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759B1 - 이미지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759B1
KR100624759B1 KR1020047011953A KR20047011953A KR100624759B1 KR 100624759 B1 KR100624759 B1 KR 100624759B1 KR 1020047011953 A KR1020047011953 A KR 1020047011953A KR 20047011953 A KR20047011953 A KR 20047011953A KR 100624759 B1 KR100624759 B1 KR 100624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communication network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9139A (ko
Inventor
폴로랜드 베르도우
Original Assignee
수퍼스케이프 그룹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퍼스케이프 그룹 피엘씨 filed Critical 수퍼스케이프 그룹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040089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1/33376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r state of one of the communicating parties, e.g. available memory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14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of reading or reproducing mode
    • H04N2201/33328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33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 H04N2201/33307Mode signalling or mode changing; Handshaking therefor of a particular mode
    • H04N2201/33378Type or format of data, e.g. colour or B/W, halftone or binary, computer image file or facsimil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Substances (AREA)

Abstract

이동 네트워크(12, 14, 16, 18) 내 이동전화(10) 형태의 수신 디바이스는 서버(18)로부터 이미지들을 수신한다. 서버(18)는 먼저 이를테면 수신기 메모리 용량, 디스플레이 크기, 수신기 색 깊이, 수신기 프로세서 이용성 및 수신기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같은 이동전화(10)의 특성들을 판정한다. 이어서 서버(18)는 이동전화(10)의 스타일에 의해 사용에 적합한, 이동전화(10)에 보낼, 이미지의 버전을 선택한다. 서버(18)는 또한 이동전화(10)로의 채널의 대역폭을 판정하고, 이동전화(10)의 대역폭 및 이 전화의 어떠한 한계든 수용하기 위해 이동전화910)에 보내지는 신호의 색 깊이, 해상도, 및 프레임 레이트를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nding image data}
본 발명은 이미지 관련 자료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이동 전화 디바이스에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동 전화 디바이스들에 점진적 향상은, 클라이언트들의 증가된 수가 더해짐과 아울러 이미지들을 제공할 필요성이 급격히 증가된 결과를 낳았다. 이에 따라 대역폭을 사용하려는 경쟁이 강화되었다. 순간 가입자들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 신규 가입자가 기지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이 감소하는 이동전화 방식들이 제안되어 있다. 이것은 이동전화 디바이스에 연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대역폭이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 디바이스에 할당된 대역폭이 불확실하여도, 필요하다면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이동전화 디바이스가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많은 서로 다른 유형들의 이동전화 디바이스가 존재한다. 일부는 큰 스크린들을 구비한다. 일부는 소형의 스크린들을 구비한다. 일부는 고선명 스크린들을 구비한다. 일부는 조야한 선명도의 스크린들을 구비한다. 일부는 고 리프레시(프레임 반복) 레이트들을 갖추고 있다. 일부는 저 리프레시 레이트들을 구비 한다. 일부는 색 깊이(depth of colour)를 표시하는 큰 용량을 갖고 있다. 일부는 색 표시를 위한 용량이 적거나 전혀 없다. 동일 대역폭이 각 이동전화 디바이스에 할당된다면, 어떤 디바이스들의 능력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할 것이고 이외 다른 디바이스들의 능력은 과대 평가될 것이다. 본 발명은 각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게 된 자원들에, 디바이스들의 능력들이 그에 부합되게 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모든 상황들이 각 디바이스가 이의 능력 전부를 활용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기지국 당 가입자들 수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 디바이스에 할당될 수 있는 대역폭 및 자원들도, 이 디바이스가 이의 전(full) 명세에 따라 완전히 기능하는 범위 미만으로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이동전화 디바이스에 보내지는 신호에 대해서, 감소된 대역폭 상태 하에서 이 디바이스로부터의 출력이 최적으로 될 수 있게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미지 관련 신호를 수신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의 특성들을 습득하는 단계; 상기 습득된 특성들을 상기 이미지 관련 신호의 버전(version)을 선택하는데 사용하는 수단; 상기 이미지 관련 신호의 상기 버전을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이미지 관련 신호의 상기 버전을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보내는 수단을 포함하는, 이미지 관련 신호 송신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장치와 상기 수신 디바이스를 접속하는 매체의 대역폭을 판정하고, 상기 이미지 관련 신호의 상기 버전의 특성들을 조정하여 이 조정된 상기 이미지 관련 신호의 버전이 상기 판정된 대역폭 내에 맞게 하는 수단을 제공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장치에 송신용량을 판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관하여 습득된 상기 특성들이 수신기 메모리 용량, 수신기 디스플레이 크기, 수신기 색 깊이, 수신기 프로세서 이용성, 및 수신기 디스플레이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정 가능한 특성들은 색 깊이, 해상도, 및 프레임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신 디바이스가 이동전화, 컴퓨터 디바이스 및 텔레비전 디바이스일 수 있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들에 관련하여 취한 다음의 설명에 의해 예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실시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송신 디바이스가 어떻게 동작하는가를 일반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송신 디바이스가, 송신할 이미지를 선택하는 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송신 디바이스가 수신 디바이스와 사용될 수 있는 채널 대역폭을 서로 맞추기 위해, 선택된 전송을 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실시되는 일반적인 환경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한다.
