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673B1 -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 - Google Patents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673B1
KR100621673B1 KR1020030099105A KR20030099105A KR100621673B1 KR 100621673 B1 KR100621673 B1 KR 100621673B1 KR 1020030099105 A KR1020030099105 A KR 1020030099105A KR 20030099105 A KR20030099105 A KR 20030099105A KR 100621673 B1 KR100621673 B1 KR 100621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ower bed
retaining wall
drainage
wal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8054A (ko
Inventor
구호본
백용
이종현
김승현
권오일
유기정
김진환
이정엽
배규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6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68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계단식 옹벽의 각 계단 평탄면에 식생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식생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계단식 옹벽 구조는 계단식 옹벽 각층의 평탄면 상에 형성되고, 삼면을 소정 높이로 둘러싸는 화단벽; 상기 화단벽과 상단의 수직면으로 둘러싸인 화단; 상기 화단의 하부로부터 상기 화단벽 중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배수로; 및 각 층의 상기 제1배수로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흐르도록 법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배수로를 포함하며, 상기 화단은 최하층으로서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배수층; 및 상기 배수층 상측에 형성되고 토양으로 이루어져 식생이 배양되도록 하는 육성층을 포함한다.
계단식 옹벽, 식생, 화단, 배수층, 육성층, 배수로

Description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Terraced retaining wall structure suitable for forming flower bed}
도1은 종래의 계단식 옹벽을 도시한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계단식 옹벽 구조의 한 층을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식 옹벽 구조의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평탄면 상에 조성되는 화단의 수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계단식 옹벽 구조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식 옹벽 구조를 상측에서 도시한 평면도.
도7은 화단벽이 격자블럭으로 형성된 계단식 옹벽 구조의 한 층을 도시한 단면도.
도8은 상기 도7에 도시된 계단식 옹벽 구조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9는 상기 도7에 도시된 계단식 옹벽 구조를 상측에서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화단 11: 배수층
12: 육성층 13: 필터층벽
14: 차양층 100: 계단식 옹벽
101,101': 화단벽벽 102: 제1배수로
103: 제2배수로 104: 내부 배수로
본 발명은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식 옹벽의 각 계단 평탄면에 식생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식생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식 옹벽은 절토사면에 발달하는 불연속면에 의해 평면 활동이 예상되거나 단층 등의 파쇄대 발달로 인한 절토사면의 불안정성이 예상될 때, 활동 블록을 억제하고 절개면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된 계단 형상의 콘크리트 옹벽을 말한다.
도1은 종래의 계단식 옹벽을 도시한 측면도인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토사면(200)에 소정 기울기로 계단 형상의 콘크리트 옹벽(100)이 설치 된다. 이러한 계단식 옹벽은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층단위로 블록화된 콘크리트 구조물로 축조될 수도 있다.
그런데, 계단식 옹벽의 시공은 주로 도로 주변의 절개면에 이루어지므로 그 미관이 중요시 된다. 기능만이 강조되어 단순히 콘크리트 구조물만으로 이루어지면 주변 환경과의 부조화로 인해 경관을 해치고, 도로 통행자에게도 심리적 압박감을 주는 등의 악영항을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환경과의 조화를 통해서 상기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오스트리아의 EBENSEER사는 미리 형성된 블록으로 각각의 셀(cell) 가운데에 중공을 구비하는 격자형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각 셀의 중공에 식생을 조성하는 그린월 옹벽(Green Wall System)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그린월 옹벽은 중공을 통해 토양이 유실될 수 있고, 토양내의 수분을 조절할 수 없어 식생의 체계적인 관리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식생의 대부분을 잡초가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조경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계단식 옹벽에 화단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계단식 옹벽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분에 토양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정도에 불과하고, 강수에 의한 세굴 및 토양 유실이나 토양내의 수분 조절을 위한 배수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계단식 옹벽의 각 계단 평탄면에 식생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식생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조물의 평탄면 상에 조성되는 화단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되 이로인해 법면이 세굴되거나 토양이 유실 되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 이 있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는, 계단식 옹벽 각층의 평탄면 상에 형성되고, 삼면을 소정 높이로 둘러싸는 화단벽; 상기 화단벽과 상단의 수직면으로 둘러싸인 화단; 상기 화단의 하부로부터 상기 화단벽 중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배수로; 및 각 층의 상기 제1배수로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흐르도록 법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배수로를 포함하며, 상기 화단은 최하층으로서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배수층; 및 상기 배수층 상측에 형성되고 토양으로 이루어져 식생이 배양되도록 하는 육성층을 포함한다.
