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691B1 -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691B1
KR102432691B1 KR1020210098166A KR20210098166A KR102432691B1 KR 102432691 B1 KR102432691 B1 KR 102432691B1 KR 1020210098166 A KR1020210098166 A KR 1020210098166A KR 20210098166 A KR20210098166 A KR 20210098166A KR 102432691 B1 KR102432691 B1 KR 102432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able
clamp
shield
connector assembly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권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비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비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비씨에스
Priority to KR1020210098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691B1/ko
Priority to KR1020220099686A priority patent/KR20230017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통신 케이블을 다양한 장치들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출원은 코어(core)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유전체, 도전성 쉴드(shield) 및 피복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클램프(clamp);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 및 상기 클램프를 수용하면서 상기 클램프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소정의 외부장치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헤드(head)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상에 제공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내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아우터 셸(outer shell);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내에 삽입되며, 상기 아우터 셸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인너 셸(inner shell)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FOR COMMUNICATION CABLE}
본 출원은 통신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용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설비는 다양한 형태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사이에서 통신을 위한 전기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신 설비에서, 송수신측 장비들을 서로 연결하며 장거리에 걸친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매체로서 케이블이 사용된다. 통상적인 케이블은 전도체, 대표적으로 금속재질로 제조되어 전기 신호를 양방향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와이어 및 이를 보호하는 피복으로 이루어지나, 이와 같은 통상적 케이블은 전기신호, 특히 고주파 전기신호의 전송시 많은 손실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통신설비에는 이러한 손실을 저감하도록 구성되는 동축 케이블이 통신용 케이블로서 적용되어오고 있다.
동축 케이블은 통상적인 케이블과 동일하게 코어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유전체, 전도성 쉴드 및 피복을 더 포함한다. 이들 추가 레이어들중, 쉴드는 코어와 함께 전류가 흐르는 폐회로를 형성하며, 이러한 폐회로에는 개재된 유전체층에 걸쳐 전자기장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쉴드 및 코어에 의한 폐회로는 일종의 차폐회로를 구성하게 되어 형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코어에서 전송되는 전기신호의 누설을 방지하며, 동시에 상기 전기신호에 대한 외부 신호 또는 전자기장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축 케이블은 손실없이 고주파 신호를 장거리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며,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축 케이블은 다층 구조를 가지므로 쉽게 변형되지 않는 높은 강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동축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송수신 장비들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용의 커넥터가 여러 부품들이 조합된 어셈블리 형태로 상기 동축 케이블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는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 자체가 높은 강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동축 케이블을 지지하면서 연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높은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부품들로 이루어지므로, 동축 케이블의 연결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들 부품들이 편리하게 조립 및 설치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동축 케이블의 높은 신호 전송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커넥터 어셈블리도 동축 케이블과 연계하여 적절한 차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의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출원의 목적은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갖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편리하게 조립 및 설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출원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기장 차폐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은 코어(core)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유전체, 도전성 쉴드(shield) 및 피복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클램프(clamp);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 및 상기 클램프를 수용하면서 상기 클램프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소정의 외부장치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헤드(head)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상에 제공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내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아우터 셸(outer shell);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내에 삽입되며, 상기 아우터 셸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인너 셸(inner shell)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셸은 높은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너 셸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아우터 셸의 압입을 위해 상기 클램프를 감싸는 다이(die)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클램프의 아우터 셸은: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쉴드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쉴드의 외주부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피복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피복의 외주부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제 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서 서로 결합되는 헤드 및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는 가압에 의해 통신 케이블 끝단부의 외주부상에 압입되므로, 통신 케이블에 움직이지 않게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헤드는 이러한 클램프에 걸리면서 외부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는 구조적으로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가지면서 안정적으로 통신 케이블을 외부장치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프는 가압하기에 적절하게 구성된 다이(die) 및 지그(jig)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압되면서 통신 케이블 끝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이 및 지그의 사용에 의해 클램프는 견고한 결합을 달성하면서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통신 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클램프의 전방부에는 플러그가 제공되며, 상기 외부장치의 연결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는 통신 케이블의 쉴드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러한 플러그에 의해 통신 케이블의 쉴드, 클램프, 및 외부장치의 연결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 케이블에서의 전자기장 차폐회로 또는 차폐구조가 외부장치의 연결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통신 케이블은 외부장치에 연결될 때까지 전기 신호의 누출이나 외부 전자기장의 간섭이 배제된 상태로 손실없는 높은 효율의 신호 전송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어셈블리와 결합하는 통신 케이블의 각 영역별 단면도들이다.
