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915B1 -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 및 채팅방법 - Google Patents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 및 채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915B1
KR100620915B1 KR1020020036841A KR20020036841A KR100620915B1 KR 100620915 B1 KR100620915 B1 KR 100620915B1 KR 1020020036841 A KR1020020036841 A KR 1020020036841A KR 20020036841 A KR20020036841 A KR 20020036841A KR 100620915 B1 KR100620915 B1 KR 100620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ipant
chat
participants
public
priv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1584A (ko
Inventor
김종경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6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9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0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 및 채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리스트 관리부는 참여자가 일반 참여자인지, 공개 참여자인지, 비공개 참여자인지를 판단하여 등록하고, 비디오 관리부는 접속된 일반 참여자 터미널로부터 채팅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오디오 관리부는 접속된 일반 참여자 터미널로부터 채팅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텍스트 관리부는 접속된 일반 참여자 터미널로부터 채팅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대화방의 참여자들은 비공개 참여자의 참여 여부를 알 수 없게 되고, 공개 참여자는 참여 여부를 알 수 있고 텍스트 채팅만 할 수 있다.
채팅, 공개, 비공개, 비디오, 오디오, 인터넷

Description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 및 채팅 방법{Chatting System and Method having Secret Attendance Func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팅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참여자 터미널, 공개 참여자 터미널, 또는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에 표시되는 채팅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채팅 서버와 참여자 터미널간의 데이터 전송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채팅 서버의 동작을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채팅 서버 110 : 비디오 관리부
120 : 오디오 관리부 130 : 텍스트 관리부
140 :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 150 : 서버 관리부
160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70 : 인터넷 관리부
300 : 일반 참여자 터미널 400 : 공개 참여자 터미널
500 :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
본 발명은 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대화방의 참여자를 일반 참여자, 공개 참여자, 비공개 참여자로 구분시킴으로써, 비공개 참여자는 대화의 진행만을 방청할 수 있고, 비공개 참여자의 참여 여부는 모든 참여자가 알 수 없도록 하여 다양한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채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컴퓨터 통신이 발달하게 됨에 따라 다양한 커뮤니티(Community)가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것의 한가지로 이른바 채팅(Chatting)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채팅은 단순히 문자만을 교환하는 것으로부터 비디오, 음성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화상 채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상기 종래의 채팅은 채팅을 하고자 하는 참여자가 대화방에 참여하고자 하면 대화방 참여 의사를 나타내고, 대화방의 방장(진행자)은 참여자를 대화방에서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대화에 참여할 수 없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일반 채팅(텍스트 위주의 채팅)은 일반적으로 최대 10 내지 50명까지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화상 채팅의 경우에는 참여 인원수가 한정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일반 채팅에 비하여 1/4 내지 1/5 정도가 된다. 즉, 화상 채팅의 경우에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크기가 텍스트 데이터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상 채팅에서 참여자 수를 늘이게 되면 모니터에 다수의 참여자를 표시시켜야 하기 때문에 화질이 저하되게 되고 채팅 속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비 디오 창의 크기를 줄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채팅에서는 채팅에 참여할 수 있는 정원이 10인으로 설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원을 채운 대화방일수록 인기있고 재미있는 방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채팅에 참여하고자 대기실에서 대기하는 가입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고 종래의 채팅에서는 대화방에 바로 참여하거나 대기실에서 대기중에 참여하게 되면 대화의 내용(또는 흐름)을 즉시 알 수 없기 때문에 대화에 바로 참여할 수 없게 되어, 방장에 의해 이른바 "강퇴"를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화방의 진행자의 입장에서 보면 채팅을 하지 않고 대화방을 들락거리는 가입자가 있게 되면 대화방의 분위기가 어수선하게 되고 흐름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대화방의 참여자를 일반 모드, 공개 모드, 및 비공개 모드로 구분시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화방이 공개 모드로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된 경우에는 일반 모드의 채팅 데이터를 공개 모드의 참여자에게 전송하고, 대화방이 비공개 