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305B1 -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305B1
KR101641305B1 KR1020150024307A KR20150024307A KR101641305B1 KR 101641305 B1 KR101641305 B1 KR 101641305B1 KR 1020150024307 A KR1020150024307 A KR 1020150024307A KR 20150024307 A KR20150024307 A KR 20150024307A KR 101641305 B1 KR101641305 B1 KR 101641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user
display
exa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50024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3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or from Quicktime to Real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본 이미지를 등록하는 이미지 등록 단계, 상기 이미지 등록 단계를 통하여 등록한 원본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단계, 상기 이미지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선정하는 디바이스 선정 단계,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가 상기 변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는 디바이스 조사단계,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에서 조사한 상기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를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하기에 적합한 상기 변형 이미지로 변형하는 변형 제어 단계 및 상기 변형 이미지를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System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타 통신 수단의 발달로 인하여 단말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이 다양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텍스트 형태의 정보, 이미지 형태의 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등 다양한 정보를 통신 수단을 통하여 취득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상거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온라인 쇼핑몰, 온라인 경매, 오픈 마켓 또는 소셜 커머스 기타 다양한 형태의 구매 사이트가 온라인상에서 구현되고 있고, 이러한 전자 상거래 이용 시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들별로 텍스트 형태의 정보에 대하여는 편차 없이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으나,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종류, 형태,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상도 또는 단말기의 통신 상태에 따라 편차가 크고,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정보를 취득하지 못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원본 이미지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본 이미지를 등록하는 이미지 등록 단계, 상기 이미지 등록 단계를 통하여 등록한 원본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단계, 상기 이미지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선정하는 디바이스 선정 단계,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가 상기 변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는 디바이스 조사단계,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에서 조사한 상기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를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하기에 적합한 상기 변형 이미지로 변형하는 변형 제어 단계 및 상기 변형 이미지를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는 상기 변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형 제어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에서 조사한 상기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를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하기에 적합하도록 용량, 크기, 모양 또는 해상도를 변형하여 상기 변형 이미지로 변형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 단계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통신 특성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형 제어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에서 조사한 디바이스의 통신 특성이 낮은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할 변형 이미지의 용량이 통신 특성이 높은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할 변형 이미지보다 작은 용량을 갖도록 변형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의 선정한 디바이스의 통신 특성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통신 수단의 종류를 조사하는 단계 또는 통신 상태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 단계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종류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의 상기 디바이스의 종류를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데스크탑 형태의 단말기, 휴대폰, 태블릿PC 또는 공중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인지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 단계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형태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의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형태를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또는 모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 단계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상도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선정 단계는 사용자의 신청이 있을 경우 상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선정된 디바이스로 정하는 사용자 신청 인식 단계 또는 사용자의 신청이 없더라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하는 선정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원본 이미지를 등록하는 이미지 등록부, 상기 이미지 등록부가 등록한 원본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선정하는 디바이스 선정부,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가 상기 변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는 디바이스 조사부, 상기 디바이스 조사부에서 조사한 상기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를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하기에 적합한 상기 변형 이미지로 변형하는 변형 제어부 및 상기 변형 이미지를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부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부가 선정한 디바이스의 통신 특성을 조사하는 디바이스 통신 특성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부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부가 선정한 디바이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는 디바이스 종류 조사부,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형태를 조사하는 디바이스 화면 조사부 및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상도를 조사하는 디바이스 해상도 조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선정부는 사용자의 신청이 있을 경우 상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선정된 디바이스로 정하는 사용자 신청 인식부 또는 사용자의 신청이 없더라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하는 선정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원본 이미지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이미지 등록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바이스 선정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도 1의 디바이스 조사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조사부의 통신 특성 조사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기의 관계를 설명한 예시적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계(S10)의 선택적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단계(S20)의 선택적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단계(S40)의 선택적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계(S42')의 선택적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이미지 등록부(110), 이미지 저장부(120), 디바이스 선정부(130), 디바이스 조사부(140), 변형 제어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이미지 등록부(110)는 원본 이미지를 등록한다. 이미지 등록부(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원본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미지 등록부(110)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각 사용자들이 원본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고, 이 때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업로딩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미지 등록부(110)는 이미지를 수집하는 형태로 원본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웹페이지 내의 다양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서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이미지 등록부(110)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웹페이지등을 검색하여 노출된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관리자의 선별 등의 작업을 통하여 이미지 등록부(110)는 원본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이미지 저장부(120)는 이미지 등록부(110)에서 등록한 원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저장부(120)는 하나 이상의 원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저장부(120)는 사용자의 업로딩 방식으로 등록한 원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수집한 형태의 원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디바이스 선정부(130)는 이미지 저장부(120)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선정한다.