도 3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를 제작하는 다양한 다이(die)들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들이다.
도 5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를 통신 케이블에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헤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통신 케이블과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통신 케이블과 결합되는 클램프의 부위들에 해당하는 도 7의 A부 및 B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들이다.
도 9는 커넥터 어셈블리와 외부장치와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예들이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이루어진다(comprise)",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본 출원은 개시된 발명의 의도된 기술적 목적 및 효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선 언급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 관련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의 조합으로부터도 일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등이 생략된 조합도 포괄하고 있음도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커넥터 어셈블리와 결합하는 통신 케이블의 각 영역별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통신 케이블 및 이에 결합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이 개략적인 구성이 먼저 설명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예들은 통신 설비에서 통신을 위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송매체인 통신 케이블(10)을 송신 또는 수신 장비에 연결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신 케이블(10)은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도 1 및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예에서는 전송 손실이 없는 동축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통신 케이블(1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 2(a)를 참조하면, 동축 케이블로서의 통신 케이블(l0)은 기본적으로 코어 와이어(11)(core wire, 이하 간단히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11)는 통신 케이블(10)의 중심축을 따라 길게 연장되며, 실제적으로 전기 신호를 송수신 장비들 사이에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코어(11)는 이러한 전기신호 전송을 위해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구리 및 이의 합금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통신 케이블(10)에서 유전체, 또는 절연체(12)가 코어(1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유전체(12)는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전기 전도성을 갖지 않는, 즉 전기적 부도체에 해당한다. 또한, 유전체(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쉴드(shield)(13)가 제공된다. 쉴드(13)는 코어(12)와 마찬가지로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양한 금속재질이 쉴드(13)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끝으로, 통신 케이블(10)은 쉴드(13)의 외주면을 감싸는 피복(14)(j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피복(14)은 외부물질에 의한 오염이나 외력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통신 케이블(10)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적절한 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고무 및 이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케이블(10)에서 유전체(12), 쉴드(13) 및 피복(14)은 각각 소정의 일정한 두께를 갖는 레이어들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통신 케이블(10)은 코어(11)을 중심으로 이를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레이어들(12,13,14)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케이블(10)은 통상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나, 이외에도 삼각 또는 사각 단면과 같은 다른 단면형상도 가질 수 있다. 또한, 쉴드(13) 및 코어(12)는 전도체로 이루어지면서 부도체로 이루어지는 유전체(12)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전류가 흐르는 전기적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폐회로에 의해 유전체층(12)에는 전하가 집적되면서 전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전자기장은 코어(12)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신호의 누설을 방지하며, 동시에 외부 신호 또는 전자기장의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12)는 쉴드(13)와 함께 차폐회로 또는 구조를 형성하며, 손실없는 고주파 전기 신호의 높은 효율의 전송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신 케이블(10)은 이의 끝단부에서 커넥터 어셈블리(100)와 결합되며,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이러한 케이블(10)의 끝단부는 예비적으로 가공 또는 처리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1)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서 