이동전화(10)는 이동전화 네트워크 기지국(12)과 라디오 통신하고 이동전화 네트워크 기지국(12)은 지상 전화 네트워크(14)를 통해 다른 기지국들(16)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18)에 접속된다. 지상 전화 네트워크(14)는 지상선들, 고 대역폭 케이블들, 마이크로파 및 위성링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상 전화 네트워크(14)에 의해, 다른 이동전화들(20), 고정된 전화들 및 고정된 컴퓨터 단말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전화(10)는 데이터, 정보 및 이외 자원들을 얻기 위해 서버(18)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18)는 표시할 이미지들을 이동전화(10)에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들(12)은, 임의의 스타일 혹은 세대의 이동전화 시스템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능력을 갖추고 있다면 이러한 시스템에 관계될 수 있다. 이동전화(10)는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는 스크린(22)을 포함한다.
이동전화(10)는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 내 바람직한 송신 및 수신 방법이다. 본 발명은 이미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임의의 수단을 포괄하며 이동전화들(10, 20) 혹은 이동전화 네트워크(12, 14, 16)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마찬가지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텔레비전들, 컴퓨터들, 및 컴퓨터 단말들 또한, 예를 들면 유선 혹은 케이블 시스템을 포함하여 어떤 다른 시스템을 통해서 혹은 위성에 의해 이미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전화의 예는 본 발명의 적절한 적용으로서 주어진 것일 뿐이다.
도 1의 서버(18)와 같은 송신 디바이스가 본 발명 내에서 기능할 때 이 송신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인 도 2를 참조한다.
예로서, 서버(18)에는 한 프레임의 동화상(moving image)을 이동전화(10)에 제공할 일이 부과되어 있다. 이와 똑같이, 서버(18)에는 정적 이미지, 구성한 장면(constructed scene), 혹은 이외 어떤 다른 화상 표현을 송신하는 일이 부과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예는 시스템에 대한 보다 일상적이고 요망되는 응용인 것으로서 단지 선택된 것이다.
시작(24)부터, 제1 동작(26)은 서버(19)에게 네트워크 대역폭을 판정하게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기지국에 가입자 수에 따라, 네트워크 대역폭은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은 가입자 수가 각 기지국의 소정의 범위를 초과할 때, 각 기지국에, 감소만 될 뿐인, 꽤 큰 고정된 값으로서 할당될 것이다. 기지국들마다 대역폭들은 다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라디오 링크뿐만 아니라, 기지국에/로부터의 지상선 접속도, 가입자들이 많을 때에는 대역폭이 제한될 수도 있게 한다. 대역폭은 측정될 수도 있고, 혹은 보다 일반적으로는 시스템의 동작 파라미터가 설정된 결과로서 정해질 것이며, 서버(18)가 단순히 통보 받게될 값일 수 있다.
제1 동작(26)에서 서버(18)가 이의 동화상 프레임을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을 판정한 후에, 제2 동작(28)에서는 송신 프로세서 이용성을 판정한다. 즉, 특정 크기 혹은 복잡성을 갖는 동화상 프레임을 보내려고 한다면, 서버에 어떤 최소량의 프로세서 사용이 요구될 것이다. 현재, 서버는 많은 다른 기지국들에 동시에 서비스하고 있고, 또한 많은 다른 작업들을 수행해야 한다. 서버(18) 내 프로세서는 해야할 다른 작업들이 주어져 있다면 이 프레임 송신 작업을 실제로는 처리할 수 없는 일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사전에 서버(18) 내 프로세서가 즉시 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와, 그렇지 않다면 어떤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아는 것이 필수이다. 제2 동작(28)은 어떤 서버 프로세스 자원들이 송신 작업에 할당될 수 있는지를 찾는다.
이것이 행해지면, 제3 동작(30)에서는 수신 디바이스의 메모리를 판정한다. 이 예에서 수신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고 있는 이동전화(10)는 특히 큰 메모리 공간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잡하고 상세한 이미지들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수신 이동전화(10)는 매우 작은 메모리 공간만을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수신 이동전화(10)는 저 해상도의 이미지만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상당 크기의 파일을 작은 메모리에 보낼 방도는 없다. 메모리는 파일을 유지할 수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 파일을 완전히 담을 수 있는 메모리에 큰 파일을 보내지 않음으로 해서 실로 상세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기회를 놓치는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 될 것이다. 수신 디바이스 내 메모리 공간의 크기는 존재하는 저장량만이 아니라 다른 작업들에 메모리 사용에 의해서도 감소될 수 있다.
일단 수신 디바이스의 메모리 이용성을 알게 되었으면, 제4 동작(32)에서는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판정한다. 한 극단으로, 수신 이동전화(10)는 고 화소 밀도를 가진 물리적으로 큰 스크린을 갖추고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극단으로, 수신 이동전화(10)는 크기가 작고 조야한 화소 밀도의 디스플레이를 갖추고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조야한 해상도의 스크린에 고 화소 밀도의 이미지 디스플레이를 시도할 방도는 없다. 화소들은 서로 부합하여야 한다. 스크린들(22)마다 행들 및 열들의 화소들의 수는 다를 수 있다. 송신되는 프레임은 수신 디바 이스(10)의 스크린(22) 상의 화소들과 맞아야 한다.
