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422B1 -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 - Google Patents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422B1
KR100621422B1 KR1020040025614A KR20040025614A KR100621422B1 KR 100621422 B1 KR100621422 B1 KR 100621422B1 KR 1020040025614 A KR1020040025614 A KR 1020040025614A KR 20040025614 A KR20040025614 A KR 20040025614A KR 100621422 B1 KR100621422 B1 KR 100621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electromagnetic wave
wave absorber
permeability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0714A (ko
Inventor
김선태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엠아이 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엠아이 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엠아이 씨
Priority to KR1020040025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42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분말을 고무베이스에 혼입시켜 형성된 자성복합체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로서, 유전율과 투자율이 높은 연자성 금속분말로서 샌더스트, Ni-Fe합금, Fe-Si 합금, Fe 및 Fe-C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연자성 금속분말을 포함하고, 전자파의 입사면에 형성된 제1자성복합체층 ; 상기 제1자성복합체층의 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자성체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전율과 투자율이 낮은 카보닐철 또는 페라이트 복합체 성분을 포함하며, 1GHz에서 투자율 2~5이고, 유전율이 7~20인 제2자성체층 ; 을 포함하되, 2GHz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 반사손실 -30dB 이하의 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흡수체는 두께를 얇게 유지하면서 전자기기에서 전자파 누설방지 또는 방사노이즈 감쇠용으로 감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전자파 흡수체, 적층, 재료정수, 페라이트, 금속분말, 연자성, 고무

Description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Multi-Layer Type Flexible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도 1은 카보닐철 하나의 재료만을 가지고 제조한 전자파 흡수체의 감쇠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상대적으로 투자율과 유전율이 높은 Ni-Fe 합금 분말 한 가지 재료만을 가지고 제조한 전자파 흡수체의 감쇠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흡수체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전자파 흡수율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투자율과 유전율이 높은 자성복합체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투자율과 유전율이 낮은 자성복합체의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전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한 특성 이상의 효율이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일정한 주파수 대역에서 강한 피크를 나타내는 감쇠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특성이 다른 2종 이상의 자성복합체를 적층하여 특정 주파수에서 -30dB 이상의 매우 큰 감쇠 효과를 얻거나 2 내지 18GHz의 광대역 주파수에서 특정 수치 이상의 감쇠효과를 일정하게 얻을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파 흡수체는 구성재료의 고주파 손실특성을 이용하여 전파에너지를 감쇠시키거나 반사파를 기준치 이하로 줄이는 기능소재로 각종 전자기기의 전자파장해 방지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전자파 흡수체의 흡수 메커니즘은 근본적으로 물질의 고주파 손실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용재료에 따라 크게 도전손실 재료, 유전손실 재료, 자성손실 재료, 그리고 두 가지 이상의 손실을 포함하는 재료로 분류된다. 이들 재료 중에서 페라이트 전자파 흡수체는 주로 ㎒ 이상의 고주파 대역에서 나타나는 공명현상에 의한 자성손실을 이용한 것으로 두께가 비교적 얇고, 정합주파수가 다양하여 산업 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페라이트 전자파 흡수체는 구성조건에 따라서 소결형과 복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소결형 페라이트 전자파 흡수체로는 Mn-Zn 페라이트, Ni-Zn 페라이트, Ba 페라이트 또는 Mg 페라이트 등이 있으며,
이 중 Ni-Zn 페라이트는 일반적으로 ㎒ 대역의 주파수 범위에서 감쇠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VHF/UHF 대역의 전파암실용, TV 고스트(ghost) 방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실용화되고 있는 VHF/UHF 대역용 소결형 전자파 흡수체의 두께는 약 7 내지 8㎜ 정도의 타일형태이다. 복합형 페라이트 전자파 흡수체는 페라이트에 베이스로 실리콘 고무, 플라스틱 등의 비자성체를 혼합한 것으로 판상으로 제조하며, ㎓ 대역에서 레이더파 반사방지용으로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전자파 흡수체의 성능은 정합주파수, 정합두께, 반사손실 및 대역폭 등으로 평가된다. 이와 같은 전자파 흡수체의 성능은 흡수체의 재료정수인 복소투자율과 복소유전율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재료정수 제어에 의해 전자파 흡수체의 성능을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에서는 페라이트 또는 연자성 금속분말의 한 재료만을 고무 또는 플라스틱에 혼입한 단층형 흡수체가 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전자파 감쇠효과가 -30dB 이상의 특성을 얻기가 힘들고 또한 단일재료로는 광대역 주파수에서의 감쇠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카보닐철 하나의 재료만을 가지고 제조한 전자파 흡수체의 감쇠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A, B 및 C는 특정 주파수의 국한되어 -30dB 이상의 감쇠율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감쇠효과는 대부분 고주파 대역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저주파 대역으로 끌어내리기 위해서는 두께가 필연적으로 두꺼워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여기서, 곡선 A, B 및 C는 각각 고무 대비 연자성 분말의 함량의 차이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이동을 보여주는 바, 고무 대비 연자성 분말의 함량이 각각 88wt%, 85wt% 및 80wt%인 경우이다.