예를들면 디바이스 선정부(130)는 사용자의 신청이 있을 경우 상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선정한다. 즉 사용자의 신청이 있을 경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이미지 저장부(120)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한다.
다른 예로서 디바이스 선정부(130)는 사용자의 신청이 없더라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이미지 저장부(120)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한다.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부(130)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한다. 즉, 디바이스 선정부(130)에서 선정한 디바이스는 사용자 별로 다를 수 있고,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이러한 사용자별로 다른 디바이스 별로 다른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한다. 디바이스 조사부(140)에서 조사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후술할 변형 제어부(150)가 디바이스에 대응하도록 원본 이미지를 변형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부(130)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를 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디바이스 선정부(130)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통신 특성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통신 특성으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결된 통신 수단의 종류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통신 특성으로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과 사용자의 단말기가 연결된 통신 상태 및 통신 속도를 조사할 수 있고, 실시간의 통신 속도를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조사부(140)가 통신 특성을 조사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즉, 통신 수단을 통하여 연결된 두 기기가 서로간의 통신 수단에 대한 정보 및 통신 속도를 감지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 관련된 통신 특성을 조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데스크탑 형태의 단말기, 휴대폰, 태블릿PC 또는 공중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인지 등을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사용자의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단말기가 어떤 형태의 디바이스에 포함되는지를 조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바이스 조사부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의 형태, 즉 크기와 모양에 대한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사용자의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단말기가 어떤 형태의 디바이스에 포함되는지를 조사하고, 추가로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용 화면이 어떤 형태인지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단말기가 어떤 형태의 디바이스에 포함되는지를 조사한 후에 이를 기초로 화면의 형태를 유추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화면이 데스크탑 형태의 단말기에 구비된 대형 화면인지, 휴대폰 화면인지, 태블릿PC 화면인지 등을 조사하고, 화면의 크기를 조사할 수 있고, 화면의 모양을 조사할 있다. 예를들면 화면이 16:9의 와이드 화면인지 아니면 4:3의 화면인지 등을 조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바이스 조사부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사용자의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용 화면의 해상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변형 제어부(150)는 디바이스 조사부(140)에서 선정된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변형 이미지로 변형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변형 제어부(150)는 디바이스 조사부(140)에서 조사한 통신 정보에 따라 원본 이미지의 용량을 낮출 수 있다. 즉 변형 제어부(150)는 디바이스 조사부(140)에서 조사한 통신 정보, 예를들면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과 선정된 디바이스간의 통신 수단의 기본 속도가 높지 않거나, 선정된 디바이스의 통신 상태 특히 실시간 통신 속도가 높지 않은 경우에 원본 이미지의 용량이 소정의 크기 이상일 경우 이를 압축하거나 해상도를 낮추거나, 크기를 조절하여 통신 수준에 맞도록 원본 이미지를 변형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변형 이미지는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60)가 사용자의 단말기, 즉 선정된 디바이스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변형 제어부(150)는 디바이스 조사부(140)에서 조사한 디바이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선정된 디바이스가 데스크탑인 경우에 비하여 휴대폰인 경우에 변형 이미지의 크기 또는 용량을 작게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변형 제어부(150)는 디바이스 조사부(140)에서 조사한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선정된 디바이스의 화면이 작은 경우 변형 이미지의 크기 또는 용량을 일정 값을 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변형 제어부(150)는 디바이스 조사부(140)에서 조사한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이 16:9의 와이드 화면인지 아니면 4:3의 화면인지, 휴대폰의 화면인지 또는 데스크탑의 화면인지 등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하도록 원본 이미지의 형태를 변형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변형 제어부(150)는 디바이스 조사부(140)에서 조사한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선정된 디바이스의 화면의 해상도가 작은 경우 변형 이미지의 해상도가 일정 값을 