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445B1 - 유기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445B1
KR100623445B1 KR1020010061727A KR20010061727A KR100623445B1 KR 100623445 B1 KR100623445 B1 KR 100623445B1 KR 1020010061727 A KR1020010061727 A KR 1020010061727A KR 20010061727 A KR20010061727 A KR 20010061727A KR 100623445 B1 KR100623445 B1 KR 10062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lectrode
color filter
electroluminescent device
organic electrolumin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084A (ko
Inventor
주재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4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20Changing the shape of the active layer in the devices, e.g. patter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흡수, 투과 기능을 가지는 컬러필터와, 패널 표면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함으로써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유기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소자는 패널 기판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블랙매트릭스와; 블랙매트릭스를 덮도록 상기 패널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적,녹,청색의 컬러필터와; 컬러필터 상에 형성되어 상기 컬러필터 형성시 불균일을 보완하기 위한 오버코트막과; 오버코트막 상에 형성되어 소정의 간격의 스트라이프 형태를 가지는 제1 전극과; 제1 전극 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 간의 전기적 절연을 하기 위한 절연막과; 절연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이 분리되게 형성하는 격벽과; 투명기판 전면에 도포되어 금속물질의 제2 전극과,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의 인가 전압에 의해 광을 방사하는 유기 발광층 및; 투명기판 외면에 형성되어 외부광 반사를 줄이도록 하는 반사방지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트릭스 상에 배치한 각 픽셀의 발광색에 대응한 컬러필터를 광 방출면측에 설치하고, 패널 기판 외면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하여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광피로를 완화하고 휘도 특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유기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ELD의 상부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A-A'"로 절단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e는 도 2에 도시된 ELD의 상부기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적, 녹, 청색 컬러필터의 상대 투과율과 파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적, 녹, 청색 유기 발광물질의 발광 스펙트럼과 파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적, 녹, 청색 유기 발광물질을 구성하는 물질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D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i는 도 7에서의 유기 ELD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본 발명은 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택적 흡수 및 투과 기능을 가지는 컬러필터와 패널 표면 상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함으로써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유기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함),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 이하 "FED"라 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PDP"라 함)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Device : 이하 "ELD"라 함) 등이 있다. 특히 ELD는 기본적으로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으로 이루어진 EL층의 양면에 전극을 붙인 형태의 것으로서, 넓은 시야각, 고개구율, 고색도 등의 특징 때문에 차세대 평판표시장치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ELD는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크게 무기 ELD와 유기 ELD로 나뉘어진다. 이 중 유기 ELD는 정공 주입 전극과 전자 주입 전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 EL 층에 전하를 주입하면 전자와 정공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내기 때문에 무기 ELD에 비해 낮은 전압으로 구동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 ELD는 플라스틱같이 휠 수 있는(Flexible) 투명기판 위에도 소자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PDP나 무기 ELD에 비해 10V 이하의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작으며, 색감이 뛰어나다.
상기와 같은 ELD는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Passie) ELD와 능동(Active) ELD로 나뉘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ELD의 상부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A'"로 절단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결부하여 참조하면, ELD의 상부기판은 투명기판(2) 상에 띠 형태로 일렬로 배열된 투명전극(4)과, 상기 투명전극(4)을 포함한 전면에 형성된 보호막(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보호막 상에 정공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유기 전계발광층(이하 "EL층"라 함, 10)과, 상기 EL층 상에서 상기 투명전극과 교차하고 띠 모양으로 형성된 캐소드 전극(12)을 구비한다. 또한 캐소드 전극(12)을 분리하기 위한 상기 캐소드 전극(12) 사이에 동일한 띠 모양으로 형성된 격벽(8)을 구비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패널에서 투명기판(2) 상의 음극용 투명전극(4)과 양극용 캐소드 전극(12) 사이에 전류를 흘려주면 두 전극 사이 박막으로 증착되어 있는 EL층(10)이 발광하며 동작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e는 도 2에 도시된 ELD의 상부기판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투명기판(2) 상에 음극용 투명전극(4)을 습식방법을 포함하는 포토리소그래피방법(Phtolithography)으로 띠 모양으로 패터닝하여 형성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투명기판(2) 상에 절연막(6)을 포토리소그래피방법(Phtolithography)으로 형성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투명기판(2) 상에 격벽(8)을 포토리소그래피방법으로 형성한다. 이 때 격벽은 상기 투명전극(4)과 교차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3d를 참조하면, 투명기판(2) 상의 전면에 EL층(10)을 증착한다. 이 때 EL층(10)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miting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도 3e를 참조하면, 투명기판(2) 전면에 증착된 EL층(10) 상에 캐소드전극(12)을 전면 증착한다. 이 때 캐소드 전극(12)은 특별한 형태 없이 발광유효면내 전면에 일괄적으로 증착되지만, 이전에 사진식각법에 의해 오버행(overhang)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격벽(8)에 의해 이웃의 캐소드 전극(12)과 분리된다.