또한, 도 2는 상대적으로 투자율과 유전율이 높은 Ni-Fe 합금 분말 한 가지 재료만을 가지고 제조한 전자파 흡수체의 감쇠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전체적으로 저주파에서 전자파 감쇠율을 나타내지만 그 특성이 -10dB 이하로 작용하여 충분한 감쇠효과를 얻을 수 없다.
여기서, 곡선 A, B 및 C는 각각 고무 대비 연자성 분말의 함량의 차이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이동을 보여주는 바, 고무 대비 Ni-Fe 합금 분말의 함량이 각각 85wt%, 82wt% 및 80wt%인 경우이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 전자기기, 군사용 장비 또는 의료용 장비에 적용되는 전자파 감쇠용 전자파 흡수체로서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특성은 두께가 얇아야 함은 물론 전자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감쇠효과 또한 우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감쇠효과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증가되어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전체적으로 5mm 이하의 두께로 2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20dB 이상의 감쇠효과를 얻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성이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자성복합체를 적층하여 전자기기에서 전자파 누설방지 또는 방사노이즈 감쇠용으로 감쇠효과를 극대화시킨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주파수에서 -30dB 이상의 매우 큰 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대역 주파수에서 특정 수치 이상의 감쇠효과를 일정하게 얻을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성분말을 고무베이스에 혼입시켜 형성된 자성복합체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로서, 유전율과 투자율이 높은 연자성 금속분말로서 샌더스트, Ni-Fe합금, Fe-Si 합금, Fe 및 Fe-C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연자성 금속분말을 포함하고, 전자파의 입사면에 형성된 제1자성복합체층 ; 상기 제1자성복합체층의 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자성체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전율과 투자율이 낮은 카보닐철 또는 페라이트 복합체 성분을 포함하며, 1GHz에서 투자율 2~5이고, 유전율이 7~20인 제2자성체층 ; 을 포함하되, 2GHz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 반사손실 -30dB 이하의 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전자파 입사면에 복합체들 중에 높은 투자율과 유전율을 갖는 자성복합체를 위치시키거나, 낮은 투자율과 유전율을 갖는 자성복합체를 위치시킬 수 있다.
입사면에 위치하는 자성복합체로는 카보닐철 또는 1GHz에서의 투자율이 2 내지 5 그리고 유전율이 7 내지 20인 페라이트 복합체를 적용하거나, 샌더스트(sendust) 또는 Ni-Fe 합금, Fe-Si 합금, Fe 또는 Fe-Cr 합금을 적용할 수 있다.
