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772B1 - 자기 공명 촬영 방법, 위상 변이 측정 방법 및 자기 공명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기 공명 촬영 방법, 위상 변이 측정 방법 및 자기 공명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772B1
KR100622772B1 KR1020000007479A KR20000007479A KR100622772B1 KR 100622772 B1 KR100622772 B1 KR 100622772B1 KR 1020000007479 A KR1020000007479 A KR 1020000007479A KR 20000007479 A KR20000007479 A KR 20000007479A KR 100622772 B1 KR100622772 B1 KR 100622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phase
axis
apply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605A (ko
Inventor
고토다카오
Original Assignee
지이 요꼬가와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 요꼬가와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지이 요꼬가와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00007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772B1/ko
Publication of KR20010083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8NMR imaging systems
    • G01R33/54Signal processing systems, e.g. using pulse sequences ; Generation or control of pulse sequences; Operator console
    • G01R33/56Image enhancement or correction, e.g. subtraction or averaging techniques, e.g. improvement of signal-to-noise ratio and resolution
    • G01R33/561Image enhancement or correction, e.g. subtraction or averaging techniques, e.g. improvement of signal-to-noise ratio and resolution by reduction of the scanning time, i.e. fast acquiring systems, e.g. using echo-planar pulse sequences
    • G01R33/5615Echo train techniques involving acquiring plural, differently encoded, echo signals after one RF excitation, e.g. using gradient refocusing in echo planar imaging [EPI], RF refocusing in rapid acquisition with relaxation enhancement [RARE] or using both RF and gradient refocusing in gradient and spin echo imaging [GR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 혹은 경사 자장 펄스의 변경으로 인한 잔류 자화의 변화의 영향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SE 시퀀스에 있어서, 위상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각각 갖는 리셋 펄스 gys1j와 gysrj가 반전 펄스 Pj의 이전과 이후에 위상축에 삽입된다.

Description

자기 공명 촬영 방법, 위상 변이 측정 방법 및 자기 공명 촬영 시스템{MR IMAGING METHOD, PHASE SHIFT MEASURING METHOD AND MR IMAGING SYSTEM}
도 1은 종래의 FSE 시퀀스의 일 예를 도시하는 펄스 시퀀스 도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FSE 시퀀스에서 제 1 위상 엔코딩 펄스와 되감기 펄스에 의한 잔류 자화의 변화를 예시하는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FSE 시퀀스에서 제 2 위상 엔코딩 펄스와 되감기 펄스에 의한 잔류 자화의 변화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 촬영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셋 펄스가 인가된 FSE 시퀀스를 예시하는 펄스 시퀀스 도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리셋 펄스 인가된 FSE 시퀀스에서 리셋 펄스에 의한 잔류 자화의 변화를 예시하는 예시도,
도 7은 도 5에 예시된 리셋 펄스 인가된 FSE 시퀀스에서 제 1 위상 엔코딩 펄스와 되감기 펄스에 의한 잔류 자화의 변화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리셋 펄스 인가된 FSE 시퀀스에서 제 2 위상 엔코딩 펄스와 되감기 펄스에 의한 잔류 자화의 변화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경사 자장 펄스 기반형 위상 변이 보정값 결정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리셋 펄스 인가된 사전 주사 시퀀스를 예시하는 펄스 시퀀스 도시도,
도 11은 리셋 펄스 기반형 위상 변이 보정값 결정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리셋 펄스 기반형 위상 에러 검출 사전 주사 시퀀스(프리셋 펄스:OFF)를 나타내는 펄스 시퀀스 도시도,
도 13은 리셋 펄스 기반형 위상 에러 검출 사전 주사 시퀀스(프리셋 펄스:ON)를 나타내는 펄스 시퀀스 도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석 에셈블리 3 : 경사 자장 구동 회로
4 : RF 전력 증폭기 5 : 전치 증폭기
6 : 디스플레이 유닛 7 : 컴퓨터
8 : 시퀀스 기억 회로 9 : 게이트 변조기
10 : RF 발진기 11 : A/D 변환기
12 : 위상 검출기 13 : 콘솔
본 발명은 자기 공명(Magnetic Resonance;MR) 촬영 방법, 위상 변이(phase shift) 측정 방법 및 MR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경사 혹은 경사 자장 펄스(gradient magnetic field pulse)의 변동으로 인한 잔류 자화(residual magnetization)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펄스 시퀀스를 이용한 MR 촬영 방법과, 펄스 시퀀스에서 각각의 선행하는 위상 엔코딩 펄스 등에 의해 초래되는 와전류(eddy currents)와 잔류 자화의 영향으로 인한 후속 에코에서의 위상 변이를 측정하는 위상 변이 측정 방법과, 이러한 방법들을 실행하는 MR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평성 10-75940호에는 다음과 같은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1) 여기 펄스(excitation pulse)를 전송하고, 반전 펄스(inversion pulse)를 전송하고, 위상축에 대해 엔코딩 펄스를 인가하고, 판독축(read axis)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고, 위상축에 되감기 펄스(rewind pulse)를 인가하고, 판독 펄스가 위상축에 인가되는 동안 에코(echoes)로부터 반전 펄스를 연속적으로 전송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1차원 퓨리에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위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각의 위상 엔코딩 펄스 등에 의해 초래되는 와전류 및 잔류 자화의 영향으로 인한 각 후속 에코에서의 위상 변이를 측정하는, 사전 주사(pre-scan) 시퀀스를 실 행하는 위상 변이 측정 방법.
(2) 여기 펄스의 전송 이후 반전 펄스를 전송하고, 위상축에 위상 엔코딩 펄스를 인가하고, 판독축에 판독 펄스가 인가되는 동안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위상 엔코딩 펄스가 변화하는 동안 위상축에 대한 되감기 펄스의 인가를 여러번 반복하고, 한 번의 여기(excitation)에 대해 복수의 에코 데이터를 수집하는 고속 스핀 에코 프로세스(high-speed spin echo process)를 이용하는 펄스 시퀀스에 있어서, 전술한 (1)번 항목에 설명되어 있는 위상 변이 측정 방법으로 측정된 위상 변이량을 보상해주기 위한 보상 펄스가 위상 엔코딩 펄스내에 삽입 또는 보충되거나, 위상 엔코딩 펄스의 직전 혹은 직후에, 혹은 직전 직후 모두에 부가되거나, 되감기 펄스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되감기 펄스의 직전 혹은 직후에, 혹은 직전 직후 모두에 부가되는 MR 촬영 방법.
