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241A - 교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양방향동시호출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양방향동시호출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241A
KR20040009241A KR1020020043115A KR20020043115A KR20040009241A KR 20040009241 A KR20040009241 A KR 20040009241A KR 1020020043115 A KR1020020043115 A KR 1020020043115A KR 20020043115 A KR20020043115 A KR 20020043115A KR 20040009241 A KR20040009241 A KR 20040009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terminal
called
called terminal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276B1 (ko
Inventor
이재철
송영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276B1/ko
Publication of KR2004000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ANDARDS FOR 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T2001/00Standar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T2001/209Applications
    • H04T2001/2091Call 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 Forwarding [CF], Cell Barring [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 신호의 착/발신 단말기간 통신회선 설정을 수행하는 교환기 장치에 호(call) 수신 시 호 신호의 착신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위해 위치등록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착신지 단말기 상태를 판별하고 통화 상태인 경우에 착신지 단말기의 통화 상대방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발신자 전화번호와 착신지 단말기에서의 통화 상대방 전화번호가 일치하면 양방향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신회선을 설정해 발신자간에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교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양방향 동시호출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기지국에 연결되어 통화망 관리 및 가입자 위치 등록을 포함하는 무선통신과 관련된 서비스를 통합 관리 제어하는 교환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호 신호에 대한 호 설정시간 이내에 수신되는 각각의 호 신호에서 착신번호와 발신번호를 검출하여 비교한 후 일치되는 두 발신번호의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양방향 동시 호출 시에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동시 호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동시에 상대방을 호출하는 경우에도 두 발신자간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두 단말기 사용자의 동시 호출 시 통화 연결 실패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덜어주고, 이동통신망과 무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양방향 동시호출 처리방법{Exchange device and method for calling the same time at both sides between mobile phones using the exchange device}
본 발명은 교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양방향 동시호출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 신호의 착/발신 단말기간 통신회선 설정을 수행하는 교환기 장치에 호(call) 수신 시 호 신호의 착신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위해 위치등록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착신지 단말기 상태를 판별하고 통화 상태인 경우에착신지 단말기의 통화 상대방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발신자 전화번호와 착신지 단말기에서의 통화 상대방 전화번호가 일치하면 양방향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신회선을 설정해 발신자간에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교환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양방향 동시호출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와서, 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아니 되는 제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 기능은 무선 네트워크 망을 이용한 특정 단말기 사용자간의 정보교환인데, 이 중에 기본이 단말기를 이용해 양자간에 통화하는 것이다.
종래의 단말기 호출 방법은 PSTN(공중전화망), CDMA(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 등의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이동 통신망에 가입된 단말기 가입자는 단말기에 구비된 키 패드를 이용하여 통화를 원하는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선택한다.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통화버튼 선택에 따라 발신 전화번호 및 수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호 신호를 안테나로 송출하고, 송출되는 호 신호는 발신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가장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는 기지국을 경유하여 교환기 장치로 전송된다.
교환기 장치에서는 호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호 신호의 착신 전화번호를 통해 위치정보 데이터 베이스에서 착신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검출해 착신지 단말기와의 통화로를 확보하고, 착신지 단말기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확보된 통화로를 통해 통화 서비스한다.
이러한 통화 서비스에 의한 통화 중에 단말기 가입자는 단말기의 무선 주파신호 수신 환경 변화로 인해 통화가 불시에 끊기는 현상을 빈번히 경험하게 된다.
이 경우에 통화 중이던 발신 및 수신 단말기 사용자는 서로 상대방과의 통화 연결을 위해 호출을 시도한다.
그러나, 양쪽 단말기 사용자가 함께 통화 버튼을 선택하여 호출을 시도하는 시간이 호 설정에 필요한 시간보다 짧다면, 교환기에서는 양쪽 단말기에서의 호출 시도로 인해 호출이 실패하여 상대방 단말기 호출에 실패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발신 단말기라 칭함.) 사용자가 동시에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착신 단말기라 칭함.)를 호출하는 경우 각 발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호 신호가 송출되는 사용자 호출이 시도된다(S1).