상기 계단식 옹벽 구조는 상기 제1배수로의 내측과 연결되고, 상기 화단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소정 폭과 깊이로 형성된 내부 배수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화단은 상기 배수층과 육성층 사이에 소정 두께의 층으로 형성되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육성층의 표층에 구비되는 차양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층은 자갈 또는 그와 비슷한 입자 크키를 갖는 재료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배수층 상부의 구조를 지지하면서 상기 육성층으로부터 내려온 물이 내부 배수로 또는 제1배수로까지 흘러갈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이면 족하다.
상기 필터층 및 차양층은 각각의 용도에 맞는 기계적, 화학적 성질을 얻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합성섬유로 짜여진 견물, 직물, 또는 부직포 등의 토목섬유(geotextil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계단식 옹벽 구조의 한 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계단식 옹벽 구조의 실시예는, 계단식 옹벽(100) 각층의 평탄면 상에 형성되고, 토양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화단벽(101)과, 상기 화단벽과 계단 상단의 수직면으로 둘러싸인 우묵한 공간에 식생이 자랄 수 있도록 조성된 화단(10)을 구비한다.
상기 화단(10)의 저면에는 상기 화단(10)의 토양 등을 투과한 물이 모여 흐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를 가로질러 소정 폭과 깊이로 형성된 내부 배수로(104)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 배수로(104)로 모인 물은 외부로 연결된 배수로(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화단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화단(10)은 최하층으로서 자갈 등으로 채워진 다공성 구조의 배수층(11)과, 상기 배수층(11)의 상측에 형성되고 토양으로 이루어져 식생이 배양되도록 하는 육성층(12), 및 상기 육성층(12)과 배수층(11)의 사이에 구비되고 수분을 통과시키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필터층(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단(10)은 그 표층에 구비되고, 견물, 직물,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차양층(14)을 더 구비하여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수분의 증발을 억제한다. 그 뿐만 아니라, 일교차에 의해서 생기는 이슬, 서리, 안개 등을 흡착하여 상기 육성층(12)의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여 화단의 식생이 강우에만 의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기여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층(13)은 상기 육성층(12)의 하중에 의해 훼손되거나, 매설로 인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계적, 화학적 특성을 갖는 토목섬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육성층(12) 내의 수분 함량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경우, 흡수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계단식 옹벽(100)의 규격을 고려할 때, 상기 화단(10)의 깊이, 즉 상기 화단벽(101)의 높이는 약 30cm가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배수층(11)은 약 10cm, 상기 육성층은 약 15cm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단(10)이 상기와 같은 규격을 가질 때, 상기 내부 배수로(104)는 상기 배수층(11)으로부터 집수된 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U자형 관으로서 R=10cm 정도의 규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술한 각각의 규격은 계단식 옹벽 전체의 규모와 화단 조성에 사용되는 토양의 토질 및 시공 지역의 강수량 등 기후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식 옹벽 구조의 배수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화단벽(101)은 계단식 옹벽(100) 한 층의 평탄면 상에 형성되고 삼면을 소정 높이로 둘러쌈으로써 계단 상단의 수직면과 함께 우묵한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에 토양 등이 충전되어 화단(10)이 조성되도록 한다.
상기 화단(10)의 저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배수로(104)가 형성되고, 상기 화단벽(101) 중 측벽의 일측에는 상기 내부 배수로(104)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제1배수로(102)가 형성된다.