일단 수신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세를 알게 되었으면, 제5 동작(34)에서는 수신 이동전화(10)의 색 깊이를 판정한다.
디스플레이(22)는 단지 흑백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엔 각 화소에 대해, 계조를 결정하는 소정 수의 2진 디지트들(비트들)로 구성된 밝기(brightness) 수가 송신될 것이다. 저 해상도측에서, 4자리 2진 숫자는 16 밝기 레벨들을 가진 계조를 가능하게 한다. 8자리 2진 숫자로는 256 레벨들의 계조가 가능하다. 12, 24, 36 및 심지어는 이보다 더 큰 자릿수의 2진수를 사용하는 계조들이 알려져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22)는 4색 디스플레이(22)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유색 디스플레이들에서, 각 화소는 휴(색의 정확한 쉐이드) 및 포화도(백색이 아닌 유색 광의 비율)을 갖는다. 현 기술에서, 화소의 휴 및 포화도를 3색의 서로 다른 세기들을 사용하여 근사화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소 자체는 전(full) 색 화소를 구성하는 3개의 가시 점들을 포함하고, 3점은 서로 가깝게 있어, 보는 거리에서 눈은 혼동하여 하나로 느끼게 된다.
방사성(radiative) 디스플레이들에서, 색들은 적색, 청색 및 녹색의 방사성주요 색들이다. 화소에 대해 거의 완벽한 범위의 휴들 및 포화도들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들 3개의 광들을 서로 다른 비율로 혼합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어떠한 적색, 녹색, 청색도 흑색과 동등하지 않다. 완전한 적색, 완전한 녹색 및 완전한 청색은 최대 세기의 백색이다. 반 적색, 반 청색 및 반 녹색은 반 세기의 백색(회색)이다. 완전한 적색은 100 퍼센트로 포화된 적색이다. 완전한 적색, 1/3 녹색 및 1/3 청색은 50퍼센트로 포화된 적색(원주형 우체통(pillar box)의 적색)이다. 모든 종류의 휴들 및 포화들이 이들 간에 가능하다.
화소의 색을 표현함에 있어, 적색, 녹색 및 청색광들 각각은 이의 최대 세기의 비율에 의해 표현된다. 이 비율은 2진 디지트 스트링(string)에 의해 주어진 숫자로 표현된다. 스트링에 2진 디지트들이 많을수록, 각 광의 세기의 해상도가 미세해진다. 일부 저해상도의 시스템들에서는 각각의 주요 색에 대해 단지 16레벨의 세기만이 있을 수 있다. 가장 센시티브한 현 시스템들에서는 각 주요 색의 세기를 나타내기 위해서 42개의 2진 디지트들(비트들)을 취할 수 있다.
색 깊이를 알게 되었으면, 제6 동작(36)에서는 수신 이동전화(10)의 프로세서 이용성을 판정한다. 한 극단으로, 수신 이동 전화(10) 내 프로세서는 제한되어 있고, 느리고, 겨우 처리될 수도 있다. 수신 이동전화(10) 내 프로세서의 상태는 이미지 신호가 디스플레이 되기 전에 수신 이동전화(10)에 이 이미지 신호에 어떤 것을 행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판정한다.
자신(서버(18)) 및 네트워크의 수신 이동전화(10)의 이들 모든 특징들을 결정한 후에, 제7 동작(38)에서, 송신 이미지 질을 선택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는 대역폭 내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의 수신 이동전화(10)에 보내질 수 있을 최적의 신호 질에 가까운 신호 질이 결정된다.
제8 동작(40)에서는 선택된 이미지 질로 이미지를 보낸다. 제1 테스트(42)에서는 보낼 더 이상의 자료가 없다면 동작은 종료(44)에서 끝내고, 그렇지 않고, 서버(18)에서 수신 이동전화(10)로 보낼 많은 이미지들 혹은 프레임들이 있다면 제 7 동작(38)에 제어를 다시 넘긴다.
제1 동작(26) 내지 제6 동작(36)에서 판정된 각종의 회로 및 수신기 파라미터들은 특정 유형들의 이동전화(10)에 관한 사실들을 포함하고 있는, 사전에 로딩된 메모리를 참조함으로써 판정될 수도 있고, 혹은 실제 측정들에 의해 판정될 수도 있고, 혹은 사용가능한 대역폭이, 예를 들면, 증가 감소되었을 때 기지국(12)으로부터 명령의 갱신들을 수신함으로써 알 수도 있다. 제3 세대 시스템들에서, 접속이 불변인 경우, 이동전화 네트워크(14)는 특정 가입자 슬롯에 접속되는 이동전하(10)의 특징을 항시 알 것이다.
수신 이동전화(10)에 보낼 이미지 질을 서버(18)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도 2의 제7 동작(38)에 대략 대응하는 흐름도인 도 3을 참조한다.
