, 상기 니이들 로울러의 하단부 끝단(S1)을 기준으로 니이들 로울러의 하단부 끝단(S1)에서 상기 트러니언의 상단부 끝단(S3)까지의 거리(LT)는 니이들 로울러가 접하는 트러니언 하단부 끝단(S1)에서 니이들 로울러의 상단부 끝단(S2)까지의 거리(LN)보다 크게 하여, 임의의 트러니언의 축방향 이동에도 작용하중(F)이 상기 외측 로울러와 트랙홈의 중심선상에 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최대 조인트각이 부여된 상태에서 상기 트러니언이 하단방향으로 최대이동을 할 경우, 상기 트러니언의 상단부 끝단(S3)이 상기 니이들 로울러 상단부 끝단(S2)과 일치 혹은 상기 니이들 로울러 상단부 끝단(S2)보다 위에 있게 하거나, 상기 트랙홈의 중심선(X-X)에서 트러니언 상단부의 끝단(S3)까지의 거리(LT1)는, 상기 트랙홈 중심선(X-X)에서 상기 니이들 로울러가 상단부 끝단(S2)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크도록 상기 트러니언의 하단 축방향 움직임을 제한 하여, 트러니언의 하단방향 이동에도 작용하중(F)이 상기 외측 로울러와 트랙홈의 중심선상에 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KR1020050035640A 2005-04-28 2005-04-28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KR10062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640A KR100627007B1 (ko) 2005-04-28 2005-04-28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640A KR100627007B1 (ko) 2005-04-28 2005-04-28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7007B1 true KR100627007B1 (ko) 2006-09-22

Family

ID=3762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640A KR100627007B1 (ko) 2005-04-28 2005-04-28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0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791B1 (ko) * 2010-05-03 2013-07-05 현대위아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의 스파이더 조립체
CN105973918A (zh) * 2016-07-08 2016-09-28 丹东华日理学电气股份有限公司 工业ct用3d球检测平台
CN107120356A (zh) * 2017-06-28 2017-09-01 上海纳铁福传动系统有限公司 双滚轮三销式移动万向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418Y1 (ko) 1995-08-22 2002-09-04 위아 주식회사 트리포드식등속죠인트
KR200260930Y1 (ko) 1998-04-29 2002-09-27 위아 주식회사 트라이포드식등속조인트
KR20040071382A (ko) * 2003-02-06 2004-08-12 오승탁 축력 저감형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418Y1 (ko) 1995-08-22 2002-09-04 위아 주식회사 트리포드식등속죠인트
KR200260930Y1 (ko) 1998-04-29 2002-09-27 위아 주식회사 트라이포드식등속조인트
KR20040071382A (ko) * 2003-02-06 2004-08-12 오승탁 축력 저감형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791B1 (ko) * 2010-05-03 2013-07-05 현대위아 주식회사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의 스파이더 조립체
CN105973918A (zh) * 2016-07-08 2016-09-28 丹东华日理学电气股份有限公司 工业ct用3d球检测平台
CN107120356A (zh) * 2017-06-28 2017-09-01 上海纳铁福传动系统有限公司 双滚轮三销式移动万向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8684B2 (en) Constant velocity joint and rolling bearing unit for wheel
US7354347B2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EP1705395B1 (en) Fixed-type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US7758430B2 (en) Structure for tripod constant velocity joint and method of assembling roller assembly
KR100881672B1 (ko) 트라이포드 등속 유니버설 조인트
US6764407B2 (en) Constant velocity joint
US6893351B2 (en) Tripod type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KR100627007B1 (ko) 마찰저감용 트라이포드 등속조인트
WO2016147827A1 (ja) トリポード型等速自在継手
US7217194B2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EP1253337B1 (en) Constant velocity joint
KR101726979B1 (ko) 유니버설 조인트를 위한 조인트 요크 및 유니버설 조인트
US6682434B2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US8177649B2 (en) Constant velocity joint of tripod type
CN100395461C (zh) 等速万向节
US6752721B2 (en)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JP4798425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4758809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4735970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の組み付けアセンブリおよび組み付けアセンブリ用固定具
JP2006283831A (ja) 等速自在継手
JP5115712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6661959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2023091224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2000046062A (ja) トリポード型等速ジョイント及びそのローラ
JP2021156325A (ja) 等速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