종래의 기술은 (1)번 항목에 설명되어 있는 위상 변이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 위상 변이량과 (2)번 항목에 설명되어 있는 고속 스핀 에코 프로세스에서 어떠한 보상 펄스도 펄스 시퀀스에 제공되지 않을 때 발생되는 위상 변이량이 서로 동일하다는 전제 조건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영구 자석형 MR 시스템에 있어서, 자기 단락 평판(magnetic shunt plate)의 자기 히스테리시스 특성 등으로 인해 이들 두 변이량이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 채용한 전제 조건은 성립되지 않는다. 이것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속 스핀 에코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펄스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FSE(Fast Spin Echo) 시퀀스 SQ에서, 여기 펄스 R과 절편 경사 혹은 경사(slice gradient or gradient) ss가 먼저 인가된다. 다음, 제 1 반전 펄스 P1과 절편 경사 ss가 인가된다. 이 때 위상 엔코딩 펄스 gy1i가 위상축에 인가된다. 다음, 판독 펄스 gxw가 인가되는 동안 NMR 신호가 제 1 에코 echo1로부터 수신된다. 그 이후에, 위상 엔코딩 펄스 gy1i와 시적분값은 동일하지만 극성은 반대인 되감기 펄스 gy1ri가 위상축에 인가된다. 첨언하면, i는 반복 회수를 나타내는데, i=1∼I이다(예를 들면, I=128).
다음, 제 2 반전 펄스 P2와 절편 경사 ss가 인가되고, 위상 엔코딩 펄스 gy2i는 위상축에 인가되며, 판독 펄스 gxw가 인가되는 동안 NMR 신호가 제 2 에코 echo2로부터 수신된다. 그 이후로, 위상 엔코딩 펄스 gy2i와 시적분값은 동일하지만 극성은 반대인 되감기 펄스 gy2r이 위상축에 인가된다.
j번째 반전 펄스 Pj와 절편 경사 ss도 전술한 방식으로 순차로 인가된다. 위상 엔코딩 펄스 gyji는 위상축에 인가된다. 판독 신호 gxw가 인가되는 동안 NMR신호는 j번째 에코 echoj로부터 수신된다. 그 이후, 위상 엔코딩 펄스 gyji와 시적분값은 동일하지만 극성은 반대인 되감기 펄스 gyjri가 위상축에 인가되는 것이 j=3∼J(예를 들면 J=8)동안 반복된다.
위상 엔코딩 펄스 gy11(i=1)의 인가 이전의 잔류 자화를 m1로 정의하였을 경우, 영구 자석형 MR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자기 단락 평판 등의 자기 히스테리 특성 때문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 엔코딩 펄스 gy11의 인가시 잔류 자화 는 이력선(histories) a1와 a2를 따라서 m1에 도달하게 된다. 더 나아가, 잔류 자화는 되감기 펄스 gy1rl의 인가로 이력선 a3과 a4를 따라서 m2에 도달한다.
위상 엔코딩 펄스 gy21의 인가 이전에 잔류 자화는 m2가 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상 엔코딩 펄스 gy21의 인가에 의해 잔류 자화는 이력선 a5와 a6을 따라서 m3에 도달한다. 더 나아가, 되감기 펄스 gy2r1의 인가에 의해 잔류 자화는 이력선 a7과 a8을 따라 m2에 도달한다.
전술한 것과 같은 영구 자석형 MR 촬영 시스템에서는, 자기 단락 평판 등의 자기 히스테리시스 특성 때문에, 잔류 자화는, 예컨대 위상 엔코딩 펄스와 되감기 펄스 같은 경사 자장 펄스들이 가변하는 이력선을 따라 변한다.
그러나, FSE 시퀀스에서는 제 1 에코가 수집될 때까지 펄스들을 잘라내는(cutting down) 형태로 사전 주사 시퀀스를 취하므로, 경사 자장 펄스들은 인가 이력선에 있어서 상호간에 동일하고 잔류 자화는 제 1 에코에 대해 일치한다. 그러므로, 전술한 전제 조건이 성립된다. 그러나, 경사 자장 펄스들은 제 2 에코 이후에는 인가 이력선에 있어서 서로 동일하지 않고, 잔류 자화는 일치하지 않으므로, 전술한 전제 조건이 더 이상 성립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 2 에코 이후에는 경사 자장 펄스에 의해 초래되는 잔류 자화의 영향으로 후속 에코에 있어서의 위상 변이가 충분히 보정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각각의 경사 자장 펄스와 발생된 위상 에러 사이에는 선형 관계가 성립되므로, 전술한 문제가 와전류를 발생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경사 자장 펄스의 변동으로 인한 잔류 자화 변화의 영향을 막아줄 수 있는 MR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실제 FSE 시퀀스와 일치하는 FSE 펄스 시퀀스에서 선행 위상 엔코딩 펄스 등에 의해 초래되는 와전류와 잔류 자화의 영향으로 후속 에코에 위상 변이를 일으켜서, 이 위상 변이를 측정할 수 있는 위상 변이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전술한 방법들을 실행하는 MR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양상으로서, 본 발명은 여기 펄스의 전송 이후 반전 펄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위상축에 위상 엔코딩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판독축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는 동안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위상 엔코딩 펄스가 변하는 동안 위상축에 되감기 펄스의 인가를 여러 번 반복하는 단계와, 한 번의 여기(excitation)에 의한 다수의 에코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임의의 경사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갖거나 혹은 더 큰 진폭을 갖는 포지티브 혹은 네거티브 리셋 펄스를 반전 펄스 이전과 이후에 그 임의의 경사축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속 스핀 에코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MR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제 1 양상에 따른 MR 촬영 방법에서, 리셋 펄스의 진폭은 다른 경사 자장 펄스의 각각의 진폭보다 작지 않으므로, 리셋 펄스의 인가 이후에 발생되는 잔류 자 화는 인가된 다른 경사 자장 펄스의 이력선과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리셋 펄스는 반전 펄스 이후 즉, 엔코딩 펄스의 인가 직전에 삽입되므로, 위상 엔코딩 펄스의 인가 이전에 발생되는 잔류 자화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경사 자장 펄스의 변동으로 인한 잔류 자화 변화의 영향을 막을 수 있다.
