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534B1 -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 Google Patents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534B1
KR100619534B1 KR1020060059043A KR20060059043A KR100619534B1 KR 100619534 B1 KR100619534 B1 KR 100619534B1 KR 1020060059043 A KR1020060059043 A KR 1020060059043A KR 20060059043 A KR20060059043 A KR 20060059043A KR 100619534 B1 KR100619534 B1 KR 100619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feed
unit
drive shaf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주)지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멕스 filed Critical (주)지멕스
Priority to KR102006005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5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Abstract

본원 발명은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금형이 배치되고, 상기 금형 위를 상하 왕복 이동하는 프레스와, 상기 프레스에 연동하며 동기적 또는 상대적인 직선 왕복 운동으로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동작을 수행하는 이송기구와 연결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스와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의 상호 작용으로 복수개의 공급물을 금형 상에 순차적으로 이송 작업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은 상기 금형 일측에 장착된 하우징 내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프레스의 상하 왕복 이동을 위한 프레스 구동축과 상호 연결되어 연동 작동되는 유닛 구동축; 상기 유닛 구동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며 외주면에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캠 홈이 각각 형성된 원통 형상의 드럼 캠; 상기 각 캠 홈을 따라 구름 접촉하며, 상기 유닛 구동축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과 직교 방향으로 상기 드럼 캠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송기구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수단에 연동하며 클램프, 피드 및 녹아웃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일반 프레스에서도 간단히 트랜스퍼 프레스의 기능을 구현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물의 대량 프레스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유닛 구동축, 드럼 캠, 이동수단, 작동수단

Description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Press transfer unit}
도 1은 종래 프레스 트랜스퍼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 프레스 트랜스퍼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과 이송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드럼 캠의 사시도 및 드럼 캠과 이동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이동수단에 구비된 보정구를 나타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유닛 구동축 110...풀리
200...드럼 캠 210...녹아웃 캠 홈
220...피드 캠 홈 230...클램프 캠 홈
300...이동수단 310...캠 팔로어
320...홀더 400...보정구
410...보정 나사 420...고정 나사
500...작동수단 510...녹아웃 연결봉
520...피드 연결봉 530...클램프 연결봉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37953호
본원 발명은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하우징 내에 유닛 구동축, 드럼 캠, 이동수단 및 작동수단이 장착된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일반 프레스에서도 간단히 트랜스퍼 프레스의 기능을 구현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물의 대량 프레스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파워 프레스와 같은 일반 프레스에서는 일반 금형에 의한 단일 작업만 가능하지만, 트랜스퍼 프레스는 트랜스퍼 금형에 의한 다수개의 공정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한 프레스 기계에 연속적으로 공급물을 이송시키면서 작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트랜스퍼 프레스는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제작이 힘들고 복잡한 제어장치, 예를 들면 동작 확인을 위한 검출 장치 등이 추가로 장착되어야 하는 등 크기가 커짐으로 인하여 설치공간이 상당히 필요함과 아울러, 제작비가 고가일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37953호의 '프레스 트랜스퍼 장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도 1은 상기 선행기술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를, 도 2는 상기 선행기술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프레스 기계(M)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금형 내부에 임하도록 연설된 한 쌍의 피드 바(4A, 4B)와 클램프 바(5A, 5B)의 동기적 또는 상대적인 직진 왕복 운동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복수개의 클램프 바(32A, 32B)의 왕복직진 운동 및 개폐 동작과 프레스 기계(M)의 가공 동작에 기구적으로 동기한 복수개의 워크(W)의 금형 가공 위치로의 반복되는 반송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피드 바(4A, 4B)와 클램프 바(5A, 5B)의 왕복직진 운동 및 개폐 동작은 풀리(6)와 연결된 캠축(미도시, 이하 '미도시'는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 참고)에 외주면을 따라 캠 홈(10A, 12A)이 형성된 한 쌍의 드럼 캠(10, 12)과 결합되는 변환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캠축에 장착된 드럼 캠(10, 12)의 장시간 반복되는 피드 및 클램프 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캠축을 따라 드럼 캠(10, 12)의 위치가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피드 동작이 정확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지 못하고 위치가 점점 