자성복합체를 이루는 자성분말은 카보닐철 분말, 샌더스트(sendust), Ni-Fe 합금분말, 순철분말, Fe-Si 합금분말 및 Fe-Cr 합금분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고무는 PVB (polyvinyl-butyral), 우레탄 고무, 에폭시, 실리콘 고무, 폴리에칠렌, EPDM, 네오프렌(neoprene),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티렌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자파 흡수체의 이면에는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 도전성 메쉬 양면테이프 또는 구리박 테이프를 포함하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는 이형 테이프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각 자성복합체의 두께는 0.05mm 내지 10mm 범위 내에서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자성복합체들은 접착제, 점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파 입사면에 하나의 특성을 갖는 제 1 자성복합체(10)가 위치하고 그 하부에 다른 특성을 갖는 제 2 자성복합체(30)가 접착제, 점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부재(20)를 개재하여 결합된다.
제 1 및 제 2 자성복합체(10, 30)는 자성분말을 고무 베이스에 혼입하여 만들어지며, 자성분말은 카보닐철 분말, 샌더스트(sendust), Ni-Fe 합금분말, 순철분말, Fe-Si 합금분말 및 Fe-Cr 합금분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되고, 고무는 PVB (polyvinyl-butyral), 우레탄 고무, 에폭시, 실리콘 고무, 폴리에칠렌, EPDM, 네오프렌(neoprene),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티렌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자성복합체(30)의 이면에는 장착 대상물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이형 테이프(40)가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이형 테이프(40)는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 도전성 메쉬 양면테이프 또는 구리박 테이프를 포함하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는 점착성 테이프가 적용되어 흡수되지 않은 전자파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자성복합체(10, 30)의 특성으로는, 예를 들어, 투자율과 유전율을 고려할 수 있다.
재료의 투자율과 유전율이 낮은 카보닐철 혹은 페라이트 복합체(1GHz에서의 투자율: 2 - 5, 유전율: 7 - 20)를 제 1 자성복합체(10)로 하여 입사면에 배치시키고, 상대적으로 투자율과 유전율이 높은 연자성 금속 분말(Sendust, Fe-Si, Ni-Fe, Fe, Fe-Cr 등)의 복합체를 제 2 자성복합체(30)로 이면에 위치시키면 전자파의 감쇠특성은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광대역 특성을 나타낸다.
반면에, 제 1 및 제 2 자성복합체(10, 30)를 반대로 적층시키면 2GHz 미만의 대역에서 -30dB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5mm 이하의 두께로 2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20dB 이상의 전파 감쇠특성을 나타내기는 어렵지만 위 방법으로 흡수체가 제조된다면 그 특성과 두께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정수가 높은 연자성 금속 분말의 복합체가 제 1 자성복합체(10)로 전파 입사면에 배치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재료정수를 나타내는 카보닐철 혹은 페라이트 복합체가 제 2 자성복합체(30)로 그 이면에 위치되면 전파 감쇠특성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주파수 대역에서 강한 피크를 나타내는 감쇠특성을 나타낸다.
이때, 전파입사면에 배치된 제 1 자성복합체(10)의 두께가 얇아지고 그 이면에 적층된 제 2 자성복합체(30)의 두께가 두꺼워진다면 그 최대 피크를 나타내는 주파수가 고주파 대역으로 이동된다. 이와는 반대로 제 2 자성복합체(30)의 두께가 얇아진다면 최대 감쇠특성을 나타내는 주파수 대역은 점차적으로 저주파 대역으로 이동이 되면서 감쇠효율은 작아지는 특성을 갖는다.
이와는 달리 전파 입사면에 재료정수가 작은 카보닐철 혹은 페라이트 복합체를 제 1 자성복합체(10)로 하고, 그 이면에 재료정수가 높은 연자성 금속 분말(Sendust, Fe-Si, Ni-Fe, Fe, Fe-Cr 등)의 복합체를 제 2 자성복합체(30)로 적층할 경우 제 1 자성복합체(10)의 두께가 얇아지고 제 2 자성복합체(3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지면 최대 감쇠특성을 나타내는 주파수 대역은 저주파 대역으로 이동되면서 감쇠특성은 점차적으로 작아진다. 이와는 반대로 제 1 자성복합체(10)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제 2 자성복합체(30)의 두께가 얇아진다면 그 최대 감쇠특성을 나타내는 주파수 대역은 고주파로 이동되고, 그 감쇠효율은 점차적으로 커진다. 이 배치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주파수 대역에서 일정한 특성 이상의 효율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특성을 구비한 자성복합체를 적절하게 적층함으로써 다양한 감쇠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각 층의 자성복합체의 두께를 제어하여 서로 다른 임피던스 차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감쇠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같은 맥락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보닐철 복합체보다도 재료정수가 낮은 페라이트 복합체를 제 1 자성복합체로 전파입사면에 배치시키고, 그 이면에 카보닐철 복합체를 제 2 자성복합체(30) 그리고 그 이면에 연자성 금속 복합체를 제 3 자성복합체(50)로 구성된 3층 적층형으로 구성할 경우 더 우수한 광대역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미설명부호 20, 25는 각각 접착부재를 나타내고, 40은 이형 테이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흡수체의 등가회로도이다.