첨언하자면, 리셋 펄스는 반전 펄스 이전에 삽입되므로 위상 엔코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 2 양상으로, 본 발명은 여기 펄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반전 펄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위상축에 위상 엔코딩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판독축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위상축에 되감기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반전 펄스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위상축에 탈위상 펄스(dephaser pulse)를 인가하는 단계와, 판독 펄스를 위상축에 인가하는 동안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이 데이터를 1차원 퓨리에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위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위상 엔코딩 펄스의 영향으로 인한 위상 변이량을 판정하는 단계와, 위상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갖거나 그 보다 더 큰 진폭을 갖는 포지티브 혹은 네거티브 리셋 펄스를 반전 펄스 이전과 이후에 위상축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상 변이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제 2 양상에 따른 위상 변이 측정 방법에서, 리셋 펄스의 진폭은 다른 자장 경사 펄스의 각각의 진폭보다 작지 않으므로, 리셋 펄스의 인가 이후에 발생되는 잔류 자화는 인가된 다른 경사 자장 펄스의 이력선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더 나아가, 리셋 펄스는 반전 펄스 이후 즉, 위상 엔코딩 펄스의 인가 직전 에 삽입되므로, 위상 엔코딩 펄스의 인가 이전에 발생되는 잔류 자화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시 말하자면, 잔류 자화는 FSE 시퀀스에서 위상 엔코딩 펄스의 인가 이전의 잔류 자화와 동일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FSE 시퀀스에서 선행하는 위상 엔코딩 펄스 등에 의해 초래되는 와전류와 잔류 자화의 영향으로 인한 후속 에코에서의 위상 변이는 실제 FSE 시퀀스와 비교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첨언하자면, 리셋 펄스는 반전 펄스 이전에 삽입되기 때문에 위상 엔코딩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 3 양상으로서, 본 발명은 제 1 양상에 따른 MR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때 제 2 양상에 따른 위상 변이 측정 방법으로 측정된 위상 변이량을 보상해주기 위한 보상 펄스가 각각의 위상 엔코딩 펄스내에 만들어지거나, 위상 엔코딩 펄스 직전 혹은 직후에, 혹은 직전 직후 모두에 부가되거나, 각각의 되감기 펄스내에 만들어지거나, 또는 되감기 펄스의 직전 혹은 직후에, 혹은 직전 직후 모두에 부가된다.
제 3 양상에 따른 MR 촬영 방법에서, 실제 FSE 시퀀스와 비교함으로써 측정되는 위상 변이량에 대해 보상이 수행되므로, FSE 펄스 시퀀스에서 각각의 선행하는 위상 엔코딩 펄스 등에 의해 초래되는 와전류와 잔류 자화의 영향으로 인한 후속 에코에서의 위상 변이는 정확하게 보정될 수 있다.
제 4 양상으로서, 본 발명은 여기 펄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반전 펄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판독축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반전 펄스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위상축에 탈위상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위상축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는 동안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이 데이터를 1차원 퓨리에 형태로 변환시킴으로써 제 1 위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위상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갖거나 혹은 그 보다 큰 진폭을 갖는 포지티브 혹은 네거티브 리셋 펄스를 반전 펄스 이전 혹은 이후에 위상축에 삽입하는 단계와, 이 삽입 단계를 제외하고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제 2 위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제 1 위상 데이터와 제 2 위상 데이터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리셋 펄스의 영향으로 인한 위상 변이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상 변이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제 1 양상 내지 제 3 양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위상 엔코딩 펄스의 인가 이전의 잔류 자화는 리셋 펄스를 이용하여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리셋 펄스의 삽입으로 인해 발생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와전류도 이러한 영향중 전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제 4 양상에 따른 위상 변이량 측정 방법에 있어서, 리셋 펄스의 영향으로 인한 위상 변이량은 리셋 펄스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의 위상 데이터와 리셋 펄스가 삽입되었을 때의 위상 데이터 사이의 차이로부터 판정된다.
제 5 양상으로서, 본 발명은 제 3 양상에 따른 MR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리셋 펄스 혹은 보상 펄스의 영역은 제 4 양상에 따른 위상 변이 측정 방법으로 측정된 위상 변이량을 보상하도록 변경된다.
제 5 양상에 따른 MR 촬영 방법에서는, 리셋 펄스의 영향으로 인한 위상 변이를 보정한 FSE 시퀀스가 실행될 수 있다.
제 6 양상으로서, 본 발명은, RF 펄스 전송 수단과 경사 펄스 인가 수단과 NMR 신호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MR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MR 촬영 시스템은 이러한 각 수단들을 제어하여, 여기 펄스의 전송 이후 반전 펄스를 전송하고, 위상축에 위상 엔코딩 펄스를 인가하고, 판독 펄스가 판독축에 인가되는 동안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펄스 엔코딩 펄스를 변경하는 동안 위상축으로의 되감기 펄스 인가를 여러 번 반복하여, 한 번의 여기에 의한 다수의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고속 스핀 에코 프로세스를 이용해 MR 촬영을 실행하며, 또한 본 발명의 MR 촬영 시스템은 리셋 펄스 인가 수단을 더 포함하여, 임의의 경사축에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갖거나 혹은 더 큰 진폭을 갖는 포지티브 혹은 네거티브 리셋 펄스를 반전 펄스 이전과 이후에 임의의 경사축에 삽입한다.
