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135B1 -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135B1
KR100622135B1 KR1020060047591A KR20060047591A KR100622135B1 KR 100622135 B1 KR100622135 B1 KR 100622135B1 KR 1020060047591 A KR1020060047591 A KR 1020060047591A KR 20060047591 A KR20060047591 A KR 20060047591A KR 100622135 B1 KR100622135 B1 KR 100622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sel engine
combustion chamber
fuel
burner
particulat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현
심성훈
홍원석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47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135B1/ko
Priority to US11/993,648 priority patent/US20100077732A1/en
Priority to PCT/KR2006/002395 priority patent/WO200613769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6Construction of thermal re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1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heat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14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uel bur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실의 전면에 위치하고 연소실과 동일축상에 배치되어 있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유로와; 이 유로와 연소실 사이에 구비되어 유로에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선회유동상태로 연소실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기와; 액체연료가 기화되는 기화실과, 이 기화실내로 액체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와, 기화된 액체연료를 연료분사노즐로 이송하기 위해 기화실 내로 이송용공기를 유입하는 이송용공기유입통로를 구비하는 기화기와; 이 기화기에서 기화된 연료와 연소용공기를 혼합하여 연소실 내로 연료 및 공기의 혼합기체를 공급하는 연료분사노즐과; 연소실 내에 설치되어 연료분사노즐로부터 공급된 혼합기체를 분사하는 연소기와; 이 연소기에서 분사되는 혼합기체에 불꽃을 점화하는 점화기; 및 연소기 표면의 화염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염감지기를 구비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가 제공된다.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DPF, 메탈화이버, 버너,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Description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Burner for regeneration of Diesel Engine Particulate Filter and Diesel Engine Particulate Filter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를 적용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도 3에 도시된 연료분사노즐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6c 내지 도 6d는 도 3에 도시된 연료분사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3에 도시된 연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에 보염기를 적용한 단면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도 3에 도시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의 연소 실 단부에 어댑터를 적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도 2에 도시된 온도균일화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의 연소실에 온도균일화 수단을 채용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도 2에 도시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에 어댑터와 온도균일화 수단을 동시에 채용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가 제어장치에 의하여 피드백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110...연소실
120...기화기 130...연료분사노즐
140...연소기 150...점화기
160...화염감지기 170...제어장치
200...선회기 300...유로
400...매연여과재 500...배출구
600...온도균일화 수단 700a, 700b...어댑터
800...엔진 900...엔진전자제어장치
1000...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본 발명은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Diesel Particulate Filter ; DPF)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매연입자를 여과함으로써 매연을 저감시키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에서 매연여과재에 포집된 매연을 열을 이용한 산화에 의하여 재생을 시키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차, 선박, 산업용 차량 등에서는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며, 최근에 디젤 승용차의 출시가 본격화되면서 디젤엔진의 사용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디젤엔진의 사용량 증가 경향은 디젤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출 가스에 포함된 매연(Soot), SOF(Soluble Organic Fraction) 등의 입자상 물질(Particulate Matter ; PM)의 배출량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배출물들은 환경오염, 특히 대기오염의 주원인이 되어 점차 그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디젤 차량 등에서 발생되는 매연입자가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매연을 포집하고 처리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DPF: Diesel Particulate Filter)에 대한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도 1에는 디젤엔진의 매연을 저감시키기 위한 종래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0003599호에 개시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는, 디젤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속에 포함된 매연 입자를 여과하기 위한 모노리스형의 세라믹 필터(11)가 설치된 본체(10)와, 상기 필터(11)의 재생을 위한 버너(1)를 구비한다. 상기 버너(1)는 연료펌프(2)와 공기펌프(3)에 의해 공급된 혼합연료를 분사하는 연소기(4) 및 점화봉(5) 등을 포함하고 있다.
위와 같은 종래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에 있어서,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속에 포함된 매연 입자는 세라믹 필터(11)에 의하여 포집이 되고, 이때 필터(11)에 포집되는 양이 많으면, 필터부의 압력 손실이 크게 증가하여 디젤엔진의 배압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필터에 포집된 매연은 일정한 압력 손실이 발생하면 주기적으로 필터(11)로부터 제거를 하여 주어야 하는데, 이때 필터(11)로부터 매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으로 매연의 산화온도(일반적으로 600℃) 이상으로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승시켜 필터(11)에 포집된 매연 입자들을 산화(연소)시켜 필터(11)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필터(11)에 포집된 매연입자의 산화 온도 이상으로 배기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열 공급 장치의 수단으로 버너(1)의 화염을 사용하게 된다. 즉, 필터(11)에 카본과 같은 매연입자가 어느 정도 포집되면 압력센서(6)에 감지되는 내부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이 신호를 받은 제어기(7)는 필터(11)에 포집된 매연입자를 연소시키기 위해 버너(1)를 가동하게 된다. 그러면, 연소기(4)로 분사되는 연료에 점화봉(5)이 불을 붙이고, 보염기(8)가 화염을 유지해주면서 배기유로(20)의 내부온도를 급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필터(11)에 포집된 매연입자가 연소되어 사라지게 되며, 그 필터(11)는 다시 새롭게 배출되는 매연입자를 포집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액체연료 분사식 버너에 있어서는, 연소 과정에서 생성되는 화염이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매우 길게 형성된다. 이렇게 화염이 길게 형성되면, 아무리 보염기(8)가 있다고 해도 화염 상태의 안정화가 유지되지 못하고, 엔진의 운전 조건에 따라 화염의 안정성은 매우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유량과 압력 조건의 심한 변화에 따라 화염이 안정 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배기가스 속에서 화염이 흔들리면서 불안정하게 되어, 유지되지 못하고 쉽게 꺼지는(소화되는) 단점이 있어 매연여과장치용 버너로서의 실용화가 매우 어렵다.
특히, 디젤엔진의 가속 또는 감속구간에서는 배기가스 유량이나 압력 증감의 폭이 더욱 심해지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화염이 아주 불안정하거나 소화되어 배기유로(20) 내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상승시키고 유지하기가 어려워지며, 이 때문에 필터(11)에 포집된 매연의 원활한 산화를 통한 재생 작업도 힘들어진다. 즉, 공회전이나 정속 구간 또는 엔진이 정지된 경우와 같이 운전조건이 일정한 상태에서는 안정적인 화염을 유지할 수 있지만, 엔진의 가속 또는 감속 구간과 같은 엔진 운전 조건의 변화 구간에서는 화염이 유지되지 못하고 쉽게 꺼지기 때문에 필터(11)에 포집된 매연입자 연소 작업, 즉 필터 재생 작업의 수행이 불가능하여 진다. 이렇게 되면 매연 포집용 필터(11)의 상태는 점점 악화되기 때문에 필터(11)가 매연 입자 포집 장치로서의 역할을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디젤엔진의 운전 조건 급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배기가스 흐름 속에서 항상 일정하고 안정적인 화염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는, 연소실의 전면에 위치하고 연소실과 동일축상에 배치되어 있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유로와; 상기 유로와 연소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에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선회유동상태로 상기 연소실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기와; 액체연료가 기화되는 기화실과, 상기 기화실내로 액체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와, 기화된 액체연료를 연료분사노즐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기화실 내로 이송용공기를 유입하는 이송용공기유입통로를 구비하는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에서 기화된 연료와 연소용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연소실 내로 연료 및 공기의 혼합기체를 공급하는 연료분사노즐과; 상기 연소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분사노즐로부터 공급된 혼합기체를 분사하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에서 분사되는 혼합기체에 불꽃을 점화하는 점화기; 및 상기 연소기 표면의 화염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염감지기를 구비한다.
