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740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740B1
KR100930740B1 KR20030004337A KR20030004337A KR100930740B1 KR 100930740 B1 KR100930740 B1 KR 100930740B1 KR 20030004337 A KR20030004337 A KR 20030004337A KR 20030004337 A KR20030004337 A KR 20030004337A KR 100930740 B1 KR100930740 B1 KR 100930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r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0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301A (ko
Inventor
박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20030004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7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74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서비스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대화방 참여자를 지정받아 상기 대화방 참여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달할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기 상의 대화방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단계; 상기 입력받은 메시지를 상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대화방 참여자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이동통신 시스템 상의 문자 서비스 전달 방식에 따라 전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대화방 참여자로부터의 전달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와 함께 상기 대화방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이동전화, 단말기, SMS, 채팅, 대화방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Method for chatting using short messages in mobile phones}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예시도.
도 2a 내지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1 : 음성 메모리
12 : 메모리 13 : 키 입력부
14 : 표시부(LCD), 15 : 고주파(RF) 처리부
16 : 착신음 발생부 17 : 음성 처리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서비스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와 같은 메시지 서비스의 사용자(User) 인터페이스를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서비스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기존의 메시지 기능을 활용하여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크게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전송 서비스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는 채팅 서비스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메시지 전송 서비스는 상기한 SMS이다. 이는 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GSM)의 규격을 따른 양방향 데이터 무선 호출 서비스로, 단말과 단말 간에 최대 150바이트의 크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SMS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네트워크 사이에 문자 및 숫자로 구성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서비스 종류는 짧은 메시지 전송, 긴급 메시지 표시, 날짜·시간 기록, 메시지 인식 등이 있다.
이와 같은 SMS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편화와 맞물려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간에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됨으로 해서 그 이용이 일상화되고 있다. 특히, 오늘날에는 SMS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가장 큰 활용도였던 음성 통화에 어깨를 견줄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한 상태이다.
이러한, SMS는 그 보편화와 더불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어 왔다. 예를 들어, "DHL" 등에서의 배송 결과 서비스와 같이 SMS를 통해 고객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뉴스, 광고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주)옴니텔'에서 출원한 '이동 단말기와 연계한 인터넷 채팅 서비스 제공방법(출원번호 : 1019990057022)"과 같이 기존에 서비스를 보조하는 역할로서 SMS가 활용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종래의 SMS를 통해서 다수의 대상자들과 메시지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여러 절차와 반복된 조작으로 인해 그 활용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래에는 SMS의 동보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다수의 상대방에게 문자 메시지를 동시에 송신할 수는 있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미리 그룹 설정을 해두거나 SMS를 통한 메시지 전송시에 다수의 번호를 입력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한번의 메시지 동보 전송을 위해서는 여러 번의 반복된 키 작업을 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시지를 동보 전송한 사용자가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다시 해당 그룹에 메시지를 재전송해야 하는 경우에는 메시지 수신 확인을 한 후, 메시지 발신을 하는 과정을 처음부터 반복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불필요한 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는 채팅 서비스 측면에서 종래의 기술과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채팅에 대해 살펴보면, 채팅은 같은 시간에 인터넷에 접속해 있는 다 른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다. 여기서 "이야기를 나눈다"는 것은 메시지 저장소 역할을 하는 사이트(흔히 챗 사이트라고 한다)를 매개로 해서, 인터넷 상의 각기 다른 사이트(어디에서라도 상관없다)에서 채팅에 참가하고 있는 사용자 간에 키보드로 입력한 메시지를 서로 교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채팅은 그룹 채팅에서 처음 만났던 두 사람간에 비밀스런 대화를 할 수 있도록 개인방을 만들 수도 있지만, 누구라도 참가할 수 있도록 공개된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또, 진행 시간에 제한을 두지 않고 계속되게 할 수도 있고, 특정한 시간에만 개설되거나 개설된 대화방의 지속시간을 미리 정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대화는 특정한 흥미위주의 주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문가나 유명인사 등이 손님으로 초청되어 참가한 사람들과 격의없는 직접 대화를 나누는 일도 있다.
채팅은 '천리안', '하이텔' 등 온라인 서비스 업체에 의해 오랫동안 운영되어 왔지만(이 경우에는 같은 서비스를 받고 있는 회원끼리만 채팅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웹사이트를 통한 인터넷 채팅도 많이 생겼다. '토크시티' 등과 같은 인터넷 채팅 사이트들은 아이알씨(IRC : Internet Relay Chat)라고 부르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 채팅을 구현한다.
