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061B1 -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061B1
KR102152061B1 KR1020200034457A KR20200034457A KR102152061B1 KR 102152061 B1 KR102152061 B1 KR 102152061B1 KR 1020200034457 A KR1020200034457 A KR 1020200034457A KR 20200034457 A KR20200034457 A KR 20200034457A KR 102152061 B1 KR102152061 B1 KR 102152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able
connection cap
ring
fix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3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 내측의 도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면서도 동축케이블을 통신접속단자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통신접속단자와 동축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하여 동축케이블에 설치되는 커넥터 구조에 있어서, 내측에 결합공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개구된 전면 외측의 테두리 부위에는 제1결합링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링과 대향 되는 후면 외측의 테두리 부위에는 제2결합링이 돌출 형성되어 동축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외측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전면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과 인접한 내측에는 내경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가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의 전면으로는 체결공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구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고정링에 탈착 결합되는 전면연결캡과, 상기 제1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나사산이 후면 내경에 구비되며, 전면 내경에는 통신접속단자와 결합되는 제3나사산이 구비된 삽입공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연결캡의 전면에 탈착 결합되는 단자연결구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안착돌기가 내경 테두리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동축케이블과 고정링의 결합 시, 고정링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동축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링, 전면연결캡, 단자연결구의 외측을 감싸 고정되는 후면연결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structure of the coaxial cable connector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축케이블 내측의 도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결합을 이루면서도 동축케이블을 통신접속단자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동축케이블이란, 중앙부와 그 주위에 도체를 배치한 단면이 동심원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케이블로, 고주판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케이블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축케이블은 와이어로 이루어진 심선과, 상기 심선의 외부를 감싸 절연하는 절연체와, 상기 절연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도전체로 형성되는 외부도체와, 상기 외부도체의 외부를 감싸 절연시키는 외피로 구성된다.
위와 같은 동축케이블은 전기, 통신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동축 케이블의 종류는 외부도체의 안지름에 따라 분류되고 있으며, 주파수 대역을 넓게 취할 수 있는 특징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정보량도 많아 광범위한 산업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위와 같은 동축케이블은 위와 같은 특징으로 인하여 통신망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동축케이블은 연결을 이루고자 하는 통신접속단자와 동축케이블을 결합하기 위하여, 동축케이블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커넥터는 동축케이블에 결합 되어 동축케이블을 접속하고자 하는 통신접단자와 동축케이블이 견고한 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동축케이블의 접지층과 외피에 삽입된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 되는 동축케이블 커넥터가 제안된 바 있으며, 문헌(2)에서와 같이, 통신접속단자와의 결합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축케이블 커넥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동축케이블 커넥터 등은 동축케이블에 연결되어 접속단자와 동축케이블의 결합을 이룰 수는 있으나, 커넥터를 동축케이블에 연결하고자 하는 과정이 번거로워 동축케이블과 커넥터의 연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동축케이블에 연결된 커넥터가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신속히 교체하여 사용하기는 어렵고, 작업자가 동축케이블과 커넥터의 연결 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결합을 이루기는 어려워 동축케이블과 커넥터의 연결 부위가 손상되어 불필요한 작업시간과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622016(2006.09.01) (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08875(2008.02.2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축케이블에 편리하게 결합하여 동축케이블과 통신접속단자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동축케이블에 결합,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동축케이블의 접지층과 외피를 손상하지 않고도 동축케이블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구성됨으로써, 동축케이블의 신호 왜곡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통신접속단자와 동축케이블의 접속 위치를 작업자가 확인하며 동축케이블에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여, 동축케이블의 연결 작업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동축케이블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링의 위치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압착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동축케이블의 불필요한 컷팅과정과, 커넥터 손상으로 인한 재결합과정 없이, 안정적으로 동축케이블과 커넥터의 결합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불필요한 작업시간 증대와 비용증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신접속단자와 동축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하여 동축케이블에 설치되는 커넥터 구조에 있어서, 내측에 결합공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개구된 전면 외측의 테두리 부위에는 제1결합링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링과 대향 되는 후면 외측의 테두리 부위에는 제2결합링이 돌출 형성되어 동축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외측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전면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과 인접한 내측에는 내경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가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의 전면으로는 체결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구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고정링에 탈착 결합되는 전면연결캡과, 상기 