상기 연료분사노즐은, 기화된 연료와 연소용공기를 혼합하여 혼합기체를 만 드는 혼합실과, 상기 혼합실과 연통하여 상기 연소용공기를 상기 혼합실로 유입하는 연소용공기유입통로와, 상기 기화실과 혼합실을 연통하여 상기 기화실에서 기화된 연료를 상기 혼합실로 유입하는 연료유입통로와, 상기 혼합실과 연소실을 연통하여 상기 혼합실에서 혼합된 혼합기체를 상기 연소실로 유입하는 혼합기체유입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기화기에서 기화된 연료와 이송용공기유입통로에서 유입된 이송용공기와의 혼합기체는 상기 연료분사노즐의 혼합기체유입통로를 통해 연소실 내로 유입되고, 상기 혼합기체 외의 공기는 연료분사노즐로 유입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료분사노즐은 벤츄리(ventury)형, 확산형, 선회확산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유로와 연통하여, 상기 유로에 보조연소공기를 공급하는 보조연소공기유입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소실 내부의 적어도 일 지점의 온도 및 압력과, 상기 기화실로 유입되는 이송용공기의 유량과 온도 및 압력과, 상기 연료분사노즐로 유입되는 연소용공기의 유량과 온도 및 압력과, 연료탱크에서 연료펌프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액체연료의 유량과, 매연여과재 통과 후 배기가스의 온도 및 압력과, 상기 연소기, 점화장치, 화염감지기 및 연료공급펌프의 작동을 각각 전자적으로 피드백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용공기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이송용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이송용공기량 조절용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용공기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제공하는 온도 및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소용공기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연소용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연소용공기량 조절용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용공기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제공하는 온도 및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화기의 점화부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 된 점화기 청정용 공기주입구와,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점화기 청정용 공기주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신선한 외부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전자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화염감지기의 화염감지부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 된 화염감지기 청정용 공기주입구와,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화염감지기 청정용 공기주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신선한 외부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전자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매연여과재 전후에서 감지된 압력 값의 차이가 소정치 이상이면 버너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압력 값의 차이가 소정치 미만이면 버너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기를 형성하는 다공성 매질은, 매트형 금속섬유(Metal Fiber), 세라믹 또는 발포금속 등의 고내열성 다공성 소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기는 실린더형, 원추형 또는 각관형 또는 원반형 등의 형상으로 상기 혼합기체가 유입되는 내면과 유입된 혼합기체가 분출되는 외면으로 구성되는 체적 및 표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기는 상기 다공성 매질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다공성 매질의 형태를 지지하는 다공성의 지지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소기의 외연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한 겹의 다공성 매질의 원통형 보염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배기가스와 상기 연료분사노즐에서 유입되는 혼합기체의 혼합물이 연소되는 연소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소실의 내벽에는 석면, 세라믹울, 세라크울 또는 내화벽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내화단열재가 라이닝 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전면에 위치하고 연소실과 동일축상에 배치되어 있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유로와, 상기 유로와 연소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에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선회유동상태로 상기 연소실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기와, 액체연료가 기화되는 기화실과, 상기 기화실내로 액체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와, 기화된 액체연료를 연료분사노즐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기화실 내로 이송용공기를 유입하는 이송용공기유입통로를 구비하는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에서 기화된 연료와 연소용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연소실 내로 연료 및 공기의 혼합기체를 공급하는 연료분사노즐과 상기 연소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분사노즐로부터 공급된 혼합기체를 분사하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에서 분사되는 혼합기체에 불꽃을 점화하는 점화기 및 상기 연소기 표면의 화염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염감지기를 구비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를 채용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단부에 매연여과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실의 단부에 개재되며, 중앙부가 축소된 축소부를 갖는 어댑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소실의 단부에 개재되며, 배기가스와 고온의 연소가스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한 기체혼합기 등의 온도균일화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를 적용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는 도 3에 도시된 연료분사노즐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c 내 지 도 6d는 도 3에 도시된 연료분사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3에 도시된 연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에 보염기를 적용한 단면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도 3에 도시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의 연소실 단부에 어댑터를 적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도 2에 도시된 온도균일화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의 연소실에 온도균일화수단을 채용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2에 도시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에 어댑터와 온도균일화 수단을 동시에 채용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가 제어장치에 의하여 피드백 제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는, 연소실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연소실(110)과 동일축상에 배치되어 엔진의 배기가스가 상기 연소실(110)로 유입되는 유로(300)와, 경유 등과 같은 액체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기(120)와, 이 기화기(120)에서 기화된 연료와 연소용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연소실(110) 내로 연료 및 공기의 혼합기체를 공급하는 연료분사노즐(130)과, 상기 연소실(110)내에 설치되어 연료분사노즐(130)로부터 공급된 혼합기체를 분사하여 화염을 형성하는 연소기(140)와, 이 연소기(140)에서 분사되는 혼합기체에 불꽃을 점화하는 점화기(150)와, 연소기(140) 표면의 화염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염감지기(16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유로(300)와 상기 연소실(110) 사이에 선회기(200)를 더 구비한 다.
상기 선회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연소실(110) 길이 방향으로 흐르는 선회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선회유로는 상기 유로(300)에서 연소실(110) 내로 유입하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가 선회하면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가 상기 연소실(110) 직경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소실(110)로 진입하게 한다.
한편,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기화기(120)는 연료펌프(122)의 펌핑(Pumping)에 의해 연료탱크(123)로부터 공급된 액체연료가 기화되는 기화실(12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화실(121) 내로 진입하여 상기 기화된 기체연료를 공기와 1차 혼합시켜 1차혼합기체 상태로 만들며, 상기 1차혼합기체를 연료분사노즐(130)의 혼합실(131)로 이송시키는 이송용공기가 유입되는 이송용공기유입통로(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화실(121) 내에는 액체연료를 기체 상태로 기화시키기 위하여 열을 공급하는 기화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기화수단으로는 열에 의해 액체연료를 기화시키는 히터(Heater) 외에도, 액체연료를 기체화하는 모든 범주의 장치가 포함된다.