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변형 제어부(150)에서 원본 이미지를 변형하여 형성한 변형 이미지를 선정된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이를 위하여 변형 제어부(150)에서 형성한 변형 이미지를 선정된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변형 제어부(150)가 변형 이미지를 선정된 디바이스로 전송한 후에 디스플레이부(160)가 변형 이미지를 선정된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이미지 등록부(110)를 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원본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고, 이러한 원본 이미지를 이미지 저장부(120)에 저장한 후에 다양한 디바이스의 화면에 대응하도록 변형 제어부(150)가 원본 이미지를 변형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부(160)가 이러한 변형 이미지를 선정된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선정부(130)에서 선정된 디바이스에 대한 디스플레이 환경을 디바이스 조사부(140)가 조사하고, 변형 제어부(150)는 이러한 조사한 정보를 이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응하도록, 구체적으로 다양한 디바이스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환경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원본 이미지 한번만 등록한 후에 다양한 사용자에게 최적의 변형 이미지를 제공하여 각 사용자에게 원본 이미지가 갖는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이미지 등록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이미지 등록부(110')는 업로딩부(112') 또는 수집부(114')를 포함한다. 도 2에는 이미지 등록부(110')가 업로딩부(112') 및 수집부(114')를 포함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이미지 등록부(110')는 업로딩부(112') 및 수집부(114')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업로딩부(112')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각 사용자들이 원본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각각의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업로딩할 수 있다.
수집부(114')는 웹페이지 내의 다양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수집하여 원본 이미지로서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수집부 (114')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웹페이지등을 검색하여 노출된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수집부(114')는 관리자의 선별 등의 작업을 통하여 원본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바이스 선정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 선정부(130')는 사용자 신청 인식부(132') 또는 선정 제어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디바이스 선정부(130')가 사용자 신청 인식부(132') 및 선정 제어부(134')를 포함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디바이스 선정부(130')는 사용자 신청 인식부(132') 및 선정 제어부(134')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신청 인식부(132')는 사용자의 신청이 있을 경우 상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선정된 디바이스로 정한다. 즉 사용자의 신청이 있을 경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한다.
선정 제어부(134')는 사용자의 신청이 없더라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한다. 이 때 복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임의의 사용자를 선정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를 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복수의 사용자들의 방문 이력, 구매 이력등을 파악하여 원본 이미지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사용자들의 단말기에 대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한다.
도 4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도 1의 디바이스 조사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디바이스 통신 특성 조사부(142'), 디바이스 종류 조사부(144'), 디바이스 화면 조사부(146') 및 디바이스 화면 해상도 조사부(148')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바이스 조사부(140')는 디바이스 통신 특성 조사부(142'), 디바이스 종류 조사부(144'), 디바이스 화면 조사부(146') 및 디바이스 화면 해상도 조사부(148')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통신 특성 조사부(142')는 전술한 디바이스 선정부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통신 특성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의 통신 특성에 따라 통신 특성이 낮은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할 변형 이미지는 통신 특성이 높은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할 변형 이미지보다 작은 용량을 갖도록 변형 제어부에서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조사부의 통신 특성 조사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신 특성 조사부(142")는 통신 수단 종류 조사부(142a") 및 통신 상태 조사부(142b")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수단 종류 조사부(142a")는 통신 특성으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결된 통신 수단의 종류를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선 네트워크인지 또는 무선 네트워크인지 조사하고, 구체적인 네트워크 종류를 조사할 수 있다.
통신 상태 조사부(142b")는 통신 특성으로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와 사용자의 단말기가 연결된 통신 상태 및 통신 속도를 조사할 수 있고, 실시간의 통신 속도를 조사할 수 있다.
