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016B1 - 동축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016B1
KR100622016B1 KR1020060038100A KR20060038100A KR100622016B1 KR 100622016 B1 KR100622016 B1 KR 100622016B1 KR 1020060038100 A KR1020060038100 A KR 1020060038100A KR 20060038100 A KR20060038100 A KR 20060038100A KR 100622016 B1 KR100622016 B1 KR 100622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sleeve
insert
connector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희
Original Assignee
최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희 filed Critical 최정희
Priority to KR1020060038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커넥터를 동축케이블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도 동축케이블의 신호왜곡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축케이블과 손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어 재사용이 용이한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도전체의 와이어인 심선(11)과, 이 심선(11)의 외부를 감싸 절연하는 절연층(12)과, 도전체로 이 절연층(12)의 외부를 감싸 구성된 접지층(13)과, 이 접지층(13)의 외부를 감싸 절연하는 외피(14)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10)의 단부에 결합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이 그 내부로 통과되며 일측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53)가 형성된 슬리브(50)와, 이 슬리브(5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동축케이블(10) 내부로 삽입되며 그 외주면에는 동축케이블(10)의 외피(14)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44)이 형성된 인서트(40)와, 상기 슬리브(5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며 동축케이블(10)을 외부 접속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축케이블(10) 내부로 삽입된 인서트(40)가 외피(14)를 외측으로 확장시켜줌으로써 상기 슬리브(50)의 단턱부(53)가 이 확장된 외피(14)에 걸려서 슬리브(5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가 제공된다.
동축케이블, 커넥터, 슬리브, 인서트, 연결캡

Description

동축케이블 커넥터{Coaxial cable connector}
도 1은 종래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일례의 커넥터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커넥터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커넥터의 작동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축케이블 30 : 연결캡
40 : 인서트 44 : 걸림턱
50 : 슬리브 53 : 단턱부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를 동축케이블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도 동축케이블의 신호왜곡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축케이블과 손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어 재사용이 용이한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동축케이블이 사용된다. 그리고, 대개의 영상 및 오디오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이하, 'AV기기'라고 함)에는 이러한 동축케이블이 접속되는 단자가 마련되며, 동축케이블의 말단에는 동축케이블을 상기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가 장착된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종래 커넥터 중 일례의 분해사시도와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은 통상 심선(11)을 중심으로 절연층(12), 접지층(13), 외피(14)의 순으로 환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이 삽입되는 인서트(40)와, 이 인서트(40)와 동축케이블을 압착하여 체결해주는 슬리브(50)와, 이 슬리브(50) 내부의 동축케이블을 외부 단자에 연결시키는 연결캡(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서트(40)는 원통형상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삽입공(41)에 동축케이블의 심선(11)과 절연층(12)이 삽입되고, 외주면에 두 개의 플랜지(42, 43)가 돌출되 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50)는 원통형상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삽입공(41)에 상기 인서트(40)와 동축케이블의 접지층(13)과 외피(14)가 삽입되고, 일측 단부에 단턱(52)이 형성되어, 이 단턱(52)이 상기 인서트(40)의 플랜지(43) 내측면에 걸려서, 인서트(40)에서 이탈이 방지되게 구성된다. 상기 연결캡(30)은 너트 형상의 내주면에 외부단자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1)가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이 걸림돌기(32)가 상기 인서트(40)의 플랜지(42) 내측면에 걸려서, 인서트(40)에서 이탈이 방지되며 회전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동축케이블을 연결하여 결합할 때에는, 상기 슬리브(50)의 삽입공(51)으로 동축케이블을 밀어 넣게 된다. 이때, 동축케이블의 심선(11)과 절연층(12)은 인서트(40)의 삽입공(41)에 삽입되어 심선(11)의 일부가 상기 연결캡(30)의 외부로 돌출되고 동축케이블의 접지층(13)과 외피(14)는 인서트(40)의 외주면과 슬리브(50)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슬리브(50)의 외주면을 압착기로 가압 압착시켜서, 슬리브(50)와 그 내부의 동축케이블 외피(14)가 압착되며, 이로 인해, 커넥터와 동축케이블이 한 몸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동축케이블 커넥터는 상기와 같이 동축케이블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커넥터의 슬리브(50) 외주면을 압착기로 압착 고정시키는 작업은 매우 힘들고 번거로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압착기에 의해 동축케이블이 압착될 때,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면 동축케이블 내부의 심선(11)이나 접지층(13) 등이 손상되어 이에 따른 신호왜곡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한편, 압착기가 커넥터의 슬리브(50) 외주면에서 벗어난 지점을 압착하여, 커넥터와 단말기의 단자 사이에 접촉불량이 발생되면, 동축케이블의 말단을 컷팅하고 커넥터를 다시 결합해야 하는데, 이때, 이미 슬리브(50)가 변형된 커넥터는 재사용이 불가하므로, 새로 커넥터를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를 동축케이블에 간편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키면서도 동축케이블의 신호왜곡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축케이블과 손쉽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어 재사용이 