외부 레이어들(12,13,14)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통신 케이블(10)의 외부로 소정 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즉,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는 코어(11)만을 포함하는 제 1 영역 (또는 제 1 섹터)(1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영역(10a)은 연결될 외부장치에 설치되어 커넥터 어셈블리와 결합되게 구성되는 전용 연결부, 예를 들어 터미널(T)에 통신 케이블(10)의 코어(11)를 용이하게 직결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영역(10a)의 후방에 연속적으로, 도 1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는 피복(14)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쉴드(13)가 케이블(10) 외부로 소정길이로 노출되는 제 2 영역(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영역(10b)은 후술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 클램프(100)의 아우터 셸(outer shell)(110)이 통신 케이블(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동시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2 영역(10b)의 후방에 연속적으로 도 1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품들, 즉 클램프(100)의 끝단부와 결합되는 영역인 제 3 영역(1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영역(10b)과 다르게, 제 3 영역(10c)에서는 피복(14)이 제거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 즉 후술되는 클램프(100)의 인너 셸(inner shell)(120)은 아우터 셸(110)를 지지하기 위해 통신 케이블(10)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인너 셸(12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영역(10c)에서는 유전체(12)가 제거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10b)에서도 유전체(12)가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및 제 3 영역들(10b,10c)에서, 유전체(12)는 부분적으로 제거되거나 모두 제거될 수 있다. 인너 셸(120)이 상대적으로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는 쉴드(13)과 직접 접촉하면서, 이러한 쉴드(13)에 결합되는 아우터 셸(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제 2 및 제 3 영역들(10b,10c)에서, 바람직하게는 유전체(12)의 제거에 의해 쉴드(13)의 내주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처리가 커넥터 어셈블리와의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을 위해 통신 케이블(10)에 수행될 수 있다.
다음에서, 앞서 설명된 동축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다양한 예들이 설명되나, 설명된 예들은 이들의 원리(principle) 및 구성(configuration)은 실질적인 변형없이 동축 케이블 이외의 다른 형태의 통신 케이블(10)의 연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다음의 커넥터 어셈블리 자체 및 그 구성요소들의 설명에서, "전방"은 결합될 대상장치, 즉 송신 또는 수신장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를 의미하며, "후방"은 그와 같은 대상장치에 상대적으로 먼 위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기준위치에 상대적인 것으로, 기준위치의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구성요소들의 해당부위에 대한 정의도 달라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커넥터 어셈블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전체적으로 통신 케이블(10)을 수용하면서 감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다음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두 구성요소들은 모두 케이블(10)을 감싸는 중공 실린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강도 및 전기 전도성을 유지하도록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다음에서 특별히 다른 설명이 없는 경우,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시된 예들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원형 단면을 가지나 이외에도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삼각, 또는 사각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 및 도 6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 및 헤드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4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를 제작하는 다양한 다이(die)들을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들이며, 도 5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클램프를 통신 케이블에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통신 케이블과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통신 케이블과 결합되는 클램프의 부위들에 해당하는 도 7의 A부 및 B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들이다. 끝으로, 도 9는 커넥터 어셈블리와 외부장치와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는 커넥터 어셈블리 및 케이블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므로, 다음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설명에서 기본적으로 참조된다.