도 3f를 참조하면, 투명기판(2) 하에 폴라라이저(14)를 부착시킨다. 즉, 전계발광소자 패널 표면에 폴라라이저(14)가 부착된다. 이 폴라라이저(14)는 시인성 향상을 위해 외광의 난반사를 최소화하고, 입사 자외선 차단을 위해 광학 필름으로 형성된다.
유기 ELD는 자발광이 가능하고 게다가 발광 물질을 선택하여 풀 컬러(Full Color) 발광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유기 ELD의 미해결의 문제점은 수명이 짧고 신뢰성이 부족한 것이다. 단수명의 요인은 전극의 산화, 재료의 변질, 유기 박막의 균일성 등이 언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요인 이외에 열화를 촉진한 큰 요인 으로 유기 ELD를 구성한 재료의 광 피로가 있게 된다.
유기 ELD의 발광원리는 전극을 통하여 주입된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한다. 즉, 전극으로부터 유기막으로 캐리어(전자와 정공)의 주입, 주입된 캐리어의 반대전극으로 이동, 캐리어의 재결합에 의한 여기자의 생성, 여기자의 이동(확산), 여기자로부터 발광의 과정을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재료에 의해 정해지는 어느 특정의 파장의 빛이 조사되며, 그 재료는 여기되고 발광된다. 장시간 광에 조사되어 빛에 의한 여기와 광반사의 과정이 반복되기 때문에 재료에 광피로가 일어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광강도가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발광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재료의 광피로를 줄이기 위해서, 어느 특정 파장에서 흡수되는 광을 차단시키는 방법으로, 자외선 컬러 필터인 폴라라이저(14)를 설치하여 사용하나, 적색 발광의 경우 흡수파장이 500nm 이하이기 때문에 400nm 이하의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필터로는 적색 발광 재료의 광피로 개선에는 효과가 없고 패널에서 발광되는 광량을 50% 이상 흡수하여 휘도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적 흡수·투과 기능을 하는 컬러필터를 설치하고 패널 표면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하여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소자는 패널 기판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블랙매트릭스를 덮도록 상기 패널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적,녹,청색의 컬러필터와; 상기 컬러필터 상에 형성되어 상기 컬러필터 형성시 불균일을 보완하기 위한 오버코트막과; 상기 오버코트막 상에 형성되어 소정의 간격의 스트라이프 형태를 가지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 간의 전기적 절연을 하기 위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이 분리되게 형성하는 격벽과, 상기 투명기판 전면에 도포되어 금속물질의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의 인가 전압에 의해 광을 방사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투명기판 외면에 형성되어 외부광 반사를 줄이도록 하는 반사방지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블랙 매트릭스는 흑색 안료형 컬러필터 및 저반사 크롬막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적색 컬러필터는 DCJTB(4-dicyanomethylene-6-cp-julolidinostyryl-2-tert-butyl-4H-pyran) 물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녹색 컬러필터는 MQD 물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청색 컬러필터는 Spiro-DPVBi(4,4-Bis(2,2-diphenyl-ethen-1-yl)-bipheyl) 물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반사방지막은 AGAR 코팅막 및 AGAR 필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투명 기판 상에 소정 패턴의 블랙 매트릭스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덮도록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필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컬러필터막 상에 평탄도 향상을 위한 오버코트막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오버코트막 상에 제1 전극을 소정의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전극 상에 상기 제1 전극간의 전기적 절연을 하도록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측 상에 상기 제1 전극과 교차되도록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컬러필터막에 대응되도록 발광물질을 상기 투명 기판 전면에 유기 발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 발광물질 상에 제1 전극과 함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도록 상기 투명 기판 전면에 금속물질의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기판 외면에 외부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AGAR 코팅막 및 AGAR 필름 중 어느 하나에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주석 성분의 졸/겔/액을 글라스 표면에 주입하고 회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8i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적, 녹, 청색 컬러필터의 상대 투과율과 파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색필터는 600nm 이상 파장의 빛은 투과하지만, 그 이하의 파장은 투과하지 않는다. 녹색필터는 500nm 부근의 빛은 투과하지만 400nm 이하, 600nm 이상의 빛은 투과하지 않는다. 청색필터는 450nm 부근의 빛은 투과하지만 350nm 이하, 550nm 이상의 빛은 투과하지 않는다.