제 6 양상에 따른 MR 촬영 시스템은 제 5 양상에 따른 MR 촬영 방법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MR 촬영 방법에 따르면, 경사 자장 펄스의 변동으로 초래되는 잔류 자화 변화의 영향을 막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위상 변이 측정 방법에 따르면, FSE 시퀀스에서 선행하는 위상 엔코딩 펄스 등에 의해 초래되는 와전류 및 잔류 자화의 영향으로 인해 후속 에코에서 발생하는 위상 변이도 실제 FSE 시퀀스와의 비교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MR 촬영 시스템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이 적절히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이점들은 이후에 첨부 도면에 예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후부터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이용해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R 촬영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MR 촬영 시스템(100)에 있어서, 자석 어셈블리(1)는 그 내부에 샘플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구멍)을 가지고 있는데, 샘플에 정전장을 인가하기 위한 영구 자석(1p)과, 절편축(slice axis)과 위상축 및 판독축에 대해 경사 혹은 경사 자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경사 혹은 경사 자장 코일(1g)과, 샘플에 원자핵 스핀을 여기시키는 RF 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전송 코일(1t)과, 샘플로부터의 NMR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수신 코일(1r)이 이 공간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있다. 경사 자장 코일(1g), 전송 코일(1t), 수신 코일(1r)은 각각 경사 혹은 경사 자장 구동 회로(3), RF 전력 증폭기(4), 전치 증폭기(pre-amplifier)(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시퀀스 기억 회로(8)는 컴퓨터(7)의 명령에 따라서 자신에게 기억되어 있는 펄스 시퀀스에 기초하여 경사 자장 구동 회로(3)을 제어 또는 동작시킴으로서, 자석 어셈블리(1)의 경사 자장 코일(1g)로부터 자장을 발생시킨다. 더 나아가, 시퀀스 기억 회로는 게이트 변조기(9)를 동작시켜서, RF 발진기(10)에서 발생된 캐리어 출력 신호를 사전 정의된 타이밍과 사전 정의된 엔벨로프(envelope)의 형태로 표시 되는 맥동 신호(pulsated signal)로 변조하고, 이것을 RF 펄스로서 RF 전력 증폭기(4)로 부가하여, 여기에서 전력 증폭된다. 그 이후, RF 전력 증폭기(4)는 이 펄스를 자석 어셈블리(1)의 전송 코일(1t)에 인가하여, 원하는 절편 영역을 선택 및 여기시킨다.
전치 증폭기(5)는 자석 어셈블리(1)의 수신 코일(1r)에 의해 검출되는 샘플로부터의 NMR 신호를 증폭하고, 이 증폭된 NMR 신호를 위상 검출기(12)에 입력한다. 위상 검출기(12)는 RF 발진기(10)로부터 발생된 캐리어 출력 신호를 기준 신호로서 수신하고, 전치 증폭기(5)로부터 공급된 NMR 신호의 위상을 검출하여, A/D 변환기(11)로 공급한다. A/D 변환기(11)는 위상 검출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7)에 입력한다.
컴퓨터(7)는 A/D 변환기(1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데이터에 대한 영상 재구성 계산을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절편 영역에 대한 영상을 발생시킨다. 영상은 디스플레이 유닛(6)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더 나아가, 컴퓨터(7)는 콘솔(13)을 통해 입력 정보의 수신과 같은 전체적인 제어에 이바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 스핀 에코 방법의 펄스 시퀀스 도시도이다.
리셋 펄스가 인가된 FSE 시퀀스(reset pulsed-applied FSE sequence) SQwr에서, 여기 펄스 R과 절편 경사 ss가 먼저 인가된다. 제 1 반전 펄스 P1와 절편 경사 ss가 다음에 인가되는 동안, 위상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각각 동일한 포지티브 리셋 펄스 gys11과 gysr1은 제 1 반전 펄스 P1 이전 및 이후에 위상축에 삽입된다. 다음, 위상 엔코딩 펄스 gy1i가 위상축에 인가된다. 그리면, 판독 펄스 gxw가 인가되는 동안 NMR 신호가 제 1 에코 echo1로부터 수신된다. 그 이후에, 위상 엔코딩 펄스 gy1i와 시적분값은 동일하지만 극성은 반대인 되감기 펄스 gy1ri가 위상축에 인가된다. 첨언하자면, i는 반복 회수를 나타내는데, 즉, i=1∼I(예를 들면 I=128)이다.
다음, 제 2 반전 펄스 P2와 절편 경사 ss가 인가된다. 한편, 위상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포지티브 리셋 펄스 gysl2와 gysr2가 제 2 반전 펄스 P2의 이전 및 이후에 위상축에 삽입된다. 다음, 위상 엔코딩 펄스 gy2i가 위상축에 인가되고, 판독 펄스 gxw가 인가되는 동안 제 2 에코 echo2로부터 NMR 신호가 수신된다. 그 이후, 위상 엔코딩 펄스 gy2i와 시적분값은 동일하지만 극성은 반대인 되감기 펄스 gy2r이 위상축에 인가된다.
j번째 반전 펄스 Pj와 절편 경사 ss가 전술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이 때, 리셋 펄스 gysli와 gysri가 j번째 반전 펄스 Pj 이전과 이후에 삽입되고, 위상 엔코딩 펄스 gyji가 위상축에 인가된다. 판독 펄스 gxw가 인가되는 동안 j번째 에코 echoj로부터 NMR 신호가 수신된다. 그 이후, 위상 엔코딩 펄스 gyji와 시적분값은 동일하지만 극성은 반전되어 있는 되감기 펄스 gyjri를 위상축에 인가하는 것이 j=3∼J(예컨대 J=8)동안 반복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무작위로 원자핵 스핀의 위상을 취하기 위해서 큰 영역의 탈위상 펄스(dephaser pulse)(grk)가 마지막으로 삽입된다. 탈위상 펄스의 진폭은 각각의 위상 엔코딩 펄스의 진폭과 일치하도록 된다.
