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419B1 -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419B1
KR100620419B1 KR1020040085223A KR20040085223A KR100620419B1 KR 100620419 B1 KR100620419 B1 KR 100620419B1 KR 1020040085223 A KR1020040085223 A KR 1020040085223A KR 20040085223 A KR20040085223 A KR 20040085223A KR 100620419 B1 KR100620419 B1 KR 100620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plastic bag
shiitake
opening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6181A (ko
Inventor
정의용
Original Assignee
정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의용 filed Critical 정의용
Priority to KR102004008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41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6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8Cultivation bott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고버섯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배지에 표고 균을 용이하게 접종시킬 수 있으며 재배 과정을 간편화할 수 있는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은 혼합기에 톱밥과 미강 등의 영양제를 일정 비율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기에 투입된 배지 재료를 스크류를 통해 교반기로 공급하고 공급된 배지 재료에 물을 넣어 수분이 고르게 흡수되도록 교반하여 배지를 조제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기에서 조제된 배지를 버켓 컨베이어를 통해 배지 입봉기로 공급하고, 공급된 배지를 상부가 개방된 비닐봉지에 충진시키는 단계와; 배지가 충진된 상기 비닐봉지의 상부에 비닐봉지 내부와 외부가 상호 통기되고 표고 균을 접종하는 구멍의 역할을 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개구부가 형성된 비닐봉지들을 상자에 넣고 다수의 상자가 적층된 바트를 살균기에 넣어 비닐봉지 내부에 충진된 배지를 살균 처리하는 단계와; 살균 처리된 비닐봉지의 배지를 일정 온도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비닐봉지를 접종실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접종실에서 이송된 비닐봉지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있는 솜을 뺀 다음, 상기 배지의 상부에 표고 균을 접종하고 빼낸 솜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를 막아주는 접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지, 표고버섯, 접종

Description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ltivation container where the fungus is inocula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를 제조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재배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재배용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닐봉지
11 : 개구부
2 : 배지
3 : 캡
31 : 원통링체
32 : 확장링체
4 : 솜
100 : 혼합기
200 : 교반기
300 : 배지 입봉기
400 : 살균실
500 : 접종실
본 발명은 표고버섯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배지에 표고 균을 용이하게 접종시킬 수 있으며 재배 과정을 간편화할 수 있는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버섯은 그 독특한 향미로 널리 식용되거나 또는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근래에는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버섯의 영양가와 약용 가치가 점차 밝혀짐에 따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버섯의 순수 배양 종균을 대량 생산하여 원목 또는 배지를 이용하여 양송이, 표고, 느타리 등의 식용버섯을 인공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버섯들 중 표고버섯에 관한 것으로, 톱밥과 미강 등이 혼합 제조된 배지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표고버섯을 재배하는데 관련된 것이다.
현재 표고버섯 재배에 쓰이는 용기로는 병과 봉지가 사용되는데, 봉지를 이 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표고버섯 재배용기를 제조한다.
먼저 봉지에 일정량의 배지를 넣은 후 별도의 밀봉수단으로 밀봉한 다음, 살균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봉을 이용하여 밀봉된 봉지의 일부분에 개구부멍을 만든 후, 표고 균을 내부에 채워진 배지에 접종한 다음, 외부로부터 잡균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다시 접종 구멍의 역할을 하는 개구부(11)를 밀봉 처리한다.