통신 특성을 조사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즉, 통신 수단을 통하여 연결된 두 기기가 서로간의 통신 수단에 대한 정보 및 통신 속도를 감지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 관련된 통신 특성을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종류 조사부(144')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바이스 종류 조사부(144')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데스크탑 형태의 단말기, 휴대폰, 태블릿PC 또는 공중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인지 등을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종류 조사부(144')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사용자의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단말기가 어떤 형태의 디바이스에 포함되는지를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화면 조사부(146')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의 형태, 즉 크기와 모양에 대한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화면 조사부(146')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사용자의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단말기가 어떤 형태의 디바이스에 포함되는지를 조사하고, 추가로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용 화면이 어떤 형태인지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단말기가 어떤 형태의 디바이스에 포함되는지를 조사한 후에 이를 기초로 화면의 형태를 유추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디바이스 화면 조사부(146')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화면이 데스크탑 형태의 단말기에 구비된 대형 화면인지, 휴대폰 화면인지, 태블릿PC 화면인지 등을 조사하고, 화면의 크기를 조사할 수 있고, 화면의 모양을 조사할 있다. 예를들면 화면이 16:9의 와이드 화면인지 아니면 4:3의 화면인지 등을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화면 해상도 조사부(148')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화면 해상도 조사부(148')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사용자의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용 화면의 해상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과 사용자 단말기의 관계를 설명한 예시적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다양한 형태로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6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네트워크에 의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각각의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 또는 그 변형예의 구성은 사용자의 단말기와 구별되고 사용자의 단말기와 분리된 채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단말기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내에 본 실시예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이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들 각각이 단말기내에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을 설치하여 단말기내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일부분은 사용자의 단말기내에 포함되고, 다른 일부분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은 이미지 등록 단계(S10), 이미지 저장 단계(S20), 디바이스 선정 단계(S30),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 변형 제어 단계(S50) 및 디스플레이 단계(S60)를 포함한다.
이미지 등록 단계(S10)에서는 원본 이미지를 등록한다. 이미지 등록 단계(S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원본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미지 등록 단계(S10)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각 사용자들이 원본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고, 이 때 사용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업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미지 등록 단계(S10)는 이미지를 수집하는 형태로 원본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웹페이지 내의 다양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서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이미지 등록 단계(S10)에서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웹페이지등을 검색하여 노출된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관리자의 선별 등의 작업을 통하여 원본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이미지 저장 단계(S20)는 이미지 등록 단계(S10)에서 등록한 원본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저장 단계(S20)에서 저장한 하나 이상의 원본 이미지는 후술할 변형 제어 단계(S50)에서 각 디바이스에 적합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디바이스 선정 단계(S30)는 이미지 저장 단계(S20)에서 저장한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선정한다.
예를들면 디바이스 선정 단계(S30)는 사용자의 신청이 있을 경우 상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선정한다. 즉 사용자의 신청이 있을 경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이미지 저장 단계(S20)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한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원본 이미지의 개략적인 정보 또는 원본 이미지에 대응되는 정보를 인식하고 원본 이미지를 보기 위하여 선택(예를들면 화면에 대한 클릭)을 진행한 경우 디바이스 선정 단계(S30)는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여 상기 선택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한다.
다른 예로서 디바이스 선정 단계(S30)는 사용자의 신청이 없더라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상기 이미지 저장 단계(S20)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한다.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 단계(S30)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한다. 즉, 디바이스 선정 단계(S30)에서 선정한 디바이스는 사용자 별로 다를 수 있고,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는 이러한 사용자별로 다른 디바이스 별로 다른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한다.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에서 조사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후술할 변형 제어 단계(S50)가 디바이스에 대응하도록 원본 이미지를 변형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한다. 예를들면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선택(예를들면 화면에 대한 클릭)을 진행한 경우 선택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 단계(S30)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보를 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는 디바이스 선정 단계(S30)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통신 특성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는 통신 특성으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결된 통신 수단의 종류를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는 통신 특성으로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의 단말기가 연결된 통신 상태 및 통신 속도를 조사할 수 있고, 실시간의 통신 속도를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에서 통신 특성을 조사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즉, 통신 수단을 통하여 연결된 두 기기가 서로간의 통신 수단에 대한 정보 및 통신 속도를 감지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 관련된 통신 특성을 조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바이스 조사부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의 형태, 즉 크기와 모양에 대한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바이스 조사부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조사할 수 있다.