어긋나게 됨에 따라 워크(W)의 클램프 및 언클램프 동작 또한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서 상기 프레스 기계(M)의 가공 동작에 지장을 주게 되고, 불량률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는 치명적인 약점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반 프레스에서도 간단히 트랜스퍼 프레스의 기능을 구현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물의 대량 프레스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은, 금형이 배치되고, 상기 금형 위를 상하 왕복 이동하는 프레스와, 상기 프레스에 연동하며 동기적 또는 상대적인 직선 왕복 운동으로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동작을 수행하는 이송기구와 연결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스와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의 상호 작용으로 복수개의 공급물을 금형 상에 순차적으로 이송 작업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은 상기 금형 일측에 장착된 하우징 내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프레스의 상하 왕복 이동을 위한 프레스 구동축과 상호 연결되어 연동 작동되는 유닛 구동축; 상기 유닛 구동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며 외주면에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캠 홈이 각각 형성된 원통 형상의 드럼 캠; 상기 각 캠 홈을 따라 구름 접촉하며, 상기 유닛 구동축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과 직교 방향으로 상기 드럼 캠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송기구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수단에 연동하며 클램프, 피드 및 녹아웃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원 발명에 따른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과 이송기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10)은 금형(30)이 배치되고, 상기 금형(30) 상을 상하 왕복 이동하는 프레스(미도시)에 연동하며 동기적 또는 상대적인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이송기구(20)와 연결되는 것이다.
즉, 상기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10)은 상기 프레스 하부측의 볼스터(B) 상에 배치된 이송기구(20)와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기구(20)는 금형(30)을 상하 왕복 이동시키는 녹아웃 기구(21), 상기 이송기구(20)를 상기 금형(30)의 나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키시는 피드 기구(21) 및 한 쌍의 핑거(23')로 상기 금형(30) 상의 공급물(W)을 클램핑 및 언클램핑 하는 클램프 기구(23)로 이루어진 공지의 것으로, 후술할 본원 발명의 작동수단(500)과 연결된다.
상기 이송기구(20)의 구조 및 작동 원리는 공지의 것이며, 상기 선행기술의 내용과 대동소이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계속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원 발명에 따른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측면 개념도를, 도 4(b)는 평면 개념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은 크게 유닛 구동축(100), 드럼 캠(200), 이동수단(300) 및 작동수단(500)으로 구성된다.
도 4에서 미설명 부호로 14는 후술할 작동수단(500)을 구성하는 피드 및 클램프 연결봉(520, 530)의 이동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홀더를, 14'은 녹아웃 연결봉(510)의 이동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홀더를, 18은 후술할 피드 연결봉(520) 단부를 보호하는 커버 캡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유닛 구동축(100)은 상기 금형(30, 도 3 참고)의 일측에 장착된 하우징(12) 내에 관통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스(미도시)의 상하 왕복 이동을 위한 프레스 구동축(미도시)과 상호 연결되어 연동 작동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유닛 구동축(100)은 일측에 구비된 풀리(110)에 상기 프레스 구동축과 벨트(미도시)로 연결되어 상기 프레스 구동축에 연동하는 것으로,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닛 구동축(100)은 상기 풀리(110)가 구비된 반대측 및 상기 풀리(110)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축받이 베어링 조립체(130, 140)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며 상기 축받이 베어링 조립체(130, 140)는 각각 상기 하우징(12)의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드럼 캠(200)은 상기 유닛 구동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된 것으로, 외주면에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캠 홈이 각각 형성된 원통 형상의 것이며, 상기 유닛 구동축(100)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드럼 캠(200)에는 상기 유닛 구동축(100)의 이송기구(20, 이하 도 3 참고)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외주면을 따라 녹아웃 캠 홈(210), 피드 캠 홈(220) 및 클램프 캠 홈(2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캠 홈(210, 220, 230) 중 피드 캠 홈(220)은 상기 드럼 캠(200)의 외주면을 따라 분리 돌기(222)를 중심으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리 돌기(222)를 중심으로 상기 피드 캠 홈(220)을 따라 후술할 이동수단(300)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캠 홈(210, 220, 230)의 형상은 프레스의 작업 공정 및 여건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캠 홈(210, 220, 230)의 개수 또한 적절히 가감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300)은 상기 각 캠 홈(210, 220, 230)을 따라 구름 접촉하며, 상기 유닛 구동축(10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으로, 크게 캠 팔로어(310) 및 홀더(3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캠 팔로어(310)는 상기 각 캠 홈(210, 220, 23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각 캠 홈(210, 220, 230)에 구름 접촉하는 롤러 형상의 것이다.