이와 같이 각 발신 단말기에서 호출이 시도되면 교환기 장치에는 각 발신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호 신호가 기지국을 경유하여 수신된다(S2).
교환기 장치에서는 각 발신 단말기 사용자의 호출 시도에 따라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Visitor Location Register:VLR 또는 Home Location Register:HLR)에 각 발신 단말기의 상태를 통화 대기 상태인 유휴(IDLE)상태에서 통화상태로 전환시켜 설정한다(S3).
이 과정에서 호 신호 처리를 위해 통신링크를 할당받기 위한 망 지연(S4) 상태로들어가고, 교환기 장치에서는 각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호 신호 착신지와의 통화링크 설정을 위해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각 호 신호의 착신번호에 해당되는 착신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검출한다(S5).
각 호 신호를 수신한 교환기 장치에서는 각 착신 단말기 상태가 통화 가능한 유휴(IDLE)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여(S6), 유휴(IDLE)상태이면 통화 연결을 위해 착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착신 단말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S7), 발신자에게는 착신 단말기 호출을 알리는 "통화 연결" 알림음을 전달하여 착신 단말기와 통화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며 착신 단말기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통화 연결한다(S8).
그러나, 이 경우 각 발신 단말기 사용자가 상대방을 동시호출하고 있어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각각의 착신 단말기 위치정보가 "통화" 상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착신 단말기의 상태정보 판별결과 유휴상태가 아니므로, 각 발신자에게는 착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를 알리는 "통화 중" 알림음을 전달한다(S9).
전달되는 "통화중" 알림음을 통해 착신 단말기와의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임을 인식한 발신자의 통화 종료에 따라 사용자 호는 중단된다(S10).
이에 따라 각각의 발신 단말기 사용자는 상대방 호출을 위해 반복적으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거나 통화를 포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동시 호출로 인한 호 설정 실패로 발생되는 반복적인 통화 연결 시도에 따라 이동통신망의 트래픽 현상 및 이에 따른 망 지연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 장치에서 호 신호 수신시에 수신된 호 신호에 대한 호 설정시간이내에 다른 호 신호가 수신되면 각 호 신호의 발신번호와 착신번호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발신번호와 착신번호가 일치하면 각 호 신호의 발신 단말기간에 통신회선을 설정하여 동시 호출한 두 발신 단말기 사용자의 호 신호 충돌로 인한 호 설정 실패를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장치는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기지국에 연결되어 통화망 관리 및 가입자 위치 등록을 포함하는 무선통신과 관련된 서비스를 통합 관리 제어하는 교환기 장치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호 신호의 호 처리를 위한 착신 단말기 상태정보 검출 시 검출된 착신 단말기 상태정보가 통화상태이면 착신단말기에서 통화 연결되는 단말기 착신번호와 상기 발신 단말기 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착/발신 단말기간에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양방향 동시 호출 시에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양방향 동시호출 처리 방법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기지국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합 관리하는 교환기 장치에서의 호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장치에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호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된 호 신호의 착신 단말기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상태정보검출단계와; 상기검출된 착신단말기 상태정보가 통화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통화상태판별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통화상태가 아니면 호 신호 처리과정에 따라 착신 단말기로 호 신호를 전송하고 발신 단말기로 통화연결 알림음을 알리며 착신 단말기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통화 연결하는 유휴상태 호 처리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통화상태이면 착신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호 신호의 착신번호와 상기 발신단말기의 번호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라 통화 연결하거나 통화중 알림음을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화상태 호 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교환기 장치에서의 호(call) 처리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동시 호출이 가능한 교환기 장치에서의 호(call) 처리 과정을 타나낸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이동통신 단말기 300 : 기지국
