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288B1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4288B1 KR102604288B1 KR1020220099685A KR20220099685A KR102604288B1 KR 102604288 B1 KR102604288 B1 KR 102604288B1 KR 1020220099685 A KR1020220099685 A KR 1020220099685A KR 20220099685 A KR20220099685 A KR 20220099685A KR 102604288 B1 KR102604288 B1 KR 1026042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cable
- head
- shield
- core
- connector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15 non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5 Brassica oleracea var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통신 케이블을 다양한 장치들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를 개시한다. 본 출원은 코어(core)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유전체, 도전성 쉴드(shield) 및 피복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연결될 외부장치의 터미널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끝단부 및 상기 제 1 끝단부에 대향되게 위치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서 상기 코어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끝단부를 포함하는 헤드(head);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서 상기 쉴드의 외주부상에 제공되며, 상기 외주부를 붙잡도록 구성되는 클램프(clamp);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 및 상기 클램프를 수용하며, 상기 헤드부의 제 2 끝단부의 외주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테일(tail)로 이루어지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통신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용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설비는 다양한 형태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사이에서 통신을 위한 전기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신 설비에서, 송수신측 장비들을 서로 연결하며 장거리에 걸친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매체로서 케이블이 사용된다. 통상적인 케이블은 전도체, 대표적으로 금속재질로 제조되어 전기 신호를 양방향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와이어 및 이를 보호하는 피복으로 이루어지나, 이와 같은 통상적 케이블은 전기신호, 특히 고주파 전기신호의 전송시 많은 손실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통신설비에는 이러한 손실을 저감하도록 구성되는 동축 케이블이 통신용 케이블로서 적용되어오고 있다.
동축 케이블은 통상적인 케이블과 동일하게 코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유전체, 전도성 쉴드 및 피복을 더 포함한다. 이들 추가 레이어들중, 쉴드는 코어와 함께 전류가 흐르는 폐회로를 형성하며, 이러한 폐회로에는 개재된 유전체층에 걸쳐 전자기장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쉴드 및 코어에 의한 폐회로는 일종의 차폐회로를 구성하게 되어 형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코어에서 전송되는 전기신호의 누설을 방지하며, 동시에 상기 전기신호에 대한 외부 신호 또는 전자기장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축 케이블은 손실없이 고주파 신호를 장거리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며,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축 케이블은 다층 구조를 가지므로 쉽게 변형되지 않는 높은 강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동축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송수신 장비들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용의 커넥터가 여러 부품들이 조합된 어셈블리 형태로 상기 동축 케이블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는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자체가 높은 강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동축 케이블을 지지하면서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높은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지므로, 동축 케이블의 연결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들 부품들이 편리하게 조립 및 설치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동축 케이블의 높은 신호 전송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어셈블리도 동축 케이블과 연계하여 적절한 차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의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출원의 목적은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갖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편리하게 조립 및 설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기장 차폐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은 코어(core)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유전체, 도전성 쉴드(shield) 및 피복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연결될 외부장치의 터미널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끝단부 및 상기 제 1 끝단부에 대향되게 위치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서 상기 코어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끝단부를 포함하는 헤드(head);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서 상기 쉴드의 외주부상에 제공되며, 상기 외주부를 붙잡도록 구성되는 클램프(clamp);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 및 상기 클램프를 수용하며, 상기 헤드부의 제 2 끝단부의 외주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테일(tail)로 이루어지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상기 제 2 끝단부를 포함하는 중공형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부상에 상기 몸체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 1 끝단부를 형성하는 슬리브(sleev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또한, 상기 몸체내부에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코어와 결합되는 핀(pin) 및 상기 몸체와 상기 핀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핀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홀더(hol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헤드는 이의 제 2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를 상기 통신 케이블의 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통신 케이블의 쉴드와 결합되는 커플러(coupl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서 서로 결합되는 헤드, 클램프, 및 테일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는 통신 케이블 끝단무에서 코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클램프는 통신 케이블 끝단부 외주부에 제공되어 상기 외주부상에서 이동되지 않게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테일은 이들 헤드 및 클램프에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클램프에 의해 이동되지 않게 지지되면서 상기 헤드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헤드, 클램프 및 테일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는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가지면서 안정적으로 통신 케이블을 외부장치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헤드의 