도 5는 적, 녹, 청색 유기 발광물질의 발광 스펙트럼과 파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적, 녹, 청색 유기 발광물질을 구성하는 물질의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적색 유기 발광물질은 도 6a에 도시된 DCJTB(4-dicyanomethylene-6-cp-julolidinostyryl-2-tert-butyl-4H-pyran) 물질을 사용하였으며, 도 4의 적색 필터의 투과 스펙트럼과 조합하면, 흡수파장인 550nm 이하의 외광 파장은 적색 필터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외광에 의한 여기는 방지할 수 있어 광피로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적색 유기 발광물질의 발광 피크 파장인 600nm 이상의 빛은 투과하여 외부에 방출된다.
녹색 유기물은 도 6b에서의 MQD 물질을 사용하여 적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녹색 필터를 설치하면, 흡수파장 영역의 외광 파장은 필터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외광에 의한 여기는 방지할 수 있고 발광재료로부터의 빛은 투과하여 외부에 방출된다.
청색 유기물은 도 6c에 도시된 Spiro-DPVBi(4,4-Bis(2,2-diphenyl-ethen-1-yl)-bipheyl) 물질을 사용하여 청색 필터를 설치하면, 흡수파장 영역의 외광 파장 은 필터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외광에 의한 여기는 방지할 수 있고, 발광 재료로부터의 빛은 투과하여 외부에 방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컬러 표시에 필요한 삼원색의 발광색을 얻을 수 있으며, 외부광의 흡수로 유기 발광물질의 불필요한 여기를 방지하여 광피로를 완화하고 콘트라스트 특성이 향상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D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i는 도 7에서의 유기 ELD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결부하여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ELD는 먼저 투명기판(20) 상에 소정 패턴의 블랙 매트릭스(22)을 배치한다. 이 블랙 매트릭스(22)는 적(R), 녹(G), 청색(B)의 컬러필터 막(24a,24b,24c)이 서로 겹쳐지지 않고 색순도 향상을 위한 것으로, 패터닝이 용이하고 외부광을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형성된다. 통상 흑색의 안료형 컬러필터나 저반사 크롬막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도 8b에서와 같이 기판(20) 상에 적색, 녹색, 청색의 컬러필터(24a,24b,24c)를 형성한다. 컬러필터(24a,24b,24c)는 광 경화성 수지에 안료를 분산한 안료형, 염색에 의해 착색한 염색형이나 전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컬러필터 막(24a,24b,24c) 상에 평탄도 향상을 위해 오버코트막(26)을 도포한다. 오버코트막(26)에는 통상 아크릴계, 에폭시계, 이미드계 등의 수지가 사용된다.
오버코트막(26)이 형성된 후 도 8d에서와 같이 음극용 투명전극인 ITO 박막(28)을 증착 또는 스퍼터링 방법으로 형성하고, 사진 식각법에 의해 패터닝을 행하여 소정의 스트라이프 패턴을 형성한다.
도 8e를 참조하면, 음극용 투명전극(28) 상에 절연막(30)을 포토리소그래피방법(Phtolithography)으로 형성한다.