덧붙여, 상기 기화기(120)는 액체연료가 기화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하여, 액체연료를 미세한 액적으로 무화시키는 무화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무화기로는, 예를 들면 초음파 분무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료분사노즐(130)은, 상기 기화기(120)로부터 제공된 1차혼합기체와 연소용공기를 혼합하여 혼합기체를 형성하는 혼합실(13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소용공기는 외부와 상기 혼합실(131)과 연통된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로부터 공급되고, 1차혼합기체는 상기 기화실(121)과 상기 혼합실(131)을 연통시키는 1차혼합기체유입통로(125)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상기 연료분사노즐(130)은, 상기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와 혼합실(131) 사이에 개재된 연료분사노즐입구(136)와, 상기 혼합실(131)에서 생성된 혼합기체가 상기 연소실(110)로 유입되는 혼합기체유입통로(132)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 및 이송용공기유입통로(1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온 상태로 유입될 수도 있으나,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 및 이송용공기유입통로(124)에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연소용공기 및 이송용공기를 일정온도로 가열시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가열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열수단으로는 상기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 및 이송용공기유입통로(124)에 직접 설치되어 공기가 유입통로를 지나는 사이에 가열이 되거나, 또는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 및 이송용공기유입통로(124)와 분리되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 및 이송용공기유입통로(124)로 유입시킬 수 있는 모든 범주의 가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 및 이송용공기유입통로(124)를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유로 속을 지나도록 배치하여,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열에 의하여 연소용공기 및 이송용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연소실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기체를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와 이송용공기유입통로(124) 주위로 흘려보내거나,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와 이송용공기유입통로(124)가 연소실을 거친 후 연소실 내부의 고온 기체의 열에 의하여 공기를 가열시킬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 연소용공기가 상기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를 통해서만 유입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기화기(120)에서 생성된 1차혼합기체는 상기 연료분사노즐입구(136)와 연통된 1차혼합기체유입통로(125)를 통해 상기 연료분사노즐(130)로 유입된다.
상기 연료분사노즐(130)에서 상기 연소기(140)로 유입되어 상기 연소기(140)를 통하여 분사되는 1차혼합기체는 상기 점화기(150)의 점화에 의하여 상기 1차혼합기체 자체적으로 연소가 된다.
이때, 1차혼합기체의 연소를 위해 요구되는 산소량이 부족하다면 상기 연소실(11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가 상기 1차혼합기체의 연소용공기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배기가스에 포함된 산소량이 연소에 요구되는 산소량보다 낮을 경우, 배기가스의 산소량를 보충하기 위하여 디젤엔진 배기가스 유로와(300) 연통하는 보조연소공기유입통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료분사노즐(13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혼합기체의 흐름에 따라 점점 축소되는 단면적을 가지는 벤튜리(ventury)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를 벤튜리 형상으로 함으로써, 연료분사노즐(130)의 혼합실(131)은 기화실(121)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형성되어 기화실(121)에서 기화된 액체연료와 이송용공기의 1차혼합기체가 혼합실(131) 쪽으로 빨려 나오는 효과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1차혼합기체를 연소실(110) 쪽으로 더욱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연료분사노즐(130)은 6b 내지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와 그 단면적이 동일하다가 혼합실(131)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점 확장되는 확산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확산형의 단부 또는 중심부에 선회기(134a, 134b)를 구비한 선회확산형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소기(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매질로 형성되는데, 매트형의 금속섬유 및 세라믹 또는 발포금속 등의 고내열성의 다공성 매질 중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소기(140)가 다수개의 미세한 분사공 역할을 하는 다공성 매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길이가 매우 짧은 다수개의 화염이 동시다발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연소기(140) 표면의 보유열은 화염의 소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매우 짧은 시간에 표면 전체에 착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연소기(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추 형상뿐만 아니라,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연소기와 같이 실린더형(140a) 또는 각관형(140b) 또는 원반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소기(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 매질의 내측에 결합되는 다공성의 지지체(14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만일, 연소기(140) 자체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없는 재질로 만들어졌을 경우, 상기 연소기(140)의 형상과 대응하게 만들어진 지지체(141)를 상기 연소기(140) 내부에 구비하여 연소기(140)의 형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화기(150)는 상기 연소기(140) 표면에서 분사되는 혼합기체에 불꽃을 점화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연소기(140)와 근접한 거리에서 국소적인 고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열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실시예로 점화기전원(151)으로부터 점화기(150)에 고전압이 공급되면 점화기(150)에서는 전기방전이 일어나서 연소기(140) 표면에서 분출되는 혼합기체에 점화됨으로써 연소기(140)의 표면에서는 화염이 형성된다. 상기의 점화기(150)는 고전압 방전에 의한 스파크 점화기 이외에도 막대형 전기히터 등의 다른 가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점화기(150)는 연소기에서 분사되는 혼합기체에 불꽃을 점화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매연 등의 이물질 부착에 의한 오염으로 인하여 점화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점화기(150)의 점화부(152)는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점화기(150)는 외부와 연통 된 점화기 오염방지용 또는 청 정용 공기주입구(15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화염감지기(160)는 연소기(140)의 표면에 화염이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연소기(140)의 표면에 화염이 형성된 것으로 감지되면 점화기(15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화염감지기(160)의 화염감지부(161)는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화염감지기(160)의 화염감지부(161)는 외부와 연통 된 화염감지기 오염방지용 또는 청정용 공기주입구(16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기(140)의 외연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한겹의 다공성 매질의 원통형 보염기(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염기(111)는 화염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또한 상기 연소기(140)가 설치되어 화염이 형성되는 공간인 연소실(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소실(110)의 내벽은, 예를 들면 석면, 세라믹울, 세라크울 또는 내화벽돌 등과 같은 내화단열재(113)로 라이닝(Lining)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라이닝 된 내화단열재(113)는 연소실(110) 내벽을 단열시킴으로써 연소실(110) 내부에 열이 축적되도록 한다. 이러한 축열의 효과에 의하여 내화단열재(113)에 부착된 매연의 산화가 내화단열재(113) 표면에서 일어나 내화단열재(113)는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젤엔진매연여과장 치(1000)는 상기와 같은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 매연여과재(400),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170), 엔진의 회전수 및 엔진배기가스의 온도, 압력을 감지하는 회전수감지기(810), 온도감지기(820) 및 압력감지기(8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1000)는 이미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엔진전자제어장치(900)로부터 엔진회전수, 엔진부하와 배기가스 온도 및 압력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170)로 전송받을 수도 있다.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1000)는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의 연소실 단부에 매연여과재(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실(110)의 단부와 상기 매연여과재(400) 사이에 어댑터(700a, 700b)를 더 구비하여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소실(110)과 매연여과재(400) 사이에는 축소,확대 유로를 가지는 어댑터(700a) 또는 연소실(11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단부로부터 그 직경이 좁아지는 축소어댑터(700b)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700a, 700b)의 축소부는 연소실 내에 분포되어 있는 배기가스와 상기 연소기(140) 화염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 사이의 기체 혼합을 양호하게 하며, 상기 축소부를 지난 배기가스는 유로의 단면에 대하여 균일한 온도분포의 양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온의 혼합가스 온도분포를 균일한 상태로 하여 매연여과재(400)로 유입시켜,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온도편차를 극소화 할 수 있어, 상기 매연여과재(400)에 포집된 매연의 산화 시 불균일한 산화를 방지하며, 또한 상기 매연여과재(400)가 열변형에 취약한 소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열변형에 의한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물리적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1000)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도균일화 수단(6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균일화 수단(600)은 상기 연소실(11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와 상기 연소기(130)의 화염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 사이의 기체혼합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온도균일화 수단(600)은 상기 연소실(110) 단부와 상기 매연여과재(4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소실(110)의 단부에서 상기 연소실(110) 내에 분포되어 있는 배기가스와 상기 연소기(140)의 화염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가스 사이의 혼합을 보다 더 양호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연소실(110)의 단면에서 연소실의 직경 방향으로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지는 혼합가스가 상기 매연여과재(400)로 유입되어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온도편차를 극소화할 수 있고, 상기 매연여과재(400)에 포집 된 매연의 산화 시 불균일한 산화를 방지하며, 또한 상기 매연여과재(400)가 열변형에 취약한 소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열변형에 의한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물리적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을 물론이고, 혼합가스에 의하여 가열된 상기 온도균일화장치(600)의 복사열로 인하여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온도 상승에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의 온도균일화수단(600)은 그 형상 및 소재에 무관하게 상기의 혼합가스의 혼합을 촉진시켜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가지는 모든 범주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의 온도균일화 수단(600) 및 어댑터(700a, 700b)는 서로 단독으로 사용가능하며,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균일화 수단(600)과 상기 어댑터(700a, 700b) 중 적어도 한가지가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114는 연소실(110) 내에 설치되는 연소기(140), 점화기(150), 화염감지기(160), 보염기(111) 등이 고정되는 고정용 프레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1000)는 제어장치(170)에 의하여 전자적으로 피드백 제어될 수 있으며,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하기와 같은 기호를 사용한다.
