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254B1 -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254B1
KR100623254B1 KR1020040029116A KR20040029116A KR100623254B1 KR 100623254 B1 KR100623254 B1 KR 100623254B1 KR 1020040029116 A KR1020040029116 A KR 1020040029116A KR 20040029116 A KR20040029116 A KR 20040029116A KR 100623254 B1 KR100623254 B1 KR 100623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thin film
organic
laye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808A (ko
Inventor
곽원규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9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254B1/ko
Priority to US11/115,329 priority patent/US7423372B2/en
Publication of KR2005010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E04G7/14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for clamping the members independently
    • E04G7/16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for clamping the members independently of which the clamping parts for the different members are rotatable with respect to one anoth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광이 발광되는 발광 영역을 각 배선 사이의 빈공간으로 연장하여 개구율이 향상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및 배선을 포함하는 비발광 영역과, 광이 발광되는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된 평탄화용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패시베이션막 상부에 상기 비발광 영역과 발광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 형성된 하부 전극과; 상기 비발광 영역의 일부 및 상기 발광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한 화소 분리막과; 상기 화소 분리막과 개구부 내의 하부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 박막층과; 상기 유기 박막층에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 박막층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비발광 영역과 발광 영역을 통해 상기 기판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패시베이션층은 BCB 또는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기EL, 패시베이션층, 애노드 전극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Electroluminesence Displa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의 시각적인 인지가 가능한 발광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0 : 단위 화소 410 :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420 :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421 : 드레인 전극
422 : 비아홀 431 : 기판
432 : 버퍼층 440 : 층간절연막
450 : 패시베이션층 460 : 애노드 전극
470 : EL층 480 : 캐소드 전극
500 : 개구부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광이 발광되는 발광 영역을 각 배선 사이의 빈 공간으로 연장하여 개구율이 향상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이중 유기 EL 소자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전자 및 정공 등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형광 물질을 여기시킴으로써 화상 또는 영상을 표시하므로써 직류 저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 속도가 빨라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써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크게 나눠 패시브 매트릭스형과, 액티브 매트릭스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각각의 화소에 스위칭 소자를 배열하고, 그 화소의 화상 데이터에 따 른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여 발광 소자를 구동시키는 표시 장치이다. 이와 같은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드라이버(10)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데이타 라인(11)이 연결되고, 스캔 드라이버(20)는 선택 신호를 전달하는 다수개의 스캔 라인(21)이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30)은 상기 데이터 라인(11)과 스캔 라인(21)이 종과 횡으로 교차되는 교차부에 다수개의 단위 화소(40)를 포함한다.
데이터 드라이버(10)와 스캔 드라이버(20)는 각각 연결된 데이터 라인(11)과 스캔 라인(20)을 통해 데이터 신호와 선택 신호가 각각의 단위 화소(40)에 출력하고, 각 단위 화소(40)는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여 발광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30)은 일정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단위 화소의 단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종래의 배면 발광형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단위 화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 단위 화소는 절연 기판(43a) 위에 버퍼층(43b)이 형성되고, 상기 버퍼층(43b) 상에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41)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42)가 형성되고, 그 위에 패시베이션층(Passivation Layer)(4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시베이션층(44)의 상측에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42)의 드레인 전극(42a)에 연결되는 애노드 전극(46)과 상기 애노드 전극(46)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50)를 구비한 화소 분리막(45)을 형성하고, 상기 화소 분리막(45)과 상기 노출된 애노드 전극(46)의 상부에는 유기 박막층(47)이 형성되고, 상기 유기 박막층(47)의 상면에는 캐소드 전극(48)이 형성된다.
종래에는 패시베이션층(44)으로 무기막을 사용함으로써 박막박막트랜지스터의 형성에 따라 발생되는 단차에 따라 패시베이션막(44)에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애노드 전극(46)은 패시베이션층(44) 중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지 않은 평탄한 부분에 형성한다.
