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520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520B1
KR100626520B1 KR1019990036680A KR19990036680A KR100626520B1 KR 100626520 B1 KR100626520 B1 KR 100626520B1 KR 1019990036680 A KR1019990036680 A KR 1019990036680A KR 19990036680 A KR19990036680 A KR 19990036680A KR 100626520 B1 KR100626520 B1 KR 100626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base station
rej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996A (ko
Inventor
김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1999003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520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ANDARDS FOR 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2001/00Standar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T2001/209Applications
    • H04T2001/2091Call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 Forwarding [CF], Cell Barring [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조작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호출신호에 응답하거나 또는 즉시 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호접속을 위한 호출신호가 단말기로 수신되었을 때에 상기 단말기의 특정키를 입력하여 즉시 착신거절을 수행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된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종료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착신 거절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고, 호를 절단하여 통화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종료키를 제외한 기타 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호 접속을 수행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시 별도의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단말기 자체에서 신속 간편하게 통화를 거절 또는 연결할 수 있고, 상대 통화자에게 통화거부에 의한 불쾌감을 발생시키거나 통신 서비스의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아울러 발신전화번호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에서는 수신자의 선별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Call rejection method of mobile station}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11 : 통화키
12 : 종료키 13 : 마이컴
14 : RF신호 처리부 20 : 기지국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호출신호를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기기로서, 기지국과 상호 연계하여 필요한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원활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에는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20)과 RF신호를 송/수신하며, 송/수신되는 RF신호를 처리하는 RF신호 처리부(14)와, 상기 RF신호 처리부(14)의 RF신호를 입력하여 단말기(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13)이 구비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마이컴(13)에 통화의 개시 또는 종료를 알리는 통화키(11) 및 종료키(12)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기지국(20)과의 RF신호 송/수신, 발신호 개시 및 호출에 대한 응답으로의 랜덤 접속, 위치등록, 대기 모드에서의 시스템 정보방송 및 호출신호 수신, 우선호 접속, 전송 오류 검출 및 복원, 암호화/복호화, 전력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다른 단말기의 호출에 의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호접속 요구가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여 호를 접속하거나, 또는 기지국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착신거절 서비스에 등록되었을 경우에 한하여 호접속을 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호접속에 의한 착신 또는 착신거절방법을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로서, 종래의 착신거절방법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20)의 제어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즉, 기지국(20)에 다른 단말기로부터의 호접속 요구가 입력되면, 기지국(20)은 해당 단말기(10)가 착신거절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S100~S110). 이 착신거절 서비스는 통상 휴대폰 사업자가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기능으로써, 별도의 등록 절차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등록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단말기(10)가 착신거절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기지국(20)에서는 해당 단말기(10)를 호출하지 않고 바로 착신 거절을 수행하며, 안내방송 등을 통하여 해당 단말기(10)가 착신 거절되어 있음을 호접속을 요구한 단말기에 통보한다(S120~S130).
한편, 해당 단말기(10)가 착신거절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기지국(20)에서는 해당 단말기를 호출한다(S140).
기지국(20)에서 단말기(10)가 호출되면, 단말기(10)에서는 상기 기지국(20)의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벨을 울리게 되며, 이때 사용자가 통화를 원할 경우 키입력에 의하여 호가 접속된다(S150~S160).
여기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단말기(10)에 마련된 통화키(11)를 눌러 통화를 하게 되나, 최근에는 어떠한 키를 누르더라도 통화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소정시간의 통화를 수행한 후에 종료키(12)를 입력하거나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종료에 의하여 통화가 종료되면, 단말기(10)의 호가 절단되어 통화대기 상태로 된다(S170~S180).