도 1,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 제공되는 클램프(clamp)(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클램프(100)는 코어(11)만이 노출되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제 1 영역(10a)을 제외한, 제 2 및 제 3 영역(10b,10c)에 걸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의 외주부(또는 외주면)에 제공되는 아우터 셸(outer shell)(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아우터 셸(110)은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 즉 제 2 및 제 3 영역(10b,10c)에서 쉴드(13) 및 피복(14)의 외주부 또는 외주면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외주부를 가압하면서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내에 삽입되는 인너 셸(inner shell)(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인너 셸(120)은 이러한 삽입에 의해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의 내주부 또는 내주면상에 제공된다고 설명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인너 셸(120)은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끝단부(즉, 제 2 및 제 3 영역(10b,10c))에서 쉴드(13)의 내주부 또는 내주면상에 이를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아우터 및 인너 셸들(110,120)에 의해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 정확하게는 제 2 및 제 3 영역(10b,10c)에 고정되며, 후술되는 헤드(200)의 설치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통신 케이블(10)에 고정된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헤드(200)에 대해 스토퍼(stopper) 또는 위치결정부재(positioning member)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200)는 이러한 클램프(100)에 걸림으로써 통신 케이블(10)상의 의도된 정확한 위치에서 이동없이 외부장치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100)의 아우터 및 인너 셸(110,120)은 둘 다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 및 내주부를 각각 접촉하면서 감싸는 중공 실린더, 즉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클램프(100)의 아우터 및 인너 셸(110,120)은 통신 케이블(10)의 외주 및 내주부들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하거나 감쌀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한 결합을 위해 상기 외주 및 내주부 전체와 접촉하면서 감쌀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100)가 보다 견고하게 통신 케이블(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아우터 셸(110)은 통신 케이블(10)의 외주부 또는 외주면내에 압입되도록 구성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셸(110), 정확하게는 이의 내주면은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로 반경방향 안쪽으로 소정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아우터 셸(110)의 내주면은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내로 파고들어가거나 박히거나 또는 심어질 수 있다. 또한, 인너 셸(120)은 이러한 아우터 셸(110)에 해당하는 길이(즉, 동등한 길이)로 연장되어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내주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내주부를 지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내주부에 일체인 상기 외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 셸(110)은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상에 안정적으로 압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입을 위해 아우터 셸(110)에 단순히 외력을 가하는 것은 압입이전에 아우터 셸(110)의 변형 또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변형만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서, 클램프(100)의 압입을 위해 가압을 위한 금형, 즉 다이(die)(20)가 적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이(20)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대칭적으로 결합되는 두 개의 제 1 및 제 2 피스들(piece)(20a,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이(20), 즉 피스들(20a,20b)는 클램프, 즉 아우터 셸(210)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내면(21,22,23)을 가지며, 이러한 내면들(21,22,23)은 아우터 셸(210) 외주면과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100), 즉 아우터 셸(110)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복잡한 외형을 갖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20)의 내면(21)은 아우터 셸(110)에 기 형성된 구조들을 피해 상기 아우터 셸(110)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우터 셸(110)의 외주부의 중간영역 및 후방영역을 각각 가압하도록, 내면(21)에는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으로 더 돌출되는 제 1 및 제 2 보조 다이들(21a,21b)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클램프(100)는 강도 증가 및 안정적 결합을 위한 다양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4(a)와 같은 내면(21)를 갖는 다이(2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20)는 일정한 직경의 원통형 클램프(100), 즉 아우터 셸(110)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는 원형 단면의 내면(22)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20)는 육각 단면의 클램프, 즉 아우터 셸(110)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압하는 육각단면의 내면(23)을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다이(20)는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 단면의 내면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각형 단면의 내면을 갖는 경우, 다이(20)는 클램프, 즉 아우터 셸(110)의 외주면을 해당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변형시키면서 가압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본 출원의 클램프(100)와 같은 복잡한 외형의 클램프가 적용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a)의 다이(20)의 제 1 및 및 제 2 피스들(20a,20b)은 분할되어 프레스 또는 스탬핑 메커니즘(press or stamping mechnism)의 상부 및 하부 지그(jig)들에 장착될 수 있으며,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하부 지그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후, 지그들이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클램프(100), 즉 아우터 