후방부에는 커플러가 제공되며, 상기 커플러는 통신 케이블의 쉴드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커플러에 의해 헤드는 전체적으로 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적절한 전자기장 차폐회로 또는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통신 케이블은 외부장치에 연결될 때까지 전기 신호의 누출이나 외부 전자기장의 간섭이 배제된 상태로 손실없는 높은 효율의 신호 전송을 달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출원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테일은 헤드의 끝단부의 외주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해 헤드 후방브의 커플러는 상기 헤드 외부로 노출 및 돌출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이러한 커플러를 헤드 및 테일의 결합이전에 통신 케이블의 쉴도와 정확하게 정렬 및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확실한 차폐회로를 형성하면서도, 커넥터 어셈블리는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헤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테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통신 케이블과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른 헤드의 커플러와 통신 케이블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헤드의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헤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테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통신 케이블과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커넥터 어셈블리에 따른 헤드의 커플러와 통신 케이블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헤드의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예들이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이루어진다(comprise)",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본 출원은 개시된 발명의 의도된 기술적 목적 및 효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선 언급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 관련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의 조합으로부터도 일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등이 생략된 조합도 포괄하고 있음도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도 5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헤드, 클램프 및 테일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며, 도 6은 통신 케이블과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예들은 통신 설비에서 통신을 위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송매체인 통신 케이블(10)을 송신 또는 수신 장비에 연결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에 관한 것이다. 통신 케이블(10)은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예에서는 전송 손실이 없는 동축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로서의 통신 케이블(l0)은 기본적으로 코어 와이어(11)(core wire, 이하 간단히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11)는 통신 케이블(10)의 중심축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실제적으로 전기 신호를 송수신 장비들 사이에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코어(11)는 이러한 전기신호 전송을 위해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구리 및 이의 합금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통신 케이블(10)에서 유전체(dielectiric body), 또는 절연체(insulator)(12)가 코어(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유전체(12)는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전기 전도성을 갖지 않는, 즉 전기적 부도체에 해당한다. 또한, 유전체(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쉴드(shield)(13)이 제공된다. 쉴드(13)는 코어(12)와 마찬가지로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양한 금속재질이 쉴드(13)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끝으로, 통신 케이블(10)은 쉴드(13)의 외주면을 감싸는 피복(14)(j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피복(14)은 외부물질에 의한 오염이나 외력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통신 케이블(10)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적절한 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고무 및 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케이블(10)에서 유전체(12), 쉴드(13) 및 피복(14)은 각각 소정의 일정한 두께를 갖는 레이어들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통신 케이블(10)은 코어(11)을 중심으로 이를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레이어들(12,13,14)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케이블(10)은 통상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나, 이외에도 삼각 또는 사각 단면과 같은 다른 단면형상도 가질 수 있다. 또한, 쉴드(13) 및 코어(11)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면서 부도체로 이루어지는 유전체(12)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전류가 흐르는 전기적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폐회로에 의해 유전체층(12)에는 전하가 집적되면서 전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전자기장은 코어(11)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의 누설을 방지하며, 동시에 외부 신호 또는 전자기장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11)는 쉴드(13)와 함께 차폐회로 또는 구조를 형성하며, 손실없는 고주파 전기 신호의 높은 효율의 전송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케이블(10)은 커넥터 어셈블리와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위해 사전에 예비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1)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서 외부 레이어들(12,13,14)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통신 케이블(10)의 외부로 소정 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서, 정확하게는 노출된 코어(11)의 후방에서, 피복(14)을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쉴드(13)도 통신 케이블(10)의 외부로 소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처리가 커넥터 어셈블리와의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을 위해 통신 케이블(10)에 수행될 수 있다.
다음에서, 앞서 설명된 동축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다양한 예들이 설명되나, 설명된 예들은 이들의 원리(principle) 및 구성(configuration)은 실질적인 변형없이 동축 케이블 이외의 다른 형태의 통신 케이블(10)의 연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전방에 위치하는, 즉 이러한 어셈블리의 전방부를 형성하는 헤드(head)(1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의 커넥터 어셈블리 자체 및 그 구성요소들의 설명에서, "전방"은 결합될 대상장치, 즉 송신 또는 수신장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를 의미하며, "후방"은 그와 같은 대상장치에 상대적으로 먼 위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기준위치에 상대적인 것으로, 기준위치의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구성요소들의 해당부위에 대한 정의도 달라질 수 있다.