변형 제어 단계(S50)는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에서 선정된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변형 이미지로 변형한다. 즉,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에서 획득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변형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 때,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 별로 디스플레이 하기에 적합하도록 변형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다른 종류의 화면 및 다른 종류의 통신을 이용하더라도 원본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변형 제어 단계(S50)는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에서 조사한 통신 정보에 따라 원본 이미지의 용량을 낮출 수 있다. 즉 변형 제어 단계(S50)는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에서 조사한 통신 정보, 예를들면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선정된 디바이스간의 통신 수단의 기본 속도가 높지 않거나, 선정된 디바이스의 통신 상태 특히 실시간 통신 속도가 높지 않은 경우에 원본 이미지의 용량이 소정의 크기 이상일 경우 이를 압축하거나 해상도를 낮추거나, 크기를 조절하여 통신 수준에 맞도록 원본 이미지를 변형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변형 이미지는 후술할 디스플레이 단계(S60)가 사용자의 단말기, 즉 선정된 디바이스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변형 제어 단계(S50)는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에서 조사한 디바이스 종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선정된 디바이스가 데스크탑인 경우에 비하여 휴대폰인 경우에 변형 이미지의 크기 또는 용량을 작게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변형 제어 단계(S50)는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에서 조사한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의 형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선정된 디바이스의 화면이 작은 경우 변형 이미지의 크기 또는 용량을 일정 값을 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변형 제어 단계(S50)는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에서 조사한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이 16:9의 와이드 화면인지 아니면 4:3의 화면인지, 휴대폰의 화면인지 또는 데스크탑의 화면인지 등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하도록 원본 이미지의 형태를 변형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변형 제어 단계(S50)는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에서 조사한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의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선정된 디바이스의 화면의 해상도가 작은 경우 변형 이미지의 해상도가 일정 값을 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60)는 변형 제어 단계(S50)에서 원본 이미지를 변형하여 형성한 변형 이미지를 선정된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단계(S60)는 이를 위하여 변형 제어 단계(S50)에서 형성한 변형 이미지를 선정된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변형 제어 단계(S50)가 변형 이미지를 선정된 디바이스로 전송한 후에 디스플레이 단계(S60)가 변형 이미지를 선정된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의 단계(S10)의 선택적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의 이미지 등록 단계(S10')는 업로딩 단계(S12') 또는 수집 단계(S14')를 포함한다. 도 8에는 이미지 등록 단계(S10')에 업로딩 단계(S12') 및 수집 단계(S14')가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이미지 등록 단계(S10')는 업로딩 단계(S12') 및 수집 단계(S14')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업로딩 단계(S12')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각 사용자들이 원본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업로딩할 수 있다.
수집 단계(S14')는 웹페이지 내의 다양한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수집하여 원본 이미지로서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수집 단계 (S14')에서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웹페이지등을 검색하여 노출된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수집 단계(S14')는 관리자의 선별 등의 작업을 통하여 원본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단계(S30)의 선택적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 선정 단계(S30')는 사용자 신청 인식 단계(S32') 또는 선정 제어 단계(S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는 디바이스 선정 단계(S30')에 사용자 신청 인식 단계(S32') 및 선정 제어 단계(S34')가 포함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디바이스 선정 단계(S30')는 사용자 신청 인식 단계(S32') 및 선정 제어 단계(S34')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신청 인식 단계(S32')는 사용자의 신청이 있을 경우 상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선정된 디바이스로 정한다. 즉 사용자의 신청(예를들면 클릭과 같은 동작)이 있을 경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한다.
선정 제어 단계(S34')는 사용자의 신청이 없더라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한다. 이 때 복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임의의 사용자를 선정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소정의 조건에 부합하는 사용자를 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복수의 사용자들의 방문 이력, 구매 이력등을 파악하여 원본 이미지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사용자들의 단말기에 대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한다.
도 10은 도 7의 단계(S40)의 선택적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는 디바이스 통신 특성 조사 단계(S42'), 디바이스 종류 조사 단계(S44'), 디바이스 화면 조사 단계(S46') 및 디바이스 화면 해상도 조사 단계(S48')를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디바이스 조사 단계(S40')는 디바이스 통신 특성 조사 단계(S42'), 디바이스 종류 조사 단계(S44'), 디바이스 화면 조사 단계(S46') 및 디바이스 화면 해상도 조사 단계(S48')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통신 특성 조사 단계(S42')는 전술한 디바이스 선정 단계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통신 특성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의 통신 특성에 따라 통신 특성이 낮은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할 변형 이미지는 통신 특성이 높은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할 변형 이미지보다 작은 용량을 갖도록 변형 제어부에서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디스플레이 조사 단계(S40')의 통신 특성 조사 단계(S42')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신 특성 조사 단계(S42")는 통신 수단 종류 조사 단계(S42a")를 진행한 후에 통신 상태 조사 단계(S42b")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신 특성 조사 단계(S42")는 통신 수단 종류 조사 단계(S42a") 또는 통신 상태 조사 단계(S42b")를 포함할 수 있고, 병렬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수단 종류 조사 단계(S42a")는 통신 특성으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결된 통신 수단의 종류를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선 네트워크인지 또는 무선 네트워크인지 조사하고, 구체적인 네트워크 종류를 조사할 수 있다.
