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252B1 -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252B1
KR102296252B1 KR1020210097358A KR20210097358A KR102296252B1 KR 102296252 B1 KR102296252 B1 KR 102296252B1 KR 1020210097358 A KR1020210097358 A KR 1020210097358A KR 20210097358 A KR20210097358 A KR 20210097358A KR 102296252 B1 KR102296252 B1 KR 102296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able
rail
joint
block bod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흠
Original Assignee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원이앤에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7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H02G3/105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in association with a plinth, channel, raceway or simil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6Mounting by adhes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을 이용하여 통신케이블의 이음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통신케이블의 이음부를 장기간 유지하고 통신케이블을 보호함과 아울러 통신불량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는, 건축물에 통신케이블의 배선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10)과;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서 통신케이블이 이어지는 슬라이드형 이음블록(20)과; 상기 이음블록을 상기 레일에 고정하는 고정구(30)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블록은 상기 통신케이블의 배선방향을 따라 양쪽이 각각 개방되며 상기 고정구를 통해 상기 레일에 고정되는 블록 몸체(21), 상기 블록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22),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통신케이블의 이음부가 안착되는 안착베드(23),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를 덮어 상기 안착베드 및 상기 통신케이블의 이음부를 보호하는 덮개(2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이음블록의 블록 몸체를 관통하면서 양쪽이 상기 레일에 다단으로 형성된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이음블록을 고정한다.

Description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CONNECTING DEVICE OF COMMUNICATION CABLE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통신케이블의 이음부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건축물(공동주택이나 사무 공간 등)에 통신 케이블을 배선하는 경우 건축물의 벽체에 매설된 컨트롤박스에서부터 천정패널의 안쪽 공간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배선하는 시공예가 있다. 이와 같이 통신케이블을 배선하는 과정에서 통신케이블의 길이가 짧아 이음을 통해 연장하여 배선하는 작업 또는 메인 통신케이블 중간에 서브 케이블을 연결하여 배선하는 작업이 동반되고 있다.
통신케이블의 이음 작업은 대개 절연 테이프를 감는 정도에 불과하며, 이러한 이음 작업은 절연 테이프가 쉽게 박리되어 이음부분이 이탈됨에 따라 통신신호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절연 테이프가 박리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2152061호는 통신접속단자와 동축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하여 동축케이블에 설치되는 커넥터 구조에 있어서, 내측에 결합공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개구된 전면 외측의 테두리 부위에는 제1결합링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링과 대향 되는 후면 외측의 테두리 부위에는 제2결합링이 돌출 형성되어 동축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외측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전면에는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과 인접한 내측에는 내경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수평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가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체결공의 전면으로는 체결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구가 돌출 구비되어 상기 고정링에 탈착 결합되는 전면연결캡과, 상기 제1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나사산이 후면 내경에 구비되며, 전면 내경에는 통신접속단자와 결합되는 제3나사산이 구비된 삽입공이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연결캡의 전면에 탈착 결합되는 단자연결구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안착돌기가 내경 테두리에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동축케이블과 고정링의 결합 시, 고정링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동축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링, 전면연결캡, 단자연결구의 외측을 감싸 고정되는 후면 연결캡을 포함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등의 종래 기술은 통신케이블을 연결하고자 하는 기술뿐이며, 건축물용이라 하지만 건축물을 전혀 이용하지 않고 있으며, 결국, 통신케이블들의 이음부가 불안정하고 단기간 내에 이음상태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215206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축물을 이용하여 통신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통신케이블의 이음부를 장기간 유지하고 통신케이블을 보호하는 것을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는, 건축물에 통신케이블의 배선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서 통신케이블이 이어지는 슬라이드형 이음블록과; 상기 이음블록을 상기 레일에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블록은 상기 통신케이블의 배선방향을 따라 양쪽이 각각 개방되며 상기 고정구를 통해 상기 레일에 고정되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통신케이블의 이음부가 안착되는 안착베드,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를 덮어 상기 안착베드 및 상기 통신케이블의 이음부를 보호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이음블록의 블록 몸체를 관통하면서 양쪽이 상기 레일에 다단으로 형성된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이음블록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에 의하면, 통신케이블의 이음부가 건축물에 고정된 이음블록과 레일을 통해 지지됨으로써 통신케이블 이음부의 흔들린이 없고 통신케이블의 이음부를 절연테이프로 테이핑한다 하여도 박리로 인한 단선도 방지하고 미관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통신불량으로 인한 민원발생을 줄이고 보수를 위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통신케이블을 이음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통신케이블을 이음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에 모서리부재가 포함되는 예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는, 건축물에 고정되는 레일(10), 레일(10)에 설치되며 제1,2통신케이블(1,2)의 이음부를 지지하고 보호하는 이음블록(20), 이음블록(20)을 레일(10)에 고정하는 고정구(30)로 구성되며, 제1,2통신케이블(1,2)의 이음 위치에 맞춰 이음블록(20)이 이동하여 사용된다.