도 3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단위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스캔 드라이버(20)로부터 선택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41)는 턴온되어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10)에서 전달된 데이터 신호를 캐패시터(51)에 저장한다. 따라서 캐패시터(51)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고, 이를 구동 박막트랜지스터(42)에 전달한다. 그러므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42)는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구동 전류를 애노드 전극(46)에 전달한다. 따라서, 애노드 전극(46)과 유기 박막층(47), 캐소드 전극(48)이 통전되어 상기 개구부(50)를 통해 광이 발광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면 발광형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각각의 단위 화소가 다수개의 배선과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포함된 배선 영역과 광이 발광되는 발광 영역으로 구분됨에 따라 개구율이 작으며, 상기 발광 영역의 발광 시에도 상기 배선 영역의 배선과 배선 사이가 어두우므로 다수개의 픽셀이 발광되어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경우, 각각의 픽셀에는 발광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공존하게 되어 표시되는 화상이 부드럽게 이어지지 못하고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양면 발광형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전면과 배면에서의 휘도차가 크게 되어 표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평탄화가 가능한 유기막으로 패시베이션층을 구성함으로써 배선과 배선 사이까지 개구부가 확장 가능하여 발광 면적 및 개구율을 높이고, 화질을 향상시키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및 배선을 포함하는 배선 영역과, 광이 발광되는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된 평탄화용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패시베이션막 상부에 상기 배선 영역과 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 형성된 하부전극과; 상기 배선 영역의 일부 및 상기 발광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한 화소 분리막과; 상기 화소 분리막과 개구부 내의 하부 전극상에 형성된 유기 박막층과; 상기 유기 박막층에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 박막층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배선 영역과 발광 영역을 통해 상기 기판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BCB 또는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써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기 박막층은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431)과 버퍼층(432)이 형성되고, 상기 버퍼층(432)의 상면에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410)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420)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420)의 상측으로는 패시베이션층(450)이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패시베이션층(450) 상부에 애노드 전극(46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애노드 전극(460)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420)의 드레인 전극(421)과 비아홀(42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애노드 전극(460)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개구부(500)를 구비한 화소 분리막(465)이 형성되고, 상기 화소 분리막(465)과 상기 애노드 전극(460)의 상부에 유기 박막층(470)이 형성되고, 상기 유기 박막층(470) 상에 캐소드 전극(480)이 형성된다.
상기 패시베이션층(450)은 상기 애노드 전극(460)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410, 420)을 포함하는 배선 영역 상부로 연장 형성 가능하도록 절연 특성 및 평탄화 특성을 갖는 유기막을 사용한다. 상기 패시베이션층(450)으로는 BCB 또는 아크릴(Acryl)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애노드 전극(460)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410)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420) 및 기타의 배선이 형성되는 배선 영역 및 발광 영역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애노드 전극(460) 상에 유기 박막층(470)이 형성됨에 따라 개구부(500)는 상기 배선 영역 및 발광 영역을 노출시킨다.
이때, 애노드 전극(460)은 인접하는 화소 간에는 서로 분리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유기 박막층(470)은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발광층, 정공억제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박막층을 포함한다. 유기 박막층(470)은 각 화소마다 애노드 전극 상에 형성되는 도트 타입(Dot type) 보다는 연속으로 증착되는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이 개구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단위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배면 발광시 개구부의 발광 영역을 표시하였다. 도 6은 사람의 시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개구부의 발광 영역을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500)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410)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420) 및 각 배선이 형성된 배선 영역까지 연장 형성됨에 따라 각 배선 사이의 공간을 포함한 발광 영역(빗금 친 부분)에서 발광된다.