한편, 착신거절 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지국(20)에서 단말기(10)를 호출하게 되면,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도 계속해서 단말기(10)의 벨이 울리게 되며, 기지국(20)에서는 통상 10회 가량 벨이 울린 후에도 응답이 없을 경우에 단말기(10) 호출을 중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거절을 위하여 또는 벨소리를 멈추게 하기 위하여 먼저 통화키(11)를 눌러 호를 접속하였다가 이후로 종료키(12)를 눌러 통화를 종료시키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은, 휴대폰 사업자가 제공하는 착신 거절 서비스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단말기 자체에서 이를 거절 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통상은 먼저 단말기의 통화키를 눌러 호를 접속하였다가 종료키를 눌러 통화를 종료시켜야 하므로, 그 조작이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갑작스런 통화 단절로 인하여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또는 통신 서비스의 신뢰감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 사업자가 제공하는 착신 거절 서비스에 등록하여 착신 거절 기능을 이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필요시마다 수시로 별도의 등록 절차를 거쳐 등록 또는 해제 하여야하므로, 사용자가 착신거절을 원하거나 또는 원하지 않을 경우에 따라 신속하게 착신거절기능을 전환시키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 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조작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호출신호에 응답하거나 또는 즉시 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호접속을 위한 호출신호가 단말기로 수신되었을 때에 상기 단말기의 특정키를 입력하여 즉시 착신거절을 수행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된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종료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착신 거절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고, 호를 절단하여 통화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종료키를 제외한 기타 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호 접속을 수행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착신 거절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기지국에서 착신거절에 따라 미리 저장된 안내 방송을 상대방 단말기에 송출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의 착신 거절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를 호출하지 않고 바로 착신 거절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에서 종료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먼저 호를 접속하였다가 즉시 호를 절단하여 통화를 강제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시 별도의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단말기 자체에서 신속 간편하게 통화를 거절 또는 연결할 수 있고, 상대 통화자에게 통화거부에 의한 불쾌감을 발생시키거나 통신 서비스의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아울러 발신전화번호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에서는 수신자의 선별 통화가 가능하게 되고, 불필요하게 단말기를 호출하는 시간을 줄여 기지국의 사용률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20)으로부터 송출된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40)와, 단말기(10)에서 종료키(12)가 입력되었을 경우, 착신 거절 신호를 상기 기지국(20)으로 송출하고, 호를 절단하여 통화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S250~S270)와, 그리고 상기 종료키(12)를 제외한 다른 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호 접속을 수행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S280~S2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0)에서 종료키(12)가 입력되었을 경우, 먼저 호를 접속하였다가 즉시 호를 절단하여 통화를 강제 종료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상기 기지국(20)에 착신 거절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기지국(20)에서 착신거절에 따른 안내 방송을 상대방 단말기(10)에 송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10)가 상기 기지국(20)의 착신 거절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상기 기지국(20)은 상기 단말기(10)를 호출하지 않고 바로 착신 거절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S200~S23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20)에 다른 단말기로부터의 호접속 요구가 입력되면, 기지국(20)은 먼저 해당 단말기(10)가 착신거절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S200~S210). 이 착신거절 서비스는 통상 휴대폰 사업자가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기능으로써, 별도의 등록 절차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등록 또는 해제할 수 있음은 종래기술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해당 단말기(10)가 착신거절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으면, 기지국(20)에서는 해당 단말기(10)를 호출하지 않고 바로 착신 거절을 수행하며, 안내방송 등을 통하여 해당 단말기(10)가 착신 거절되어 있음을 호접속을 요구한 단말기에 송신한다(S220~S230).
한편, 해당 단말기(10)가 착신거절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기지국(20)에서는 해당 단말기(10)를 호출한다(S240).
단말기(10)에서는 상기 기지국(20)의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벨을 울리게 되며, 이때 사용자가 통화를 원하지 않을 경우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10)의 특정키를 입력하여 즉시 착신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10)의 종료키(12)를 입력하면, 단말기(10)에서는 착신 거절 신호를 상기 기지국(20)으로 송출하고, 호를 절단하여 통화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S250~S270)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10)에서 종료키(12)가 입력되었을 경우, 먼저 호를 접속하였다가 즉시 호를 절단하여 통화를 강제 종료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상기 기지국(20)에 착신 거절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기지국(20)에서 착신거절에 따른 안내 방송(예로서, "회의등 중요한 일로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음성녹음/호출번호를 남기시기 바랍니다." 등..)을 상대방 단말기(10)에 송출하도록 하여, 상대 통화자에게 통화거부에 의한 불쾌감을 발생시키거나 통신 서비스의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통화를 원할 경우에는 상기 종료키(12)를 제외한 다른 키(예로서 통화키(11) 등)를 입력하면, 단말기(10)는 호 접속을 수행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S280~S290).