레일(10)은 건축물(3)에 고정되며, 즉, 건축물(3)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제1,2통신케이블(1,2)의 이음부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레일(10)은 건축물(3)에 양면테이프나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고 또는 건축물(3)에 삽입 정착되는 앵커볼트를 통해 고정된다.
레일(10)은 그 구조가 예를 들어 건축물(3)에 고정되는 평평한 배면부, 상기 배면부의 좌우 양쪽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벽을 구조로 하며, 이음블록(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하여 레일부(11)를 포함한다. 레일부(11)는 상기 벽의 마주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홈의 형태이다. 레일(10)은 상기 벽을 통해 제1,2통신케이블(1,2)이 이탈되지 않고 배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레일(10)은 고정구(30)를 통해 이음블록(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2)이 포함된다. 고정공(12)은 상기 한 쌍의 벽에 동일한 위치로 형성되며 또한 이음블록(20)을 다양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가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형성된다.
레일(10)은 도면에 도시된 평평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면이 직각을 두고 마주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코너부(기둥과 벽이 이어지는 구조)에도 설치 가능하다.
레일(10)은 합성수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된다.
이음블록(20)은 제1,2통신케이블(1,2)의 이음부만을 보호하는 크기인데 반해, 레일(10)은 제1,2통신케이블(1,2)의 이음 위치에 이음블록(20)을 배치할 수 있도록 여유 있으면서 이음블록(20)에 비해 길이가 길게 구성된다.
이음블록(20)은 블록 몸체(21), 슬라이더(22), 안착베드(23), 덮개(24), 정렬홈(25), 서포트(26)를 구성으로 한다.
블록 몸체(21)은 제1,2통신케이블(1,2)들이 배선되도록 양쪽이 개방되고 나머지 부분은 제1,2통신케이블(1,2)의 이음부를 외부와 단절시킬 수 있는 구조이며, 레일(10)을 향하는 배면부, 상기 배면부의 좌우 양쪽에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벽의 구조이며, 레일(10) 안에 삽입되는 크기이다.
블록 몸체(21)는 한 쌍의 벽에 고정구(30)가 관통되는 구멍이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더(22)는 블록 몸체(21)의 한 쌍의 벽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돌기이며 레일(10)의 레일부(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안착베드(23)는 제1,2통신케이블(1,2)의 이음부가 삽입되는 반원형 단면의 베드부(23a), 베드부(23a)의 양쪽에 대칭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3b)로 이루어지며, 블록 몸체(21)와 일체로 형성(지지부(23b)가 블록 몸체(21)의 벽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식의 안착베드(23)는 간단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면서도 제1,2통신케이블(1,2)의 이음부 위치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위치 선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음블록(20)이 이동 가능하지만 안착베드(23)의 위치 변경을 통해 설치 현장에 맞는 위치 선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베드부(23a)는 제1,2통신케이블(1,2)의 이음부를 덮어 이음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것이며, 베드부(23a)에 의해 보호되지 않는 부분은 덮개(24)를 통해 보호된다.
지지부(23b)는 정렬홈(25) 중에서 제1,2통신케이블(1,2)의 이음부에 맞는 위치의 정렬홈(25)에 선택되어 삽입된다.
덮개(24)는 블록 몸체(21)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회동식, 슬라이드식 등)되어 안착베드(23)에 삽입된 제1,2통신케이블(1,2)의 이음부를 외부와 차단한다.