PIF : 상기 매연여과재(400)에 매연이 포집되지 않은 청정한 상태에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단에서의 압력
PIR : 상기 매연여과재(400)에 매연이 포집되지 않은 청정한 상태에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후단에서의 압력
ΔPI : 상기 매연여과재(400)에 매연이 포집되지 않은 청정한 상태에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압력차 ( ΔPI = PIF-PIR )
ΔPI : 상기 매연여과재(400)에 포집된 매연의 산화가 일어난 후 재생이 끝 나는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압력차
PRF : 매연이 포집되어 재생이 필요한 상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단에서의 압력
PRR : 매연이 포집되어 재생이 필요한 상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후단에서의 압력
ΔPR : 매연이 포집되어 재생이 필요한 상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압력차 ( ΔPR = PRF-PRR )
P1 : 매연이 포집되고 있는 과정 중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단에서의 압력
P2 : 매연이 포집되고 있는 과정 중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후단에서의 압력
ΔP : 매연이 포집되고 있는 과정 중의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이 필요한 상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압력차 ( ΔP = P1-P2 )
TIF : 상기 매연여과재(400)에 매연이 포집되지 않은 청정한 상태에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단에서의 온도
TIR : 상기 매연여과재(400)에 매연이 포집되지 않은 청정한 상태에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후단에서의 온도
ΔTI : 상기 매연여과재(400)에 매연이 포집되지 않은 청정한 상태에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온도차 ( ΔTI = TIF-TIR )
TRF : 매연이 포집되어 재생이 필요한 상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단에 서의 온도
TRR : 매연이 포집되어 재생이 필요한 상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후단에서의 온도
ΔTR : 매연이 포집되어 재생이 필요한 상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온도차 ( ΔTR = TRF-TRR )
T1 : 매연이 포집되고 있는 과정 중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단에서의 온도
T2 : 매연이 포집되고 있는 과정 중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후단에서의 온도
ΔT : 매연이 포집되고 있는 과정 중의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이 필요한 상태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온도차 ( ΔT = T1-T2 )
TOX : 매연의 산화온도
TEN :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PEN :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압력
이하 제어장치(170)에 의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1000)의 전자 제어에 대해 도 13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장치(170)는 온도와 압력을 수신하고 송출하는 신호전송선(196a, 196b, 196c, 196d, 850a, 850b, 910a, 910b, 910c, 910d, 910e)과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각종 신호를 저장하 기 위한 기억장치 및 작동시간 표시장치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장치(170)에는 상기 ΔPI, 상기 PIF, 상기 PIR, 상기 ΔPR, 상기 PRF, 상기 PRR, 그리고 상기 TIF, 상기 TIR, 상기 ΔTI, 상기 TRF, 상기 TRR, 상기 ΔTR, 매연의 산화온도 등의 제어에 필요한 모든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와 함께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1000)의 운전에 필요한 엔진부하, 엔진회전수 및 엔진 배기가스 유량, 엔진 배기가스 온도 및 엔진배기가스 압력 등에 대하여 상호 연관된 데이터의 교정값, 그래프(graph) 또는 데이터맵(daya map) 등이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어장치(170)에는 엔진부하, 엔진회전수 및 엔진 배기가스 유량 등이 변화되는 조건에 대하여 상기 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의 운전최적의 조건을 나타내는 상기 전자밸브(181,182)의 개폐각이 상기 제어장치(170)와의 신호교환에 의하여 그 개폐량이 최적의 상태로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엔진의 운전조건과 상기 전자밸브 개폐각 사이의 상호 연관된 데이터의 교정값, 그래프 또는 데이터맵 등이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다.
상기 엔진(800)은 회전부에 제어장치(170)로 엔진의 회전수 신호를 전달하는 회전수감지센서(810)가 구비된다.
상기 엔진(800)의 시동과 함께 엔진전자제어장치(900)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제어장치(170)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어장치(170)는 가동 준비 상태가 되고, 상기 제어장치(170)에 구비된 시간 표시 장치가 가동하기 시작한다.
상기 엔진(800)의 시동과 함께 엔진에 구비된 축전기 등으로부터 상기 제어장치(170)로 전원이 직접 공급되어 상기 제어장치(170)는 가동 준비 상태가 되고, 상기 제어장치(170)에 구비된 타이머 등의 시간 표시 장치가 가동하기 시작하는 구성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엔진(800)의 시동과 상기 회전수감지센서(810)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엔진(800)의 회전수 신호는 상기 제어장치(170)로 전달이 된다. 이때 상기 엔진 회전수는 상기 회전수감지센서(810)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엔진전자제어장치(900)로 부터 엔진회전수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170)로 전달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며 동일한 효과이다.
또한 상기 엔진전자제어장치(900)와 상기 제어장치(170) 사이에 연결된 상기 엔진(800)의 운전 상태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선(910a, 910b, 910c, 910d, 910e)을 통하여 상기 엔진(800)의 운전상태에 대한 신호가 상기 제어장치(170)로 전달이 된다.
상기 엔진(800)의 가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엔진배기가스는 상기 엔진(800)의 배기가스배출구와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의 배기가스 유로(300) 사이를 연통하는 배기가스 배출유로(840)를 통하여 버너로 유입이 된다. 이때 상기 엔진(800)의 가동과 함께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전단과 후단에 구비된 상기 온도측정센서(191a, 191b) 및 압력측정센서(194a, 194b)를 통하여 감지된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에서 적어도 일점에서의 온도와 압력은 상기 제어장치(170)에 전달이 되며, 상기 제어장치(170)에서는 상기 온도와 압력 신호를 계산하여,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온도차 및 압력차를 계산한다.