이에 따라 배지에 접종된 표고 균은 다른 버섯 균들과는 달리 2번의 배양과정을 거치는데, 1차 배양이 완료되면 배지 표면이 융기되며, 내부는 흑갈색에서 밝은 갈색으로 변하게 되며 이러한 갈변은 배지의 상부에서부터 진행되어 표고버섯이 발아·생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봉지 형태의 버섯재배 용기를 이용하여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경우, 갈변화에 따른 배지의 분해로 인해 봉지와 배지 사이에 물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봉지 내부에 채워진 배지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일정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봉으로 1차 배양이 완료된 비닐봉지에 다수의 배수 구멍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만들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이에 따른 인건비 및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지에 표고 균을 용이하게 접종시킬 수 있으며 재배 과정을 간편화할 수 있는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잡균이 용기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용 기 내부와 외부 간에 공기 및 수분이 통과되도록 하여 표고 균의 생장이나 버섯 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는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은 혼합기에 톱밥과 미강 등의 영양제를 일정 비율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기에 투입된 배지 재료를 스크류를 통해 교반기로 공급하고 공급된 배지 재료에 물을 넣어 수분이 고르게 흡수되도록 교반하여 배지를 조제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기에서 조제된 배지를 버켓 컨베이어를 통해 배지 입봉기로 공급하고, 공급된 배지를 상부가 개방된 비닐봉지에 충진시키는 단계와; 배지가 충진된 상기 비닐봉지의 상부에 비닐봉지 내부와 외부가 상호 통기되고 표고 균을 접종하는 구멍의 역할을 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개구부가 형성된 비닐봉지들을 상자에 넣고 다수의 상자가 적층된 바트를 살균기에 넣어 비닐봉지 내부에 충진된 배지를 살균 처리하는 단계와; 살균 처리된 비닐봉지의 배지를 일정 온도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비닐봉지를 접종실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접종실에서 이송된 비닐봉지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있는 솜을 뺀 다음, 상기 배지의 상부에 표고 균을 접종하고 빼낸 솜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를 막아주는 접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이하, 편의상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이라 한다)은 배지가 충진되는 비닐봉지의 상부에 외부와 공기가 통기되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접종을 위한 구멍을 천공할 필요 없이 개구부에 삽입되어 있는 솜을 빼낸 후 표고 균을 배지에 접종한 다음에 빼낸 솜으로 개구부를 막아줌으로써, 종래 재배용기에서의 표고 균을 접종시키는 방식에 비하여 보다 간편하게 접종시킬 수 있다.
특히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을 통해 생산된 재배용기에 접종되어 있는 표고 균을 배양시키는 경우, 배양 시 배지의 분해로 발생되는 열이 개구부의 역할을 하는 구멍를 통해 외부로 자연 배기됨에 따라 비닐봉지와 배지 사이에 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을 통해 생산되는 재배용기는 종래의 재배용기와는 달리 비닐봉지에 수작업으로 일일이 배수 구멍을 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표고 균을 배양시키는 경우 천공 작업에 따른 번거로움과 이 작업에 수반되는 인건비가 소요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를 제조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재배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재배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은 재료 투입→배지 조제→입봉→공기 통로 형성→살균→냉각→접종의 과정을 통해 표고 균이 접종된 표고버섯 재배용기를 제조하게 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먼저, 혼합기(100)에 표고 균이 접종되는 배지의 재료를 일정 비율로 투입한다(S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배지로 사용되는 재료로는 톱밥, 미강, 및 면실피 등이 사용되며, 사용되는 각 재료는 78~80% : 15% :5% 비율로 혼합되며, 혼합기(100)에 투입된 재료는 스크류(미도시)를 통해 교반기(200)로 공급된다.
그리고 스크류를 통해 교반기(200)로 공급된 혼합 재료들은 일정 수분이 함유된 배지로 제조된다(S200). 이 때 교반기(200)를 통해 배지를 제조하는 경우 물을 넣어 배지 재료에 수분이 고르게 흡수되도록 교반시켜 일정량의 수분이 함유된 배지를 제조한다.
그 다음 교반기(200)를 통해 제조된 배지는 교반기의 배출구 측 하부에 일측이 구비되고 타측이 후술하게 될 배지 입봉기의 호퍼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버켓 컨베이어(미도시)를 통해 배지 입봉기(300)로 공급된다.