헤드(1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체 커넥터 어셈블리의 전방에 위치되어 연결될 외부장치, 즉 송신 또는 수신장치를 마주하므로, 상기 헤드(100)의 전방부는 이러한 외부장치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헤드(100)의 후방부는 전방부에 상대적으로 통신 케이블(10)과 마주하므로, 이러한 후방부는 통신 케이블(10)의 코어(11)에 결합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헤드(100)는 실질적으로 외부장치와 통신케이블(10)을 직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헤드(100)는 연결될 외부장치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전방부인 제 1 끝단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장치는 커넥터 어셈블리와의 안정적이고 견고한 연결을 위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와 결합되게 구성되는 전용의 연결부, 예를 들어 터미널(T)을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100)의 제 1 끝단부(101)는 이러한 터미널(T)에 결합될 수 있으며, 터미널(T)과 다른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에도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헤드(100)은 통신 케이블(10), 정확하게는 이의 전단부 또는 끝단부에서 노출된 코어(11)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후방부인 제 2 끝단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00)는 몸체(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는 소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 형상을 갖는다. 즉, 몸체(110)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전체적으로 통신 케이블(10)을 수용하면서 감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다음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두 구성요소들은 모두 케이블(10)을 감싸는 중공 실린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강도 및 전기 전도성을 유지하도록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다음에서 특별히 다른 설명이 없는 경우,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시된 예들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원형 단면을 가지나 이외에도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삼각, 또는 사각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헤드(100)는 이와 같은 몸체(110)의 전방부, 정확하게는 전단부상에 제공되는 슬리브(120)(sleeve)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120)는 몸체(110)의 전방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몸체(110)의 외주부상에 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120)는 이러한 몸체(110)의 외주부상에서 상기 몸체(110)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슬리브(120)의 회전구조를 위해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는 이의 전방부의 외주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groove)(1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홈(111)에 대응되게 슬리브(120)는 이의 후방부의 내주부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는 홈(1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연결된 홈들(111,121)내에는 키 부재(key member)(112)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120)는 몸체(1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이의 일정지점에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120)는 이의 전방부 내주부상에 형성되는 결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22)는 예를 들어 나사(thread)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여러가지 결합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슬리브(120)의 결합부(122)는 외부장치, 예를 들어 터미널(T)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나사 결합부(122)는 터미널(T)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부(122)에 의해 슬리브(120)는 외부장치에 결합되는 헤드(100)의 제 1 끝단부(101)를 형성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몸체(110), 정확하게는 이의 후방부는 이러한 슬리브(120)의 후방에 배치되어 통신 케이블(10), 정확하게는 코어(11)과 결합하는 헤드(100)의 제 2 끝단부(10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헤드(100)는 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핀(pin)(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핀(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케이블(10)의 코어(11)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핀(130)은 코어(11)와 결합된 상태로 외부장치의 터미널(T)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핀(130)은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통신 케이블(10)를 통한 전기 신호의 교환을 위해 상기 케이블(10)의 코어(11)를 외부장치에 실제적으로 연결하는 부재에 해당한다. 이러한 이유로, 핀(130)은 코어(11)와 마찬가지로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체재질로 기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30)은 헤드(100) (즉, 몸체(110) 및/또는 슬리브(120))의 중심축을 따라 코어(11)와 동축이 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핀(130)은 몸체(110)를 넘어 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몸체(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슬리브(120)의 내부공간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핀(130)은 대체적으로 헤드(100)의 전체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몸체(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핀(130)의 일부를 감싸도록 몸체(110)는 이의 전단부로부터 앞쪽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관(110a)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핀(130)은 슬리브(120)뿐만 아니라 이러한 연장관(110a)에 의해서도 보호될 수 있다. 