시작(46)부터, 제2 테스트(48)에서는 선택된 이미지 질의 프레임 복제본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를 살핀다. 한 프레임의 선택된 이미지 질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면, 제9 동작(50)에서는 서버(18)에게, 요구된 프레임을 이미지 저장장치(52)로부터 불러들이게 한다. 요구된 이미지는 서로 다른 질의 복수의 저장된 이미지들(54A, 54B, 54C, 54D, 54E) 중에서 선택가능한 이미지이다. 저장된 이미지(54A-54E) 질 각각은 다른 모든 것들과는 다른 질을 갖는다. 예를 들면, 한 이미지(54B)는 적은 수의 화소들을 갖고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이미지(54C)는 적은 색 깊이(휴 및 포화도를 정하는 비트 수)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저장된 모든 이미지들(54A-54E)은 각각이 수신 이동전화(10)의 특정 스타일에 적합한 상이한 이미지 프레임을 나타낸다.
제2 테스트(48)에서 선택된 이미지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검출되었다면, 제3 테스트(56)에서는 선택된 이미지가 이미지 처리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지를 체크한다. 그렇지 않다면, 제10 동작(58)에서는 또 다른 이미지 옵션을 선택하고 제어를 제2 테스트(48)에 돌려보낸다.
제3 테스트(56)에서 선택된 이미지가 처리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것으로 판정하면, 제11 동작(60)에서는 요구되는 이미지 질의 신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모든 명령들을 내장 프로세서(62)에 제공한다. 이어서, 제11 동작(60)에서는 프로세서(62)로부터 결과들을 다시 수신하는 제12 동작(64)에 제어를 넘긴다. 이어서 제13 동작(66)에서는 이미지를 수신 이동전화(10)에 보내고 종료(68)에서 종료한다. 제9 동작(50)에서도 제어를 제13 동작(66)에 넘긴다.
제11 동작(60)으로부터의 명령 하에 프로세서(62)의 작업들은 많고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 마이크로프로세서(10)가 특정하게 큰 색 깊이를 갖고 있지 않다면, 프로세서(62)는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내 화소의 색을 정하는데 사용되는 2진 디지트들의 수를 줄이라는 명령을 받을 수 있다. 수신 이동전화(10) 상의 디스플레이(22)가 특히 해상도가 낮다면, 프로세서(62)는 모든 다른 화소만을 보내라는, 혹은 화소들을 합쳐 수를 반만큼 줄이라는 명령을 받을 수 있다. 다른 수들도 가능하다.
이들 예들은 단지 예로 주어진 것이고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특정 네트워크 및 수신 라디오 전화(10)를 채택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라 송신 서버가 가변 대역폭 및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이외 다른 상태들에 자동으로 적 응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인 도 4를 참조한다.
시작(70)부터, 제14 동작(72)에서는 한 프레임의 동화상의 파라미터들 각각에 대한 최대 값들을 이끌어 낸다. 즉, 서버(18)는 예를 들면 수평 화소들의 최대 수, 수직 화소들의 최대 수, 화소의 색을 정의하는 비트들의 최대 수, 최대 프레임 레이트 등을 습득한다. 즉, 제14 동작(72)에서는 이미지의 가장 높은 가능한 질 해상도를 정의하게 되는 파라미터들을 얻는다. 이어서, 제15 동작(74)에서는 이미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최대 파라미터 값들을 수신기가 소유하고 있는 이미지 파라미터들의 값들과 비교한다. 이에 따라, 제15 동작(74)에서는 수신 이동전화(10)에서 얻어질 수 있는 최상의 해상도를 얻는다. 이어서, 제16 동작(76)에서는 제14 동작(72)의 이미지 파라미터들의 값들을 제15 동작(74)의 수신기 파라미터들의 값들과 같게 한다. 이것은 최소한, 도 3에 도시된 동작의 선택된 이미지 질에 가까운 근사한 질을 얻는다. 모든 것들이 같게 된 후에, 제16 동작(76)의 끝에서 결과는 도 3의 제13 동작(66)으로부터 보내진 이미지가 될 것이다. 그러나, 사용될 수 있는 가변 대역폭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이다.
제4 테스트(78)에서는 결과적인 신호가 이 신호를 보낼 채널과 맞는지 체크한다. 즉 채널이 제약된 대역폭, 혹은 수신 이동전화(10)에 의해 정규로 처리될 수 있는 적은 대역폭을 갖고 있지 않다면, 제17 동작(80)에서는 프레임을 송신하고 종료(82)를 통해 동작을 끝낸다. 그러나, 제4 테스트(78)에서,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가 채널의 현 상태와 맞지 않는다면, 제5 테스트(84)에서는 보내고자 하는 신호가 과도한 양의 색을 지니고 있는지를 살핀다. 사람의 눈은 휴의 큰 변화들에는 민감하나, 색의 포화도의 상당히 큰 변화들엔 꽤 민감하지 않다. 따라서, 제5 테스트(84)에서, 신호가 피그먼트(pigment)를 정하는 많은 수의 데이터 비트들(예를 들면, 42 혹은 24)을 사용하고자 한 것을 검출하였으나, 피그먼트를 정하는 적은 수의 2진 디지트들, 예를 들면 12개로도 완벽하게 적당한 결과가 얻어지게 될 때는, 제18 동작(86)에서는 색을 정하는 2진 디지트들의 수를 줄이고 제어는 다시 제5 테스트(84)에 돌려보낸다. 색이 여전히 과잉이고 신호가 여전히 채널과 맞지 않는다면, 색이 더 이상 과잉이 되지 않거나 신호가 채널에 맞을 때까지, 혹은 신호가 여전히 채널의 폭에 맞지 않지만 색이 더 이상 과잉은 아닌 것이 될 때까지, 색을 정하는 2진 디지트들의 수를 더욱 줄이는 것이 취해진다.