정렬홈(25)은 블록 몸체(21)의 마주하는 벽에 각각 형성되어 안착베드(23)의 지지부(23b)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안착베드(23)가 고정되도록 한다.
즉, 정렬홈(125)의 간격을 레일(10)에 구성된 고정공(12)의 간격보다 좁게 하여 블록 몸체(21)의 이동 폭보다 안착베드(23)의 이동 폭을 적게 함으로써 1차로 블록 몸체(21)의 위치를 선정한 후 2차로 안착베드(23)의 위치 선정을 통해 제1,2통신케이블(1,2)의 이음부를 베드부(23a) 안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다.
서포트(26)는 안착베드(23)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안착베드(23)의 지지부(23b)가 정렬홈(25)에서 빠지는 상황에서도 안착베드(23)가 블록 몸체(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덮개(24)의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다.
서포트(26)는 안착베드(23)의 위치 변경에 맞춰 다단으로 형성되면서 베드부(23a) 양쪽의 지지부(23b)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지지부(23b)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한다.
서포트(26)는 1단의 조립식으로도 구성 가능하며, 예를 들어, 덮개(24)에 다단으로 홈을 형성하고 안착베드(23)의 위치에 맞는 홈을 선택하여 끼움 결합되는 조립식이다.
고정구(30)는 봉이나 볼트이며 이음블록(20)의 블록 몸체(21)에 형성된 한 쪽의 구멍 관통하면서 레일(10)에 다단으로 형성된 하나의 고정공(12)에 관통된 후 블록 몸체(21)의 반대쪽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짐으로써 이음블록(20)을 레일(10)에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를 이용한 통신케이블의 이음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레일 고정.
제1통신케이블(1)을 배선하는 중에 제1통신케이블(1)의 길이가 짧아 제2통신케이블(2)을 연결하여야 할 때, 제1,2통신케이블(1,2)의 이음 위치에 맞춰 레일(10)을 건축물(3)에 고정한다.
이 때, 이음블록(20)은 고정구(30)를 통해 레일(10)에 고정되어 있다.
2. 이음블록 위치 선정.
제1,2통신케이블(1,2)을 연결하기 위한 위치로 이음블록(20)을 이동시켜야 하며, 이음블록(20)을 밀어 이동시키면 슬라이더(22)가 레일(10)의 레일부(11)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이음블록(20)이 이동한다.
이음블록(20)이 제1,2통신케이블(1,2)의 연결 위치로 이동되면 고정구(30)를 끼워 레일(10)에 고정한다.
3. 제1,2통신케이블 연결 및 안착.
제1,2통신케이블(1,2)을 연결한 후 이음부를 안착베드(23)의 베드부(23a) 안에 삽입한다.
이 때, 안착베드(23)의 위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안착베드(23)를 블록 몸체(21)에서 분리한 후 제1,2통신케이블(1,2) 이음부의 위치와 맞는 다른 정렬홈(25)에 삽입한다.
4. 마감.
덮개(24)로 블록 몸체(21)를 덮는다. 이 때, 서포트(26)가 안착베드(23)의 지지부(23b)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한다.
한편, 본 발명은 건축물의 모서리 부분(벽과 기둥의 사이, 벽과 벽의 사이 등)에서 적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모서리부재(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모서리부재(40)는 서로 직각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면을 갖는 대략 삼각형의 형태이며, 레일(10)과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으로 연결돌기(4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레일(10)의 배면에는 연결돌기(41)가 연결되는 연결홈(13)을 포함한다. 연결돌기(41)와 연결홈(13)은 레일(10)의 흘러내림(이탈)을 막기 위한 최적의 형태로서 더브테일(dovetail) 형태이다.
또한, 모서리부재(40)는 통신케이블의 배선과 경량화를 위하여 내부에 중공부(42)가 구비되는 구조도 바람직하다. 중공부(42)는 제1,2통신케이블(1,2)과 다른 통신케이블로서 이음이 필요없는 제3통신케이블(4)을 배선하도록 하며, 따라서, 제1,2통신케이블(1,2)과 제3통신케이블(4)이 서로 꼬이지 않고 배선되도록 한다.