상기 계단식 옹벽(100)의 측면에는 법면을 따라 제2배수로(103)가 형성되어 상기 제1배수로(102)를 통해서 배출된 물이 법면의 경사를 따라 흐르도록 한다. 상기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시된 바람직한 규격과 조화를 이루는 제2배수로(103)의 규격은 U자형 관으로서 R=20cm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배수로(103)는 상부가 개방된 U자형 관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물의 흐름에 의한 세굴 및 토양의 유실을 방지한다.
도4는 평탄면 상에 조성되는 화단의 수직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단(10)은 최하층으로서 자갈 등으로 채워진 다공성 구조의 배수층(11)과, 상기 배수층(11)의 상측에 형성되고 토양으로 이루어져 식생이 배양되도록 하는 육성층(12)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층(11)의 다공성 구조를 통한 토양유실이 문제되는 경우, 상기 육성층(12)과 배수층(11)의 사이에 구비되고 수분을 통과시키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필터층(13)을 더 포함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기후조건과 같이 강수가 고르지 않은 경우, 상기 화단(10)은 그 표층에 견물, 직물,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차양층(14)을 더 구비하여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수분의 증발을 억제한다. 그 뿐만 아니라, 일교차에 의해서 생기는 이슬, 서리, 안개 등을 흡착하여 상기 육성층(12)의 토양에 수분을 공급하여 화단의 식생이 강우에만 의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계단식 옹벽 구조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화단벽(101)은 계단식 옹벽(100)의 평탄면에 일체화된 다이크(dyke)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단벽(101)에 의해 가두어진 화단(10)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은 상기 제1배수로(102)를 통하여 측벽 외부로 배출되고, 법면에 형성된 제2배수로(103)를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계단식 옹벽 구조를 상측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내부 배수로(104)는 화단(10)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층을 거쳐 배수층으로 내려온 물이 고여서 흐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층의 평탄면이 수직면과 만나는 모서리를 따라 화단(10) 전체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화단벽(101)을 관통하는 제1배수로(102)와 연결되어 고인 물이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7은 화단벽이 격자블럭으로 형성된 계단식 옹벽 구조의 한 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기존에 이미 시공 되어진 계단식 옹벽에 적용될 수 있다. 기존 계단식 옹벽(100)의 평탄면 단부상에 벽돌 등의 격자블록을 쌓아 화단벽(101')을 형성한다. 그 외의 구성은 상기 도2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고, 다만, 기존의 계단식 옹벽을 그대로 활용하므로, 상기 화단(10) 저면의 내부 배수로를 형성하지 아니할 수 있다.
도8은 상기 도7에 도시된 계단식 옹벽 구조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기존의 계단식 옹벽(100)의 평탄면에 격자블록을 쌓아 형성된 화단벽(101')의 측벽에 제1배수로(102)를 형성하고, 상기 계단식 옹벽(100) 자체의 측벽 하부에 법면을 따라 U자형의 제2배수로(103)을 형성한다.
상기 제2배수로(103)는 상부가 개방된 U자형 관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물의 흐름에 의한 세굴 및 토양의 유실을 방지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9는 상기 도7에 도시된 계단식 옹벽 구조를 상측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벽돌 등의 격자블록으로 형성된 화단벽(101')을 구비하고, 상기 화단벽의 측벽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를 관통하는 제1배수로(102)가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1배수로(102)의 내측은 상기 배수층의 다공성 구조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육성층으부터 배수된 물을 상기 화단(10) 밖으로 배출시키고, 배출된 물은 제2배수로(103)를 통해 법면을 따라 흘러내린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는, 계단식 옹벽 구조물의 평탄면 상에 조성되는 화단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되 이로인해 법면이 세굴되거나 토양이 유실되지 않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토양의 수분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 계단 평탄면에 다양한 식생의 육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일체식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계단식 옹벽;
    상기 옹벽 각층의 평탄면 상에 형성되고, 삼면을 소정 높이로 둘러싸는 화단벽;
    상기 화단벽과 상단의 수직면으로 둘러싸인 화단;
    상기 화단의 하부로부터 상기 화단벽 중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배수로; 및
    각 층의 상기 제1배수로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흐르도록 법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배수로를 포함하며,
    상기 화단은,
    최하층으로서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배수층; 및
    상기 배수층 상측에 형성되고 토양으로 이루어져 식생이 배양되도록 하는 육성층을 포함하는,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로의 내측과 연결되고, 상기 화단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소정 폭과 깊이로 형성된 내부 배수로를 더 포함하는,
    계단식 옹벽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배수로는 U자형 관으로 형성된,
    계단식 옹벽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단은,
    토양으로 형성된 상기 육성층과 다공성 구조로 형성된 상기 배수층의 사이에 구비되고, 수분을 통과시키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필터층을 더 포함하는,
    계단식 옹벽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층은 흡수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육성층이 지속적으로 소정의 수분 함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식 옹벽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단은,
    그 표층에 구비되는 차양층을 더 포함하여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는,
    계단식 옹벽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층은 견물, 직물,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토목섬유인,
    계단식 옹벽 구조.