400 : 교환기 장치 500 : 위치등록 데이터베이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200)와,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200)를 수용하며 단말기와의 무선 주파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기지국(300)과, 상기 기지국(300)과 연결되어 통화망 관리를 포함하는 무선통신과 관련된 서비스를 통합관리 제어하며 기지국(300)을 경유하여 단말기(100,200)로부터 송출되는 호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호 신호에 따른 통화 연결을 위한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각 단말기 위치 및 단말기 상태 정보를 위치등록 데이터베이스(500)에 등록하는 교환기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교환기 장치(40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된 호 신호 처리를 위한 착신 단말기 정보 검출 시 단말기 상태정보가 통화상태이면 착신 단말기에서 통화 연결되는 단말기 번호인 착신번호와 상기 수신된 호 신호의 발신 단말기 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착/발신 단말기간을 통화연결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착신 단말기의 통화상태를 통화중 알림음을 통해 발신 단말기 사용자에게 알리는 통화중 호 처리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동시 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200)를 수용하는 기지국(300)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합 관리하는 교환기 장치(400)에서의 호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장치(400)에서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송출되는 호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500)에서 수신된 호 신호의 착신 단말기(200)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상태정보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된 착신단말기(200) 상태정보가 통화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통화상태판별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통화상태가 아니면 호 신호 처리과정에 따라 착신 단말기(200)로 호 신호를 전송하고 발신 단말기(100)로 통화연결 알림음을 알리며 착신 단말기(200)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통화 연결하는 유휴상태 호 처리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통화상태이면 착신 단말기(200)에서 송출되는 호 신호의 착신번호와 상기 발신단말기(100)의 번호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라 통화 연결하거나 통화중 알림음을 상기 발신단말기(100)로 전송하는 통화상태 호 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화상태 호 처리단계는 상기 판별결과 통화상태이면 착신 단말기(200)와 통화 연결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전화번호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와 상기 호 신호 발신 단말기(100)의 번호를 비교하는 전화번호 비교단계와;상기 비교결과 일치하면 상기 착신 단말기(200)와 발신 단말기(100)간에 통화링크를 연결하는 통화연결단계와; 강기 비교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발신 단말기(100)로 상기 착신 단말기(200)의 통화상태를 알리는 통화중 알림음을 전송하는 통화중 알림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동시 호출 방법을 첨부된 도 3의 동작 흐름도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만일, 발신 단말기 사용자(100)가 착신 단말기 사용자(200)와 통화 중에 통화가 끊어져 통화하던 착신 단말기 사용자(200)를 재 호출하는 경우에 착신 단말기 사용자(200)도 동시에 발신 단말기 사용자(100) 호출 중에 있다면, 발신 단말기(100)와 착신 단말기(200)에서 각각 상대방 단말기를 호출하는 사용자 호출이 시도된다(S11).
이러한 착/발신 단말기(100,200)에서의 사용자 호출 시도에 따른 호 처리 과정은 각각 동일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은 자명한 사실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발신 단말기(100)를 중심으로 하는 교환기 장치(400)에서의 호 처리 과정을 통해 설명한다.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송출되는 호 신호는 발신 단말기(100)가 등록된 기지국(300)을 경유하여 교환기 장치(400)에 수신된다(S12).
교환기 장치에서는 발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호출 시도에 따라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Visitor Location Register:VLR 또는 Home Location Register:HLR)(500)에 설정된 발신 단말기(100) 상태정보를 유휴(IDLE)상태에서 통화상태로전환시킨다(S13).
이 과정에서 망 지연(S14) 상태로 들어가기 때문에, 교환기 장치(400)에서는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호 신호의 착신지인 착신 단말기(200)와의 통화링크 설정을 위해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500)를 통해 착신 단말기(200) 번호에 해당되는 단말기 상태정보를 검출한다(S15).
교환기 장치(400)에서는 검출된 착신 단말기(200)의 상태정보를 통해 착신 단말기(200)가 통화연결 가능한 유휴(IDLE)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여(S16), 유휴(IDLE)상태이면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500)를 통해 검출되는 착신 단말기(200) 위치정보를 통해 착신 단말기(200)로 호출신호를 전송하는 호 연결을 실행시키고(S17), 발신 단말기(100)로 착신 단말기(200) 호출을 알리는 "통화 연결" 알림음을 전달한다(S18).