제1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나사산이 후면 내경에 구비되며, 전면 내경에는 통신접속단자와 결합되는 제3나사산이 구비된 삽입공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연결캡의 전면에 탈착 결합되는 단자연결구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안착돌기가 내경 테두리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동축케이블과 고정링의 결합 시, 고정링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동축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링, 전면연결캡, 단자연결구의 외측을 감싸 고정되는 후면연결캡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전면연결캡의 내측에 돌출 설치되며 단부 하단에는 제1걸림돌기가 돌출 구비된 제1고정바와, 상기 제1고정바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단부 하단에는 제2걸림돌기가 돌출 구비된 제2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전면연결캡의 내경과 제1고정바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전면연결캡의 내경과 제2고정바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링은 상기 전면연결캡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링은 상기 전면연결캡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는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되는 제3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제2경사면과 대응되는 제4경사면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동축케이블에 편리하게 결합하여 동축케이블과 통신접속단자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둘째, 동축케이블에 결합,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셋째, 동축케이블의 접지층과 외피를 손상하지 않고도 동축케이블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구성됨으로써, 동축케이블의 신호 왜곡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통신접속단자와 동축케이블의 접속 위치를 작업자가 확인하며 동축케이블에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여, 동축케이블의 연결 작업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동축케이블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링의 위치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압착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동축케이블의 불필요한 컷팅과정과, 커넥터 손상으로 인한 재결합과정 없이, 안정적으로 동축케이블과 커넥터의 결합과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불필요한 작업시간 증대와 비용증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가 동축케이블에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가 동축케이블에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가 동축케이블에 결합 되는 상태를 도시한 또 다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가 동축케이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가 동축케이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동축케이블을 이루는 심선이 통신접속단자와 결합되는 방향을 전면이라 명명하고, 상기 심선을 감싸도록 연장되는 외피의 연장 방향을 후면이라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접속단자와 동축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하여 동축케이블에 설치되는 커넥터 구조에 있어서, 내측에 결합공(11)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개구된 전면 외측의 테두리 부위에는 제1결합링(1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링(12)과 대향 되는 후면 외측의 테두리 부위에는 제2결합링(13)이 돌출 형성되어 동축케이블(2)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고정링(10)과, 상기 고정링(10)의 외측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전면에는 상기 결합공(11)과 대응되는 체결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1)과 인접한 내측에는 내경에 스프링(S)을 개재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22)가 상기 체결공(21)을 중심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21)의 전면으로는 체결공(21)과 연통되는 관통공(23a)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제1나사산(23b)이 형성된 결합구(23)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고정링(10)에 탈착 결합되는 전면연결캡(20)과, 상기 제1나사산(23b)과 대응되는 제2나사산(31a)이 후면 내경에 구비되며, 전면 내경에는 통신접속단자와 결합되는 제3나사산(31b)이 구비된 삽입공(31)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안착홈(32)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연결캡(20)의 전면에 탈착 결합되는 단자연결구(30)와, 상기 안착홈(32)에 삽입되는 안착돌기(41)가 내경 테두리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동축케이블(2)과 고정링(10)의 결합 시, 고정링(10)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동축케이블(2)의 길이 방향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링(10), 전면연결캡(20), 단자연결구(30)의 외측을 감싸 고정되는 후면연결캡(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링(1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통신접속단자와 결합을 이루기 위한 동축케이블(2)의 외피(2d)에 결합 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내측에 결합공(11)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동축케이블(2)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링(10)은 상기 결합공(11)의 전면 외측 테두리 부위로 제1결합링(12)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링(12)과 대향되는 후면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제2결합링(13)이 돌출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고정링(10)을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동축케이블(2)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제1결합링(12)과 제2결합링(13)의 구성을 통하여 고정링(10)의 외측으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전면연결캡(20)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링(10)은 동축케이블(2)의 길이 방향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후면연결캡(40)이 동축케이블(2)과 연결된 이후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후면연결캡(40)이 동축케이블(2)과 연결된 고정링(10)의 외측을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링(10)은 동축케이블(2)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작업자가 동축케이블(2)에 설치되는 고정링(10)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고정링(10)을 압착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고정링(1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거나 손상되는 문제로 인하여 동축케이블(2)을 불필요하게 컷팅하거나, 동축케이블(2)과 연결된 고정링(10)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연결캡(20)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동축케이블(2)에 결합된 고정링(10)의 외측을 감싸도록 동축케이블(2)의 길이 