전자파 입사면에 두께 d1의 제 1 자성복합체가 위치하고, 그 이면에 두께 d2의 제 2 자성복합체가 적층되며, 제 2 자성복합체의 이면은 단락되었다고 가정하고 전자파 반사손실을 측정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은 등가회로가 구성되며, Z0은 공기 중의 임피던스, Zin(1)은 대기와 제 1 자성복합체의 입력 임피던스, Zc1은 제 1 자성복합체의 특성 임피던스, Zin(2)는 제 1 자성복합체와 제 2 자성복합체의 계면에서의 입력 임피던스, Zc2는 제 2 자성복합체의 특성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흡수체가 2층이 적층된 형태라고 가정하면 다음 식을 만족할 때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Figure 112004015318466-pat00001
전파 입사면에서의 입력 임피던스를 구하면
Figure 112004015318466-pat00002
이고, 두 자성복합체 사이에서의 입력 임피던스인 Zin(2)
Figure 112004015318466-pat00003
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μ 1r , ε 1r , d 1 은 각각 제 1 자성복합체의 비투자율, 비유전율 및 두께 이고, μ 2r , ε 2r , d 2 는 제 2 자성복합체의 비투자율, 비유전율 및 두께이다. 그리고, ν는 전파상수를 나타낸다.
도 5는 전자파 흡수율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그의 단면도이다.
벡터 회로망 분석기의 S1 포트(S)에서 연결된 지그(100)의 도체를 중심으로 시편(200)이 지그 안에 삽입되어 있고 그 배면(110)은 단락되어 있다. 벡터 회로망 분석기의 S1 포트(S)를 통해서 신호를 보낸 후 반사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계산하여 시편(200)의 반사손실 정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전자 장비, 군사용 장비, 의료용 장비 또는 가전기기 등 두께가 얇아야 하고 전자파 노이즈의 누출이 문제되는 곳에 불요 전자파 감쇠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하거나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경이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 서술되는 특허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두께를 얇게 유지하면서 전자기기에서 전자파 누설방지 또는 방사노이즈 감쇠용으로 감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특성이 다른 적어도 둘 이상의 자성복합체를 적절하게 적층함으로써 선택적으로 특정 주파수에서 -30dB 이상의 매우 큰 감쇠 효과를 얻거나 광대역 주파수에서 특정 수치 이상의 감쇠효과를 일정하게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자성분말을 고무베이스에 혼입시켜 형성된 자성복합체가 적층된 구조를 가지며,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로서,
    유전율과 투자율이 높은 연자성 금속분말로서 샌더스트, Ni-Fe합금, Fe-Si 합금, Fe 및 Fe-C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연자성 금속분말을 포함하고, 전자파의 입사면에 형성된 제1자성복합체층 ; 상기 제1자성복합체층의 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자성체층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전율과 투자율이 낮은 카보닐철 또는 페라이트 복합체 성분을 포함하며, 1GHz에서 투자율 2~5이고, 유전율이 7~20인 제2자성체층 ; 을 포함하되,
    2GHz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 반사손실 -30dB 이하의 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PVB(polyvinyl-butyral), 우레탄 고무, 에폭시, 실리콘 고무, 폴리에칠렌, EPDM, 네오프렌(neoprene),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스티렌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흡수체의 이면에는 알루미늄 호일 테이프, 도전성 메쉬 양면테이프 또는 구리박 테이프를 포함하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는 이형 테이프가 더 부착되는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자성복합체의 두께는 0.05mm 내지 10mm 범위 내에서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
  9.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복합체들은 접착제, 점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