이어서, 제어는 제6 테스트(88)로 넘어가서 여기서, 보내고자 하여 송신된 신호는, 다시 한번, 채널의 대역폭 및 이외 다른 제약들과 일관되는지를 알기 위해 조사된다.
채널의 현 상태에서 이 채널을 통과할 만큼 아직도 한정되지 않았다면, 인지되는 질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게 신호의 실제 질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질이 선택된다. 이 예에서는, 다음 단계를 위해, 스크린(22)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해상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선택한다.
스크린 이미지의 해상도의 사람의 눈의 인식은 광범위하게 다양하다. 매우 어린 어린이들은 예리하긴 하나 해상도를 알지 못한다. 나이가 듦에 따라, 20대 중반 혹은 후반까지는 시력이 예리함과 아울러 *practise하다. 30대를 넘어서서는 시력은 덜 예리해진다. 시각상의 예리함은 개별적으로 해상될 수 있는 최소 입체 각(solid angle)로서 개별적으로 측정된다. 스크린(22)의 시점에서, 디스플레이 예리함이란, 최소 뷰잉(viewing) 거리에서 뷰어가 개인별로 감지될 수 있는 최소 아이템의 크기이다. 스크린(22)에 대한 뷰잉 파라미터들엔 많은 여지(leeway)가 있다. 스크린(22)은 최소 뷰잉 거리만큼 짧은 거리로부터는 거의 볼 수 없다. 최소 뷰잉 거리는 일반적으로, 모집단에 대해 평균 최단 초점 거리의 반 미만인 최댄 초점 거리로 설정된다. 이러한 모든 것은, 모든 것들이 같을 때, 모집단 반이 어떠한 열화 무엇이든 알아차리기 전에 적어도 4 혹은 8 팩터만큼 이미지의 예리함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을 것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제19 동작(90)에서는 보낼 동화상의 한 프레임의 화소 밀도의 해상도의 예리함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한 예를 들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매 N번째 화소 요소를 빼기로 함으로써 행해진다. 이어서, 원 화소 수에 매핑이 재분배된다. N=5에서, 실제 해상도의 20% 선형 손실이 달성된다. 또 다른 일 예로서 수직, 수평, 혹은 양방향으로 매 M번째 화소만을 전송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방식들이 달성될 수 있다.
화소를 뺀 경우, 먼저 송신된 화소로 간단히 대치한다. 이러한 예에 의해, 실제로 인지되는 이미지 상세에 거의 손실없이 매우 극적인 대역폭 감축들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예리함이 감소될 수 있게 하는 어떤 수단이든 포함할 수 있다.
해상도를 감축하는 각 단계에서, 제19 동작(90)은 제어를 제6 테스트(88)에 넘긴다. 제어는,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가 채널에 맞거나 아니면 신호가 채널에는 맞지 않지만 하한-화소 밀도의 하한 이상으로 가는 것이 타당하지 않음-에 이르렀을 때는 언제든 이 때에만 제7 테스트(92)로 간다.
이어서 제어는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가 채널의 대역폭 및 이외 다른 제약들에 맞는지 살피는 제7 테스트(92)로 간다. 맞지 않는다면, 최종 측정으로서, 이 예에서, 제12 동작(94)에서는 프레임 반복 레이트를 줄이기로 한다. 이것은 지금까지에만 취해질 수 있을 뿐이다. 사람의 눈은 일반적으로 초당 10 혹은 12 미만으로 표현되는 이미지들의 깜박임(flicker)에 민감하다. 혹자는 초당 25까지의 이미지 표현 레이트들의 깜박임을 검출할 수 있다.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이 이상의 표현 레이트들의 깜박임을 검출한다. 지시된 레이트들로의 프레임 반복 레이트 감소가 행해질 수 있다. 매 통과마다, 저 프레임 레이트 테스트(93)에서는 프레임 레이트가 더 밑으로는 허용되지 않는 하측 경계에 이르렀는지를 체크한다.
이러한 조치조차도 실패한다면, 제21 동작(96)에서는 그 프레임의 송신을 억제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가 성공적이라면, 제7 테스트(92)에서는 프레임을 송신하는 제17 동작(80)에 제어를 넘긴다.
도 4의 동작은 테스트 신호들이 채널의 대역폭 통과에 맞는지를 알기 위해 이들 테스트 신호에 관련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 내에서, 간단히, 이상적인 신호에 어떤 변경들을 행할 필요가 있는지를 계산하고 송신에 앞서 이들 변경들을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4의 설명은 이해가 쉽게 되게 하도록 주어진 것이다.