절연막(30)이 형성된 후 도 8f에서와 같이 투명기판(20) 상에 격벽(32)을 포토리소그래피방법으로 형성한다. 이 때 격벽은 상기 투명전극(28)과 교차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절연물질로 형성된다.
도 8g를 참조하면, 투명기판(20) 상의 전면에 EL층(34)을 증착한다. 이 때 EL층(34)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miting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도 8h를 참조하면, 투명기판(20) 전면에 증착된 EL층(34) 상에 캐소드 전극(36)을 전면 증착한다. 이 때 캐소드 전극(36)은 특별한 형태 없이 발광유효면내 전면에 일괄적으로 증착되지만, 이전에 사진식각법에 의해 오법행 형태로 형성되어진 격벽(36)에 의해 이웃의 캐소드 전극(36)과 분리된다.
투명기판(20) 전면에 캐소드 전극(36)이 형성된 후, 패널의 전면에 종래기술의 폴라라이저 대신 도 8i에서와 같이 AGAR(Anti Glair Reflection) 필름 또는 AGAR 코팅액의 반사방지막(38)을 형성하여 외부광 반사를 줄이고 제조비를 낮춘다. 외부광 반사방지막(38) 형성방법은 화상의 표면에 굴절율이 다른 유리층을 형성하여 각 층에서 반사된 빛의 간섭 효과를 이용하여 반사율을 낮추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안티몬(Sb)이 도핑된 산화 주석(SnO2) 성분의 졸-겔 액을 글라스 표면에 주입하여 회전 코팅방법으로 코팅시킨 후 소성하여 코팅막을 형성시켜, 상기 반사방지막(38)을 완성한다.
종 래 (폴라라이저) 컬러 필터 (AGAR 필름) 컬러 필터 (AGAR 코팅)
글라스 투과율 85% 85% 85%
Color R 0.617/0.377 0.663/0.336 0.663/0.336
G 0.249/0.672 0.236/0.701 0.236/0.701
B 0.150/0.229 0.126/0.161 0.126/0.161
색재현 범위 100% 149% 149%
휘도 (cd/m2) R 56.56(100%) 84.65(152%) 80.25(141%)
G 216.12(100%) 399.39(184%) 352.56(163%)
B 146.19(100%) 160.84(110%) 155.27(106%)
표 1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서의 색재현 범위 및 단색 휘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는 광학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동일한 3색 발광 유기화합물을 형성하고 컬러 필터막을 형성하여 AGAR 필름 및 AGAR 코팅막인 반사방지막을 형성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 ELD와 컬러필터막을 형성하지 않고 글라스 외면에 폴라라이저를 부착한 종래기술에 따른 컬러 ELD의 색재현 범위 및 단색 휘도를 비교한 것이다.
상기 표 1을 통하여 콘트라스트를 비교하면, 폴라라이저는 자외선 영역 이하의 외부광만 차단하며 발광 빛의 50%의 투과 손실에 의한 휘도 감소가 나타나지만, 컬러필터 형성품은 외부광과 유기물 발광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 흡수함으로 동일한 콘트라스트에서 휘도 및 색재현 범위 향상 효과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은 매트릭스 상에 배치한 각 픽셀의 발광색에 대응한 컬러필터를 광 방출면측에 설치하여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광피로를 완화하고 게다가 선택적 흡수, 투과 기능을 색재현 범위를 확대하고 휘도 특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패널 기판 외면에 폴라라이저를 부착할 필요없이 외광 반사를 낮추기 위하여 패널 외면에 반사방지막을 형성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5)

  1. 패널 기판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블랙매트릭스와;
    상기 블랙매트릭스를 덮도록 상기 패널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적,녹,청색의 컬러필터와;
    상기 컬러필터 상에 형성되어 상기 컬러필터 형성시 불균일을 보완하기 위한 오버코트막과;
    상기 오버코트막 상에 형성되어 소정의 간격의 스트라이프 형태를 가지는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 간의 전기적 절연을 하기 위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이 분리되게 형성하는 격벽과;
    상기 투명기판 전면에 도포되는 금속물질의 제2 전극과;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의 인가 전압에 의해 광을 방사하는 유기 발광층 및;
    상기 투명기판 외면에 형성되어 외부광 반사를 줄이도록 하는 반사방지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흑색 안료형 컬러필터 및 저반사 크롬막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컬러필터는 DCJTB(4-dicyanomethylene-6-cp-julolidinostyryl-2-tert-butyl-4H-pyran)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컬러필터는 MQD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컬러필터는 Spiro-DPVBi(4,4-Bis(2,2-diphenyl-ethen-1-yl)-bipheyl)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막은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이미드계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은 AGAR 코팅막 및 AGAR 필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
  8. 투명 기판 상에 소정 패턴의 블랙 매트릭스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덮도록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필터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컬러필터막 상에 평탄도 향상을 위한 오버코트막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오버코트막 상에 제1 전극을 소정의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전극 상에 상기 제1 전극간의 전기적 절연을 하도록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측 상에 상기 제1 전극과 교차되도록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컬러필터막에 대응되도록 발광물질을 상기 투명 기판 전면에 유기 발광물질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 발광물질 상에 제1 전극과 함께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도록 