첨언하자면, 이후에 설명되는 경사 혹은 경사 자장 펄스를 이용해 위상 변이 측정 방법(도 9 참조)으로 측정된 위상 변이량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펄스(gypn)는 위상 엔코딩 펄스 gy1i 내지 gyJI 또는/및 되감기 펄스 gy1ri 내지 gyJrI내에 만들어진다(영역이 조정된다). 보상 펄스(gypn)는 위상 엔코딩 펄스 gy1i 내지 gyJI 직전 혹은 직후, 혹은 직전 직후 모두(합쳐서 하나인 영역)에 부가될 수도 있고, 또는 되감기 펄스 gy1ri 내지 gyJrI 직전 혹은 직후, 혹은 직전 직후 모두(합쳐서 하나인 영역)에 부가될 수도 있다.
또한, 이후에 설명되는 리셋 펄스 기반형 위상 변이 측정 방법(reset pulse-based phase shift measuring method)(도 11 참조)으로 측정되는 위상 변이량을 보상하기 위한 하나의 보상 펄스(gyps)가 리셋 펄스의 각 쌍(gys11/gysr1 내지 gys1J/gysrJ)에 편입된다(영역이 조정된다). 리셋 펄스의 쌍(gys11/gysrl 내지 gys1J/gysrJ)마다 리셋 펄스 쌍의 직전 혹은 직후, 혹은 직전 직후 모두에 보상 펄스(gyps)가 부가될 수도 있다.
또한, 리셋 펄스 gys11 및 gysr1은 위상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보다 더 큰 진폭을 갖는 펄스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이들은 네거티브 펄스일 수도 있다.
리셋 펄스 gys11의 인가 이전의 잔류 자화를 m1이라고 정의하면, MR 촬영 시스템(100)에 있어서 영구 자석(1p)의 자기 단락 평판 등의 자기 이력 특성 덕분으로, 리셋 펄스 gys11의 인가에 의해 잔류 자화는 이력선 b1 및 b2를 따라 m1으로 다시 돌아온다. 다음, 리셋 펄스 gysr1이 인가될지라도 잔류 자화는 이력선 b1 및 b2를 따라 다시 m1로 되돌아온다.
위상 엔코딩 펄스 gy11(i=1)의 인가 이전의 잔류 자화가 m1이므로, 위상 엔코딩 펄스 gy11의 인가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 자화는 이력선 a1 및 a2를 따라 m1로 다시 돌아온다. 또한, 되감기 펄스 gy1r1의 인가에 의해 잔류 자화는 이력선 a3 및 a4를 따라 m2에 도달한다. 다음, 리셋 펄스 gys12가 인가되고, 결국 잔류 자화는 이력선 b5 및 b6을 따라 다시 m1로 되돌아간다. 리셋 펄스 gysr2가 다음으로 인가될 때, 도 6d에 도시된 것처럼 잔류 자화는 이력선 b1 및 b2를 따라 다시 m1로 되돌아간다.
또한, 위상 엔코딩 펄스 gy21의 인가 이전에 잔류 자화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m1이므로, 위상 엔코딩 펄스 gy21의 인가에 의해 잔류 자화는 a5 및 a6을 따라 m1에 도달한다. 더 나아가, 되감기 펄스 gy2r1이 인가될 때, 잔류 자화는 a7 및 a8을 따라 m4에 도달한다. 리셋 펄스 gys13이 다음에 인가되고, 따라서 잔류 자화는 b9 및 b10을 따라 다시 m1로 되돌아온다. 다음, 리셋 펄스 gysr3이 인가되면, 잔류 자화는 도 6에 도시된 이력선 b1 및 b2를 따라 다시 m1로 되돌아온다.
이런 식으로, MR 촬영 시스템(100)에서 위상 엔코딩 펄스와 되감기 펄스 같은 경사 자장 펄스가 변하더라도, 각 위상 엔코딩 펄스의 인가 직전의 잔류 자화는 그 이력선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자장 펄스에 기초한 위상 변이 보정값 결정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E1에서, 보상 펄스 gypn의 초기 진폭값 agypn이 적당한 값으로 설정된 다. 여기에서, n은 위상 변이량을 측정(보정값을 결정)하고자 하는 각 위상 엔코딩 펄스의 수를 나타낸다.
단계 E2에서, 도 10에 도시된 펄스 시퀀스에 따라 에코 echo1 및 echo2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사전 주사 시퀀스 도시도이다.
리셋 펄스 인가된 사전 주사 시퀀스 PSQwr에서, 여기 펄스 R과 절편 경사 ss가 먼저 인가된다. 제 1 반전 펄스 P1과 절편 경사 ss가 다음에 인가되는 동안, 위상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각각 동일한 포지티브 리셋 펄스 gys11 및 gysr1이 제 1 반전 펄스 P1 이전 및 이후에 위상축으로 삽입된다. 리셋 펄스 gys11 및 gysr1은 도 5에 도시된 리셋 펄스 인가된 FSE 시퀀스 SQwr의 리셋 펄스 gys11 및 gysr1과 동일하다. 첨언하자면, FID(Free Induction Decay)를 제거하기 위한 큰 펄스들(점선으로 표시됨)이 절편 경사 ss의 양쪽에 통상적으로 삽입되지만, 그들의 임무는 리셋 펄스 gys11 및 gysr1에게 위임되므로 이들은 생략한다. 이것은 시스템의 기계 설비상의 제약이 엄격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다음, 위상 변이량을 측정(보정값을 판정)하고자 하는 위상 엔코딩 펄스 gyn이 위상축에 인가된다. 이 때 정규 판독 펄스 gxw의 절반에 해당하는 판독 펄스 gxr이 인가된다. 그 이후, 각각의 판독 펄스는 "0"으로 설정(set)된다. 다음, 위상 엔코딩 펄스 gyn과 시적분값은 동일하지만 극성은 반대인 되감기 펄스 gyrn에 보상 펄스 gypn을 포함시켜 얻어진 펄스(이후에 논의됨)가 위상축에 인가된다.
제 2 반전 펄스 P2와 절편 경사 ss가 다음에 인가되는 동안, 위상축에서 이 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포지티브 리셋 펄스 gys12 및 gysr2가 제 2 반전 펄스 P2의 이전과 이후에 위상축에 삽입된다.