방향에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연결캡(20)은 고정링(10)의 외측을 감쌀 수 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연결캡(2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전면에는 상기 결합공(11)과 대응되는 체결공(21)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체결공(21)과 인접한 내측에는 내경에 스프링(S)을 개재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의 고정돌기(22)가 이격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돌기(22)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돌기(22)는 상기 전면연결캡(20)의 내측에 돌출 설치되며 단부 하단에는 제1걸림돌기(22a-1)가 돌출 구비된 제1고정바(22a)와, 상기 제1고정바(22a)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단부 하단에는 제2걸림돌기(22b-1)가 돌출 구비된 제2고정바(2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S)은 상기 전면연결캡(20)의 내경과 제1고정바(22a)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S1)과, 상기 전면연결캡(20)의 내경과 제2고정바(22b)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S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즉, 상기 고정링(10)을 감싸도록 전면연결캡(20)이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 도시한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바(22a)의 단부 하단에 구비된 제1걸림돌기(22a-1)가 고정링(10)의 제1결합링(12)에 걸려 고정되고, 제2고정바(22b)의 단부 하단에 구비된 제2걸림돌기(22b-1)가 고정링(10)의 제2결합링(13)에 걸려 고정되게 구성됨으로써, 고정링(10)과 전면연결캡(20)이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제1결합링(12), 제2결합링(13), 제1고정바(22a), 제2고정바(22b)의 결합되는 구성을 통하여 견고한 결합을 이루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결합을 이루는 경우에도 상기 전면연결캡(20)의 내경과 제1고정바(22a)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S1)과, 전면연결캡(20)의 내경과 제2고정바(22b)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S2)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고정바(22a)와 제2고정바(22b)가 고정링(10)의 방향으로 밀착되게 위치됨으로써, 제1결합링(12), 제2결합링(13), 제1고정바(22a), 제2고정바(22b)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결합링(12)은 상기 전면연결캡(20)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경사면(12a)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링(13)은 상기 전면연결캡(20)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2경사면(13a)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22a-1)는 상기 제1경사면(12a)과 대응되는 제3경사면(22a-1a)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22b-1)는 상기 제2경사면(13a)과 대응되는 제4경사면(22b-1a)이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동축케이블(2)에 설치된 고정링(10)의 방향으로 전면연결캡(20)을 결합하는 경우에도 전면연결캡(20)의 고정돌기(22)가 고정링(20)의 제1결합링(1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며 용이한 결합을 이룰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면연결캡(20)은 상기 체결공(21)의 전면으로 체결공(21)과 연통되는 관통공(23a)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어 구성되고,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제1나사산(23b)이 형성된 결합구(23)가 돌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구(23)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단자연결구(30)가 전면연결캡(20)의 전면에 용이하게 결합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자연결구(30)는 상기 결합구(23)의 제1나사산(23b)과 대응되는 제2나사산(31a)이 후면 내경에 구비되어 구성되고, 전면 내경에는 통신접속단자와 결합되는 제3나사산(31b)이 구비된 삽입공(31)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2나사산(31a)은 상기 결합구(23)의 제1나사산(23b)이 체결되게 구성되어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연결캡(20)의 전면으로 단자연결구(30)를 결합할 시, 상기 제1나사산(23b)과 제2나사산(31a)의 결합을 통하여 전면연결캡(20)과 단자연결구(30)가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3나사산(31b)은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동축케이블(2)의 심선(2a)과 연결되는 통신접속단자가 단자연결구(30)의 제3나사산(31b)과 결합되어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면연결캡(4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10)과 동축케이블(2)을 결합하기 전에 동축케이블(2)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안착홈(32)에 삽입되는 안착돌기(41)가 내경 테두리에 복수개 구비된 관체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동축케이블(2)과 고정링(10)을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도시한 도 4 및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후면연결캡(40)이 고정링(10)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동축케이블(2)의 길이 방향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링(10), 전면연결캡(20), 단자연결구(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고정링(10), 전면연결캡(20), 단자연결구(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링(10), 전면연결캡(20), 단자연결구(3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에 편리하게 결합하여 통신접속단자와 동축케이블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고, 동축케이블에 본 발명인 커넥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동축케이블과 고정링의 결합 위치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며 안전하게 결합할 수 있어 불필요한 동축케이블의 컷팅과정을 방지하고, 커넥터의 교체를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2: 동축케이블 2a: 심선
2b: 절연체 2c: 도전체
2d: 외피 10: 고정링
11: 결합공 12: 제1결합링
12a: 제1경사면 13: 제2결합링
13a: 제2경사면 20: 전면연결캡
21: 체결공 22: 고정돌기
22a: 제1고정바 22a-1: 제1걸림돌기
22a-1a: 제3경사면 22b: 제2고정바
22b-1: 제2걸림돌기 22b-1a: 제4경사면
23: 결합구 23a: 관통공
23b: 제1나사산 30: 단자연결구
31: 삽입공 31a: 제2나사산
31b: 제3나사산 32: 안착홈
40: 후면연결캡 41: 안착돌기
S: 스프링 S1: 제1스프링
S2: 제2스프링

Claims (3)

  1. 통신접속단자와 동축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하여 동축케이블에 설치되는 커넥터 구조에 있어서,
    내측에 결합공(11)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개구된 전면 외측의 테두리 부위에는 제1결합링(1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링(12)과 대향 되는 후면 외측의 테두리 부위에는 제2결합링(13)이 돌출 형성되어 동축케이블(2)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고정링(10)과,