상기 투명 기판 전면에 금속물질의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기판 외면에 외부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흑색 안료형 컬러필터 및 저반사 크롬막 중 어느 하나 가 패터닝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색 컬러필터는 DCJTB(4-dicyanomethylene-6-cp-julolidinostyryl-2-tert-butyl-4H-pyran)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녹색 컬러필터는 MQD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컬러필터는 Spiro-DPVBi(4,4-Bis(2,2-diphenyl-ethen-1-yl)-bipheyl)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막은 아크릴계, 에폭시계 및 이미드계 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은 AGAR 코팅막 및 AGAR 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AGAR 코팅막 및 AGAR 필름 중 어느 하나에 안티몬이 도핑된 산화주석 성분의 졸/겔/액을 글라스 표면에 주입하고 회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10061727A 2001-10-08 2001-10-08 유기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10062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727A KR100623445B1 (ko) 2001-10-08 2001-10-08 유기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727A KR100623445B1 (ko) 2001-10-08 2001-10-08 유기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084A KR20030030084A (ko) 2003-04-18
KR100623445B1 true KR100623445B1 (ko) 2006-09-12

Family

ID=29563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727A KR100623445B1 (ko) 2001-10-08 2001-10-08 유기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4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481B1 (ko) * 2003-07-01 2007-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격벽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95627B1 (ko) * 2004-12-21 2008-01-17 후지 덴키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디스플레이
KR100696671B1 (ko) * 2005-11-02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773936B1 (ko) * 2005-12-19 2007-11-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05799B1 (ko) * 2005-12-23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87441B1 (ko) * 2005-12-26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KR100770267B1 (ko) * 2006-05-04 2007-10-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111974B1 (ko) 2013-07-03 2020-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82487B1 (ko) 2017-09-15 2022-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684A (ko) * 1999-09-29 2001-06-15 다카노 야스아키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장치의 봉지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684A (ko) * 1999-09-29 2001-06-15 다카노 야스아키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장치의 봉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084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7985B2 (en) Display device
JP4654207B2 (ja) 表示装置
KR101355262B1 (ko)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JP5241128B2 (ja) 多色表示装置
WO2011125363A1 (ja) 有機el素子、有機elディスプレイ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5625448B2 (ja) 有機el素子,有機el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17043242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362641B1 (ko) 다색 발광 유기 el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2233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WO2017043243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070049638A (ko) 발광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CN111293161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0623445B1 (ko) 유기 전계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WO2012081536A1 (ja) 発光デバイス、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照明装置
US7271536B2 (en) Organic EL panel
JP6248522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CN100459208C (zh) 有机电致发光装置
JP4186101B2 (ja) 有機el表示装置
JP2009129586A (ja) 有機el素子
JP2018190666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表示装置、照明装置
KR100692857B1 (ko) 유기 전계발광소자
JP2005293983A (ja) 自発光型表示装置
JP2006351472A (ja) 色変換フィルタ基板、有機elディスプレイ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2156095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