상기 홀더(32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닛 구동축(100)에 직교하며 상기 캠 팔로어(310)가 중앙부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각 캠 홈(210, 220, 230)을 따라 이동하는 캠 팔로어(310)의 곡선 운동을 상기 유닛 구동축(1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녹아웃 캠 홈(210)에 결합되는 이동수단(300)은 상기 하우징(12) 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캠 팔로어(310)가 녹아웃 캠 홈(210)에 상향 구름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드 및 클램프 캠 홈(220, 230)에 결합되는 이동수단(300)은 상기 하우징(12) 상부측에 배치되어지되, 상기 피드 캠 홈(220)에 결합되는 이동수단(300)의 홀더(320)는 클램프 캠 홈(230)에 결합되는 이동수단(300)의 홀더(3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드럼 캠(200)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각 이동수단(300)의 홀더(320) 배치에 대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위치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각 캠 홈(210, 220, 230) 중 피드 캠 홈(220)에 구름 접촉하는 이동수단(300)은 한 쌍의 홀더(320)가 함께 이동하게 되며, 상기 홀더(320)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구(補整具, 400)가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정구(400)는 피드 동작의 반복에 따른 백 래시(back lash)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작동수단(500)은 도 4(b)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300)과 직교 방향으로 상기 드럼 캠(200)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송기구(20)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수단(500)은 상기 드럼 캠(200)의 회전에 연동하는 이동수단(300)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상기 이송기구(20)측에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동작의 구동 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작동수단(500)은 크게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연결봉(510, 520, 5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녹아웃 연결봉(510)은 상기 녹아웃 캠 홈(210)과 결합되는 이동수단(300)의 홀더(320)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322)을 통하여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드 및 클램프 연결봉(520, 530)은 각각 상기 피드 및 클램프 캠 홈(220, 230)과 결합되는 이동수단(300)의 홀더(320)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322)을 통하여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 연결봉(510 ,520, 530)은 상기 하우징(12)의 이송기구(20)측 측면에 관통 형성된 연결공(15)을 통하여 각각 상기 이송기구(20)의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기구(21, 22, 23, 이하 도 3 참고)와 연결되며, 상기 각 연결봉(510, 520, 530) 중 피드 연결봉(520)은 상기 하우징(12)을 상호 대향되게 관통 형성한 연결공(15)을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각 연결봉(510, 520, 530)은 상기 이동수단(300)과 일체로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연결공(15)을 통하여 상기 이송기구(20)의 각 기구(21, 22, 23)에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 캠 홈(230)과 결합되는 홀더(320)의 결합공(322) 하부측에는 상기 피드 연결봉(520)이 이동하는 관통공(324)이 더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관통공(324) 및 각 연결공(15)에 인접한 하우징(12)측면에는 상기 각 연결봉(510, 520, 53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부시 베어링(16)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녹아웃 연결봉(510)의 일측은 도 4(a)와 같이 상기 하우징(12)의 이송기구(20)측 측면의 연결공(15)을 통과하는 타측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12) 바닥면에 장착되며 부시 베어링(16)이 장착된 지지대(17)로 그 이동이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의 주요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드럼 캠의 사시도 및 드럼 캠과 이동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 5(a)는 드럼 캠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b)는 드럼 캠과 이동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면상의 우측을 이송기구(20)가 배치된 측으로, 좌측을 풀리(110)가 장착된 측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5(a)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드럼 캠(200)은 원통 형상의 것으로 이송기구(20)가 배치된 측의 외주면을 따라 녹아웃 캠 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녹아웃 캠 홈(210)에 연접하여 한 쌍의 피드 캠 홈(220)이, 상기 피드 캠 홈(220)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클램프 캠 홈(230)이 각각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5(b)와 같이 상기 각 캠 홈(210, 220, 230)에 대응하여 이동수단(300)이 상기 각 캠 홈(210, 220, 230)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구조임 또한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 캠(200)은 이송기구(20)가 배치된 측, 즉 녹아웃 캠 홈(210)이 형성된 측의 직경(D1)이 피드 및 클램프 캠 홈(220, 230)이 순차적으로 풀리(110)가 장착된 측을 향하여 형성된 측의 직경(D2)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제작되도록 한다.