    상기 고정링(10)의 외측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전면에는 상기 결합공(11)과 대응되는 체결공(2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1)과 인접한 내측에는 내경에 스프링(S)을 개재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22)가 상기 체결공(21)을 중심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21)의 전면으로는 체결공(21)과 연통되는 관통공(23a)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제1나사산(23b)이 형성된 결합구(23)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고정링(10)에 탈착 결합되는 전면연결캡(20)과,
    상기 제1나사산(23b)과 대응되는 제2나사산(31a)이 후면 내경에 구비되며, 전면 내경에는 통신접속단자와 결합되는 제3나사산(31b)이 구비된 삽입공(31)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안착홈(32)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연결캡(20)의 전면에 탈착 결합되는 단자연결구(30)와,
    상기 안착홈(32)에 삽입되는 안착돌기(41)가 내경 테두리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동축케이블(2)과 고정링(10)의 결합 시, 고정링(10)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동축케이블(2)의 길이 방향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링(10), 전면연결캡(20), 단자연결구(30)의 외측을 감싸 고정되는 후면연결캡(4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돌기(22)는
    상기 전면연결캡(20)의 내측에 돌출 설치되며 단부 하단에는 제1걸림돌기(22a-1)가 돌출 구비된 제1고정바(22a)와,
    상기 제1고정바(22a)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되며 단부 하단에는 제2걸림돌기(22b-1)가 돌출 구비된 제2고정바(22b)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S)은
    상기 전면연결캡(20)의 내경과 제1고정바(22a)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S1)과,
    상기 전면연결캡(20)의 내경과 제2고정바(22b)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S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링(12)은 상기 전면연결캡(20)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1경사면(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링(13)은 상기 전면연결캡(20)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제2경사면(13a)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22a-1)는 상기 제1경사면(12a)과 대응되는 제3경사면(22a-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22b-1)는 상기 제2경사면(13a)과 대응되는 제4경사면(22b-1a)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KR1020200034457A 2020-03-20 2020-03-20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KR102152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457A KR102152061B1 (ko) 2020-03-20 2020-03-20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457A KR102152061B1 (ko) 2020-03-20 2020-03-20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061B1 true KR102152061B1 (ko) 2020-09-04

Family

ID=7247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457A KR102152061B1 (ko) 2020-03-20 2020-03-20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0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250B1 (ko) * 2020-10-13 2021-07-06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KR102296252B1 (ko) 2021-07-23 2021-08-31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KR102594766B1 (ko) * 2022-10-31 2023-10-30 주식회사 동진 건축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212Y1 (ko) * 2005-12-26 2006-03-15 이상욱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KR100622016B1 (ko) 2006-04-27 2006-09-11 최정희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0808875B1 (ko) 2006-08-14 2008-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축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체
KR200477717Y1 (ko) * 2014-02-12 2015-07-13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분리형 컬렉트가 구비된 무선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212Y1 (ko) * 2005-12-26 2006-03-15 이상욱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KR100622016B1 (ko) 2006-04-27 2006-09-11 최정희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0808875B1 (ko) 2006-08-14 2008-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축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동축케이블 연결체
KR200477717Y1 (ko) * 2014-02-12 2015-07-13 주식회사 호성테크닉스 분리형 컬렉트가 구비된 무선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250B1 (ko) * 2020-10-13 2021-07-06 (주)이가에이씨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KR102296252B1 (ko) 2021-07-23 2021-08-31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KR102594766B1 (ko) * 2022-10-31 2023-10-30 주식회사 동진 건축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061B1 (ko)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US8840434B2 (en) Rotatable plug-type connector
US7442080B1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segmented center contact member
US20110188810A1 (en) Hybrid connector
KR20170104510A (ko) 슬리이브 부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구조
KR20170047890A (ko) 동축 케이블용 동축 커넥터
US20180375232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JP2005108510A (ja) 多極型高周波同軸コネクタ
US5536184A (en) Connector assembly
KR102225872B1 (ko)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US11804677B2 (en) Electrical terminal module and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features
CN111771307B (zh) 用于网络连接器的电气屏蔽构件
KR102172557B1 (ko)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US11710933B2 (en) Terminal module, and connector
CA2308752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799973B1 (ko) 통신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US5594213A (en) Wire splice
CN108565597B (zh) 一种高效的射频同轴连接器的安装结构
JP6602338B2 (ja) アダプタ
KR100892822B1 (ko) 스냅식 터미널
KR102604288B1 (ko)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CN111641088B (zh) 一种高低频混装集束电缆组件
US11450996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cable to an electrical component
GB2406976A (en) Radio frequency connector port with isolation function
EP1237226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