통신 상태 조사 단계(S42b")는 통신 특성으로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용자의 단말기가 연결된 통신 상태 및 통신 속도를 조사할 수 있고, 실시간의 통신 속도를 조사할 수 있다. 즉 원본 이미지에 대응된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가 정보를 받아들이는 속도 및 특성을 실시간으로 조사할 수 있다.
통신 특성을 조사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즉, 통신 수단을 통하여 연결된 두 기기가 서로간의 통신 수단에 대한 정보 및 통신 속도를 감지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 관련된 통신 특성을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종류 조사 단계(S44')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예를들면 디바이스 종류 조사 단계(S44')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데스크탑 형태의 단말기, 휴대폰, 태블릿PC 또는 공중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인지 등을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종류 조사 단계(S44')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사용자의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단말기가 어떤 형태의 디바이스에 포함되는지를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화면 조사 단계(S46')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의 형태, 즉 크기와 모양에 대한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화면 조사 단계(S46')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사용자의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단말기가 어떤 형태의 디바이스에 포함되는지를 조사하고, 추가로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용 화면이 어떤 형태인지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단말기가 어떤 형태의 디바이스에 포함되는지를 조사한 후에 이를 기초로 화면의 형태를 유추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들면 디바이스 화면 조사 단계(S46')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화면이 데스크탑 형태의 단말기에 구비된 대형 화면인지, 휴대폰 화면인지, 태블릿PC 화면인지 등을 조사하고, 화면의 크기를 조사할 수 있고, 화면의 모양을 조사할 있다. 예를들면 화면이 16:9의 와이드 화면인지 아니면 4:3의 화면인지 등을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화면 해상도 조사 단계(S48')는 선정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조사하기 위하여 디바이스에 구비된 화면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조사할 수 있다. 디바이스 화면 해상도 조사 단계(S48')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사용자의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용 화면의 해상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은 이미지 등록 단계를 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원본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고, 이러한 원본 이미지를 저장한 후에 다양한 디바이스의 화면에 대응하도록 변형 제어 단계에서 원본 이미지를 변형하여 변형 이미지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이러한 변형 이미지를 선정된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디바이스에 대한 디스플레이 환경을 디바이스 조사 단계에서 조사하고, 변형 제어 단계에서는 이러한 조사한 정보를 이용하여 원본 이미지를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응하도록, 구체적으로 다양한 디바이스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환경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원본 이미지 한번만 등록한 후에 다양한 사용자에게 최적의 변형 이미지를 제공하여 각 사용자에게 원본 이미지가 갖는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110: 이미지 등록부
120: 이미지 저장부
130: 디바이스 선정부
140: 디바이스 조사부
150: 변형 제어부
160: 디스플레이부

Claims (17)

  1.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변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웹페이지를 검색하여 노출된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등록하는 이미지 등록 단계;
    상기 이미지 등록 단계를 통하여 등록한 원본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단계;
    사용자의 신청이 있을 경우 상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상기 이미지 저장 단계에서 저장한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하는 디바이스 선정 단계;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가 상기 변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는 디바이스 조사단계;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에서 조사한 상기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를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할 상기 변형 이미지로 변형하는 변형 제어 단계; 및
    상기 변형 이미지를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디바이스에 상기 변형 이미지를 전송 시 사용하는 통신 수단의 종류 및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의 특성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수단 간의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조사하고,
    상기 조사한 연결 상태 및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서의 통신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사하고,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의 특성을 조사하는 단계는 적어도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용 화면의 크기, 화면의 가로 및 세로의 비를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는 상기 변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복수의 정보를 조사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제어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에서 조사한 상기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를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 하기에 적합하도록 용량, 크기, 모양 또는 해상도를 변형하여 상기 변형 이미지로 변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제어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에서 조사한 디바이스의 통신 속도가 낮은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할 변형 이미지의 용량이 통신 속도가 높은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할 변형 이미지보다 작은 용량을 갖도록 변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 단계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종류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의 상기 디바이스의 종류를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데스크탑 형태의 단말기, 휴대폰, 태블릿PC 또는 공중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인지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 단계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형태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의 상기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형태를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 또는 모양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 단계에서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상도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선정 단계는 사용자의 신청이 있을 경우 상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선정된 디바이스로 정하는 사용자 신청 인식 단계 또는 사용자의 신청이 없더라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하는 선정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13.