신호의 대역폭을 감소시키기 위해 취해진 여러 가지 조치는 이 예에서는 개별적인 행위들로 적용되는 것으로 보였지만,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채널을 통해 송신가능하기에 충분히 낮은 대역폭의 신호가 얻어질 때까지, 색이, 해상도의 약간의 손실과 함께 감소될 수 있고, 색이 약간 더 손실될 수도 있고, 각각의 가능한 유형의 대역폭 감축 조치의 일부, 전부 혹은 전혀 행하지 않는 것을, 차례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본 발명 내에서, 계산에 의해, 동일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로 기술된 것을 요약하고, 명백하게 하고 반복하자면, 도 4의 동작은 수신 이동전화(10)가 수신할 수 있는 최상의 질 혹은 제약이 없는 채널이 전할 수 있는 최상의 질에 일관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것은 "이상적인" 프레임 혹은 이미지이다. 이상적인 세계에서, 이것은 송수하게 되는 프레임 혹은 이미지이다.
그러나, 프레임 혹은 이미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대역폭은 이상적인 프레임 혹은 이미지를 송신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반드시 넓을 필요는 없다. 기지국에 어떤 수의 가입자들까지는, 각 가입자에 고정된, 적절한 양이 할당되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기지국에 어떤 수의 가입자를 넘어서면, 각 가입자에 할당되는 대역폭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에 가입자들의 응집이 생기게 할 수도 있는 대역폭 감소를 조정하기 위해서, 이미지 신호가 대역폭 내에서 전해질 수 있게(혹은 그렇지 않게 제공될 때까지 이미지의 각종의 질들이 감소된다. 이 경우, 예에 의해서, 아울러 비배타적으로, 색 깊이, 이에 이은 디스플레이되는 화소 밀도, 마지막으로 프레임 레이트는, 특정 수신 이동전화(10)에 할당되는 대역폭 내에서 들어맞는 신호가 얻어질 때까지 모두 감소된다. 이들 조치들은 비배타적 및 비고갈적 예로서만 선택된다. 이 기술에 숙련된 자들은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조치들을 알고 있을 것이다. 송신할 신호의 대역폭을 디스플레이되는 신호의 질이 수락 불가하게 되지 않게 않으면서 감소시키는 조치가 적용될 수 있다고 하는 것 이것이, 본 발명의 견지에서, 필요로 되는 전부이다. 이외 비한정적 예들은 유색 이미지를 회색 또는 흑백의 이미지로 되게 하는 것과, 그 프레임 및 이에 이은 프레임들에 대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정지 이미지(freezing)가 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서버(18)에서 수신 이동전화(10)로 이동전화 네트워크로 동화상의 방송에서, 단일 프레임, 혹은 일 군의 프레임들의 전송에 관련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임의의 종류의 이미지 혹은 데이터의 전송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채택된 조치들은 프레임별로, 혹은 블록별로 설정될 수도 있고, 혹은 가변되는 가입자 수에 따라 기지국의 대역폭이 변경되게 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동안 설정 유지될 수도 있고, 혹은 세션 동안 설정 유지될 수도 있다. 조치들은 시스템의 대역폭이 변경될 때 바꿔지게 할 수도 있다. 어떤 가입자들 혹은 이동전화(10)의 유형들은 보다 상위 카테고리 액세스를 구비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이들은, 하위 카테고리 가입자들이 대역폭 감소에 따라 신호가 멈추거나 차단됨을 각오하고 있어도, 전혀 차단되지도 않고/또는 보다 큰 대역폭을 향유한다.

Claims (22)

  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미지의 데이터 처리 특성들을 가지는 수신 디바이스로 이미지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 특성들의 현재 상태를 습득하는 습득 수단;
    상기 습득된 데이터 처리 특성들과 호환되는 상기 이미지 신호의 호환 버전(version)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습득된 데이터 처리 특성들을 이용하는 이용 수단;
    상기 이미지 신호의 호환 버전을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이미지 신호의 호환 버전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처리 특성들은, 수신 디바이스의 이용가능한 자원들에 의해 결정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관하여 습득된 상기 데이터 처리 특성들은, 현재 수신기의 이용가능 메모리 용량과 현재 수신기 프로세서 유효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습득 수단은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일정한 자원 특성들을 결정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관하여 습득된 상기 일정한 자원 특성들은, 수신기 디스플레이 크기, 수신기 색 깊이, 수신기 디스플레이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시변(time-variable) 대역폭 특성을 가진 공유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는, 상기 장치의 현재 송신 용량 특성을 결정하는 송신 용량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용 수단은 이미지 신호의 호환 버전을 선택함에 있어 상기 결정된 송신 용량 특성을 이용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시변(time-variable) 대역폭 특성을 가진 공유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는, 상기 장치와 수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현재 대역폭 특성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용 수단은 이미지 신호의 호환 버전을 선택함에 있어 상기 결정된 대역폭 특성을 이용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시변(time-variable) 대역폭 특성을 가진 공유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는, 상기 장치와 수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현재 대역폭 특성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 과
    이미지 신호의 상기 선택된 호환 버전의 이미지 특성을 상기 선택된 현재 대역폭 특성에 부합하도록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절 수단은, 이미지 신호의 상기 선택된 호환 버전의 색 깊이,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이미지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의 연결을 위한 사용 가능 대역폭과 관련한 지시 업데이트를, 상기 공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동 전화통신 디바이스로 이미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이동 전화통신 네트워크와 동작하는 이동 전화통신 서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컴퓨터 디바이스 또는 텔레비전 디바이스로 이미지 신호를 송신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장치.