상기 제어장치(170)에서 측정되고 계산된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에서 의 온도 및 압력차 등의 신호는 상기 제어장치(170)와 상기 엔진전자제어장치(900) 사이에 구비된 신호전달선(930a, 930b, 930c)을 통하여 상기 엔진전자제어장치(900)로 전달이 된 후, 상기 엔진전자제어장치(900)로부터 상기 계기판(950)으로 전달되어 상기 계기판(950)에 표시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상기 배기가스 유로(300)을 통하여 상기 선회기(200)를 거친 후 상기 연소실(110)로 유입되는 디젤엔진 배기가스에 포함된 매연 및 입자상물질은 상기 매연여과재(400)를 통과하면서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벽면에 포집이 된다.
이때 상기 온도측정센서(191a, 191b) 및 압력측정센서(194a, 194b)는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에서의 온도 및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장치(170)에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에서의 온도 및 압력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에서의 온도 및 압력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장치(170)는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 사이의 온도차와 압력차의 값을 계산한 후, 상기 제어장치(170)에 미리 설정된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이 필요한 압력차의 값(ΔPR)과 그 크기 비교를 한다. 이때 만일 계산된 압력차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상기 압력차(ΔPR)의 크기에 비하여 작다면 상기 제어장치(170)는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의 작동을 위한 어떠한 신호도 전달하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은 압력차의 연산 및 비교는 설정된 일정시간 간격마다 연속적으로 수행이 되며, 연산이 수행될 때의 시간과 압력차의 값은 상기 제어장치(170)의 기억장치에 기억을 시키며, 이때 상기 엔진(900)의 회전수, 부하 및 배기가스의 유량 등의 자료도 동시에 기억이 된다.(black box 역할)
상기 엔진(800)의 운전이 지속됨에 따라 디젤엔진 배기가스는 지속적으로 상기 연소실(110)로 유입이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매연여과재(400)에 포집되는 매연의 량은 점점 증가하고,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전후단에서의 상기 온도측정센서(191a,191b)와 압력측정센서(194a, 194b)는 상기 제어장치(170)로 온도 및 압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장치(170)에서는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온도차 및 압력차(ΔP)를 계산하고, 계산된 압력차와 미리 설정된 압력차(ΔPR)의 크기를 비교하고, 시간, 온도, 압력, 온도차, 압력차, 엔진회전수, 엔진부하 및 배기가스 유량 등의 기록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만일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 진행되는 동안 상기 제어장치(170)에서 계산된 압력차(ΔPR)의 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차(ΔPR)의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매연여과재(400)는 재생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의 작동을 위하여 상기 제어장치(170)로부터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로 전송되는 신호는 없다.
그러나 만일 상기 제어장치(170)에서 계산된 압력차(ΔP)의 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차(ΔPR)의 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어장치(170)는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의 작동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신호를 전송한다.
먼저 상기 엔진(800)으로부터 상기 제어장치(170)로 전송된 엔진의 회전수 및 엔진의 부하 신호를 근간으로 하여, 상기 제어장치(170)는 배기가스의 유량과 압력을 산정한 후, 상기 이송용공기유입통로(124)에 구비된 상기 전자밸브(182)에 신호를 전달하여 전자적인 피이드백 제어에 의하여 상기 배기가스의 유량과 압력에 대하여 가장 적절한 량의 공기를 상기 기화기(1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최적의 공기유량 공급 상태의 개방량으로 상기 전자밸브(182)를 개방한다.
이 후 상기 제어장치(170)는 상기 점화기(150)에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점화기(150)를 작동시키고, 이후 상기 제어장치(170)는 배기가스의 유량과 압력에 대하여 가장 최적의 량의 연료를 상기 기화기(1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전자적인 피이드백 제어에 의하여 상기 연료펌프(122)의 작동 명령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기화기(120)로부터 상기 1차혼합기체유입통로(125)를 통하여 상기 1차혼합기체는 상기 연료분사노즐(130)로 유입된 후 상기 연소기(140)를 통하여 상기 연소실(110)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연소기(140)의 표면에서 상기 점화기(150)의 작동에 의하여 화염이 형성되고, 상기 화염감지기(160)에 의하여 감지된 화염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170)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장치(170)는 점화시작시간, 이때의 엔진의 운전 조건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압력 및 온도 등의 데이타를 기억장치에 기억한다.
이후 상기 화염감지기(160)으로부터 상기 연소기(140)에 화염이 점화되었다는 신호가 상기 제어장치(170)로 전송이 되면, 상기 제어장치(170)는 상기 점화기(150)의 작동을 정시시키는 신호를 상기 점화기작동장치(151)에 보내어 상기 점화기(150)를 정지시키고, 상기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에 구비된 상기 전자밸브(181)에 신호를 전달하여 전자적인 피이드백 제어에 의하여 최적의 연소용공기유 량 공급 상태로 상기 전자밸브(181)를 개방하여, 상기 연소기(140) 표면에서의 화염을 최적의 안정화 상태로 유지한다.
이 후 상기 연소실(11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와 상기 연소기(140)에서 형성된 화염으로 인한 고온의 연소가스가 서로 혼합된 혼합기체는 상기 연소실(11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에 비하여 매우 높은 온도 상태로 상기 매연여과재(400)로 유입이 된다.
이 과정 중에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전단 및 후단에서의 온도 및 압력은 상기 온도측정센서(191a. 191b) 및 상기 압력측정센서(194a, 194b)를 통하여 상기 제어장치(170)로 신호전달이 되고,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제어장치(170)는 다음과 같은 작동을 한다.
만일 상기 온도측정센서(191a)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단에서의 온도(T1)가 상기 매연의 산화온도(TR) 보다 낮거나 또는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장치(170)는 피이드백 제어에 의하여 상기 연료펌프(123)에서의 연료유량 및 상기 전자밸브(181,182)의 개방량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여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단에서의 온도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한 최적의 온도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 후, 상기 제어장치(170)에 전달된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에서의 온도(T1, T2) 및 압력(P1, P2) 측정값을 이용하여, 만일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압력차(ΔP)가 미리 설정된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초기압력차(ΔPI) 보다 크면 상기의 과정들은 지속되고, 만일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압력차(ΔP)가 미리 설정된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이 끝나는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압 력차(ΔPE) 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제어장치(170)는 다음과 같은 작동을 한다.
상기 제어장치(170)는 상기 연소기(140)의 화염을 소멸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료펌프(122)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상기 연료펌프(122)로 전송한다.
이때 작동이 정지된 상기 연료펌프(122)는 운전 초기 상태로 재설정이 된다.
이 후 상기 화염감지기(160)로부터 화염의 소멸이 된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제어장치(170)는 화염의 재발화 방지 등의 안전을 위하여 화염의 소멸 후 일정시간 후에 상기 연소용공기유입통로(133)에 구비된 전자밸브(181)를 폐쇄하고, 이후 상기 이송용공기유입통로(124)에 구비된 전자밸브(182)를 폐쇄한다.