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변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웹페이지를 검색하여 노출된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로 등록하는 이미지 등록부;
    상기 이미지 등록부가 등록한 원본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
    사용자의 신청이 있을 경우 상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상기 이미지 저장부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하는 디바이스 선정부;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가 상기 변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는 디바이스 조사부;
    상기 디바이스 조사부에서 조사한 상기 디스플레이 환경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를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상기 변형 이미지로 변형하는 변형 제어부; 및
    상기 변형 이미지를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조사부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부가 선정한 디바이스에 상기 변형 이미지를 전송 시 사용하는 통신 수단의 종류 및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의 특성을 조사하고,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 수단간의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조사하고,
    상기 조사한 연결 상태 및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서의 통신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사하고,
    상기 디바이스 조사부가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의 특성을 조사 시 적어도 상기 선정된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용 화면의 크기, 화면의 가로 및 세로의 비를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부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부가 선정한 디바이스의 통신 특성을 조사하는 디바이스 통신 특성 조사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조사부는 상기 디바이스 선정부가 선정한 디바이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는 디바이스 종류 조사부,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형태를 조사하는 디바이스 화면 조사부 및 선정한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상도를 조사하는 디바이스 해상도 조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선정부는 사용자의 신청이 있을 경우 상기 신청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선정된 디바이스로 정하는 사용자 신청 인식부 또는 사용자의 신청이 없더라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형 이미지를 전송할 디바이스로 선정하는 선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24307A 2015-02-17 2015-02-17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41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307A KR101641305B1 (ko) 2015-02-17 2015-02-17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307A KR101641305B1 (ko) 2015-02-17 2015-02-17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305B1 true KR101641305B1 (ko) 2016-07-20

Family

ID=5668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307A KR101641305B1 (ko) 2015-02-17 2015-02-17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3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139A (ko) * 2002-02-02 2004-10-20 수퍼스케이프 그룹 피엘씨 이미지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130006994A (ko) * 2011-06-28 2013-01-18 뉴21커뮤니티(주) 디바이스에 따라 컨텐츠의 사양을 조절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139A (ko) * 2002-02-02 2004-10-20 수퍼스케이프 그룹 피엘씨 이미지 데이터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130006994A (ko) * 2011-06-28 2013-01-18 뉴21커뮤니티(주) 디바이스에 따라 컨텐츠의 사양을 조절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66897B (zh) 一种视频刷量的鉴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10211590A1 (en) Camera body temperature detection
CN107003877A (zh) 应用的上下文深层链接
US9218267B1 (en) Page rendering feedback
US9754028B2 (en) Automatic crawling of encoded dynamic URLs
CN107918575B (zh) 一种页面状态的监控方法及装置
CN103618696B (zh) 对cookie信息进行处理的方法和服务器
CN103297394A (zh) 网站安全检测方法和装置
US20170277622A1 (en) Web Page Automated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CN110619807A (zh) 生成全局热力图的方法和装置
US9465781B2 (en) Analysis of web application state
CN107995191A (zh) 一种基于自动化测试的云应用浏览器兼容性检测方法
CN108809896A (zh) 一种信息校验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641305B1 (ko) 이미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CN110401626B (zh) 一种黑客攻击分级检测方法及装置
CN112749351A (zh) 链接地址确定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设备
JP6780548B2 (ja) 特徴語分類プログラム、特徴語分類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elton et al. Modeling user-centered page load time for smartphones
CN104392000B (zh) 确定移动站点抓取配额的方法和装置
JP201807287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713217B (zh) 一种验证方法和装置
CN110955594A (zh) 基于IAST检测Web应用请求覆盖度的方法及系统
CN108959928A (zh) 一种网页后门的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595640A (zh) 基于计算机的图片展示方法及图片展示装置
JP6426535B2 (ja) テスト支援装置、及びテスト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