그러나, 착신 단말기(200) 사용자가 발신 단말기 사용자(100)를 호출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위치등록 데이터베이스(500)에는 착신 단말기(200)의 상태정보는 통화상태로 설정되고, 이에 따라 교환기 장치(400)에서는 착신 단말기(200)의 상태정보가 유휴상태가 아니므로 위치등록 데이터베이스(500)에 등록되는 착신 단말기(200)와 통화 연결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인 착신번호를 검출한다.
교환기 장치(400)에서는 발신 단말기(100)와 착신 단말기(200)가 동시 호출 중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검출된 착신번호와 발신 단말기(100)의 번호인 발신번호를 비교하여(S19), 비교결과 일치하면 착신 단말기(200)와 발신 단말기(100)로 동시 호출 알림음을 전송하고, 각 발신자인 발신 단말기(100)와 착신 단말기(200) 간에통화링크를 설정하는 호 처리 실행 루틴(S17)으로 리턴한다(S20).
비교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발신 단말기(100)로 착신 단말기(200)의 통화 중 상태를 알리는 알림음을 전송하고(S21), 착신 단말기(200)의 통화 중 상태를 알림음으로 확인한 발신 단말기(100) 사용자의 종료버튼 선택에 따라 사용자 호를 중단시킨다(S22).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기 장치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호 신호 처리과정에서 지정된 착신 단말기가 통화상태이면 착신 단말기와 통화 연결되는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검출해 상기 착신 단말기를 호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각 단말기를 통화 연결함으로써, 각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동시에 상대방을 호출하는 경우에도 두 발신자간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두 단말기 사용자의 동시 호출 시 통화 연결 실패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덜어주고, 이동통신망과 무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기지국에 연결되어 통화망 관리 및 가입자 위치 등록을 포함하는 무선통신과 관련된 서비스를 통합 관리 제어하는 교환기 장치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호 신호의 호 처리를 위한 착신 단말기 상태정보 검출 시 검출된 착신 단말기 상태정보가 통화상태이면 착신단말기에서 통화 연결되는 단말기 착신번호와 상기 발신 단말기 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착/발신 단말기간에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양방향 동시 호출 시에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장치.
  2.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기지국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합 관리하는 교환기 장치에서의 호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장치에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호 신호가 수신되면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된 호 신호의 착신 단말기 상태정보를 검출하는 상태정보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된 착신단말기 상태정보가 통화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통화상태판별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통화상태가 아니면 호 신호 처리과정에 따라 착신 단말기로 호 신호를 전송하고 발신 단말기로 통화연결 알림음을 알리며 착신 단말기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통화 연결하는 유휴상태 호 처리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통화상태이면 착신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호 신호의 착신번호와 상기 발신단말기의 번호를 비교하여 일치여부에 따라 통화 연결하거나 통화중 알림음을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화상태 호 처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양방향 동시호출 처리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상태 호 처리단계는 상기 판별결과 통화상태이면 착신 단말기와 통화 연결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전화번호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와 상기 호 신호 발신 단말기의 번호를 비교하는 전화번호 비교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일치하면 상기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간에 통화링크를 연결하는 통화연결단계와; 상기 비교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발신 단말기로 상기 착신 단말기의 통화상태를 알리는 통화중 알림음을 전송하는 통화중 알림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양방향 동시호출 처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연결단계는 동시호출 되는 상기 착신 단말기(200)와 발신 단말기(100)로동시 호출 알림음을 전송하는 동시호출 알림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양방향 동시호출 처리방법.