  12. 송신 장치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신 장치가 모르는 데이터 처리 특성들을 가지는 수신 디바이스로 이미지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의 데이터 처리 특성들의 현재 상태를 습득하는 단계;
    상기 습득된 데이터 처리 특성들에 호환하도록 상기 이미지 신호의 호환 버전(version)을 선택하는 데, 상기 습득된 데이터 처리 특성들을 이용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신호의 호환 버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신호의 호환 버전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처리 특성들은 수신 디바이스의 이용가능한 자원들에 의해 결정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되는 이미지 신호 송신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습득 단계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의 현재 수신기의 이용가능 메모리 용량과 현재 수신기 프로세서 유효성 중 적어도 하나의 현재 상태를 습득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방법.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습득 단계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일정한 자원 특성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관하여 습득된 상기 일정한 자원 특성들은, 수신기 디스플레이 크기, 수신기 색 깊이, 수신기 디스플레이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방법.
  16.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시변(time-variable) 대역폭 특성을 가진 공유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이미지 신호 송신 방법은, 상기 송신 장치의 현재 송신 용량 특성을 결정하는 송신 용량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용 단계는 이미지 신호의 호환 버전을 선택함에 있어 상기 결정된 송신 용량 특성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방법.
  17.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시변(time-variable) 대역폭 특성을 가진 공유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이미지 신호 송신 방법은, 상기 송신 장치와 수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현재 대역폭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용 단계는 이미지 신호의 호환 버전을 선택함에 있어 상기 결정된 대역폭 특성을 이용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방법.
  18.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시변(time-variable) 대역폭 특성을 가진 공유 통신 네트워크이고,
    상기 송신 장치와 수신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의 현재 대역폭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와
    이미지 신호의 상기 선택된 호환 버전의 이미지 특성을 상기 선택된 현재 대역폭 특성에 부합하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조절 단계는, 이미지 신호의 상기 선택된 호환 버전의 색 깊이,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 디바이스로의 연결을 위한 사용가능 대역폭과 관련한 지시 업데이트를, 상기 공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 방법.
  21.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는, 이동 전화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전화통신 서버로부터 이동 전화통신 디바이스로 이미지 신호의 상기 선택된 버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장치.
  22.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는, 컴퓨터 디바이스 또는 텔레비전 디바이스로 상기 이미지 신호의 선택된 버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신호 송신장치.
KR1020047011953A 2002-02-02 2003-01-31 이미지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0624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202460.2A GB0202460D0 (en) 2002-02-02 2002-02-02 Resource tailoring
GB0202460.2 2002-02-02
PCT/GB2003/000407 WO2003067870A1 (en) 2002-02-02 2003-01-31 Apparatus and method for sending image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139A KR20040089139A (ko) 2004-10-20
KR100624759B1 true KR100624759B1 (ko) 2006-09-19

Family

ID=993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953A KR100624759B1 (ko) 2002-02-02 2003-01-31 이미지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50164679A1 (ko)
EP (1) EP1474914B1 (ko)
JP (2) JP2005517258A (ko)
KR (1) KR100624759B1 (ko)
CN (1) CN1625892A (ko)
AT (1) ATE364964T1 (ko)
AU (1) AU2003202703A1 (ko)
CA (1) CA2474889C (ko)
DE (1) DE60314373T2 (ko)
GB (2) GB0202460D0 (ko)
WO (1) WO2003067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715B1 (ko) * 2004-04-20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인터페이싱 장치 및인터페이싱 방법
JP3856810B2 (ja) * 2005-04-06 2006-12-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のダウンロード方法および再生方法
WO2007053050A1 (fr) * 2005-11-02 2007-05-10 Informap Worldwide Limited Procede et systeme destines a la transmission d'informations et aux reglements correspondants au moyen de canaux de telecommunications
WO2009092142A1 (en) * 2008-01-24 2009-07-30 Global Digital Networks Pty Lt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mobile devices
CN101668107B (zh) * 2008-09-04 2011-05-1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色深变换、传输色深变换后图像的方法、系统和装置
CN101742136B (zh) * 2008-11-18 2012-05-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多媒体终端的自适应显示方法
US8332606B2 (en) * 2009-06-15 2012-12-11 Boldyrev Sergey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persistent computing platform
US9082203B2 (en) * 2009-12-10 2015-07-14 Harris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image resizing based upon operational feedback parameters and related methods
CN102137248B (zh) * 2010-01-21 2015-05-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分辨率的切换方法及装置、终端及切换系统
CN101848382A (zh) * 2010-05-31 2010-09-29 深圳市景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流图像分辨率和码流的调整方法及系统
US8947506B2 (en) * 2010-08-27 2015-02-0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depth information for generating 3D maps
TWI473498B (zh) * 2011-01-20 2015-02-11 Tencent Tech Shenzhen Co Ltd A video resolution switching method and device, a terminal and a switching system