이 때 버켓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여 배지 입봉기(300)에 공급되는 배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지가 저장되는 배지 입봉기의 내측벽에는 버켓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연결되어 있는 수위 센서가 구비되어 이 센서를 통해 배지 입봉기에 저장되는 배지 양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즉 컨트롤러에서 수위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가 버켓 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정지시켜 교반기에서 배지 입봉기로의 배지 공급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지 입봉기에 저장된 배지는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배지 배출구에 끼워지는 비닐봉지에 일정량의 배지를 충진시킨다(S300).
이와 같이 배지 재료가 혼합되는 혼합기(100)와, 배지를 조제하는 교반기(200) 및 비닐봉지에 배지를 입봉하는 배지 입봉기(300)들은 본 건 출원일 이전에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들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비닐봉지에 배지가 충진되면, 작업자는 본 발명의 특징인 비닐봉지의 상부에 공기 통로 역할과 표고 균을 접종을 위한 구멍의 역할을 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한다(S4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S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2)가 충진되지 않은 비닐봉지(1)의 상부가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 관통되도록 원통링 형상의 캡(3)을 삽입 장착하여 비닐봉지(1)의 상부에 개구부(11)를 형성시킨다(S410). 이 때 형성되는 개구부(11)는 캡(3)의 직경에 상응되는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개구부(11)에 공기가 투과되며 외부의 잡균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솜(4)으로 개구부를 막아주는 단계(S4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요부인 개구부(11)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캡(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봉지(1)의 상부가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 삽입되는 원통링체(31)와 이 원통링체(31)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비닐봉지(1)의 상부에 개구부(11)를 형성할 경우에 원통링체(31)의 하단에서 비닐봉지(1)가 찢어지는 것을 방 지하도록 하부가 외부로 확장되게 형성되는 확장링체(3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확장링체(32)는 개구부의 하단인 비닐봉지(1)의 측부 둘레가 밀착되는 내측 원호면(321)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배지가 입봉된 비닐봉지에서 배지가 충진되지 않은 비닐봉지(1)의 상부를 원통링체(31)와 확장링체(32)로 구성된 캡(3)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관통되게 삽입함으로써, 비닐봉지(1)의 상부에 캡의 원통링체(31) 직경에 상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개구부(11)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비닐봉지(1)에 개구부(11)를 형성할 경우, 캡을 구성하는 확장링체(32)가 비닐봉지(1)의 측부 둘레에 밀착됨으로써, 개구부(11) 하단 둘레인 비닐봉지(1)의 측부가 캡(3)의 하단에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배지(2)가 충진되지 않은 비닐봉지(1)의 상부에 캡(3)을 씌운 다음, 캡(3)의 상부로 관통 돌출된 비닐봉지(1)의 상부를 잡아당기게 되면, 배지(2)가 충진되지 않은 비닐봉지(1)의 상부인 측부 둘레가 확장링체의 내측 원호면(321)을 통해 상부로 당겨지게 되므로, 확장링체(32)에 의해 비닐봉지(1)가 찢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지가 충진된 비닐봉지의 상부에 개구부를 형성한 다음 솜으로 개구부를 막아줌으로써, 비닐봉지의 내부와 외부를 통기시키는 개구부(11)가 형성된다.