KR1020020043115A 2002-07-23 2002-07-23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제어 방법 KR100561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115A KR100561276B1 (ko) 2002-07-23 2002-07-23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115A KR100561276B1 (ko) 2002-07-23 2002-07-23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241A true KR20040009241A (ko) 2004-01-31
KR100561276B1 KR100561276B1 (ko) 2006-03-14

Family

ID=3731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115A KR100561276B1 (ko) 2002-07-23 2002-07-23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2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43B1 (ko) * 2005-01-18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성공률 향상 방법
KR100833297B1 (ko) * 2007-05-01 2008-05-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호 발신시 음성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100896706B1 (ko) * 2005-08-10 2009-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발신자 상호 동시 통화 연결 시도시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957402B1 (ko) * 2007-03-02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1374152B1 (ko) * 2007-03-26 2014-04-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에서의 자동 vlr 업데이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자동 vlr 업데이트 방법
US10297101B2 (en) 2008-05-02 2019-05-21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Gaming system and a method of monitoring a gam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115B1 (ko) * 1995-11-10 1998-12-01 김광호 무선 사설교환기에서의 착호전환 처리방법
KR20000020389A (ko) * 1998-09-21 2000-04-15 강병호 개인 휴대 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발신 호 처리시 요구되는 착신호 처리방법
KR100326187B1 (ko) * 1999-07-14 2002-02-27 윤종용 통신 시스템에서 호 방향 전환 방법
KR20030076078A (ko) * 2002-03-22 2003-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 통신 시스템의 호 처리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43B1 (ko) * 2005-01-18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로간 동시 통화 시도시 통화성공률 향상 방법
US7450938B2 (en) 2005-01-18 2008-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success rate in simultaneous call trial between subscrib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KR100896706B1 (ko) * 2005-08-10 2009-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발신자 상호 동시 통화 연결 시도시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957402B1 (ko) * 2007-03-02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호 연결 장치 및 방법
US8406406B2 (en) 2007-03-02 2013-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all conn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374152B1 (ko) * 2007-03-26 2014-04-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에서의 자동 vlr 업데이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자동 vlr 업데이트 방법
KR100833297B1 (ko) * 2007-05-01 2008-05-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상호 발신시 음성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US10297101B2 (en) 2008-05-02 2019-05-21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Gaming system and a method of monitoring a gaming device
US11145157B2 (en) 2008-05-02 2021-10-12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Gaming machin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game meter data to a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276B1 (ko) 200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4977A (en) Call transfer and simplex call capability in a residential system using wireless residential extension handsets
KR960000528B1 (ko)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페이징 이동 사용자용 중앙국을 갖는 개인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275590B1 (ko) 가정용 기지국에서 발신자 식별코드 전송방법
KR100438454B1 (ko)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착신전환에 의한 호 연결 방법
KR100561276B1 (ko) 교환기 장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제어 방법
KR100408183B1 (ko) 자동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0135206B1 (ko)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9990086215A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다중 호출음 서비스방법
JPH0750708A (ja) コードレ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239175B1 (ko) 전화기에서 착신 정보를 등록된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KR20000044332A (ko) 교환시스템에서 선택적 착신 거부 방법
KR100526497B1 (ko) 디지털 사설 교환 시스템에서 내선 착신 호 처리방법
JP3055517B2 (ja) 無線装置の緊急連絡システム
KR100229021B1 (ko) 전화기에서 라인상태 알림 음성메시지 송출방법
KR20000067431A (ko) 통신 시스템에서 개인번호 서비스 제어방법
KR100338982B1 (ko) 교환기에서 무료 통화 서비스 시스템
KR100222658B1 (ko) 무선통신망에서 순방향 제어채널을 이용한 발신자 전화번호 송수신 방법
KR100645111B1 (ko) 착신 제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20060029417A (ko) 이동 단말기의 통화 실태 파악 방법 및 시스템
JPH0851479A (ja) 電話交換方法
KR19980078326A (ko) 패스워드를 이용한 호 접속 방법
JPH0730952A (ja) 無線電話装置
KR20040103690A (ko) 사용자 기반의 호 대기 서비스 방법
JPH10322763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H07231481A (ja) サービス自動変更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