모드로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된 경우에는 일반 모드의 채팅 데이터를 비공개 모드의 참여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참여자간의 비디오, 오디오, 및 텍스트 채팅을 제어하는 채팅 서버에 있어서, 접속된 참여자가 일반 참여자인지, 공개 참여자인지, 비공개 참여자인지를 판단하여 등록하는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와; 상기 접속된 일반 참여자 터미널로부터 채팅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비디오 관리부; 상기 접속된 일반 참여자 터미널로부터 채팅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오디오 관리부; 및 상기 접속된 일반 참여자 터미널 및 공개 참여자 터미널로부터 채팅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텍스트 관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참여자간의 비디오, 오디오, 및 텍스트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팅 방법에 있어서, 접속된 참여자로부터 대화방과 채팅 모드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대화방과 채팅 모드를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입력된 참여자의 채팅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에는 참여자의 터미널로부터 채팅 데이터를 입력받고 일반 모드 참여자간에 채팅 데이터를 전송시키는 단계; 상기 대화방과 채팅 모드를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입력된 참여자의 채팅 모드가 공개 모드이고, 대화방이 공개 모드를 허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채팅 데이터를 전송시키는 단계로부터의 채팅 데이터를 공개 모드로 접속된 참여자 터미널로 전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대화방과 채팅 모드를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입력된 참여자의 채팅 모드가 비공개 모드이고, 대화방이 비공개 모드를 허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채팅 데이터를 전송시키는 단계로부 터의 채팅 데이터를 비공개 모드로 접속된 참여자 터미널로 전송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참여자간의 비디오, 오디오, 및 텍스트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팅 방법에 있어서, 접속된 참여자로부터 대화방과 채팅 모드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대화방과 채팅 모드를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입력된 참여자의 채팅 모드가 일반 모드인 경우에는 참여자의 터미널로부터 채팅 데이터를 입력받고 일반 모드 참여자간에 채팅 데이터를 전송시키는 단계; 상기 대화방과 채팅 모드를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입력된 참여자의 채팅 모드가 공개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채팅 데이터를 전송시키는 단계로부터의 채팅 데이터를 공개 모드로 접속된 참여자 터미널로 전송시키는 단계; 및 상기 대화방과 채팅 모드를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입력된 참여자의 채팅 모드가 비공개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채팅 데이터를 전송시키는 단계로부터의 채팅 데이터를 비공개 모드로 접속된 참여자 터미널로 전송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0은 채팅 서버, 300은 일반 참여자 터미널, 310은 카메라, 320은 마이크, 400은 공개 참여자 터미널, 500은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의 참여자는 일반 참여자(General Attendance), 공개 참여자(Public Attendance), 및 비공개 참여자(Secret Attendance)로 구분된다. 상기 일반 참여자는 대화방에 참여하여 비디오/오디오/텍스트로 서로 채팅할 수 있는 참여자이다. 그리고 공개 참여자는 대화방에 입장은 할 수 있기 때문에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비디오/오디오를 시청할 수 있고, 텍스트 채팅만 할 수 있는 참여자이다. 이와 같은 공개 참여자는 대화방에 참석한 모든 참여자가 알 수 있도록 참여자 리스트가 공개된다. 한편 비공개 참여자는 상기 공개 참여자처럼 대화방에 입장하여 비디오/오디오/텍스트를 시청할 수 있고, 참여자 리스트가 공개되지 않는 참여자이다. 따라서 비공개 참여자의 대화방 참여여부는 일반 참여자, 공개 참여자, 및 비공개 참여자 모두에게 공개되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팅 서버(100)는 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참여자 터미널(300), 공개 참여자 터미널(400), 및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500)과 접속된다. 상기 참여자 터미널(300)과 공개 참여자 터미널(400) 및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500)은 예컨대 펜티엄 컴퓨터(Pentium Computer), 노트북(Notebook Computer)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일반 참여자 터미널(300)에는 참여자의 영상이 입력되도록 카메라(310)가 접속되고, 음성이 입력되도록 마이크(320)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공개 참여자 터미널(400)과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500)에도 카메라와 마이크가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팅 서버(100)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다수의 참여자들이 대화방을 개설하고, 개설된 대화방내에서 자유롭게 채팅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따라 서 채팅 서버(100)는 다수의 참여자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받고, 참여자가 참여하고 있는 대화방의 참여자의 터미널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팅 서버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10은 비디오 관리부(Video Control System), 120은 오디오 관리부(Audio Control System), 130은 텍스트 관리부(Text Control System), 140은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Attendance List Control System), 150은 서버 관리부(Server Control System), 160은 데이터베이스 관리부(Database Management System), 170은 네트워크 관리부(Network Control System)를 나타낸다.