셸(110)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00)의 외주부, 아우터 셸(110)의 외주부는 다이(20)의 내면(21)에 의해 전체적으로 감싸지게 되며, 이에 따라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즉, 쉴드(13) 및 피복(14)의 외주부)에 대해 균일하게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압동안, 인너 셸(120)은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내주부(즉, 쉴드(13)의 내주부)를 아우터 셸(1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통신 케이블(10) 끝단부 및 이에 접촉하는 아우터 셸(110)이 가해진 압력에 의해 미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들을 안정적으로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대적으로 반력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다이(20)를 이용한 공정을 통해,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의 외주부 전체에 균일하게 압입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헤드(200)에 의한 외부장치로의 결합 이전에 먼저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클램프(100)의 다른 구성들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아우터 셸(110)은 원통형 몸체(111)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몸체(111)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금속재질의 몸체(111)는 기본적으로 아우터 셸(110)에 예를 들어, 다이(20)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높은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는 쉴드(13)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므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외부장치, 예를 들어 이의 터미널(T)과 결합되면, 쉴드(13), 아우터 셸(110) 및 터미널(T)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통신 케이블(10)로부터 외부장치까지 연장되는 차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재질의 몸체(111)는 아우터 셸(110)에 차폐회로 구성을 위한 높은 전기 전도성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부, 즉 제 2 영역(10b)에서 노출된 쉴드(13)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 1 몸체(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몸체(111a)는 대체적으로 전체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0)의 중간부에 해당하며, 쉴드(13)의 외주부에 반경방향 안쪽방향으로 압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몸체(111a)의 외주부는 다이(20)의 제 1 보조 다이(21a)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몸체(111a)의 내주부는 쉴드(13)의 외주부내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압입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부, 즉 제 3 영역(10c)에서 최외곽의 피복(14)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 2 몸체(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몸체(111b)는 제 1 몸체(111a)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몸체(111a)에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되어 대체적으로 전체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몸체(111b)는 피복(14)의 외주부에 반경방향 안쪽방향으로 압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111a)의 외주부는 다이(20)의 제 2 보조 다이(21b)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몸체(111b)의 내주부는 피복(13)의 외주부내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압입될 수 있다. 도 3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111b)는 피복(14)에 의해 제 2 영역(10b) 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3 영역(10c)에 결합되므로, 제 2 몸체(111b)의 내경은 제 1 몸체(111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2 및 제 3 영역(10b,10c)에 제 1 및 제 2 몸체(111a,111b)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경차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몸체(111a,111b)의 내주면들사이의 연결부(114)에 급격한 단차가 형성되면,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 정확하게는 제 2 및 제 3 영역들(10b,10c)에 밀착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몸체(111a,111b)의 내주면들사이의 연결부(114)는 몸체들(111a,111b)의 밀착을 위해 소정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는 클램프(100)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제 3 몸체(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몸체(111c)는 제 1 몸체(111a)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몸체(111a)에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되어 대체적으로 전체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의 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몸체(111c)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외주부(정확하게는, 제 2 영역(10b))의 전방으로 노출된 코어(11)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제 1 몸체(111a)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와 접촉하는 대신에, 제 3 몸체(111c)는 인너 셸(120), 정확하게는 이의 외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 및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몸체(111c)는 인너 셸(120)과 아우터 셸(110)을 서로 연결시켜, 전체적으로 클램프(100)이 구조적으로 안정된 결합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3 몸체(111c)는 인너 셸(120)의 전방부와 결합하며, 이러한 결합부는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면, 즉 제 2 영역(10b)의 노출된 쉴드(13)의 끝단면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제 3 몸체(111c)는 클램프(100)가 전체적으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우터 셸(110), 즉 이의 몸체(111)는 제 1 몸체(111a)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1 돌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기들(112)은 제 1 몸체(111a)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아우터 셸(1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즉, 제 2 영역(10b)), 정확하게는 쉴드(13)의 외주부내에 강제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셸(110)에 가해지는 외력은 제 1 돌기(112)에 집중되므로, 상기 제 1 돌기(112)는 용이하게 쉴드(13)의 외주부내를 파고 들어가 강제적으로 상기 쉴드(13) 외주내에 노치(notch)를 형성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셸(110), 즉 이의 몸체(111)는 제 2 몸체(111b)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 2 돌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돌기들(113)은 제 2 몸체(111b)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아우터 셸(1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즉, 제 3 영역(10b)), 정확하게는 피복(13)의 외주부내에 강제로 삽입될 수 있다. 