다음, 되감기 펄스 gyrn과 동일한 탈위상 펄스(dephaser pulse) gywdn1이 위상축에 인가된다. 판독 펄스 gywn1이 위상축에 인가되는 동안 에코 echo1로부터 NMR 신호가 수신된다. 그 이후, 탈위상 펄스 gywdn1과 동일한 재위상 펄스(rephaser pulse) gywrn1이 위상축에 인가된다.
제 3 반전 펄스 P3과 절편 경사 ss가 다음에 인가되는 동안, 위상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각기 동일한 포지티브 리셋 펄스 gys13 및 gysr3이 제 3 반전 펄스 P3의 이전 및 이후에 위상축에 삽입된다.
다음, 되감기 펄스 gyrn과 동일한 탈위상 펄스 gywdn2가 위상축에 인가된다. 이 때 판독 펄스 gywn2가 위상축에 인가되는 동안 에코 echo2로부터 NMR 신호가 수신된다. 그 이후, 탈위상 펄스 gywdn2와 동일한 재위상 펄스 gywrn2가 위상축에 인가된다.
무작위로 원자핵 스핀의 위상을 취하기 위해 큰 영역의 탈위상 펄스 grk가 마지막으로 삽입된다. 탈위상 펄스의 진폭은 각각의 위상 엔코딩 펄스의 최대 진폭과 일치하도록 된다.
도 10에 도시된 사전 주사 시퀀스는 기본적으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평성 10-75940호에 설명되어 있는 도 32의 사전 주사 시퀀스에 리셋 펄스들이 부가된 것이다. 그러나, 잔류 자화에 더 큰 레지스턴스를 제공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도 9로 다시 돌아가서, 단계 E3에서, 에코 echo1과 echo2로부터 획득한 데이 터는 1차원 퓨리에 형태로 변환되고, 그 결과의 위상이 φ1과 φ2로 각각 정의된다.
단계 E4에서, (φ1-φ2)/2가 판정되고, 이 판정의 결과는 최소 제곱법(least square method) 등을 이용해 선형 함수로 만들어진다. 다음, 그 결과의 1차항 dn이 얻어진다.
단계 E5에서, 주요 위상 변이량 φn이 다음 수학식으로부터 판정된다.
Figure 112000002862934-pat00001
여기에서 Xres는 에코의 샘플링 포인트 수를 나타낸다. 또한,
Figure 112000002862934-pat00002
는 자기 회전 비(magnetic rotating ratio)를 나타낸다. fov는 관측 영상면의 크기(cm)를 나타낸다.
단계 E6에서, 보상 펄스 gypn의 진폭 agypn이 갱신된다.
new_agypn=(1+φn/gypnarea) old_agypn
여기에서 new_agypn는 사후 갱신 진폭(post-updating amplitude)을, old_agypn는 사전 갱신 진폭(pre-updating amplitude)을 나타내고, gypnarea는 사전 갱신 보상 펄스 gypn의 영역(탈위상 분량과 동등함)을 나타낸다.
단계 E7에서, 전술한 단계 E2 내지 E6이 일련의 회수만큼 반복된다. 그 이후에 전술한 프로세스는 단계 E8로 진행한다.
단계 E8에서, 전술한 단계 E1 내지 E7은 필요한 n만큼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그 이후,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결국, 위상 엔코딩 펄스(gyn)에 대한 위상 변이량(φn)이 측정되며, 보상값(보상 펄스 gypn의 진폭 agypn에 대응)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셋 펄스 기반형 위상 변이 보정값 결정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F1에서, 보상 펄스 gyps의 진폭agypn의 초기값이 적당한 값으로 설정된다.
단계 F2off에서, 도 12에 도시된 펄스 시퀀스에 따라 에코 echo_off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셋 펄스 기반형 위상 에러 검출 사전 주사 시퀀스를 도시하는 펄스 시퀀스 도시도이다.
리셋 펄스 기반형 에러 검출 사전 주사 시퀀스 PSQoff에서, 여기 펄스 R와 절편 경사 ss가 먼저 인가된다. 다음, 제 1 반전 펄스 P1과 절편 경사 ss가 인가된다. 리셋 펄스는 인가되지 않는다. 다음, 보상 펄스 gyps가 위상축에 인가된다. 정규 판독 펄스 gxw의 절반에 해당하는 판독 펄스 gxr이 다음에 인가된다. 그 이후에, 각각의 판독 펄스는 "0"으로 설정된다.
다음, 제 2 반전 펄스 P2와 절편 경사 ss가 인가된다. 이 때, 탈위상 펄스 gywd1가 위상축에 인가된다. 다음, 판독 펄스 gyw1이 위상축에 인가되는 동안 에코 echo_on으로부터 NMR 신호가 수신된다. 그 이후에, 탈위상 펄스 gywd1과 동일 한 재위상 펄스 gywr1이 위상축에 인가된다.
도 11로 다시 돌아가서, 단계 F2on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펄스 시퀀스에 따라 에코 echo_on으로부터 데이터가 수집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셋 펄스 기반형 위상 에러 검출 사전 주사 시퀀스를 도시하는 펄스 시퀀스 도시도이다.
리셋 펄스 기반형 위상 에러 검출 사전 주사 시퀀스 PSQon에서, 여기 펄스 R과 절편 경사 ss가 먼저 인가된다. 제 1 반전 펄스 P1과 절편 경사 ss가 다음에 인가되는 동안, 리셋 펄스 gys11과 gysr1이 제 1 반전 펄스 P1 이전과 이후에 위상축에 삽입된다. 리셋 펄스 gys11과 gysr1은 각각 도 5에 도시된 리셋 펄스 인가된 FSE 시퀀스 SQwr의 리셋 펄스 gys11 및 gysr1과 동일한 펄스들이다. 다음, 보상 펄스 gyps가 위상축에 인가된다. 이 때 정규 판독 펄스 gxw의 절반에 해당하는 판독 펄스 gxr이 인가된다. 그 이후에 각각의 판독 펄스가 "0"으로 설정된다.
다음, 제 2 반전 펄스 P2와 절편 경사 ss가 인가된다. 이 때 판독 펄스 gyw1이 위상축에 인가되는 동안 에코 echo_on으로부터 NMR 신호가 수신된다. 그 이후에, 탈위상 펄스 gywd1에 상응하는 재위상 펄스 gywr1이 위상축에 인가된다.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단계 F3에서, 에코 echo_off와 echo_on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는 1차원 퓨리에 형태로 변환되고, 그 결과인 위상은 각각 φ1 및 φ2로 정의된다.