이와같은 과정은 상기 제어장치(170)로 전송되는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에서의 압력차(ΔP)의 크기에 따라 반복이 되면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1000)는 정상적인 운전을 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제어과정 중에 만일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 과정 중에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연소기(140)에 형성된 화염이 소멸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장치(170)는 다음과 같은 작동을 한다.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 과정 중에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연소기(140)에 형성된 화염이 소멸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장치(170)는 상기 연소기(140)를 통하여 미연연료가 상기 연소실(11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화염감지기(160)로부터 화염 소멸 신호를 전송받는 즉시 상기 연료펌프(122)에 작동 중지 명령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연료펌프(122)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상기 연소실(110)로 누설된 미연연료를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펌프(122)의 작동 중지 후 일정시간 이후에 상기한 점화과정, 화염안정화 과정 및 상기 매연여과재(400) 재생 과정을 재진행한다.
한편 상기한 매연여과재의 재생과정은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온도측정센서(191a, 191b) 및 압력 측정 센서(194a, 194b)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의 압력차(ΔPR)를 재생 시작의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즉 ΔP≥ΔPR인 조건이 상기 매연여과재(400) 재생의 기준이기 때문에, 재생 중 화염의 소멸로 인한 재점화 등과 같은 ΔP<ΔPR의 조건에서의 점화과정을 구별하여 제어할 필요가 있다.
즉 다시 말하면 ΔP<ΔPR인 경우는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이 종료된 후, 상기 매연여과재(400)에 매연의 포집이 시작되어 재생이 필요한 매연량이 포집되는 동안의 상기 매연여과재(400) 전후단에서의 압력차에 의한 경우에는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은 필요치 않으나, 만일 상기 매연여과재(400)에 매연이 충분히 포집되어 ΔP≥ΔPR 상태에서 재생이 시작되어 재생과정 중에 상기 연소기(140)의 화염이 소멸한 경우에는 상기 연소기(140)를 재점화시켜 ΔP≤ΔPE 상태까지 재생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ΔP<ΔPR의 조건이 어느 과정 중에서 발생된 조건인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1000)의 운전 과정의 방향성을 알리는 제어변수가 상기 제어장치(170)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방향성을 알리는 제어변수 설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엔진(800)의 운전이 시작되면서 상기 제어장치(170)가 작동을 시작하는 때를 기준점(또는 기준 수, 예 영의 값)으 로 하여 상기 매연여과재(400)에 매연이 포집되는 과정이면 상기 제어장치(170)에서는 일정 간격으로 기준수에 일정한 양의 수를 더하여 방향수로 표시하여 방향수는 항상 양의 수로 되고, 이 후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장치(170)에서는 방향수를 기준수로 재설정하고,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이 시작되는 과정 동안은 상기 제어장치(170)에서는 재설정된 기준수 영의 값에 일정한 음의의 수를 더하거나 또는 일정한 양의 수를 뺀 값을 방향수로 표시하여 재생과정 동안에 방향수는 항상 음의 수 된다. 이후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장치(170)에서는 방향수를 기준수로 재설정하고, 운전 과정동안 동일한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같이 하여 상기 제어장치(170)의 제어에 의하여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1000)의 운전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ΔPE<ΔP<ΔPR 및 방향수가 양의 수인 조건의 동시만족 상태이면 상기 제어장치(170)는 버너의 작동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ΔPE<ΔP<ΔPR 및 방향수가 음의 수인 조건의 동시만족 상태이면 상기 제어장치(170)는 버너를 작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ΔP≥ΔPR 이면 방향수의 부호 조건에 관계없이 상기 제어장치(170)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를 작동하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고, ΔP≤ΔPE 이면 방향수의 부호 조건에 관계없이 상기 제어장치(170)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1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전송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매연여과재(400)의 재생을 위한 신호 전달의 기준치를 상기PR을 사용하여도 좋으나, 또한 매연여과재(400)에 포집된 매연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PR을 사용한 제어방법과 동일하게 재생 신호 전달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70)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1000)의 운전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위험사태 등의 비상시에 대비하여 모든 안전장치의 설정 및 알람의 설정이 포함되며, 바람직한 실시 예를 하기에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1000)은 내부에 화염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치의 안정성은 화염의 제어와 가장 밀접하다. 만일 상기 연소기(140)에 형성된 화염이 소멸되어야 할 시점에 소멸되지 않고 유지되는 경우, 만일 상기 연소기(140)에 화염이 착화되어야 하는 시점에 착화되지 않고 상기 연료펌프(122)를 통하여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등은 상기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1000)의 비정상적인 운전 상태를 나타내며,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제어장치(170) 는 상기 연료펌프(122)의 전원을 강제적으로 단락시키는 상기 연료펌프(122) 단락스위치(172) 강제제어기능(171)을 안전장치로 구비하며,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차량의 운전자가 비정상적인 운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알람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비정상적인 운전에 의하여 화염의 역류가 발생될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하여 상기 1차혼합기체유입통로(125)에 화염 차단용 역류방지 장치가 부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1차혼합기체유입통로(125) 또는 상기 연료분사노즐(130) 등에 화염의 역류에 의한 화염을 감지하기 위한 화염 감지 장치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연료가 상기 연소기(140) 표면으로 배출되기 전에 엔진의 높은 배기가 스 온도에 의한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체 이송통로의 가열로 인하여, 연료의 발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1차혼합기체유입통로(125), 상기 연료분사노즐(130) 등 상기 연소기로 연료가 유입되는 통로의 냉각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비정상적인 운전에 의하여 상기 연소기(140)에서 점화되지 않고 미연 연료가 상기 연소실(110)에 과도하게 배출되어 비정상적인 연소에 의한 폭발의 가능성에 대비하여 상기 연소실(110)에 폭발방지용 밸브 등의 안전장치(17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70)에 영향을 미치는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노이즈 차단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1000)의 재생은 엔진의 운전 중이라도 연속적이며 매우 안정적으로 수행이 된다. 또한, 제어장치(170)는 의 운전 조건 변화에 따라 연료량, 이송용 및 연소용 공기의 유량을 최적의 상태로 자동 조절하여, 엔진 운전 조건의 급변화 시에도 연소기(140) 표면에서의 화염은 소멸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염을 형성시키는 연소기(140)가 금속 섬유 등의 미세한 다수개의 분사공 역할을 하는 다공성 매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길이가 매우 짧은 화염 다수개가 동시다발적으로 형성되며, 연소기(140) 표면에서의 보유열은 화염의 소화를 방지하며, 또한 매우 짧은 시간에 표면 전체에 착 화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화염대인 연소기(140) 주위로 적어도 1겹의 타공 된 다공성의 벽면을 가지는 보염기(111)로 인하여, 엔진의 가감속 구간과 같이 엔진의 운전 조건이 급변하는 상황이라도 연소기(140)의 표면이 충분히 가열되어 있다.