즉, 데이터 라인(110)과 스캔 라인(210)을 통해 선택 신호와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410)는 턴온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110)을 통해 인가되는 데이타 신호를 구동 박막트랜지스터(420)와 캐패시터(510)에 전달한다. 그러므로, 상기 데이타 신호는 캐패시터(510)에 저장되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420)에 전달되고, 구동 박막트랜지스터(420)는 전원 전압 라인(520)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 전압에 의해 형성된 전위를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애노드 전극(460)에 전달한다. 그러므로, 개구부(500) 중 배선 사이의 공간과 발광 영역에서 광을 발광하며, 따라서, 각 배선사이에 일부 노출된 개구부(500)에서 광이 발광하게 되므로써 광의 산란(Diffusion)에 의해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역에서 광이 발광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면 발광형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패시베이션층을 평탄화가 가능한 유기막, 예를 들면, BCB 또는 아크릴로 형성함으로써 개구부가 상기 배선영역으로 연장되므로, 예를 들면, 종래의 4599 um2의 발광 면적이 8026 um2으로 74.5 %의 발광 면적이 증가하고, 표시 개구율이 종래의 35.1 %에서 46.2 %로 11.1 % 만큼 개구율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배면 발광 구조를 양면 발광 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적용하면, 전면과 배면에서의 휘도 차를 감소시켜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 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패시베이션층을 평탄화가 가능한 유기막으로 구성함에 따라 다수개의 배선 및 구동 소자를 포함하는 배선 영역에 개구부를 연장 형성 가능하므로 개구율 및 발광면적이 증가하고, 또한 배선 사이에 개구부가 노출되므로써 배선 사이의 어두운 부분으로 표시되는 공간이 감소되므로 표현되는 화상이 부드러운 화질로 표시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및 배선을 포함하는 배선 영역과, 광이 발광되는 발광 영역을 포함하는 절연기판과;
    상기 절연 기판 상부에 형성된 평탄화용 패시베이션막과;
    상기 패시베이션막 상부에 상기 배선 영역과 발광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 걸쳐 형성된 하부 전극과;
    상기 배선 영역의 일부 및 상기 발광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한 화소 분리막과;
    상기 화소 분리막과 개구부 내의 하부 전극상에 형성된 유기 박막층과;
    상기 유기 박막층에 형성된 상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 박막층으로부터 발광된 광이 배선 영역과 발광 영역을 통해 상기 절연 기판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막은
    BCB 또는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박막층은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 치.
KR1020040029116A 2004-04-27 2004-04-27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623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116A KR100623254B1 (ko) 2004-04-27 2004-04-27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11/115,329 US7423372B2 (en) 2004-04-27 2005-04-27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having organic passivation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116A KR100623254B1 (ko) 2004-04-27 2004-04-27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808A KR20050103808A (ko) 2005-11-01
KR100623254B1 true KR100623254B1 (ko) 2006-09-18

Family

ID=3513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116A KR100623254B1 (ko) 2004-04-27 2004-04-27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23372B2 (ko)
KR (1) KR100623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10880B2 (en) 2020-07-23 2024-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outgassing from insulating lay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434B1 (ko) * 2010-01-05 2012-06-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156440B1 (ko) 2010-03-09 2012-06-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599118B2 (en) 2011-02-16 2013-12-03 Global Oled Technology Llc Chiplet display with electrode connectors
KR102089324B1 (ko) * 2013-09-30 2020-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9166181B2 (en) 2014-02-19 2015-10-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ybrid junction field-effect transistor and active matrix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15109B (en) * 1999-06-28 2002-12-21 Semiconductor Energy Lab 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6384427B1 (en) 1999-10-29 2002-05-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TW511298B (en) * 1999-12-15 2002-11-21 Semiconductor Energy Lab EL displa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10880B2 (en) 2020-07-23 2024-06-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outgassing from insulating lay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808A (ko) 2005-11-01
US20050236979A1 (en) 2005-10-27
US7423372B2 (en) 2008-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859B1 (ko) 표시 장치 및 어레이 기판
JP4909041B2 (ja) 電界発光表示装置とその駆動方法
KR100768392B1 (ko) 액티브형 el 표시 장치
KR100834346B1 (ko) 능동행렬 유기전기발광소자
JP4220277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有機電界発光素子
KR101679850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JP4776328B2 (ja) 発光表示パネル,発光表示装置および発光表示装置の駆動方法
WO2020065961A1 (ja) 表示装置
KR10061857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동 회로
KR100623254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JP4517804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7140276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4265515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792748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45704B1 (ko)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7010872A (ja) 表示装置及びアレイ基板
JP4379285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00397B1 (ko) 발광 표시 장치
KR20030014778A (ko) 유기전기발광소자
KR100637130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669316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911205B1 (ko) 능동행렬 표시장치
KR101603230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080003058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KR20060036795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용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