단계 F4에서, (φ1-φ2)가 판정되고, 이 판정의 결과는 최소 제곱법(least square method) 등을 이용해 선형 함수로 만들어진다. 다음, 그 결과의 1차항 D가 얻어진다.
단계 F5에서, 다음의 수학식으로부터 주요 위상 변이량 φ가 판정된다.
Figure 112000002862934-pat00003
여기에서 Xres는 에코의 샘플링 포인트 수를 나타낸다. 또한,
Figure 112000002862934-pat00004
는 자기 회전 비(magnetic rotating ratio)를 나타낸다. fov는 관측 영상면의 크기(cm)를 나타낸다.
단계 E6에서, 보상 펄스 gyps의 진폭 agyps가 갱신된다.
new_agyps=(1+φ/gypsarea) old_agyps
여기에서 new_agyps는 사후 갱신 진폭(post-updating amplitude)을, old_agyps는 사전 갱신 진폭(pre-updating amplitude)을 나타내고, gypsarea는 사전 갱신 보상 펄스 gyps의 영역을 나타낸다.
단계 E7에서, 전술한 단계 E2off 내지 E6이 일련의 회수만큼 반복된다. 그 이후에 전술한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결국, 각각의 리셋 펄스에 대한 위상 에러(φ)가 측정되며, 보상값(보상 펄스 gyps의 진폭 agyps에 대응)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발명의 다른 많은 다양한 실시예들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규정되는 바에 의해 한정되는 것임을 유의하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 자장 펄스의 변동으로 초래되는 잔류 자화 변화의 영향을 막을 수 있으며, FSE 시퀀스에서 선행하는 위상 엔코딩 펄스 등에 의해 초래되는 와전류 및 잔류 자화의 영향으로 인해 후속 에코에서 발생하는 위상 변이도 실제 FSE 시퀀스와의 비교를 통해 측정 가능하다.

Claims (8)

  1. 고속 스핀 에코 프로세스(high-speed spin echo process)를 이용하는 자기 공명(Magnetic Resonance;MR)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속 스핀 에코 프로세스는
    여기 펄스의 전송 이후 반전 펄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위상축에 위상 엔코딩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판독축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는 동안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위상 엔코딩 펄스가 변하는 동안 위상축에 되감기 펄스의 인가를 여러 번 반복하는 단계와,
    한 번의 여기에 의한 다수의 에코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임의의 경사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갖거나 혹은 더 큰 진폭을 갖는 포지티브 혹은 네거티브 리셋 펄스를 상기 반전 펄스의 이전과 이후에 상기 임의의 경사축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속 스핀 에코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MR 촬영 방법.
  2. 위상 변이 측정 방법에 있어서.
    여기 펄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반전 펄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위상축에 위상 엔코딩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판독축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위상축에 되감기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반전 펄스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상축에 탈위상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판독 펄스를 상기 위상축에 인가하는 동안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1차원 퓨리에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위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위상 엔코딩 펄스의 영향으로 인한 위상 변이량을 판정하는 단계와,
    위상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갖거나 혹은 더 큰 진폭을 갖는 포지티브 혹은 네거티브 리셋 펄스를 상기 반전 펄스의 이전과 이후에 상기 위상축에 삽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 변이 측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청구항 제 2 항에 따른 위상 변이 측정 방법으로 측정된 위상 변이량을 보상해주기 위한 보상 펄스가 각각의 위상 엔코딩 펄스내에 만들어지거나, 상기 위상 엔코딩 펄스의 직전 혹은 직후에, 혹은 직전 직후 모두에 부가되거나, 각각의 되감 기 펄스내에 만들어지거나, 또는 상기 되감기 펄스의 직전 혹은 직후에, 혹은 직전 직후 모두에 부가되는 고속 스핀 에코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MR 촬영 방법.
  4. 위상 변이 측정 방법에 있어서,
    여기 펄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반전 펄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판독축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반전 펄스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위상축에 탈위상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위상축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는 동안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1차원 퓨리에 형태로 변환시킴으로써 제 1 위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위상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갖거나 혹은 더 큰 진폭을 갖는 포지티브 혹은 네거티브 리셋 펄스를 상기 반전 펄스 이전 혹은 이후에 상기 위상축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 단계를 제외하고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제 2 위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위상 데이터와 상기 제 2 위상 데이터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 기 리셋 펄스의 영향으로 인한 위상 변이량을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상 변이 측정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여기 펄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반전 펄스를 전송하는 단계와, 판독축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반전 펄스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위상축에 탈위상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위상축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는 동안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1차원 퓨리에 형태로 변환시킴으로써 제 1 위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위상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갖거나 혹은 더 큰 진폭을 갖는 포지티브 혹은 네거티브 리셋 펄스를 상기 반전 펄스 이전 혹은 이후에 상기 위상축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 단계를 제외하고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제 2 위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위상 데이터와 상기 제 2 위상 데이터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리셋 펄스의 영향으로 인한 위상 변이량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상 변이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된 상기 위상 변이량을 보상하도록 상기 리셋 펄스 혹은 보상 펄스의 영역이 변경되는 고속 스핀 에코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MR 촬영 방법.