또한, 화염의 크기 자체가 작기 때문에 그 변화도 극히 미세한 수준인 표면 화염대 및 선회유동을 형성시켜, 배기가스 유량의 급변화에도 연소기(140) 표면에서의 화염대는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가 된다.
즉, 디젤엔진의 운전 상태가 공회전 상태 및 디젤엔진의 부하 변동이 거의 없는 정속 운전 상태인 경우에서의 배기가스 기류 속에서의 화염 안정화는 물론, 특히 디젤엔진의 부하 변동이 매우 급변하여 배기가스의 유량 및 압력이 매우 급변하는 경우에도 점화, 소화 및 연소기 표면에서 화염 안정화가 유지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 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화기(120), 연료분사노즐(130), 연소기(140), 점화기(150), 화염감지기(160) 등과 같은 재생용 버너의 각 구성요소가 단수(1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의 효율적인 재생을 위하여 상기 재생용 버너(100)의 각 구성요소는 다수 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 연소실과 디젤엔진 배기가스 유로 사이에 선회기를 개재하여,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선회시켜 유동함으로써, 연소실 내에서의 화염의 안정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둘째 ; 화염을 형성하는 다공성 매트형 버너에 순간적인 점화와 소화가 가능하며, 디젤엔진의 부하 변동이 매우 급변하여 배기가스의 유량 및 압력이 매우 급변하는 경우에도, 점화 및 소화 그리고 화염의 안정화가 가능하다.
셋째 ; 다공성 매트형으로 형성된 원추형 또는 실린더형, 각관형의 다공성 매트형 버너는 그 표면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화염대로부터 배기가스로의 열전달이 매우 빠르고 또한, 연소실 전체에 대하여 균일한 온도 분포를 유지할 수 있다.
넷째 ; 연소실 내벽에 설치된 세라크울, 내화벽돌 등의 내화단열재는 단열 및 축열의 동시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축열의 효과에 의하여 단열재에 부착된 매연의 산화가 단열재 표면에서 일어나 단열재는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섯째 ; 본 발명에서의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는 열차, 선박, 디젤 차량 등 디젤 엔진을 사용하는 모든 엔진의 배기가스 매연 저감장치의 필터 재생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디젤엔진이외의 기타 용도의 버너로 적용성이 매우 광범위하고, 환경오염 방지 측면에서 유용하다.
여섯째 ; 연소실과 매연여과재 사이에 중앙부가 축소된 어댑터를 개재하여, 매연여과재에 온도가 균일하게 분포된 배기가스를 매연여과재에 공급할 수 있어 매연여과재에 포집된 매연의 산화 시 매연여과재의 열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Claims (20)

  1. 연소실의 전면에 위치하고 연소실과 동일축상에 배치되어 있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유로와;
    상기 유로와 연소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에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선회유동상태로 상기 연소실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기와;
    액체연료가 기화되는 기화실과, 상기 기화실내로 액체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와, 기화된 액체연료를 연료분사노즐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기화실 내로 이송용공기를 유입하는 이송용공기유입통로를 구비하는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에서 기화된 연료와 연소용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연소실 내로 연료 및 공기의 혼합기체를 공급하는 연료분사노즐과;
    상기 연소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분사노즐로부터 공급된 혼합기체를 분사하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에서 분사되는 혼합기체에 불꽃을 점화하는 점화기; 및
    상기 연소기 표면의 화염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염감지기를 구비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노즐은,
    기화된 연료와 연소용공기를 혼합하여 혼합기체를 만드는 혼합실과,
    상기 혼합실과 연통하여 상기 연소용공기를 상기 혼합실로 유입하는 연소용 공기유입통로와,
    상기 기화실과 혼합실을 연통하여 상기 기화실에서 기화된 연료를 상기 혼합실로 유입하는 연료유입통로와,
    상기 혼합실과 연소실을 연통하여 상기 혼합실에서 혼합된 혼합기체를 상기 연소실로 유입하는 혼합기체유입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에서 기화된 연료와 이송용공기유입통로에서 유입된 이송용공기와의 혼합기체는 상기 연료분사노즐의 혼합기체유입통로를 통해 연소실 내로 유입되고, 상기 혼합기체 외의 공기는 연료분사노즐로 유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노즐은 벤츄리(ventury)형, 확산형, 선회확산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5. 제 2항에 있어서,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유로와 연통하여, 상기 유로에 보조연소공기를 공급하는 보조연소공기유입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 생용 버너.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내부의 적어도 일 지점의 온도 및 압력과, 상기 기화실로 유입되는 이송용공기의 유량과 온도 및 압력과, 상기 연료분사노즐로 유입되는 연소용공기의 유량과 온도 및 압력과, 연료탱크에서 연료펌프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액체연료의 유량과, 매연여과재 통과 후 배기가스의 온도 및 압력과, 상기 연소기, 점화장치, 화염감지기 및 연료공급펌프의 작동을 각각 전자적으로 피드백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공기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이송용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이송용공기량 조절용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용공기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제공하는 온도 및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용공기유입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연소용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연소용공기량 조절용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용공기의 온도 및 압력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에 제공하는 온도 및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의 점화부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 된 점화기 청정용 공기주입구와,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점화기 청정용 공기주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신선한 외부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전자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감지기의 화염감지부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 된 화염감지기 청정용 공기주입구와,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화염감지기 청정용 공기주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신선한 외부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전자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매연여과재 전후에서 감지된 압력 값의 차이가 소정치 이상이면 버너가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압력 값의 차이가 소정치 미만이면 버너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를 형성하는 다공성 매질은, 매트형 금속섬유(Metal Fiber), 세라믹 또는 발포금속 등의 고내열성 다공성 소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는 실린더형, 원추형 또는 각관형 또는 원반형 등의 형상으로 상기 혼합기체가 유입되는 내면과 유입된 혼합기체가 분출되는 외면으로 구성되는 체적 및 표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는 상기 다공성 매질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다공성 매질의 형태를 지지하는 다공성의 지지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의 외연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한 겹의 다공성 매질의 원통형 보염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16. 제 1항에 있어서,
    배기가스와 상기 연료분사노즐에서 유입되는 혼합기체의 혼합물이 연소되는 연소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내벽에는 석면, 세라믹울, 세라크울 또는 내화벽돌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내화단열재가 라이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18.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전면에 위치하고 연소실과 동일축상에 배치되어 있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유로와;
    상기 유로와 연소실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에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선회유동상태로 상기 연소실로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선회기와;
    액체연료가 기화되는 기화실과, 상기 기화실내로 액체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와, 기화된 액체연료를 연료분사노즐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기화실 내로 이송용공기를 유입하는 이송용공기유입통로를 구비하는 기화기와;
    상기 기화기에서 기화된 연료와 연소용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연소실 내로 연료 및 공기의 혼합기체를 공급하는 연료분사노즐과;
    상기 연소실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분사노즐로부터 공급된 혼합기체를 분사하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에서 분사되는 혼합기체에 불꽃을 점화하는 점화기와;