즉,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셸(110)에 가해지는 외력은 제 2 돌기(113)에 집중되므로, 상기 제 2 돌기(113)는 용이하게 피복(14)의 외주부내를 파고 들어가 강제적으로 상기 피복(14) 외주부내에 노치를 형성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돌기들(112,113)에 의해 아우터 셸(110)은 보다 용이하게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에 압입되며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돌기들(112,113)은 적어도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 일부에 삽입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한 결합을 위해 상기 외주부 전체에 삽입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셸(110), 즉 이의 몸체(111)는 클램프(100)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제 1 플랜지(1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1 플랜지(115)은 이의 위치를 고려할 때, 대체적으로 제 3 몸체(111c)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제 1 플랜지(115)는 아우터 셸(110)(즉, 몸체(111))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도 9에도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부장치의 터미널(T)의 끝단부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아직 완전하게 터미널(T)에 결합 또는 삽입되지 않은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며, 도시된 전체적인 구성을 고려할 때, 완전하게 터미널(T)과 결합되면, 제 1 플랜지(115)가 터미널(T)의 끝단부에 걸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플랜지(115)는 터미널(T)에 대한 커넥터 어셈블리 및 통신 케이블(10)의 정확한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셸(110), 즉 이의 몸체(111)는 클램프(100)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제 2 플랜지(1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2 플랜지(116)은 이의 위치를 고려할 때, 대체적으로 제 2 몸체(111b)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제 2 플랜지(116)는 아우터 셸(110)(즉, 몸체(111))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며, 도 7에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헤드(200), 정확하게는 이의 내주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플랜지(116)는 헤드(200)의 외부장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며, 헤드(200)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랜지들(115,116)은 적어도 클램프(100)(즉, 아우터 셸(110) 또는 이의 몸체(111))의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하게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외주부의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및 제 2 플랜지(115,1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축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이들 플랜지 사이에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리세스(1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117)는 앞서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다이(20)의 제 1 보조다이(21a)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제 1 보조 다이(21a)는 리세스(117)에 의해 정확하게 제 1 몸체(111a)를 가압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의 터미널(T)은 코어(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므로, 이러한 터미널(T)에서의 전기신호의 누설뿐만 아니라 외부 신호/전자기장으로터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신 케이블(10)과 마찬가지로 터미널(T)도 차폐회로 또는 차폐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클램프(100), 정확하게는 이의 아우터 셸(110)은 터미널(T)을 통신 케이블(10)에서 차폐회로를 구성하는 쉴드(13)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플러그(plug)(118)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118)는 터미널(T)과 인접하는 클램프(100)(정확하게는, 아우터 셸(110))의 전단부에 제공되며, 터미널(T)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아우터 셸(110), 특히 이의 제 1 몸체(111a)는 쉴드(13)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이와 같은 플러그(118)에 의해 터미널(T), 정확하게는 이의 몸체, 아우터 셸(110) 및 쉴드(13)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부재로서 기능하며, 터미널(T)내부에 연결되는 코어(11)와 함께 터미널(T)까지 연장되는 차폐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장된 차폐회로는 터미널(T)내에서도 전자기장을 형성하게 되며, 터미널(T)에서의 전기 신호 누설 및 외부신호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18)는 아우터 셸(110), 즉 몸체(111)의 전방부에서 전방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로 소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플러그(118)는 균일한 차폐회로를 유지하기 위해 코어(11)로부터 소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전체적으로 감싸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플러그(118)은 아우터 쉘(110)의 전방부에서 돌출되는 링 또는 슬리브 부재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터미널(T)은 이의 끝단부 내에 소정 크기의 소켓(socket)(S)을 형성할 수 있으며, 플러그(118)은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소켓(S)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플러그(118)의 외주면은 소켓(S)을 형성하는 터미널(T)의 끝단부의 내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보다 원활한 접촉을 위해 플러그(118)의 외주면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인너 셸(120)은 아우터 셸(110)과 마찬가지로 원통형 몸체(121)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몸체(121)는 