용이한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도전체의 와이어인 심선(11)과, 이 심선(11)의 외부를 감싸 절연하는 절연층(12)과, 도전체로 이 절연층(12)의 외부를 감싸 구성된 접지층(13)과, 이 접지층(13)의 외부를 감싸 절연하는 외피(14)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10)의 단부에 결합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이 그 내부로 통과되며 일측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53)가 형성된 슬리브(50)와, 이 슬리브(5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동축케이블(10) 내부로 삽입되며 그 외주면에는 동축케이블(10)의 외피(14)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44)이 형성된 인서트(40)와, 상기 슬리브(5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며 동축케이블(10)을 외부 접속단 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캡(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동축케이블(10) 내부로 삽입된 인서트(40)가 외피(14)를 외측으로 확장시켜줌으로써 상기 슬리브(50)의 단턱부(53)가 이 확장된 외피(14)에 걸려서 슬리브(5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서트(40)의 걸림턱(44)에는 동축케이블(10) 외피(1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부(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5는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커넥터는 동축케이블(10)이 그 내부로 통과되는 슬리브(50)와, 동축케이블(10) 내부로 삽입되는 인서트(40)와, 상기 슬리브(50)와 결합되며 AV기기의 접속단자에 연결시키는 연결캡(30)을 주된 구성으로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40)는 원통형상이며, 그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공(41)으로 동축케이블(10)의 중심부에 구비된 도전체의 심선(11)과 그 외주면을 둘러싼 절연층(12)이 삽입되어 동축케이블(10)의 심선(11)이 인서트(40)의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40)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외피(14) 선단이 걸리도록 걸림턱(44)이 형성되는데, 이 걸림턱(44)은 상기 외피(1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인서트(40)의 전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46) 형성되어 홈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이 연장부(46)에 상기 동축케이블(10)의 외피(14)가 끼워져서 좀 더 견고하게 인서트(40)가 동축케이블(10)에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40) 걸림턱(44)에는 인서트(40)의 후단부 방향으로 이탈방지턱(45)이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캡(30)의 나사부(31)에 걸려서 인서트(40)가 연결캡(3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슬리브(50)는 원통형상이며, 그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공(51)으로 동축케이블(10)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50)의 전단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53)가 형성되며, 타측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결합홈(5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턱부(53)는 상기 동축케이블(10) 내부로 삽입된 인서트(40)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된 외피(14)에 걸려진다. 또한, 상기 슬리브(50)의 내주면은 상기 확장된 외피(14)의 외주면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져 확장된 외피(14)의 외주면을 가압하기도 하며, 슬리브(50)의 내주면 후단은 확경되어 상기 인서트(40)의 걸림턱(44)이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턱부(53)가 상기 인서트(40)의 삽입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된 동축케이블(10)의 외피(14)에 걸려서, 슬리브(50)가 동축케이블(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40)의 이탈방지턱(45)이 연결캡(30)의 나사부(31)에 걸릴 때까지 슬리브(50)가 동축케이블(10)에서 어느 정도 후퇴 가능하도록 구성 함으로써, 동축케이블(10)의 심선(11)이 연결캡(30)의 외부로 좀 더 노출되므로, 외부기기의 외부단자와 보다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캡(30)은 너트형상의 내주면에 외부단자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캡(30)의 일측이 상기 슬리브(5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부(33)가 연장 형성되며, 이 결합부(33)가 상기 슬리브(50)의 결합홈(56)에 삽입되도록 압착기로 가압함으로써, 연결캡(30)이 슬리브(50)에 고정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연결캡(30)의 내주면과 슬리브(50)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한편, 상기 슬리브(50)와 연결캡(30)의 외주면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육각볼트형상이나 널링가공된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동축케이블 커넥터를 동축케이블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서트(40)를 슬리브(50) 내부에 삽입하고, 연결캡(30)까지 결합한 상태에서 동축케이블(10)을 슬리브(50)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인서트(40)가 동축케이블(10)의 외피(14) 내주면으로 계속 삽입되면서, 상기 슬리브(50)의 단턱부(53)와 인서트(40)가 외피(14)를 사이에 두고 외피(14)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착하기 때문에, 커넥터에서 동축케이블(1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40)의 걸림턱(44)이 외피(14)를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부(46)가 형성되어 인서트(40)가 외피(14)에 좀 더 견고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슬리브(50)가 보다 견고하게 동축케이블(10)에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동축케이블에 연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단턱부가 형성된 슬리브와 걸림턱이 형성된 인서트를 구비하고 인서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캡을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슬리브를 가압하지 않고도 커넥터를 동축케이블에 결합할 수 있어 동축케이블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신호왜곡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커넥터를 동축케이블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인서트의 걸림턱에서 동축케이블의 외피를 감 싸도록 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서트가 동축케이블에 좀 더 견고하게 결합되어, 인서트에 의해 확장된 