KR1020040025614A 2004-04-14 2004-04-14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 KR100621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614A KR100621422B1 (ko) 2004-04-14 2004-04-14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614A KR100621422B1 (ko) 2004-04-14 2004-04-14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714A KR20050100714A (ko) 2005-10-20
KR100621422B1 true KR100621422B1 (ko) 2006-09-07

Family

ID=3727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614A KR100621422B1 (ko) 2004-04-14 2004-04-14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083B1 (ko) * 2008-03-05 2011-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흡수체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240B1 (ko) * 2006-05-16 2007-07-18 손호빈 전자파 흡수 패널
KR101066074B1 (ko) * 2010-05-10 2011-09-3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대역 전자기파 흡수체 및 그 제조방법
JP6780634B2 (ja) * 2017-12-13 2020-11-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部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000A (ko) * 1991-04-02 1992-11-21 노시청 불요 전자파의 차단재
JPH1126977A (ja) * 1997-07-02 1999-01-29 Daido Steel Co Ltd 電磁波吸収用シート
JP2000232296A (ja) * 1999-02-12 2000-08-22 Hitachi Metals Ltd 電磁波吸収体
JP2001015980A (ja) * 1999-06-29 2001-01-19 Daido Steel Co Ltd 広帯域吸収型電磁波吸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000A (ko) * 1991-04-02 1992-11-21 노시청 불요 전자파의 차단재
JPH1126977A (ja) * 1997-07-02 1999-01-29 Daido Steel Co Ltd 電磁波吸収用シート
JP2000232296A (ja) * 1999-02-12 2000-08-22 Hitachi Metals Ltd 電磁波吸収体
JP2001015980A (ja) * 1999-06-29 2001-01-19 Daido Steel Co Ltd 広帯域吸収型電磁波吸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083B1 (ko) * 2008-03-05 2011-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흡수체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714A (ko)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41758B (en) Absorber of electromagnetic wave
KR101903540B1 (ko) 근방계 노이즈 억제 시트
JP4975743B2 (ja) 表面電気抵抗制御を用いた多層薄型電磁波吸収フィルム
KR930011548B1 (ko) 적층형 전파흡수체
KR20070010428A (ko) 휴대폰 전자파 차폐용 복합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N213951063U (zh) 噪声抑制石墨物品和组件
TWI482585B (zh) 屏蔽複合膜片
CN103929933A (zh) 抑制电磁波干扰结构及具有该结构的软性印刷电路板
KR101342660B1 (ko) 전자파 차폐필름
KR19990067159A (ko) 복합자성체 테이프
KR100621422B1 (ko) 유연성을 갖는 적층형 전자파 흡수체
JP2001053485A (ja) 電磁波吸収シート
Kim et al. A study on the behavior of laminated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JPH0697691A (ja) 電磁波遮蔽構造体
JP3079364B2 (ja) 電磁シールド性能を有する窓ガラス
CN203105046U (zh) 抑制电磁波干扰结构及具有该结构的软性印刷电路板
CN202009367U (zh) 高频传导滤波器
KR100712836B1 (ko) 전자기파 간섭 차폐용 다층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회로기판
KR20130014702A (ko) 휴대용 전자기기에서의 전자파 차폐구 및 그 차폐방법
JP4843612B2 (ja) 軟磁性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電磁波対策部品および電子機器
KR100652860B1 (ko) 노이즈 감쇄필름, 노이즈 감쇄 회로기판 및 이들의제조방법
JP2004048090A (ja) ノイズフィルタ
JPH1187980A (ja) 複合磁性シート
JP2002083704A (ja) 電波吸収体
CN211630732U (zh) 一种复合型吸波屏蔽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