아우터 셸(110)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상기 아우터 셸(11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즉,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정확하게는 제 2 영역(10a) 및 제 3 영역(10c)는 이러한 인너 셸(120) 및 아우터 셸(110)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끝단부의 내주 및 외주면들이 이들 셸들(120,110)과 접촉하면서 지지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너 셸(120)은 통신 케이블(10) 끝단내에서 삽입되며, 직접적으로 아우터 셸(110)에 가압되는 쉴드(1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이의 내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너 셸(12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통신 케이블(10) 또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변형에 의해 금속재질의 인너 셸(120)이 코어(11)과 접촉하는 경우, 합선에 의한 전달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누전에 의한 감전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너 셸(120)은 유전체(13)과 유사하게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너 셸(120)의 전방부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즉, 제 2 및 제 3 영역(10a,10b))와 접촉하지 않고 이러한 끝단부로 돌출되어 아우터 셸(110)의 전방부, 즉 제 3 몸체(110c)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너 셸(120)은 이의 몸체(121)의 전방부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리브(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아우터 셸(110)은 이러한 리브(122)를 수용하는 리세스(11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브(122) 및 리세스(119)에 의해 아우터 및 인너 셸(110,120)은 서로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22)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면, 즉, 제 3 영역(10c)에서 노출된 쉴드(13)의 끝단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리브(122)에 의해 클램프(100), 즉 아우터 및 인너 셸(110,120)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의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6,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 케이블(10)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헤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200)는 소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클램프(100)와 케이블(10)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200)는 클램프(100)과 케이블(10)의 끝단부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헤드(200)의 전방부는 케이블(10)의 끝단부에 위치되어 터미널(T)를 마주하므로, 상기 전방부는 이러한 외부장치의 터미널(T)과 결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반면, 헤드(200)의 후방부는 커넥터 어셈블리 자체의 통신 케이블(10)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통신 케이블(10)과 결합하거나 이를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200)는 소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형상의 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200), 즉 이의 몸체(210)의 후방부의 내주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텝부(211)는 클램프(100), 정확하게는 이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제 2 플랜지(116)에 걸릴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램프(100)는 통신 케이블(10) 끝단부의 외주부상의 소정 지점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므로, 클램프(100)는 헤드(200)에 대해 일종의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200)는 클램프(100)에 걸려서 통신 케이블(10)의 소정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실제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헤드(200)의 몸체(210)는 이의 후단부의 내주부상에 형성되는 홈(215)과 이에 끼워지는 링(21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200)는 링(216)과 통신 케이블(10)의 피복(14)과의 마찰에 의해 통신 케이블(10)상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상기 케이블(10)을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 어셈블리는 보다 확실하게 상기 케이블(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헤드(200)는 몸체(210)의 전방부, 정확하게는 전단부상에 제공되는 슬리브(220)(sleeve)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220)는 몸체(110)의 전방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몸체(210)의 외주부상에 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220)는 이러한 몸체(210)의 외주부상에서 상기 몸체(210)에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슬리브(220)의 회전구조를 위해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는 이의 전방부의 외주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홈(groove)(2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홈(212)에 대응되게 슬리브(220)는 이의 후방부의 내주부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는 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연결된 홈들(212,221)내에는 키 부재(key member)(213)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리브(220)는 몸체(2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슬리브(220)의 전방부는 이러한 터미널(T)의 끝단부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터미널(T)의 끝단부의 외주부를 둘러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슬리브(220)는 이의 전방부 내주부상에 형성되는 결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222)는 예를 들어 나사(thread)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여러가지 결합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슬리브(220)의 결합부(222)는 외부장치, 예를 들어 터미널(T)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나사 결합부(222)는 터미널(T) 외주에 형성되는 나사(C)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나사 결합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는 외부장치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출원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통신용 케이블 100: 클램프