먼저,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는 채팅 서버(100)에 개설된 각각의 대화방에 참여한 일반, 공개, 및 비공개 참여자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고, 각각의 참여자가 일반 참여자인지, 공개 참여자인지, 또는 비공개 참여자인지에 대한 정보를 비디오 관리부(110), 오디오 관리부(120), 및 텍스트 관리부(130)로 전송시킨다.
그리고 비디오 관리부(110)는 일반 참여자 터미널(30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가 각각의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즉, 비디오 관리부(110)는 상기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로부터 수신된 참여자에 대한 정보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를 해당되는 대화방의 참여자에게 전송시킨다. 이때, 비디오 관리부(110)는 일반 참여자의 터미널(300)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공개 참여자 터미널(400) 또는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500)로부터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관리부(110)는 일반 참여자 터미널(300) 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대화방에 참석한 모든 참여자(일반, 공개, 및 비공개)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임의의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공개 참여자와 비공개 참여자는 일반 참여자간에 이루어지는 비디오 채팅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관리부(120)는 일반 참여자 터미널(3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가 각각의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즉, 오디오 관리부(120)는 상기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로부터 수신된 참여자에 대한 정보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해당되는 대화방의 참여자에게 전송시킨다. 이때, 오디오 관리부(120)는 일반 참여자의 터미널(3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공개 참여자 터미널(400) 또는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500)로부터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관리부(120)는 일반 참여자 터미널(30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대화방에 참석한 모든 참여자(일반, 공개, 및 비공개)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임의의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공개 참여자와 비공개 참여자는 일반 참여자간에 이루어지는 오디오 채팅을 청취할 수 있다.
이어서 텍스트 관리부(130)는 일반 참여자 터미널(300) 및 공개 참여자 터미널(400)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채팅 데이터)가 각각의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즉, 텍스트 관리부(130)는 상기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로부터 수신된 참여자에 대한 정보에 따라 텍스트 데이터를 해당되는 대화방의 참여자에게 전송시킨다. 이때, 텍스트 관리부(130)는 일반 참여자의 터미널(300)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공개 참여자 터미널(400) 또는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500)로부터는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텍스트 관리부(130)는 일반 참여자 터미널(300) 및 공개 참여자 터미널(400)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대화방에 참석한 모든 참여자(일반, 공개, 및 비공개)에게 전송한다. 따라서 임의의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공개 참여자와 비공개 참여자는 일반 참여자간에 이루어지는 텍스트 채팅을 시청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60)에는 가입자정보와 채팅정보, 채팅에 제공되는 아이템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반 참여자 터미널(300), 공개 참여자 터미널(400), 또는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500)에 표시되는 채팅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710a 내지 710n은 참여자 비디오 채팅 창, 720은 텍스트 채팅 창, 730은 일반 참여자 리스트 창, 740은 공개 참여자 리스트 창, 750은 오디오 콘트롤 창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참여자(일반, 공개, 비공개) 터미널의 화면에는 채팅을 하고 있는 참여자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화상의 비디오 채팅 창(710a∼710n)이 표시된다. 따라서 대화방의 참여자는 채팅을 하고 있는 참여자의 화상을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채팅 창의 수를 예컨대 10개로 구성하였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화면의 좌측 하단의 텍스트 채팅 창(720)에는 대화방의 일반 참여자 간에 이루어지는 텍스트 채팅의 내용이 표시된다. 그리고 채팅 화면의 우측 중간의 일반 참여자 리스트 창(730)에는 대화방에 참여한 일반 참여자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한편, 상기 일반 참여자 리스트 창(730)의 아래의 공개 참여자 리스트 창(740)에는 대화방에 참여한 공개 참여자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그러나 채팅 화면에는 비공개 참여자의 리스트는 표시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채팅 화면의 우측 하단의 오디오 콘트롤 창(750)에는 음성 채팅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콘트롤 단추(또는 버튼)가 표시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채팅 서버(100)와 참여자 터미널(300∼500)간의 데이터 전송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10은 비디오 관리부, 120은 오디오 관리부, 130은 텍스트 관리부, 140은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 171a는 일반 참여자 수신부, 171b는 일반 참여자 송신부, 173a는 공개 참여자 수신부, 173b는 공개 참여자 송신부, 175a는 비공개 참여자 수신부, 175b는 비공개 참여자 송신부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일반 참여자 수신부(171a)는 일반 참여자 터미널(300)로부터 비디오 채팅 데이터(a), 오디오 채팅 데이터(v), 텍스트 채팅 데이터(t), 일반 참여자 식별정보(ga)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일반 참여자 수신부(171a)는 일반 참여자 터미널(300)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채팅 데이터(a)는 비디오 관리부(110)로 전송하고, 오디오 채팅 데이터(v)는 오디오 관리부(120)로 전송하고, 텍스트 채팅 데이터(t)는 텍스트 관리부(130)로 전송하고, 일반 참여자 식별정보(ga)는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로 전송한다.