핀(130)은 이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소켓(socket) 또는 리셉터클(receptacle)(131)을 포함할 수 있다. 소켓(131)은 핀(130)의 후단으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리세스로 이루어지며, 코어(11)가 이러한 소켓(131)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하게는 이러한 핀(130)의 후방부의 소켓(131)이 헤드(100)의 제 2 끝단부(10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핀(130)은 소켓(131)에 대향되게 이의 전단에 제공되는 팁(tip)(131)을 포함하며, 이러한 팁(131)이 실질적으로 외부장치의 터미널(T)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핀(130)은 도 3 및 도 6에서 대체적으로 중실부재(solid member)로 도시되나 필요한 경우 중공부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핀(130)은 코어(11)의 연장선으로서 전기 신호를 전달하므로, 만일 핀(130)이 전기 전도성을 갖는 몸체(110)와 접촉하는 경우, 합선에 의한 전달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누전에 의한 감전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100)는 몸체(110)내에 수용되며, 핀(130)과 몸체(110)사이에 개재되는 홀더(holder)(14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140)는 핀(130)의 몸체(110)로부터의 전기적 분리를 위해 전기 전도성이 없는 부도체 또는 절연체 재질로 이루어질 숭 lT다. 홀더(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30)의 외주면과 몸체(110)의 내주면에 각각 접촉하는 몸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홀더(140)는 몸체(110)의 반경방향에서, 핀(130)이 몸체(110)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몸체(110)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며, 몸체(110)내에서 핀(130)을움직이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스텝부(114,115)를 가지고, 핀(130)도 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텝부(133)을 가지며, 이러한 스텝부들(114,115,133)에 의해 홀더(140)는 몸체(110)에 걸려서 핀(130)의 축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140)는 몸체(110)의 축방향 또는 길이방향에서, 핀(130)을 고정시키며, 몸체(110)와 핀(130)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140)는 핀(130)의 중간부에 배치되는 제 1 홀더(141) 및 핀(130)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제 2 홀더(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홀더(141)는 몸체(110)의 스텝부(114)와 핀(130)의 스텝부(133)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스텝부들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제 2 홀더(142)는 몸체(110)의 스텝부(115)에 걸릴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 1 및 제 2 홀더(141,142)는 핀(130)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분할된 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핀(130)을 감싸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및 제 2 홀더(141,142)는 핀(130)을 통과시키는 관통공들(143,144)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핀(130)은 코어(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므로, 이러한 핀(130)으로부터의 전기신호의 누설뿐만 아니라 외부 신호/전자기장으로터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신 케이블(10)과 마찬가지로 커넥터 어셈블리도 핀(130) 주위에 제공되는 차폐회로 또는 차폐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헤드(100)는 상기 헤드(100), 정확하게는 이의 몸체(110) 및 슬리브(120)를 통신 케이블(10)에서 차폐회로를 구성하는 쉴드(13)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커플러(coupler)(1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15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와 인접하는 후방 끝단, 즉 이의 제 2 끝단부(102)에 설치되며, 쉴드(13)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쉴드(13)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플러(150)에 의해 헤드(100), 이의 몸체(110) 및 슬리브(120)는 쉴드(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부재로서 기능하며, 코어(11)와 연결된 핀(130)과 함께 커넥터 어셈블리까지 연장되는 차폐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장된 차폐회로는 커넥터 어셈블리내에서도 전자기장을 형성하게 되며, 핀(130)에서의 전기 신호 누설 및 외부신호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50)는 헤드(100)의 제 2 끝단부(102), 정확하게는 몸체(110)의 후단부에 제공되는 베이스(base)(15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51)는 소정 두께를 가지며 헤드(100)의 중심축에 수직하게 배향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플러(150)의 안정적인 설치 및 균일한 차폐회로의 형성을 위해, 베이스(151)는 핀(130)에 삽입되는 코어(11)로부터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앙부에 핀(130)을 통과시키는 관통공(15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베이스(151)는 실제적으로 중앙 관통공(152)를 갖는 디스크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51)를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해, 헤드(100)의 제 2 끝단부(102), 정확하게는 몸체(110)의 후단부에는 자리부(seat)(1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151)는 상기 자리부(116)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커플러(150)는 베이스(151)로부터 연장되어 쉴드(13)의 끝단부와 접촉하는 연장부(extension)(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53)는 베이스(151)의 내주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151)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통신 케이블(10)의 쉴드(13)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장부(15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00)의 중심축에 대체적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면서 상기 헤드(100)의 제 2 끝단부(102) 또는 몸체(110)의 후단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연장부(153)은 