110: 아우터 셸 120: 인너 셸
200: 헤드 210: 몸체
220: 슬리브

Claims (4)

  1. 코어(core)와 상기 코어의 외주면을 동심상으로 순차적으로 감싸는 유전체, 도전성 쉴드(shield) 및 피복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클램프(clamp);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 및 상기 클램프를 수용하면서 상기 클램프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소정의 외부장치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헤드(head)로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상에 제공되어 상기 통신 케이블의 쉴드의 외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외주부내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아우터 셸(outer shell);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내에 삽입되어 상기 쉴드의 내주부를 지지하여, 상기 아우터 셸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를 상기 아우터 셸과 함께 붙잡도록 구성되는 인너 셸(inner shell)을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셸은 상기 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높은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너 셸은 상기 쉴드와 상기 코어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셸은 상기 통신 케이블의 쉴드와 코어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쉴드의 내주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아우터 셸의 압입을 위해 상기 클램프를 감싸는 다이(die)에 의해 가압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아우터 셸은: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쉴드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쉴드의 외주부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의 끝단부의 피복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피복의 외주부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10098166A 2021-07-26 2021-07-26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243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166A KR102432691B1 (ko) 2021-07-26 2021-07-26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20099686A KR20230017153A (ko) 2021-07-26 2022-08-10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166A KR102432691B1 (ko) 2021-07-26 2021-07-26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686A Division KR20230017153A (ko) 2021-07-26 2022-08-10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691B1 true KR102432691B1 (ko) 2022-08-17

Family

ID=831102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166A KR102432691B1 (ko) 2021-07-26 2021-07-26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20099686A KR20230017153A (ko) 2021-07-26 2022-08-10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686A KR20230017153A (ko) 2021-07-26 2022-08-10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26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8474A (en) * 1997-12-10 1999-08-17 Radio Frequency Systems, Inc. Connector assembly for a coaxial cable
KR20050010869A (ko) * 2002-06-10 2005-01-28 토마스 칸츠 고주파 시스템의 전기 전도성 부분과 전기적 접속을 위한 장치
KR200468838Y1 (ko) * 2013-02-05 2013-09-04 주식회사 엠피디 스프링과 나선 체결 압입방식에 의해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용 컨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8474A (en) * 1997-12-10 1999-08-17 Radio Frequency Systems, Inc. Connector assembly for a coaxial cable
KR20050010869A (ko) * 2002-06-10 2005-01-28 토마스 칸츠 고주파 시스템의 전기 전도성 부분과 전기적 접속을 위한 장치
KR200468838Y1 (ko) * 2013-02-05 2013-09-04 주식회사 엠피디 스프링과 나선 체결 압입방식에 의해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용 컨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153A (ko)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370B1 (ko) 커넥터 조립체
US6809265B1 (en) Terminal assembly for a coaxial cable
KR101918428B1 (ko) 커넥터 조립체
EP2382691B1 (en) Coaxial connector for corrugated cable
EP1779470B1 (en) Compression connector for coaxial cable
US7811133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pring arrangement
US6729912B2 (en) Audio signal connector
US8016615B2 (en) Phone plug connector device
US8292661B2 (en) Phone plug connector device
US8366482B2 (en) Re-enterable hardline coaxial cable connector
US20100273340A1 (en) Coaxial Connector For Corrugated Cable With Corrugated Sealing
CN108631086B (zh) L型内端子、l型同轴连接器及该连接器的制造方法
US9882320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US10714881B2 (en) Angled coaxial connectors for receiving electrical conductor pins having different sizes
KR20200079199A (ko) 전기 플러그-인 연결체, 조립 연결체 및 회로 보드 구성체
KR102432691B1 (ko)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JP2020521293A (ja) 接続端子および同軸コネクタ
KR102432690B1 (ko) 통신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US6250963B1 (en) Connector shel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JP6616671B2 (ja) 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及び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JP2006024499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EP3897086B1 (en) Cable bushing
JPH0245976Y2 (ko)
US20240145980A1 (en) Cable connector and metal housing thereof
JP3140532U (ja) 同軸マイクロケーブル用のアダプ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