한편, 공개 참여자 수신부(173a)는 공개 참여자 터미널(400)로부터 공개 참여자 식별정보(pa)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공개 참여자 수신부(173a)는 공개 참여자 터미널(400)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채팅 데이터(t)는 텍스트 관리부(130)로 전 송하고, 공개 참여자 식별정보(pa)를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로 전송한다. 또한, 비공개 참여자 수신부(175a)는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500)로부터 비공개 참여자 식별정보(sa)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비공개 참여자 수신부(175a)는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500)로부터 수신된 비공개 참여자 식별정보(sa)를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로 전송한다.
계속해서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는 상기 일반 참여자 수신부(171a)로부터의 일반 참여자 식별정보(ga), 공개 참여자 수신부(173a)로부터의 공개 참여자 식별정보(pa), 비공개 참여자 수신부(175a)로부터의 비공개 참여자 식별정보(pa)를 수신한다. 그리고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는 상기 수신된 참여자 식별정보에 따라 각각의 참여자에 대한 제어신호를 비디오 관리부(110)와 오디오 관리부(120) 및 텍스트 관리부(130)로 전송한다. 또한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는 상기 일반 참여자 수신부(171a)로부터 수신된 일반 참여자 식별정보(ga)와 공개 참여자 수신부(173a)로부터 수신된 공개 참여자 식별정보(pa)에 기초하여 각각의 참여자의 사용자ID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일반 참여자 송신부(171b), 공개 참여자 송신부(173b), 비공개 참여자 송신부(175b)로 전송한다.
상기 비디오 관리부(110)는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로부터의 참여자에 대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일반 참여자 수신부(171a)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채팅 데이터(v)를 일반 참여자 송신부(171b)와 공개 참여자 송신부(173b) 및 비공개 참여자 송신부(175b)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오디오 관리부(120)는 상기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로부터의 참여자에 대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일반 참여자 수신부(171a)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채팅 데이터(a)를 일반 참여자 송신부(171b)와 공개 참여자 송신부(173b) 및 비공개 참여자 송신부(175b)로 전송한다. 또한 텍스트 관리부(130)는 상기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로부터의 참여자에 대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일반 참여자 수신부(171a)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채팅 데이터(t)를 일반 참여자 송신부(171b)와 공개 참여자 송신부(173b) 및 비공개 참여자 송신부(175b)로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일반 참여자 송신부(171b)는 각각의 대화방에 참여하고 있는 일반 참여자 터미널(300)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일반 참여자 및 공개 참여자 ID를 전송한다. 즉, 상기 일반 참여자 송신부(171b)는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140)로부터의 일반 참여자 및 공개 참여자의 ID를 대화방의 일반 참여자 터미널로 전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일반 참여자 송신부(171b)는 비디오 전송 관리부(110)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전송 관리부(120)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 텍스트 관리부(130)로부터의 텍스트 데이터를 대화방의 일반 참여자 터미널로 전송시킨다. 마찬가지로 공개 참여자 송신부(173b)와 비공개 참여자 송신부(175b)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일반 참여자 및 공개 참여자 ID를 공개 참여자 터미널(400) 및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500)로 전송시킨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채팅 서버(100)의 동작을 상세히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채팅 서버(100)는 개설된 대화방 메뉴를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일반 참여자 터미널(300)과 공개 참여자 터미널(400) 및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500)의 채팅 화면에 표시시킨 후 참여자로 하여금 대화방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참여자는 새로운 대화방을 신설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된 대화방 메뉴에서 참여자가 대화방을 선택하면, 채팅 서버(100)는 선택된 대화방을 인식한다(S110).