  8. 계단식 옹벽 각층의 평탄면 상에 형성되고, 삼면을 소정 높이로 둘러싸는 화단벽;
    상기 화단벽과 상단의 수직면으로 둘러싸인 화단;
    상기 화단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소정 폭과 깊이로 형성된 내부 배수로로부터 연결되고, 상기 화단벽 중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배수로; 및
    각 층의 상기 제1배수로로부터 흘러나온 물이 흐르도록 법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배수로를 포함하며,
    상기 화단은,
    최하층으로서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진 배수층;
    상기 배수층 상측에 형성되고 토양으로 이루어져 식생이 배양되도록 하는 육성층; 및
    상기 육성층과 상기 배수층의 사이에 구비되고, 수분을 통과시키되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필터층을 포함하는,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단은,
    그 표층에 구비되고, 견물, 직물,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차양층을 더 구비하여 직사광선을 차단하며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는,
    계단식 옹벽 구조.
KR1020030099105A 2003-12-29 2003-12-29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 KR100621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105A KR100621673B1 (ko) 2003-12-29 2003-12-29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105A KR100621673B1 (ko) 2003-12-29 2003-12-29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054A KR20050068054A (ko) 2005-07-05
KR100621673B1 true KR100621673B1 (ko) 2006-09-13

Family

ID=3725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105A KR100621673B1 (ko) 2003-12-29 2003-12-29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66B1 (ko) * 2013-02-07 2013-06-17 화림에이치앤이 주식회사 계단식 옹벽의 녹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054A (ko)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2493B1 (en) Greening apparatus
KR100676993B1 (ko) 식물 재배 매트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AT507306A1 (de) Einbaustoffe (erddochte) und deren mischung mit bodenmaterialien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KR100860748B1 (ko) 허니셀 녹화공법
CN112144345B (zh) 一种生态砌块导排水边沟及其参数确定方法
KR100756375B1 (ko) 와이어네트를 이용한 사면 보호 방법 및 그 장치
KR100621673B1 (ko) 화단 조성에 적합한 계단식 옹벽 구조
CN112982072A (zh) 一种绿化带蓄排水路沿石系统及蓄排水方法
JP5108225B2 (ja) 緑化容器
JP2012082684A (ja) 潅水構造体、この潅水構造体を用いた潅水システム及びこの潅水システムの運転方法
KR101170815B1 (ko) 우수의 식생 저류장치
JP3103300B2 (ja) 貯水設備
JPH04203002A (ja) 運動競技場等の排水構造
CN114164844A (zh) 一种方格网式有机材护坡结构施工方法
KR200146295Y1 (ko) 옥상용 인공 지반
JP3834015B2 (ja) 屋上緑化装置
JP4157803B2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
JP2007077771A (ja) 緑化擁壁ブロック
JP2004129567A (ja) 屋上緑化装置
JP3506371B2 (ja) 擁壁緑化ブロックおよび擁壁緑化構造
WO2023188200A1 (ja) 植栽ユニット
KR102219577B1 (ko) 유출수 저감 보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