쉴드(13)와의 더 긴밀한 접촉을 위해 헤드(100)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균일한 차폐회로의 형성을 위해, 연장부(153)는 관통공(152)에 의해 형성되는 베이스(151)의 내주부를 따라 연장되면서 코어(11)로부터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플러(150), 즉 베이스(151) 및 연장부(153)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어(11)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보다 완전한 차폐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코어(11)의 외주부을 전체적으로 감싸며 쉴드(13)의 끝단부의 전체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커플러(150), 정확하게는 연장부(153)는 통신 케이블(10)의 쉴드(13)와 절연체(12)사이를 파고 들어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연장부(153)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서 노출되는 쉴드(13)와 절연체(12)의 끝단부들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을 위해 커플러(150), 정확하게는 연장부(153)는 쐐기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한 삽입을 위해 연장부(153)의 반경방형 바깥쪽면, 즉 외주면(153a)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부(153)가 삽입되면, 이러한 삽입에 의해 쉴드(13)의 끝단부는 변형되면서 반경방형 바깥쪽으로 확장되어 확장부(13a)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끝단부, 즉 확장부(13a)의 내면 또는 내주면에 연장부(153), 즉 경사면(153a)이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153)의 반경방향 안쪽면, 즉 내주면(153b)은 유전체(12)의 외면 또는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쐐기형 연장부(153)는 쉴드(13) 및 유전체(12)의 끝단부들 사이에 압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확실한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도록 경사면(153a)에 의해 쉴드(13)과 넓은 접촉면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연장부(153)의 보다 용이한 삽입을 위해 쉴드(13)의 끝단부는 미리 확장부(13a)를 갖도록 가공될 수도 있으며, 쉴드(13)자체가 다수개의 확장부(13a)를 갖는 주름관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50), 정확하게는 연장부(153)는 통신 케이블(10)의 쉴드(13)의 끝단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연장부(153)의 끝단면이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서 노출되는 쉴드(13)의 끝단면과 면접촉하면서 서로 맞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면 접촉 또는 접합을 위해 커플러(150), 정확하게는 연장부(153)는 소정 크기의 끝단면을 갖는 사각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연장부(153)의 쉴드(13)과 마주하는 끝단면은 실질적으로 헤드(100) 또는 통신 케이블(10)의 중심축에 수직하게 배향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장부(153) 및 쉴드(13)의 끝단면들 사이의 면접촉에 의해 헤드(100)는 쉴드(13)와 충분한 전기적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예로서, 커플러(150) 또는 이의 연장부(153)은 실선으로 도시되는 일직선 관형상의 쉴드(13)의 끝단면에 접촉할 수도 있으며, 점선으로 도시되는 주름관 형상의 쉴드(13)의 끝단면에도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한편, 도 1, 2,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 케이블(10)의 외주부상에 제공되는 클램프(clamp)(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클램프(20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쉴드(13)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클램프(200)는 통신 케이블(10), 즉 쉴드(13)의 외주부를 가압하면서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200)는 쉴드(13)의 외주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며 앞서 설명된 헤드(100) 및 후술되는 테일(300)의 설치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200)는 쉴드(13)의 외주부를 견고하게 붙잡을 수 있도록 쉴드(13)의 외주부와 접촉하면서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쉴드(13)의 외주부 전체를 접촉하면서 감쌀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200)는 쉴드(13)의 외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감싸는 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몸체(210)는 쉴드 외주부와 접촉하며 감싸는 슬리브 또는 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클램프(20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쉴드(13)의 외주부의 소정위치에 고정되기 위해 스토퍼(220)(stopper)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220)는 몸체(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220)는 클램프(200)을 고정시키도록 쉴드(13), 정확하게는 이의 외주부내에 삽입될 수 있다. 스토퍼(220)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13)의 외주부에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홈 또는 리세스(13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홈(13b)내에 스토퍼(2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220)에 의해 클램프(200)는 쉴드(13)상에서 통신 케이블(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클램프(200)는 이의 몸체(210)의 내주면 전방부 및 후방부들에 각각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토퍼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복수개의 스토퍼들(220)을 수용하도록 이들에 대응하여 쉴드(13)상에서도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홈들(13b)이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클램프(200)의 몸체(210) 내주면상에는 복수개의 스토퍼(220)들 사이에 상대적으로 리세스(2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쉴드(13)의 홈들(13b)사이에도 상대적으로 피크(peak)(13c) 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쉴드(13)의 피크(13c)는 클램프(200)의 리세스(230)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블(10)의 길이방향의 이동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보다 견고한 결합이 쉴드(13)와 