외피에 걸려서 슬리브가 쉽게 이탈되지 않아서 커넥터가 동축케이블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동축케이블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 커넥터 근방의 동축케이블을 컷팅하고 동축케이블의 외피에서 심선, 절연층, 접지층을 잡아당기기만 하면 분리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외피도 커넥터에서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어, 커넥터를 동축케이블의 타단부나 다른 동축케이블에 재사용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도전체의 와이어인 심선(11)과, 이 심선(11)의 외부를 감싸 절연하는 절연층(12)과, 도전체로 이 절연층(12)의 외부를 감싸 구성된 접지층(13)과, 이 접지층(13)의 외부를 감싸 절연하는 외피(14)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10)의 단부에 결합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10)이 그 내부로 통과되며 일측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단턱부(53)가 형성된 슬리브(50)와, 이 슬리브(5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동축케이블(10) 내부로 삽입되며 그 외주면에는 동축케이블(10)의 외피(14)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44)이 형성된 인서트(40)와, 상기 슬리브(50)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며 동축케이블(10)을 외부 접속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캡(30)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40)의 걸림턱(44)에는 상기 연결캡(30)의 내주면에 걸려지는 이탈방지턱(45)과 동축케이블(10) 외피(1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부(46)가 형성되어, 상기 동축케이블(10) 내부로 삽입된 인서트(40)가 외피(14)를 외측으로 확장시켜줌으로써 상기 슬리브(50)의 단턱부(53)가 이 확장된 외피(14)에 걸려서 슬리브(5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
  2. 삭제
KR1020060038100A 2006-04-27 2006-04-27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0622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100A KR100622016B1 (ko) 2006-04-27 2006-04-27 동축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100A KR100622016B1 (ko) 2006-04-27 2006-04-27 동축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016B1 true KR100622016B1 (ko) 2006-09-11

Family

ID=3762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100A KR100622016B1 (ko) 2006-04-27 2006-04-27 동축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01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90Y1 (ko) 2012-08-28 2014-04-17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간단한 결합구조가 구비된 동축케이블 커넥터
WO2016129798A1 (ko) * 2015-02-13 2016-08-18 주식회사 동진티아이 케이블 커넥터
KR102152061B1 (ko) 2020-03-20 2020-09-04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KR102181576B1 (ko) 2020-06-23 2020-11-20 황선태 동축케이블
KR102189341B1 (ko) 2020-06-23 2020-12-09 황선태 안테나 케이블 커넥터
KR102225872B1 (ko) 2020-07-08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KR102273250B1 (ko) 2020-10-13 2021-07-06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KR102594766B1 (ko) 2022-10-31 2023-10-30 주식회사 동진 건축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090Y1 (ko) 2012-08-28 2014-04-17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간단한 결합구조가 구비된 동축케이블 커넥터
WO2016129798A1 (ko) * 2015-02-13 2016-08-18 주식회사 동진티아이 케이블 커넥터
KR102152061B1 (ko) 2020-03-20 2020-09-04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KR102181576B1 (ko) 2020-06-23 2020-11-20 황선태 동축케이블
KR102189341B1 (ko) 2020-06-23 2020-12-09 황선태 안테나 케이블 커넥터
KR102225872B1 (ko) 2020-07-08 2021-03-11 (주)이음엔지니어링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KR102273250B1 (ko) 2020-10-13 2021-07-06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KR102594766B1 (ko) 2022-10-31 2023-10-30 주식회사 동진 건축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526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0622016B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
US9768565B2 (en) Quick mount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US7335058B1 (en) Snap-fit connector assembly
US7850487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enhancing tightness engagement with a coaxial cable
US7431614B2 (en) Sleeve for securing a cable in a connector
TWI412190B (zh) 硬線同軸線纜連接器及耦合及去除該連接器至設備端埠之方法
USRE41044E1 (en) Connector capable of connecting to coaxial cable without using tool
US8628359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unit
US745885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00000132U (ko) 커넥터 체결장치
US20100273349A1 (en) Tool-free coaxial connector
US7351099B1 (en) Step up pin for coax cable connector
TW201112522A (en) Securable connector
CA2618334C (en) Electrical wiring
US6322390B1 (en) Coaxial connector
US84306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nap retained push-on connector with port adapter
JP4630141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KR100495270B1 (ko) 동축케이블 컨넥터
US4138182A (en) Pin type jack-and-plug coupling device
JP3115306U (ja) 高周波同軸プラグ
US20100022124A1 (en) Coaxial cable connector
JP3488437B2 (ja) コネクタ
JP2012174654A (ja) 同軸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4550844B2 (ja) 電力ケーブルの導体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