이 때 비록 개구부가 솜에 의해 막혀 있더라도 솜을 통해 공기가 투과되므로, 개구부를 통해 비닐봉지 내부와 외부 간의 공기가 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 이다. 또한 개구부가 솜으로 막혀 있음에 따라 외부로부터 잡균이 비닐봉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잡균에 의해 배지가 감염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부(11)Y를 형성한 다수의 비닐봉지(1)는 내열성 상자에 각각 담겨지며, 상자는 적층 구조로 제작된 바트에 실려 살균실(400)로 들어가 비닐봉지 내부에 충진된 배지를 살균 처리한다(S5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살균 방법은 살균실 내부 압력을 대기압과 같은 상압 아래에서 100℃로 살균 처리하는 상압살균 방법으로, 비닐봉지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배지를 살균 처리한다. 이 때 살균실(400)로 이송되는 바트는 레일을 통해 이송됨으로써, 작업자는 보다 편리하게 바트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개구부를 막고 있는 솜 및 배지 내에 섞여 있는 잡균을 제거할 수 있게 되며, 배지 내에 있는 성분이 표고 균이 이용하기 쉬운 형태로 변화되고 물리성을 연화(軟化)시켜 표고 균의 균사가 잘 자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살균실(400)에서 살균 처리가 완료되면, 비닐봉지(1)가 담겨진 내열성 상자들이 적층되어 있는 바트를 살균실 밖으로 이송시켜 냉각시키고, 냉각된 비닐봉지를 접종실로 이송시킨다(S6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비닐봉지(1)의 냉각, 즉 비닐봉지 내부에 충진된 배지(2)는 상온에서 자연 냉각시킨다. 이러한 냉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냉동기 등과 같은 냉동 수단을 이용하여 살균 처리로 인해 가열된 비닐봉지를 냉각할 수도 있다. 이 때 접종실(500)로 이송되는 바트는 레일을 통해 이송됨으로써, 작업자는 보다 편리하게 바트를 이송시킬 수 있 게 된다.
이와 같이 자연 냉각을 통해 일정 온도로 냉각된 바트는 접종실(500)로 이송되어 접종실 내부에서 비닐봉지에 충진된 배지에 표고 균을 접종하게 된다(S700).
먼저 작업자는 비닐봉지의 상부에 삽입되어 있는 캡(3)을 통해 형성된 개구부(11)에 삽입되어 있는 솜(4)을 빼낸다. 그리고 살균 처리된 접종 숟갈 또는 접종 봉으로 종균병에서 표고 균을 떼어 개구부(11)를 통해 비닐봉지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배지 상면에 접종시킨다. 그리고 다시 개구부(11)로부터 분리되었던 솜(4)을 이용하여 개구부(11)를 막음으로써 재배용기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재배용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봉지(1)의 상부에 삽입 장착되는 캡(3)을 통해 비닐봉지 내부와 외부를 통기시키는 개구부(11)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11)가 솜에 의해 막힘에 따라 표고 균이 접종되어 있는 배지(2)에 외부 잡균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비닐봉지의 배지(2)에 접종된 표고 균의 배양 시 배지 분해로 발생되는 열 및 균사 생장기에 발생되는 탄산가스 등이 개구부(11)에 삽입되어 있는 솜(4)을 통해 외부로 자연 배기되며, 반대로 개구부의 솜(4)을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배지(2)에 공급되어 표고 균의 발아·생장을 촉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재배용기는 표고 균의 접종 후, 표고 균이 배양되는 과정에서 배지 분해로 발생되는 열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자연 배기됨으로써, 종래 밀봉 방식으로 제작된 재배용기와는 달리 비닐봉지와 배지 사이에 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재배용기를 이용하여 표고 균을 배양하는 경우 발생되는 물을 배수시키기 위하여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배수 구멍을 천공해야 하는 천공 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보다 편리하게 표고버섯을 재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은 비닐봉지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표고 균을 용이하게 접종시킬 수 있다.