JP5864876B2 (ja) * 2011-03-25 2016-02-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8914004B2 (en) * 2011-04-19 201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resource of application in wireless terminal
EP2749037B1 (en) * 2011-08-25 2021-11-2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image display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2364963A (zh) * 2011-11-08 2012-02-29 叶尔肯.拜山 一种针对不同访问终端的互联网视频数据提供方法
US8918453B2 (en) 2012-01-03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data representation for user equipments in a communication session
KR101404203B1 (ko) * 2012-11-06 2014-06-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통합 ims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영상통화 해상도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단말 및 그 방법
KR101641305B1 (ko) * 2015-02-17 2016-07-20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467A (ja) * 1996-02-21 1997-09-05 Fujitsu Ltd 画像データ通信装置及び画像データ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データ量調整方法
JPH1146361A (ja) * 1997-07-25 1999-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圧縮方法、画像圧縮装置、デジタルカメラ、携帯情報端末、画像伸張装置、並びに、画像伝送システム
JPH11122398A (ja) * 1997-10-09 1999-04-30 Sony Corp 携帯通信端末、画像表示制御方法、画像情報伝送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伝送媒体
JPH11191764A (ja) * 1997-12-25 1999-07-13 Kawasaki Steel Systems R & D Corp ファイル転送制御方法、装置、及び、その記録媒体
JP3967443B2 (ja) * 1998-01-22 2007-08-29 富士通株式会社 画像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送信側装置およびその受信側装置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4328422B2 (ja) * 1999-01-29 2009-09-0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交換符号化プロキシ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3170491B2 (ja) * 1999-03-29 2001-05-28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画像通信装置及びサーバ装置並びに能力交換方法
US6684087B1 (en) * 1999-05-07 2004-01-27 Openwav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on mobile devices
US7069573B1 (en) * 1999-12-09 2006-06-27 Vidiator Enterprises Inc. Personal broadcasting and viewing method of audio and video data using a wide area network
JP2001177561A (ja) * 1999-12-20 2001-06-29 Sharp Corp 通信システム
JP3475142B2 (ja) * 2000-03-01 2003-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地図データ送信装置、地図データ送信方法、及び、地図データ送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353448B1 (en) * 2000-05-16 2002-03-05 Ez Online Network, Inc. Graphic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WO2001091452A1 (fr) * 2000-05-26 2001-11-29 Craftec Co., Ltd. Procede, appareil et systeme de traitement d'image et support enregistre
JP3667197B2 (ja) * 2000-06-05 2005-07-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登録システム
JP3767330B2 (ja) * 2000-06-19 2006-04-19 Kddi株式会社 帯域共有制御システム
US8126960B2 (en) * 2000-07-28 2012-02-28 Silver State Intellectual Technologies, Inc. Technique for effective organization an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TW564372B (en) * 2000-09-22 2003-12-01 Seiko Epson Corp Image processing method
US6931661B2 (en) * 2000-10-19 2005-08-16 Motorola, Inc. Dynamic image provisioning
US6915327B1 (en) * 2000-10-30 2005-07-05 Raja Singh Tuli Portable high speed communication device peripheral connectivity
FR2817429B1 (fr) * 2000-11-29 2003-01-31 Eastman Kodak Co Procede pour envoyer des images sur un terminal a faible capacite d'affichage
US7206806B2 (en) * 2001-05-30 2007-04-17 Pineau Richard A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utilizing a mobile device to share data objects
US20030065922A1 (en) * 2001-09-28 2003-04-03 Fredlund John R. System and method of authenticating a digitally captured image
US20030120478A1 (en) * 2001-12-21 2003-06-26 Robert Palmquist Network-based trans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14373T2 (de) 2008-02-14
GB2401001A (en) 2004-10-27
GB2401001B (en) 2005-11-16
GB0418010D0 (en) 2004-09-15
JP2010040050A (ja) 2010-02-18
GB0202460D0 (en) 2002-03-20
KR20040089139A (ko) 2004-10-20
EP1474914A1 (en) 2004-11-10
ATE364964T1 (de) 2007-07-15
CA2474889C (en) 2008-04-29
WO2003067870A1 (en) 2003-08-14
GB2401001C (en) 2011-06-20
CN1625892A (zh) 2005-06-08
EP1474914B1 (en) 2007-06-13
US20050164679A1 (en) 2005-07-28
DE60314373D1 (de) 2007-07-26
CA2474889A1 (en) 2003-08-14
JP2005517258A (ja) 2005-06-09
AU2003202703A1 (en) 200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759B1 (ko) 이미지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RU276385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ндеринга цвет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JP2020173451A5 (ko)
JP2020514807A5 (ko)
JP4703152B2 (ja) ディザーパターンの生成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657339B1 (ko) 휘도 보존 양자화 및 하프톤닝을 결합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0725533B1 (en) Processing halftone color images
US20110091130A1 (en) Method and module for improving image fidelity
KR20230075484A (ko) 이미지 변환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27982A1 (en) Metameric stabilization via custom viewer color matching function
JP2006229264A (ja) 適応型ディザー構造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Artusi Real Time Tone Mapping
Jang et al. A Quantitative Parameter of Nonlinear Tone Compression for HDR Color Re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