이어서, 상기 채팅 서버(100)는 접속된 참여자가 일반 참여자인지, 공개 참여자인지 또는 비공개 참여자인지를 판단한다(S120). 이때 채팅 서버(100)는 참여자가 터미널을 통해 입력시킨 사용자 ID와 패스워드 정보에 기초하여 참여자를 구분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참여자가 선택한 대화방이 공개 참여자 또는 비공개 참여자가 입장할 수 없도록 설정된 경우에 공개 참여자 또는 비공개 참여자는 대화방에 입장이 불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참여자가 선택한 대화방이 공개 참여자 또는 비공개 참여자가 입장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참여자는 일반, 공개 또는 비공개로 모드를 변환시키면서 대화방에 참여할 수 있다. 따라서 대화방에 처음 입장한 참여자는 먼저 공개 참여자 모드로 참여한 후, 대화의 내용이 파악되면 일반 참여자 모드로 변환하여 채팅에 참여할 수 있다.
상기 판단(S120)에서 참여자가 일반 참여자인 경우에 채팅 서버(100)는 대화방내의 참여자간에 비디오/오디오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한 후(S125), 텍스트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160). 따라서 일반 참여자 모드로 대화방에 입장한 참여자간에는 자유로운 채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판단(S120)에서 대화방의 참여자가 공개 또는 비공개 참여자인 경우에는 우선 상기 공개 또는 비공개 참여자의 터미널로 일반 참여자 및 공개 참 여자의 리스트를 전송시킨다(S130). 상기 전송된 일반 참여자 리스트는 채팅 화면의 일반 참여자 리스트 창(730)에 표시되고, 공개 참여자 리스트는 채팅 화면의 공개 참여자 리스트 창(740)에 표시된다. 이어서 채팅 서버(100)는 일반 참여자 간에 이루어지는 비디오/오디오/텍스트 채팅 데이터를 공개 또는 비공개 참여자의 터미널로 전송시킨다(S140).
그러면 상기 전송된 비디오 채팅 데이터는 공개 또는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 채팅 화면의 비디오 채팅 창(710a∼710n)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전송된 오디오 채팅 데이터는 공개 또는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전송된 텍스트 채팅 데이터는 공개 또는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의 채팅 화면의 텍스트 채팅 창(720)에 표시된다. 이어서, 채팅 서버(100)는 참여자가 공개 참여자인지 비공개 참여자인지를 판단하고(S150), 공개 참여자의 경우에는 텍스트 채팅 데이터를 전송시켜 텍스트 채팅을 할 수 있도록 한다(S160).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채팅의 참여자를 다양하게 설정시키고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대화방의 참여자는 비공개 참여자의 참여 여부를 알 수 없게 되고, 공개 참여자는 참여 여부는 알 수 있으나 대화에 참여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화방의 대화에는 참여하지 않고 먼저 관람을 할 수 있어 대화에 참여하기 전에 대화방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 참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채팅 시스템을 통해 회의를 진행하는 경우, 회의를 공개 또는 비공개로 자유롭게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의에 다수의 관계자가 참여할 수 있다.