    상기 연소기 표면의 화염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염감지기; 및
    상기 연소실의 단부에 설치되는 매연여과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단부에 개재되며, 중앙부가 축소된 축소부를 갖는 어댑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의 단부에 개재되며, 배기가스와 고온의 연소가스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한 기체혼합기 등의 온도균일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KR1020060047591A 2005-06-22 2006-05-26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KR100622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591A KR100622135B1 (ko) 2006-05-26 2006-05-26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US11/993,648 US20100077732A1 (en) 2005-06-22 2006-06-21 Burner for regeneration of diesel engine particulate filter and diesel engine particulate filter having the same
PCT/KR2006/002395 WO2006137694A1 (en) 2005-06-22 2006-06-21 Burner for regeneration of diesel engine particulate filter and diesel engine particulate filt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591A KR100622135B1 (ko) 2006-05-26 2006-05-26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135B1 true KR100622135B1 (ko) 2006-09-11

Family

ID=3762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591A KR100622135B1 (ko) 2005-06-22 2006-05-26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135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261B1 (ko) 2008-01-08 2008-06-10 한국기계연구원 디젤엔진 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이용한디젤엔진 매연여과장치
KR100848963B1 (ko) 2007-04-26 2008-07-29 한국기계연구원 초음파 분사기를 이용한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KR100866331B1 (ko) 2007-08-06 2008-10-31 한국기계연구원 플라즈마 버너 및 매연여과장치
KR100866327B1 (ko) 2007-07-30 2008-10-31 한국기계연구원 플라즈마 버너 및 매연여과장치
KR100866328B1 (ko) 2007-08-06 2008-10-31 한국기계연구원 플라즈마 버너 및 매연여과장치
KR100899223B1 (ko) 2008-10-07 2009-05-26 한국기계연구원 Dpf 재생용 버너 및 이를 이용한 dpf 시스템
KR20110037231A (ko) * 2009-10-06 2011-04-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
US8257455B2 (en) 2007-07-30 2012-09-04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Plasma burner and diesel particulate filter trap
KR101266619B1 (ko) * 2011-02-23 2013-05-22 이창언 Dpf 재생용 버너
KR101292338B1 (ko) * 2010-10-14 2013-08-07 (주) 세라컴 액상 연료를 사용하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정화용 버너의 연소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버너장치
KR101366240B1 (ko) * 2009-07-14 2014-02-21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버너 장치
CN110030492A (zh) * 2019-04-30 2019-07-19 无锡特莱姆气体设备有限公司 浸没燃烧式气化器及其监控系统
CN110067620A (zh) * 2019-05-13 2019-07-30 中自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颗粒物捕集器再生装置
CN115823581A (zh) * 2023-01-09 2023-03-21 江苏大学 一种火炬点火器的喷注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803B1 (ko) 2005-06-22 2006-01-11 한국기계연구원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KR100548451B1 (ko) 2005-07-22 2006-01-31 한국기계연구원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내염버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803B1 (ko) 2005-06-22 2006-01-11 한국기계연구원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KR100548451B1 (ko) 2005-07-22 2006-01-31 한국기계연구원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내염버너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963B1 (ko) 2007-04-26 2008-07-29 한국기계연구원 초음파 분사기를 이용한 매연저감장치의 재생장치
US8257455B2 (en) 2007-07-30 2012-09-04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Plasma burner and diesel particulate filter trap
KR100866327B1 (ko) 2007-07-30 2008-10-31 한국기계연구원 플라즈마 버너 및 매연여과장치
KR100866331B1 (ko) 2007-08-06 2008-10-31 한국기계연구원 플라즈마 버너 및 매연여과장치
KR100866328B1 (ko) 2007-08-06 2008-10-31 한국기계연구원 플라즈마 버너 및 매연여과장치
KR100836261B1 (ko) 2008-01-08 2008-06-10 한국기계연구원 디젤엔진 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이용한디젤엔진 매연여과장치
KR100899223B1 (ko) 2008-10-07 2009-05-26 한국기계연구원 Dpf 재생용 버너 및 이를 이용한 dpf 시스템
KR101366240B1 (ko) * 2009-07-14 2014-02-21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버너 장치
US8905752B2 (en) 2009-07-14 2014-12-09 Ihi Corporation Burner apparatus
KR20110037231A (ko) * 2009-10-06 2011-04-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
WO2011043582A2 (en) * 2009-10-06 2011-04-14 Sk Innovation Co., Ltd. Burner and aftertreating device of exhasut gas
WO2011043582A3 (en) * 2009-10-06 2011-10-13 Sk Innovation Co., Ltd. Burner and aftertreating device of exhasut gas
KR101587217B1 (ko) * 2009-10-06 2016-01-20 주식회사 에코닉스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유해물질 저감장치
KR101292338B1 (ko) * 2010-10-14 2013-08-07 (주) 세라컴 액상 연료를 사용하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정화용 버너의 연소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버너장치
KR101266619B1 (ko) * 2011-02-23 2013-05-22 이창언 Dpf 재생용 버너
CN110030492A (zh) * 2019-04-30 2019-07-19 无锡特莱姆气体设备有限公司 浸没燃烧式气化器及其监控系统
CN110067620A (zh) * 2019-05-13 2019-07-30 中自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颗粒物捕集器再生装置
CN110067620B (zh) * 2019-05-13 2020-06-09 中自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颗粒物捕集器再生装置
CN115823581A (zh) * 2023-01-09 2023-03-21 江苏大学 一种火炬点火器的喷注器
CN115823581B (zh) * 2023-01-09 2023-09-22 江苏大学 一种火炬点火器的喷注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135B1 (ko)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KR100548451B1 (ko)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내염버너
KR100542803B1 (ko) 디젤엔진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CA2648455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hot gas, a diesel particulate filter system, an electronic device,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US4912920A (en) Ultrasonic burner system for regenerating a filter
JP2008032018A (ja) 排出物削減アセンブリの燃料燃焼バーナの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836261B1 (ko) 디젤엔진 매연여과장치 재생용 버너 및 이를 이용한디젤엔진 매연여과장치
JP2007518921A5 (ko)
JPH02146408A (ja) バーナ
JP2613345B2 (ja) 廃棄物の乾留ガス化焼却処理装置
US20100077732A1 (en) Burner for regeneration of diesel engine particulate filter and diesel engine particulate filter having the same
KR0145522B1 (ko) 매연필터의 정화방법 및 장치
CN110242972A (zh) 废气焚烧用燃烧器
KR101117954B1 (ko) Dpf 재생용 버너 및 이를 이용한 dpf 시스템
JP4427111B2 (ja) 黒煙除去装置
JPH0114726Y2 (ko)
JPH04502051A (ja) 煤フィルタを清浄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22890Y2 (ko)
JP2755511B2 (ja) 液体燃料の燃焼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183009A (ja) 燃焼式ヒータ
KR200141135Y1 (ko) 석유 팬히터의 연소장치
JPH11287438A (ja) 燃焼装置
JPS58193007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TWM554941U (zh) 尾氣降低裝置
JPH11287439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