모서리부재(40)는 2개의 면이 건축물에 각각 양면테이프,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모서리부재(40)를 통해 설치되는 이음블록(20)은 좌우 양쪽에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시각적으로 모서리 부분과 동일 형태로 보이는 이점이 있다.
10 : 레일, 11 : 레일부
12 : 고정공, 13 : 연결홈
20 : 이음블록, 21 : 블록 몸체
22 : 슬라이더, 23 : 안착베드
23a : 베드부, 23b : 지지부
24 : 덮개, 25 : 정렬홈
26 : 서포트, 30 : 고정구
40 : 모서리부재, 41 : 연결돌기
42 : 중공부

Claims (4)

  1. 건축물에 통신케이블의 배선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10)과;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서 통신케이블이 이어지는 슬라이드형 이음블록(20)과;
    상기 이음블록을 상기 레일에 고정하는 고정구(30)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블록은 상기 통신케이블의 배선방향을 따라 양쪽이 각각 개방되며 상기 고정구를 통해 상기 레일에 고정되는 블록 몸체(21), 상기 블록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22),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통신케이블의 이음부가 안착되는 안착베드(23),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를 덮어 상기 안착베드 및 상기 통신케이블의 이음부를 보호하는 덮개(2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이음블록의 블록 몸체를 관통하면서 양쪽이 상기 레일에 다단으로 형성된 고정공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이음블록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는 내부의 마주하는 양쪽 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의 정렬홈(25)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베드는 상기 정렬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23b) 및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신케이블의 이음부가 삽입되는 반원형 단면의 베드부(23a)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 몸체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조립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안쪽면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베드의 지지부를 하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서포트(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직각을 이루는 2개의 면을 포함하여 건축물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되며 상기 레일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KR1020210097358A 2021-07-23 2021-07-23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KR102296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58A KR102296252B1 (ko) 2021-07-23 2021-07-23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358A KR102296252B1 (ko) 2021-07-23 2021-07-23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252B1 true KR102296252B1 (ko) 2021-08-31

Family

ID=7748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358A KR102296252B1 (ko) 2021-07-23 2021-07-23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2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221A (ja) * 2002-07-08 2003-02-28 Sumitomo Wiring Syst Ltd プロテクタ内への長尺電線の収容構造
KR102152061B1 (ko) 2020-03-20 2020-09-04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221A (ja) * 2002-07-08 2003-02-28 Sumitomo Wiring Syst Ltd プロテクタ内への長尺電線の収容構造
KR102152061B1 (ko) 2020-03-20 2020-09-04 주식회사 대명기술단 건축 통신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8433A (en) Lay-in wireways for a space divider system
CA2194620C (en) Electrical raceway housed in a structural member
US4232183A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panel structures
US9046194B2 (en) Protective conduit for a structural panel opening
US6797885B2 (en) Modular electric conductor
US6972367B2 (en) Multi-channel raceway
US4800696A (en) Premise wiring system for frame structures
US7034221B2 (en) Extendable channel unit containing a conductor
KR100758210B1 (ko) 공동주택용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KR102296252B1 (ko) 건축용 통신케이블 이음장치
US20050170690A1 (en) Signal connection device poke-thru assembly
US3839696A (en) Connector for electric installation systems
EP1829179B1 (en) Fitting for joining cable trunking units
US10411447B1 (en) System for electronic doorframe
KR100495559B1 (ko)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 장치
US7281355B2 (en) Integrated ceiling and wireway distribution system
JPH11169240A (ja) コンセントつき床固定式机
KR200252766Y1 (ko) 배선 덕트
KR200379725Y1 (ko)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 장치
KR200492627Y1 (ko) 배선용 덕트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WO2006052747A2 (en) Channel unit with adjustable corner
KR200434018Y1 (ko) 함체와 도어 본체를 포함하는 세대 통신 단자함에 있어서,상기 도어 본체를 함체에 체결시키기 위한 가이드바
WO2023034185A1 (en) Low profile outdoor pedestal
GB2421121A (en) Connector for multi passage trunking allowing changeable pathways through connector.
JP4231389B2 (ja) 配線配管用間仕切り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