채팅은 속도가 빠른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고 적절한 프로그램만 구비되어 있다면, 소리나 영상을 이용하여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채팅 서비스는 기존에 주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개인용 컴퓨터간에 이루어졌으며,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한 서버에서 사용자의 접속을 받아 이루어졌다.
특히, 특정한 서버가 채팅 서비스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는 것은, 종래에 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채팅서비스에서도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용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한국, 출원번호 1020000025828)', '이동통신 시스템의 멀티 채팅 서비스 방법(한국, 출원번호 1019990064473)', 상기한 '이동단말기와 연계한 인터넷 채팅 서비스 제공방법' 및 '통신기기를 이용한 채팅 서비스 제공방법(한국, 출원번호 1019990046809)' 등에서도 특정한 채팅 서버를 주체로 하여 사용자에게 채팅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채팅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특정한 서버에 접속해야 할 뿐만 아니라, 채팅 대상자들도 모두 상기한 특정 서버에 동시에 접속해야 하므로, 비용 뿐만 아니라 절차상에 있어서도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채팅 대상자들이 불특정한 경우가 아니라 이전부터 상호 교류가 있었던 경우에는 더더욱 이런 특정 서버로의 접속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채팅 서비스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의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채팅 방법(한국, 출원번호 1020010017635)이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문자 채팅모드로 단말기가 전환하고 특정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문자채팅을 요구 신호를 발송하여 상대 단말기의 문자채팅 응답신호를 받아 문자채팅을 하도록 하고, 문자채팅 해지신호를 통해 문자채팅을 종료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다른 단말기 사용자와 문자채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신 뿐만 아니라 상대방이 가지는 단말기가 이러한 문자채팅에 관련한 데이터를 구비해야 하고, 이러한 문자채팅을 위해 문자채팅 요구신호, 문자채팅 응답신호 등의 특정 신호에 대한 규약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자채팅에 해당하는 문자채팅 데이터 포맷을 가져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문자채팅 모드를 형성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차원에서의 처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문자채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문자채팅을 요구한 후 상대방이 응답할 때까지 요청자는 대기하여야 하므로 요청자 입장에서는 문자 채팅을 위해 사전에 메시지를 날리거나 전화를 걸어 확인해 두지 않는 한 막연한 기다림을 가져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정리하면, 기존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채팅은 그전까지 유선 통신망에서 이루어지던 채팅 방식을 답습하고 있어 실용적인 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메시지 서비스는 사용자가 여러 메시지를 발송해야 하는 경우에 똑같은 반복 작업을 계속 처리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SMS 와 같은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송수신을 별도로 지정된 하나의 화면에서 처리함으로써 1인 또는 다수의 대화 상대와 편리하게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 서비스 기능을 이용한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메시지 전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대화방 참여자를 지정받아 상기 대화방 참여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달할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기 상의 대화방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단계; 상기 입력받은 메시지를 상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대화방 참여자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이동통신 시스템 상의 문자 서비스 전달 방식에 따라 전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대화방 참여자로부터의 전달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와 함께 상기 대화방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화방 참여자를 지정하여 다수의 인원에게 동시에 메시지를 전송하며, 참여자로 지정된 번호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대화방 화면으로 처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채팅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SMS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선하여 대화방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 음성 메모리(11), 메모리(12), 키 입력부(13), 표시부(LCD, 14), 고주파(RF) 처리부(15), 착신음 발생부(16) 및 음성 처리부(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본 발명이 반드시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을 뿐이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다.
도 2a 내지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대화방 참여자의 번호를 설정해 두고 대화방 창에서 메시지를 작성/송신하면 참여자에게 동시에 메시지가 전달하며, 대화방 참여자에 입력된 번호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대화방 창에 이를 표시하는 것이다.
도 2a와 도 2b는 메뉴화면을 나타낸다.
도 2a에 나타나는 메뉴 화면을 통하여 저장해둔 대화 그룹을 불러오거나 신규 대화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나타나는 '신규 채팅방 추가'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메시지를 주고받을 상대방들을 그룹으로 묶어 지정한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 채팅방 열기'는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채팅 대상 그룹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한 것처럼 상대방들의 단말기 식별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이는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 자신의 단말기에 지정된 특정 번호가 될 수도 있고 그 외에 상대방을 식별할 수 있는 번호도 가능하다.