Claims (24)

  1. 터미널을 통해 인터넷과 접속된 참여자간의 비디오, 오디오, 및 텍스트 채팅을 제어하는 채팅 서버에 있어서,
    접속된 참여자가 일반 참여자인지, 공개 참여자인지, 비공개 참여자인지를 판단하여 등록하고 그 제어신호를 비디오 관리부와 오디오 관리부 및 텍스트 관리부로 전송하며, 접속한 일반 참여자 및 공개 참여자 리스트를 일반 참여자, 공개 참여자, 비공개 참여자로 전송하고, 접속한 비공개 참여자 리스트는 전송하지 않는 참여자 리스트 관리부와;
    상기 접속된 일반 참여자의 터미널로부터 비디오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디오 채팅 데이터를 일반 참여자, 공개 참여자, 및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로 전송시키는 비디오 관리부;
    상기 접속된 일반 참여자의 터미널로부터 오디오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채팅 데이터를 일반 참여자, 공개 참여자, 및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로 전송시키는 오디오 관리부; 및
    상기 접속된 일반 참여자 및 공개참여자의 터미널로부터 텍스트 채팅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텍스트 채팅 데이터를 일반 참여자, 공개 참여자, 및 비공개 참여자 터미널로 전송시키는 텍스트 관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터미널을 통해 인터넷과 접속된 참여자간의 비디오, 오디오, 및 텍스트 채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팅 방법에 있어서,
    접속된 참여자가 일반 참여자인지, 공개 참여자인지, 비공개 참여자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공개참여자 또는 비공개 참여자가 입장이 불가능한 대화방의 경우, 대화방내 일반 참여자간에 비디오/오디오/텍스트 채팅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단계와;
    공개참여자 또는 비공개 참여자가 입장이 가능한 대화방의 경우, 일반 참여자 및 공개 참여자의 리스트를 대화방내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하고, 일반 참여자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오디오/텍스트 채팅 데이터와 공개 참여자로부터 수신되는 텍스트 채팅 데이터를 대화방내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전송된 비디오 채팅 데이터는 모든 참여자의 채팅화면의 비디오 채팅창에 표시하고, 상기 전송된 오디오 채팅 데이터는 모든 참여자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전송된 텍스트 채팅 데이터는 모든 참여자의 채팅화면의 텍스트 채팅창에 표시하는 제4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20036841A 2002-06-28 2002-06-28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 및 채팅방법 KR100620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841A KR100620915B1 (ko) 2002-06-28 2002-06-28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 및 채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841A KR100620915B1 (ko) 2002-06-28 2002-06-28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 및 채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584A KR20040001584A (ko) 2004-01-07
KR100620915B1 true KR100620915B1 (ko) 2006-09-13

Family

ID=3731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841A KR100620915B1 (ko) 2002-06-28 2002-06-28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 및 채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3610A (zh) * 2019-08-14 2019-11-2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聊天室开启视频画面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3610A (zh) * 2019-08-14 2019-11-22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聊天室开启视频画面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584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15436B (zh) 基于主题的即时消息隔离的系统和方法
US7945620B2 (en) Chat tool for concurrently chatting over more than one interrelated chat channels
US8817061B2 (en) Recognition of human gestures by a mobile phone
US885003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among terminal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nnection control program
US7673015B2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processing methods, recording mediums, and programs
US76852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on of instant messaging and teleconferencing via a telephone network
US8139752B2 (en) Voice conference control from an instant messaging session using an automated agent
US8724523B2 (en) Mixed media conferencing
EP1596560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ssenger service capable of changing messenger status information based on a schedule
US20100153858A1 (en) Uniform virtual environments
JP2003528543A (ja) 音声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ング
US20080182546A1 (en) Mobile phone capable of making internet calls,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50094229A (ko) 멀티미디어 채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20080167057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JP2003223407A (ja) コンテンツ共有支援システム、ユーザ端末装置、コンテンツ共有支援サーバ、複数のユーザ間でコンテンツ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620915B1 (ko) 가입자의 비공개 참여 기능을 갖는 채팅 시스템 및 채팅방법
CN105959126A (zh) 语音聊天室中动态背景分享方法及装置
CN101795388A (zh) 楼宇可视对讲方法及系统
EP1470711A1 (fr) Systeme de visioconference pour tele-travail
JP2005173874A (ja) 加入者の非公開参加機能を有するチャットシステム及びチャット方法
JP2021140783A (ja) 仲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95652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ending information in a conversation in a voice based networking website
KR1006375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멀티미디어 채팅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RU2218593C2 (ru) Способ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й в компьютерных сетях
KR1009307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1112

Effective date: 2006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