  6. MR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RF 펄스 전송 수단과,
    경사 펄스 인가 수단과,
    NMR 신호 수신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각 수단들을 제어하여, 여기 펄스의 전송 이후에 반전 펄스를 전송하고, 위상축에 위상 엔코딩 펄스를 인가하고, 판독 펄스가 판독축에 인가되는 동안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펄스 엔코딩 펄스를 변경하는 동안 위상축으로의 되감기 펄스 인가를 여러 번 반복하여, 한 번의 여기에 의한 다수의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고속 스핀 에코 프로세스(high-speed spin echo process)를 이용해 MR 촬영을 실행하며,
    또한 임의의 경사축에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갖거나 혹은 더 큰 진폭을 갖는 포지티브 혹은 네거티브 리셋 펄스를 반전 펄스 이전과 이후에 상기 임의의 경사축에 삽입하는 리셋 펄스 인가 수단을 더 포함하는,
    MR 촬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RF 펄스 전송 수단과 상기 경사 펄스 인가 수단과 상기 NMR 신호 수신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위상 변이 보정 수단을 더 포함하여, 여기 펄스를 전송하고, 반전 펄스를 전송하고, 위상 엔코딩 펄스를 위상축에 인가하고, 판독 펄스를 판독축에 인가하고, 상기 위상축에 되감기 펄스를 인가하고, 반전 펄스를 연속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위상축으로 탈위상 펄스를 인가하고, 상기 위상축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는 동안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를 1차원 퓨리에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얻어지는 위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위상 엔코딩 펄스의 영향으로 인한 위상 변이량을 판정하고, 그리고 상기 고속 스핀 에코 프로세스에 따라 펄스 시퀀스내에 각 위상 엔코딩 펄스의 위상 변이량을 보상하는 보상 펄스를 만들거나, 또는 상기 보상 펄스를 상기 위상 엔코딩 펄스의 직전 혹은 직후, 혹은 직전 직후 모두에 부가하거나, 또는 상기 보상 펄스를 각각의 되감기 펄스내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상기 보상 펄스를 상기 되감기 펄스의 직전 혹은 직후, 혹은 직전 직후 모두에 부가하고,
    또한 상기 위상 변이량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펄스 시퀀스의 위상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갖거나 혹은 더 큰 진폭을 갖는 포지티브 혹은 네거티브 리셋 펄스를 상기 위상축의 상기 반전 펄스의 이전 혹은 이후에 삽입하기 위한 리셋 펄스 인가 수단을 더 포함하는 MR 촬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RF 펄스 전송 수단과 상기 경사 펄스 인가 수단과 상기 NMR 신호 수신 수단을 제어하여, 여기 펄스를 전송하고, 반전 펄스를 전송하고, 판독축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고, 반전 펄스를 연속적으로 전송하고, 위상축에 탈위상 펄스를 인가하고, 상기 위상축에 판독 펄스를 인가하는 동안 에코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데이터를 1차원 퓨리에 형태로 변환시킴으로써 제 1 위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위상축에서 이용되는 최대 진폭과 동일한 진폭을 갖거나 혹은 더 큰 진폭을 갖는 포지티브 혹은 네거티브 리셋 펄스를 상기 반전 펄스 이전 혹은 이후에 상기 위상축에 삽입하고, 상기 삽입 프로세스를 제외하고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제 2 위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제 1 위상 데이터와 상기 제 2 위상 데이터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리셋 펄스의 영향으로 인한 위상 변이량을 판정하고, 그리고 상기 위상 변이량을 보상하도록, 상기 고속 스핀 에코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펄스 시퀀스에 삽입되는 상기 리셋 펄스 혹은 부가되는 보상 펄스의 영역을 변경하는 MR 촬영 시스템.
KR1020000007479A 2000-02-17 2000-02-17 자기 공명 촬영 방법, 위상 변이 측정 방법 및 자기 공명촬영 시스템 KR100622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479A KR100622772B1 (ko) 2000-02-17 2000-02-17 자기 공명 촬영 방법, 위상 변이 측정 방법 및 자기 공명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479A KR100622772B1 (ko) 2000-02-17 2000-02-17 자기 공명 촬영 방법, 위상 변이 측정 방법 및 자기 공명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605A KR20010083605A (ko) 2001-09-01
KR100622772B1 true KR100622772B1 (ko) 2006-09-13

Family

ID=3753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479A KR100622772B1 (ko) 2000-02-17 2000-02-17 자기 공명 촬영 방법, 위상 변이 측정 방법 및 자기 공명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7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9403A2 (ko) * 2009-10-22 2011-04-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성 혈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면서 조직체의 t1-강조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US10213131B2 (en) 2014-10-21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generating magnetic resonance image and medical imag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9403A2 (ko) * 2009-10-22 2011-04-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성 혈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면서 조직체의 t1-강조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KR101056451B1 (ko) * 2009-10-22 2011-08-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성 혈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면서 조직체의 t1-강조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WO2011049403A3 (ko) * 2009-10-22 2011-11-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성 혈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면서 조직체의 t1-강조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
US10213131B2 (en) 2014-10-21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generating magnetic resonance image and medical imag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605A (ko) 200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8834B1 (en) Method of shift measurement, method of phase shift correction, and MRI apparatus
KR100392833B1 (ko) Mri 장치, nmr 데이터 수집 방법 및 mr 촬상 방법
KR100458781B1 (ko) 공진 주파수 변동 보정 방법 및 mri 장치
JP3796446B2 (ja) Mri装置
EP0845684A1 (en) Phase Correction in Multiple-Echo Magnetic Resonance Imaging
KR100444090B1 (ko) Mr 이미징 방법 및 mri 장치
KR100772737B1 (ko) 위상 오차 검출 방법 및 시스템
US6362621B1 (en) Gradient magnetic field measurement method and MRI apparatus
US6392411B1 (en) MR imaging method, phase shift measuring method and MR imaging system
JPH03264046A (ja) 核磁気共鳴映像法及び装置
EP0955556B1 (en) Ghost artifact reduction in fact spin echo MRI sequences
KR100622772B1 (ko) 자기 공명 촬영 방법, 위상 변이 측정 방법 및 자기 공명촬영 시스템
US20020050816A1 (en) MR imaging method, phase error measuring method, and MRI apparatus
JP3382868B2 (ja) 位相シフト測定方法およびmrイメージング装置
JP3576641B2 (ja) Mri装置
JP2000511815A (ja) シフトエコーmr方法及び装置
JP2528864B2 (ja) 核磁気共鳴を用いた検査装置
JP2000185026A (ja) Mrイメージング方法およびmrイメージング装置
JP3332452B2 (ja) Mri装置
JPS628046A (ja) 核磁気共鳴信号の処理方法
JPH0712352B2 (ja) Nmrを用いた検査装置における像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