도 2b 에서는 도 2a를 통해 채팅방에 들어간 경우로, 도면에 나타난 봐와 같이 대화 상대를 추가할 수도 있고, '채팅 시작하기'를 통해 대화방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
도 2c 는 대화방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대화방 화면을 이용하여 입력줄에 메시지를 작성하고 전송을 누르면 대화상대로 설정되어 있는 식별번호로 메시지를 동시에 송신하며, 대화상대로 설정되어 있는 번호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도 2c와 같은 대화창에 출력하여 별도의 키조작없이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대화방을 이용하고 있던 도중에 전화가 오는 경우에는 현재 상태의 대화상대와 대화 내용을 저장하여 통화 종료 후 다시 이전 대화상태를 복구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의 채팅 서비스 요청을 받는다(301). 그러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채팅 메뉴를 제공한다(302). 여기서의 채팅 메뉴는 상기한 도 2a 처럼 구성될 수 있다.
제공된 채팅 메뉴를 확인한 사용자의 선택을 받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이 무엇인지를 점검한다(303).
점검 결과, 사용자가 신규 채팅방을 추가하는 것을 선택하였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대화 상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입력화면을 제공한다(304).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대화 상대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305). 이때, 입력된 대화 상대의 전화번호를 모두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중복 입력을 피하도록 한다. 물론, 화면에 기 입력된 대화 상대의 전화번호를 표시할 수 없을 경우에는 별도의 메뉴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요청 시에 기입력된 전화번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대화 상대의 전화번호 입력이 끝났음을 확인받은 후에, 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대화 상대로 하는 채팅방 메뉴를 제공한다(306).
제공된 채팅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받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의 선택이 무엇인지를 점검한 결과, 채팅 서비스의 취소를 선택하였으면 채팅 서비스를 종료한다. 점검 결과, 기존 채팅방 열기를 선택하였으면,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채팅방을 안내하여, 사용자로부터 기존의 채팅방을 선택받고(310), 선택된 기존의 채팅방에 기 입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대화 상대로 하는 채팅방 메뉴를 제공한다(306).
여기서, 채팅방 메뉴는 상기한 도 2b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채팅방 메뉴를 제공받은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어떤 메뉴를 선택하였는지를 확인한다(307).
확인 결과, 사용자가 취소를 선택하였으면, 채팅방 메뉴에서 빠져나와 이전에 제공되었던 채팅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302)부터 반복 수행한다. 물론, 이전 메뉴로 돌아가는 것이 아닌 채팅 서비스를 종료하는 선택을 사용자가 할 수도 있다.
채팅방 메뉴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을 확인한 결과, 대화 상대 추가를 선택하였으면, 대화 상대에 대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304)부터 반복 수행한다.
채팅방 메뉴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을 확인한 결과, 채팅 시작을 선택하였으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화방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308),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대화방에 등록된 대상자들에게 발송하고, 등록 대상자들로부터의 수신 메시지를 대화방 화면에 제공한다(309).
물론, 이후에 사용자가 대화방에서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것처럼 이전 메뉴로 돌아가는 경우와 단말기에서의 채팅 서비스를 종료하는 경우가 모두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채팅 서비스에 있어서 대화방 기능 중 통화 착신되는 경우 등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이벤트가 발생할 때, 현재의 대화 그룹과 대화 내용을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벤트가 종료된 후에 저장된 현재의 대화 그룹과 대화 내용 등의 채팅 정보를 다시 제공한다.