클램프(200)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200)의 스토퍼(220)는 적어도 쉴드(13)의 외주부 일부에 삽입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한 결합을 위해 쉴드(13)의 외주부 전체에 삽입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홈들(13b)이 쉴드(13)에 적용되는 경우, 쉴드(13)는 많은 요철을 포함하게 되어 클램프(200)를 바로 결합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0)는 서로 분리가능한 제 1 및 제 2 피스(piece) 또는 섹션(section)(201,2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 1 및 제 2 피스(201,202)의 외주부에는 결합링(250)이 이들 피스들(201,202)를 결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결합링(250)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제 1 및 제 2 피스들(201,202)가 결합되도록 이들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제 1 및 제 2 피스들(201,202)가 쉴드(13)의외주부에 먼저 설치되고, 이후 결합링(250)이 변형되면서 제 1 및 제 2 피스(201,202)의 외주부에 감기면, 결합링(250)의 복원력에 의해 이들 피스들(201,202)이 분리되지 않게 외주부에 걸쳐 힘이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다. 또한, 클램프(200)의 몸체(210), 즉 제 1 및 제 2 피스들(201,202)의 외주부에는 결합홈(24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링(250)은 클램프(2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상기 결합홈(24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200)의 제 1 및 제 2 피스들(201,202)은 적어도 대칭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서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립 및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 2,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어셈블리의 후방에 위치하는, 즉 상기 어셈블리의 후방부를 형성하는 테일(tail)(30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일(300)은 통신 케이블(10), 정확하게는 최외곽의 피복(14)을 포함하는 상기 케이블(10)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테일(300)은 상대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의 후방부에 위치되어 헤드(100)를 마주하므로, 테일(300), 정확하게는 이의 전방부는 이러한 헤드(100)의 후방부(즉, 제 2 끝단부(102)) 또는 몸체(110)의 후방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테일(300)의 후방부는 커넥터 어셈블리 자체의 통신 케이블(10)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통신 케이블(10)과 결합하거나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300)은 소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형상의 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310)의 전방부는 이러한 헤드(100)의 후방부(즉, 제 2 끝단부(102)) 또는 몸체(110)의 후방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헤드(100) 또는 몸체(110)의 후방부(즉, 제 2 끝단부(102))를 둘러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테일(300), 정확하게는 몸체(310)의 전방부의 내주면에는 결합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11)는 예를 들어 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헤드(100)의 제 2 끝단부(102)의 외주부에도 나사로 이루어져 결합부(311)과 맞물리는 결합부(113)이 형성될 수 있다.
만일 헤드(100) 또는 몸체(110)의 후방부(즉, 제 2 끝단부(102))가 테일(300) 또는 이의 몸체(310)의 전방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이러한 제 2 끝단부(102)는 테일(300) 또는 이의 몸체(310)의 전방부를 감싸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연장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이 연장된 제 2 끝단부(102)는 헤드(100)의 커플러(150)를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감싸거나 수용하여 외부에서 잘 보여지지 않도록 가릴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차폐회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커플러(150)가 정확하게 쉴드(13)와 접촉하도록 정렬되는 것이 중요하나, 연장된 제 2 끝단부(102)를 갖도록 헤드(100)가 구성되는 경우, 커플러(150)는 연장된 제 2 끝단부(102)에 감싸져 작업자에게 잘 보여지지 않아 정확한 정렬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300) 또는 이의 몸체(310)의 전방부가 헤드(100)의 제 2 끝단부(102)를 감싸도록 구성되면, 헤드(100)의 제 2 끝단부(102)로부터 커플러(150)(정확하게는 이의 연장부(153))가 외부로 노출 및 돌출될 수 있으며, 테일(300)과 헤드(100)의 결합이전에 커플러(150)는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쉴드(13)와 접촉하도록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 후, 헤드(100)가 테일(300)과 결합되면, 이러한 노출된 커플러(150), 정확하게는 이의 연장부(153)는 헤드(100)에 감싸지지는 대신에 테일(30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시, 먼저 테일(300)이 통신 케이블(10)상에 끼워지고, 노출된 쉴드(13)의 외주부에는 클램프(200)가 소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후, 헤드(100)가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의 앞쪽으로부터 끼워지며, 노출된 코어(11)가 핀(130)의 소켓(131)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100)의 설치동안 커플러(150)는 헤드(100)의 후방부, 즉 제 2 끝단부(102)로부터 노출되므로,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되면서 쉴드(13)과 접촉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 후, 테일(300)의 결합부(311)가 헤드(100)의 제 2 끝단부(102)의 결합부(113)와 결합되며, 이에 따라 테일(300), 정확하게는 몸체(310)의 전방부(정확하게는 이의 내주부)는 헤드(100)의 후방부의 제 2 끝단부(102)(정확하게는 이의 외주부 또는 외주면)을 감싸면서 이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테일(300)의 전방부는 헤드(100)의 후방부로부터 이의 전방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후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테일(300)의 전방부는 헤드(100)의 제 2 끝단부(102)로부터 제 1 끝단부(101)을 향해 이동하면서 상기 제 2 끝단부(10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은 결합부(311,113)의 