이후, 소정시간의 통화를 수행한 후에는 종료키(12)를 입력하거나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종료에 의하여 통화가 종료되면, 단말기(10)는 호가 절단되고 통화대기 상태로 된다(S300~S31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시 별도의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단말기 자체에서 신속 간편하게 통화를 거절할 수 있고, 상대 통화자에게 통화거부에 의한 불쾌감을 발생시키거나 통신 서비스의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아울러 발신전화번호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에서는 수신자의 선별 통화가 가능하게 되고, 불필요하게 단말기를 호출하는 시간을 줄여 기지국의 사용률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기지국으로부터 호접속을 위한 호출신호가 단말기로 수신되었을 때에 상기 단말기의 특정키를 입력하여 즉시 착신거절을 수행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된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종료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착신 거절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출하고, 호를 절단하여 통화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종료키를 제외한 다른 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호 접속을 수행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착신 거절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기지국에서 착신거절에 따라 미리 저장된 안내 방송을 상대방 단말기에 송출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의 착신 거절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를 호출하지 않고 바로 착신 거절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종료키가 입력되었을 경우, 먼저 호를 접속하였다가 즉시 호를 절단하여 통화를 강제 종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
KR1019990036680A 1999-08-31 1999-08-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 KR100626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680A KR100626520B1 (ko) 1999-08-31 1999-08-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680A KR100626520B1 (ko) 1999-08-31 1999-08-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996A KR20010019996A (ko) 2001-03-15
KR100626520B1 true KR100626520B1 (ko) 2006-09-20

Family

ID=1960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680A KR100626520B1 (ko) 1999-08-31 1999-08-31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234B1 (ko) * 2001-07-12 2008-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콜 수신 방법
KR100813033B1 (ko) * 2001-09-17 2008-03-14 (주) 엘지텔레콤 발신번호 표시와 연계한 통화 차단 방법
KR20040019154A (ko) * 2002-08-26 2004-03-05 석정호 호 수신거부 기능을 구비한 유무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수신거부 방법
KR20060055183A (ko) * 2004-11-18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날로그 모드로 동작 중인 듀얼 모드 단말기의 콜 종료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187A (ko) * 1997-02-27 1998-10-26 김광호 무선 단말기에서 착신 자동 선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187A (ko) * 1997-02-27 1998-10-26 김광호 무선 단말기에서 착신 자동 선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996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4977A (en) Call transfer and simplex call capability in a residential system using wireless residential extension handsets
KR10020617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US6198942B1 (en) Telephone apparatus adaptable to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JPH08237747A (ja) セルラー・コードレス電話機で呼を送受信する方法
US7184783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character message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ring conversation by telephone
US20020004385A1 (en) Mobile telephone provided with call transfer function and call transfer method
GB2177572A (en) Mobile radiotelephone systems
KR1006265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거절방법
KR20000044484A (ko) 무선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상태 표시 방법
KR1004829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KR0135206B1 (ko)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H08256374A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における子機間再接続方式
KR20040009241A (ko) 교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양방향동시호출 처리방법
KR100574656B1 (ko) 그룹 착신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923195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30223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있어서발신자의대기시간을최소화하는방법
JP3141462B2 (ja) 無線電話装置
JP2868458B2 (ja) 移動局間の通信方法
KR10080076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음성 사서함 연결 방법
KR10021076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호전환제어방법
KR100206172B1 (ko) 내선 자동접속 기능을 가지는 키폰시스템의 음성 부재메시지 안내방법
KR1005882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호 처리 시스템및 방법
RU2569338C2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трехстороннего вызова
JP2001008259A (ja) コールバック通信制御方法とそのシステム
JP2001077913A (ja) コードレス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