물론, 이러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무조건 현재의 채팅 서비스를 중단하고 해당 이벤트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이벤트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해당 이벤트에 따른 서비스를 사용자가 받기를 선택한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현재의 채팅 내역을 저장하고, 해당 이벤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SMS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바꾸어 줌으로써 단말기 사용자에게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는 것으로, 메시지를 빈번히 주고 받는 사용자의 사용 편이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채팅창을 통해 채팅을 하던 중에 전화가 걸려오면 대화 그룹과 채팅 내용을 저장하고 전화가 끝난 후에 다시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채팅 서비스와 전화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대화방 참여자를 지정받아 상기 대화방 참여자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전달할 메시지를 입력받아 상기 단말기 상의 대화방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단계;
    상기 입력받은 메시지를 상기 지정받은 상기 대화방 참여자의 식별정보를 가지고 이동통신 시스템 상의 문자 서비스 전달 방식에 따라 전달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대화방 참여자로부터의 전달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의 발신자 정보와 함께 상기 대화방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의 채팅 서비스 요청에 따라 상기 대화방 참여자의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대화방 참여자에 대한 식별정보가 있는 채팅방 정보를 저장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 상의 메시지 전달 방식은,
    실질적으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방 참여자의 식별정보는,
    실질적으로 상기 대화방 참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채팅 서비스의 제공 도중에 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하고 제공중인 채팅 서비스 내역을 저장하는 제 6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채팅 서비스를 중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서비스 종료를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는 상기 채팅 서비스 내역을 바탕으로 이전의 상기 채팅 서비스로 복귀 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8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채팅 서비스의 제공 도중에 이벤트의 발생을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특정 이벤트의 발생을 안내하는 제 6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이벤트 수용 응답에 따라 제공중인 상기 채팅 서비스의 내역을 저장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서비스의 종료를 확인하고 저장되어 있는 상기 채팅 서비스 내역을 바탕으로 이전의 상기 채팅 서비스로 복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8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KR20030004337A 2003-01-22 2003-01-2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KR100930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4337A KR100930740B1 (ko) 2003-01-22 2003-01-2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4337A KR100930740B1 (ko) 2003-01-22 2003-01-2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301A KR20040067301A (ko) 2004-07-30
KR100930740B1 true KR100930740B1 (ko) 2009-12-09

Family

ID=3735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4337A KR100930740B1 (ko) 2003-01-22 2003-01-2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7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91B1 (ko) * 2005-10-31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706985B1 (ko) * 2006-01-03 2007-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서 로그오프 이동통신 단말기와로그온 이동통신 단말기 상호 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0746943B1 (ko) * 2006-02-06 2007-08-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문자 채팅 기능을 지원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문자 채팅 서비스 방법
KR101022792B1 (ko) * 2008-12-10 2011-03-18 박지영 문자 대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문자 대화 서비스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635A (ko) * 1999-06-24 2001-01-15 윤종용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방법
KR20020076351A (ko) * 2001-03-28 2002-10-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실시간 양방향 문자통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78508A (ko) * 2001-04-03 200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채팅 방법
KR20030009000A (ko) * 2001-07-21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문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635A (ko) * 1999-06-24 2001-01-15 윤종용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방법
KR20020076351A (ko) * 2001-03-28 2002-10-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실시간 양방향 문자통화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78508A (ko) * 2001-04-03 2002-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채팅 방법
KR20030009000A (ko) * 2001-07-21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문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301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031B2 (en) Message exchange handling concept
CN101088273B (zh) 用于启动会议呼叫的系统和方法
CN100359909C (zh) 用于呼叫应答的方法和系统
JP4555537B2 (ja) チャットメッセージ通信装置及びその方法
US7756540B2 (en) Public dispatch chatroom
US6950501B1 (en) Internet-based message translation for the hearing and speech impaired
US200702769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viting non-rich media endpoints to join a conference sidebar session
JP3944528B2 (ja) 電話によるグループ通話方法及びグループ通話システム
EP1596560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ssenger service capable of changing messenger status information based on a schedule
US20070019797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erforming a context-based call action in response to an incoming call indication
US20050015495A1 (en) Application server component that notifies one or more communication devices of one or more invitations to join communication session
US6950500B1 (en) Internet-based and network-based relay center access for the hearing and speech impaired
KR100455864B1 (ko) 발신자 확인을 위한 캐릭터 및 문자 전송 서비스 시스템
GB2384941A (en) Character message transmission during telephone calls over PSTN
KR1009307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전달 기능을 이용한 채팅 방법
KR101112707B1 (ko) 컨퍼런스 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7094151A1 (ja) 電話中継装置、電話中継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544036B1 (ko) 인터넷 영상전화기의 단문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EP1921833B1 (e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elephone book lis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KR10097226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자간 통화 방법
KR100793027B1 (ko) 단문메시지 전송방식을 이용한 통화중 타인 전화번호제공방법
KR100563964B1 (ko) 피디에이(pda)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다자간 통화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22162B1 (ko) 대화형 문자메시지서비스에 기반한 채팅서버를 이용한 채팅시스템 및 그 방법
JP4377607B2 (ja) Ip電話システム及びその電話会議自動生成方法
US763642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two or more persons by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