나사결합시 발생되는 나사들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에 의해 클램프(200)는 테일(300)내부에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와 함께 수용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클램프(200)는 테일(300)의 후방부와 헤드(100)의 후방부, 즉 제 2 끝단(102)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케일(300), 즉 이의 몸체(310)의 후방부의 내주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텝부(320)는 클램프(200), 정확하게는 이의 후방부에 걸릴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램프(200)는 쉴드(13)의 외주부상의 소정 지점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므로, 클램프(200)는 테일(300)에 대해 일종의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 즉 서로 결합된 헤드(100) 및 테일(300)은 클램프(200)에 걸려서 통신 케이블(10)의 소정위치에 실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테일(300)의 몸체(310)는 이의 후단부의 내주부상에 홈(312)와 이에 끼워지는 링(31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일(300)은 링(313)과 통신 케이블(10)의 피복(14)과의 마찰에 의해 통신 케이블(10)상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상기 케이블(10)을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 어셈블리는 보다 확실하게 상기 케이블(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테일(300), 즉 이의 몸체(310)는 이에 수용되는 클램프(200)을 반경방향으로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가압부(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330)는 결합시 클램프(200)와 마주하는 몸체(310)의 내주부상에 제공되며, 클램프(20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상기 내주부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330)는 클램프(200)의 외주부와 접촉하면서 상대적으로 클램프(200)를 가압하여 클램프(200)가 테일(300) 및 헤드(100)의 결합도중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헤드(100) 및 테일(300)의 결합도중 헤드(100)는 상대적으로 테일(300)로 가까워지도록 A 방향으로 이동하며, 반면 테일(300)은 상대적으로 헤드(100)로 가까워지는 A 방향에 대향되는 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100) 및 테일(300)의 A 및 B 방향으로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커플러(150) 또는 이의 연장부(153)은 용이하게 케이블(10)에 삽입되도록 힘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지나친 연장부(153)의 삽입은 쉴드(13) 끝단부의 지나친 변형을 발생키며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정확하게 결합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330)에 의해 중심축에 수직한 B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클램프(200)는 쉴드(13)의 외주부를 가압할 수 있으며, 지나친 쉴드(13)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200)의 스토퍼(220)는 커플러(150)와 접촉하는 쉴드(13)의 일부 즉 확장부(13a)와 접촉하면서 이의 지나친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속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테일(300), 즉 몸체(310)는 이의 전방부로부터 전방으로 추가적으로 연장되는 보조관(340)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100)와 테일(300)의 결합시, 이러한 보조관(340)은 헤드(100)의 결합부(113)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링부재(117)와 접촉하거나 맞물리어 헤드(100)과 테일(300)을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밀폐구조는 외부 물질이 헤드(100)와 테일(300)사이를 통해 통신 케이블(10)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출원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헤드 110: 헤드 몸체
120: 슬리브 130: 핀
140: 홀더 150: 커플러
200: 클램프 210: 클램프 몸체
300: 테일
120: 슬리브 130: 핀
140: 홀더 150: 커플러
200: 클램프 210: 클램프 몸체
300: 테일
Claims (4)
- 코어(core)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유전체, 도전성 쉴드(shield) 및 피복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연결될 외부장치의 터미널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끝단부 및 상기 제 1 끝단부에 대향되게 위치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서 상기 코어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끝단부를 포함하는 헤드(head);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서 상기 쉴드의 외주부상에 제공되며, 상기 외주부를 붙잡도록 구성되는 클램프(clamp);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 및 상기 클램프를 수용하며, 상기 헤드의 제 2 끝단부의 외주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테일(tail)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는:
상기 제 2 끝단부를 포함하는 중공형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부상에 상기 몸체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 1 끝단부를 형성하는 슬리브(sleeve); 및
상기 몸체내부에 상기 몸체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통신 케이블의 코어와 결합되는 핀(pin)을 포함하며,
상기 핀의 후방 끝단은 상기 제 2 끝단부에서 상기 헤드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통신 케이블이 상기 헤드에 결합될 때 상기 코어와 먼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핀의 전방 끝단에 제공되어 상기 터미널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팁(tip); 및