상기 드럼 캠(200)의 각 직경(D1, D2)은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동작 등 각 동작의 1 행정에 따라 각 캠 홈(210, 220, 230)의 길이에 따라 각각 다르게 또는 상호 같게 조절하여 제작하는 등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 5(b)를 통하여 캠 팔로어(310)가 상기 각 캠 홈(210, 220, 230)에 구름 접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캠 홈(210, 220, 230) 중 피드 캠 홈(220)에 구름 접촉하는 캠 팔로어(310)는 분리 돌기(222)를 중심으로 한 쌍의 상기 피드 캠 홈(220)을 따라 구름 접촉함 또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원 발명의 주요부인 이동수단에 구비된 보정구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 6(a)는 하우징(12, 이하 도 4 참고)의 상부측에서 바라본 평면 개념도를, 도 6(b)는 상기 하우징(12)의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 개념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 이동수단(300)의 캠 팔로어(310)는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 캠 홈(220, 이하 도 4 및 도 5 참고)에 구름 접촉하는 이동수단(300)은 한 쌍의 홀더(320)가 함께 이동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이동수단(300)에는 보정구(400)가 더 구비되는 것 또한 확인 가능하다.
상기 볼스터(B, 도 3 참고)의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녹아웃 동작 및 이송기구(20)의 각 기구(21, 22, 23)에 직교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클램프 동작에 비하여, 상기 각 기구(21, 22, 23)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피드 동작은 장시간 동작의 반복에 따라, 다소간의 위치가 흐트러지는 문제, 즉 백 래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상기 보정구(400)는 이러한 백 래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으로 크게 보정 나사(410) 및 고정 나사(420)로 구성되며, 상기 보정 나사(410) 및 고정 나사(420)는 상호 직교 결합된다.
상기 보정 나사(410)는 도 6(a)와 같이 상기 피드 캠 홈(220)에 결합되는 한 쌍의 홀더(320) 양측에 상기 유닛 구동축(100, 이하 도 4 참고)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천공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보정홀(410')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 나사(420)는 도 6(b)와 같이 상기 홀더(320) 양측에 상기 제1 보정홀(410')과 직교하도록 천공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보정홀(420')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보정 나사(410)에 단부가 접촉 고정됨으로써 상기 보정 나사(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정구(400)는 상기 보정 나사(410)를 죄거나 풂으로써 상기 한 쌍의 홀더(320)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조정하여 녹아웃 및 클램프 동작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정확히 피드되도록 하는 피드 동작의 정확도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 발명에 따른 피드 및 클램프 연결봉(520, 530)은 도시된 바와 같 이 각 홀더(320)에 형성된 결합공(322)을 통하여 결합되어지되, 피드 연결봉(520)은 상기 클램프 연결봉(530)이 결합된 홀더(320)의 결합공(322) 하부측에 구비된 관통공(324)을 통하여 이동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드 연결봉(520)은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관통공(324)에 장착된 부시 베어링(16)에 의하여 지지됨 또한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른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이송기구(20)에 의한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동작으로 복수개의 공급물(W)이 금형(30, 이하 도 3 참고) 상을 이송하는 과정이나, 각 기구(21, 22, 23)의 구조 및 동작 과정 등은 상기 선행 기술을 참고하거나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널리 알려진 공지의 사실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프레스(미도시)의 상하 왕복 이동을 수행하는 프레스 구동축(미도시)의 구동을 위하여 전원을 인가한 후 상기 프레스 구동축을 회전시킨다.