특히 표고 균의 배양 시 배지 분해로 발생되는 열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어 배지의 갈변화 시 비닐봉지와 배지 사이에 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종래 재배용기를 이용한 버섯 재배 시 발생되었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해 비닐봉지에 수작업으로 배수 구멍을 천공해야하는 번거로운 작업 과정 없이도 표고버섯을 재배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에 삽입되어 있는 솜을 통해 열 뿐만 아니라 균사 생장기에 발생되는 탄산가스 등이 외부로 배기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개구부의 솜을 통해 배지로 공급됨으로써, 표고 균의 발아·생장을 촉진시켜 양질의 표고버섯을 재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5)

  1. 혼합기에 톱밥과 미강 등의 영양제를 일정 비율로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기에 투입된 배지 재료를 스크류를 통해 교반기로 공급하고 공급된 배지 재료에 물을 넣어 수분이 고르게 흡수되도록 교반하여 배지를 조제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기에서 조제된 배지를 버켓 컨베이어를 통해 배지 입봉기로 공급하고, 공급된 배지를 상부가 개방된 비닐봉지에 충진시키는 단계와;
    배지가 충진된 상기 비닐봉지의 상부에 비닐봉지 내부와 외부가 상호 통기되고 표고 균을 접종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개구부가 형성된 비닐봉지들을 상자에 넣고 다수의 상자가 적층된 바트를 살균기에 넣어 비닐봉지 내부에 충진된 배지를 살균 처리하는 단계와;
    살균 처리된 비닐봉지의 배지를 일정 온도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비닐봉지를 접종실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접종실에서 이송된 비닐봉지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있는 솜을 뺀 다음, 상기 배지의 상부에 표고 균을 접종하고 빼낸 솜을 이용하여 상기 개구부를 막아주는 접종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
    상기 배지가 충진되지 않은 비닐봉지의 상부가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 관통되도록 원통링 형상의 캡을 삽입 장착하여 개구부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개구부에 공기가 투과되며 외부의 잡균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솜으로 상기 개구부를 막아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입봉기의 내부에 구비된 수위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배지 입봉기로 배지를 공급하는 버켓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봉지의 냉각은 상온에서 자연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기 및 접종실로 이송되는 바트는 레일을 통해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040085223A 2004-10-25 2004-10-25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 KR100620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223A KR100620419B1 (ko) 2004-10-25 2004-10-25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223A KR100620419B1 (ko) 2004-10-25 2004-10-25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181A KR20060036181A (ko) 2006-04-28
KR100620419B1 true KR100620419B1 (ko) 2006-09-13

Family

ID=3714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223A KR100620419B1 (ko) 2004-10-25 2004-10-25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38B1 (ko) * 2011-11-29 2013-03-21 안용호 버섯 종균 접종 장치 및 그 방법
CN103004470B (zh) * 2012-12-18 2014-01-15 成都榕珍菌业有限公司 木屑腐熟的工艺
KR101636500B1 (ko) * 2015-09-25 2016-07-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우리올바이오텍 배지생산 자동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181A (ko) 200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18996B (zh) 食用菌固体液化菌种的制作方法
KR100620419B1 (ko) 표고 균이 접종된 재배용기의 제조 방법
CN104718995B (zh) 姬菇固体液化菌种的制作方法
CN202697307U (zh) 银耳栽培瓶
KR101028954B1 (ko) 화분을 이용한 가정용 버섯의 재배방법 및 버섯재배상자
KR101348883B1 (ko)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JP4060773B2 (ja) きのこの人工栽培方法
KR20130112587A (ko) 표고버섯 재배용기 및 표고버섯 재배방법
KR101821502B1 (ko) 버섯 액체 종균 접종방법
JPH1084772A (ja) マンネンタケの栽培方法
CN103190288A (zh) 食用菌立式袋栽提口培育出菇技术
CN102177816B (zh) 一种食用菌种植袋的生长井及安装方法
JP2000308414A (ja) シメジ類の人工栽培方法
JP2001000042A (ja) きのこ栽培用容器ときのこ栽培方法
JPH10127162A (ja) 通気孔を有するきのこ培養基
KR20160034108A (ko) 백화고용 배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3522202B2 (ja) 移植用マツタケ菌の培養方法
US20240155984A1 (en) Apparatus for organic matter cultivation
CN2652120Y (zh) 食用菌全透气栽培钵
CN216837907U (zh) 一种新型菌盘
WO2022032607A1 (zh) 食用菌菇多穴集成培养器
JPH0998663A (ja) きのこ培養法
KR850002981Y1 (ko) 담자균 배양용 폿트(Pot)
TW202205946A (zh) 食用菌菇多穴集成培養器
CN205922359U (zh) 一种北虫草组培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