상기 핀의 후방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코어가 삽입되는 소켓(socket)을 포함하는 통신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몸체와 상기 핀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핀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홀더(holder)를 더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이의 제 2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를 상기 통신 케이블의 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통신 케이블의 쉴드와 결합되는 커플러(coupl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제 2 끝단부에 끼워지며, 상기 코어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쉴드와 접촉하도록 상기 제 2 끝단부에서 상기 헤드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9685A KR102604288B1 (ko) | 2021-07-26 | 2022-08-10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KR1020230158570A KR20230161916A (ko) | 2021-07-26 | 2023-11-15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8165A KR102432690B1 (ko) | 2021-07-26 | 2021-07-26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KR1020220099685A KR102604288B1 (ko) | 2021-07-26 | 2022-08-10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8165A Division KR102432690B1 (ko) | 2021-07-26 | 2021-07-26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58570A Division KR20230161916A (ko) | 2021-07-26 | 2023-11-15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7152A KR20230017152A (ko) | 2023-02-03 |
KR102604288B1 true KR102604288B1 (ko) | 2023-11-21 |
Family
ID=8311028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8165A KR102432690B1 (ko) | 2021-07-26 | 2021-07-26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KR1020220099685A KR102604288B1 (ko) | 2021-07-26 | 2022-08-10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KR1020230158570A KR20230161916A (ko) | 2021-07-26 | 2023-11-15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8165A KR102432690B1 (ko) | 2021-07-26 | 2021-07-26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58570A KR20230161916A (ko) | 2021-07-26 | 2023-11-15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2432690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8838Y1 (ko) * | 2013-02-05 | 2013-09-04 | 주식회사 엠피디 | 스프링과 나선 체결 압입방식에 의해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용 컨넥터 |
KR101630684B1 (ko) | 2014-12-30 | 2016-06-16 | 농업회사법인 에이앤피테크놀로지주식회사 | 강제 압착방식의 알에프 동축 커넥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38474A (en) * | 1997-12-10 | 1999-08-17 | Radio Frequency Systems, Inc. | Connector assembly for a coaxial cable |
DE50210349D1 (de) * | 2002-06-10 | 2007-08-02 | Thomas Cantz | Hochfrequenz Verbindungsvorrichtung |
US7249969B2 (en) * | 2003-07-28 | 2007-07-31 | Andrew Corporation | Connector with corrugated cable interface insert |
-
2021
- 2021-07-26 KR KR1020210098165A patent/KR10243269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8-10 KR KR1020220099685A patent/KR1026042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11-15 KR KR1020230158570A patent/KR20230161916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8838Y1 (ko) * | 2013-02-05 | 2013-09-04 | 주식회사 엠피디 | 스프링과 나선 체결 압입방식에 의해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용 컨넥터 |
KR101630684B1 (ko) | 2014-12-30 | 2016-06-16 | 농업회사법인 에이앤피테크놀로지주식회사 | 강제 압착방식의 알에프 동축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7152A (ko) | 2023-02-03 |
KR20230161916A (ko) | 2023-11-28 |
KR102432690B1 (ko) | 2022-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11133B2 (en) |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pring arrangement | |
US7476127B1 (en) | Adapter for mini-coaxial cable | |
US4655534A (en) | Right angle coaxial connector | |
US5906511A (en) | Multi-position coaxial cable connector | |
US6955563B1 (en) | RJ type modular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 |
US5769652A (en) | Float mount coaxial connector | |
US9257796B1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speed transmission using twisted-pair cable | |
US10148047B2 (en) | Guided coaxial connector | |
US8439707B2 (en) | Compression connector for multi-conductor cable | |
US10141688B2 (en) | Plug connector with resilient engagement element and seal | |
US20130122753A1 (en) | Rotatable plug-type connector | |
US20190157821A1 (en) | Angled coaxial connectors for receiving electrical conductor pins having different sizes | |
CN104247156A (zh) | 插入式连接器的绝缘体 | |
KR20200079199A (ko) | 전기 플러그-인 연결체, 조립 연결체 및 회로 보드 구성체 | |
US8920193B2 (en) | Preconnectorized coaxial cable connector apparatus | |
KR102604288B1 (ko)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
CN110011137B (zh) | 电的插塞连接器 | |
US4955828A (en) | Multiple contact coaxial shell connector | |
US7997928B2 (en) | Multi-position coaxial connector system | |
US20180375258A1 (en) | Self-aligning cable mating connector | |
CN108461977B (zh) | 射频多通道连接器 | |
US3828304A (en) | Slide-on rf connector | |
US5078619A (en) | Coaxial cable terminal | |
KR102432691B1 (ko)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
CA2308752A1 (en) | Electrical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