이때, 유닛 구동축(100)은 상기 프레스 구동축과 상호 연결되어 있으므로, 프레스 구동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유닛 구동축(100)이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유닛 구동축(100)에 장착된 드럼 캠(200)은 상기 유닛 구동축(10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면서, 상기 드럼 캠(200)에 형성된 각 캠 홈(210, 220, 230)에 구름 접촉하는 캠 팔로어(310)가 상기 각 캠 홈(210, 220, 230)을 따라 곡선 운동을 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캠 팔로어(310)가 중앙부에 구비된 홀더(310)는 상기 유닛 구동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하며, 상기 홀더(310)와 결합된 각 연결봉(510, 520, 530)은 하우징(12)의 연결공(15)을 통하여 상기 홀더(310)의 이동에 연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각 연결봉(510, 520, 530)에 연결된 이송기구(20)의 각 기구(21, 22, 23)는 각각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동작을 수행하며 금형(30) 상의 공급물(W)을 순차적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금형(30) 상의 공급물(W, 이하 도 3 참고)은 상기 프레스가 하강하여 프레스 작업이 이루어진 후 상승하면 인접한 금형(30)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일반 프레스에서도 간단히 트랜스퍼 프레스의 기능을 구현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물의 대량 프레스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간단히 탈부착 가능한 유닛 형태의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일반 프레스 에서도 고가에 외산이 대부분인 트랜스퍼 프레스의 기능을 충분히 대체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도 많은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음은 물론, 국산화로 인한 수입 대체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각 동작에 대응하는 각각의 드럼 캠을 장착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하나의 드럼 캠에 각 동작에 대응하는 캠 홈을 일체로 형성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반복 사용에 따른 각 동작 수행용 캠의 위치 조정을 일일이 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각 동작의 행정 간격을 보다 정밀하게 설계할 수 있는 특장점을 지니게 된다.
또한, 드럼 캠에 각 동작을 수행하는 캠 홈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복수개 형성하고 적절히 가감할 수 있으며, 이송기구와 연결하여 프레스 작업 및 이송을 행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동작 구현의 확인이 직관적이고 부드러우며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신속한 제품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등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금형이 배치되고, 상기 금형 위를 상하 왕복 이동하는 프레스와, 상기 프레스에 연동하며 동기적 또는 상대적인 직선 왕복 운동으로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동작을 수행하는 이송기구와 연결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스와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의 상호 작용으로 복수개의 공급물을 금형 상에 순차적으로 이송 작업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은,
    상기 금형 일측에 장착된 하우징 내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프레스의 상하 왕복 이동을 위한 프레스 구동축과 상호 연결되어 연동 작동되는 유닛 구동축;
    상기 유닛 구동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되며 외주면에 클램프, 피드 및 녹아웃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캠 홈이 각각 형성된 원통 형상의 드럼 캠;
    상기 각 캠 홈을 따라 구름 접촉하며, 상기 유닛 구동축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과 직교 방향으로 상기 드럼 캠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송기구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수단에 연동하며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구동축은,
    일측에 구비된 풀리에 상기 프레스 구동축과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프레스 구동축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캠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녹아웃 캠 홈;
    상기 녹아웃 캠 홈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면을 따라 평행하게 한 쌍으로 형성된 피드 캠 홈; 및
    상기 피드 캠 홈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피드 캠 홈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클램프 캠 홈;이 상기 유닛 구동축의 이송기구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캠 홈에 구름 접촉하는 캠 팔로어; 및
    상기 유닛 구동축에 직교하며 상기 캠 팔로어가 중앙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각 캠 홈을 따라 이동하는 캠 팔로어의 곡선 운동을 상기 유닛 구동축의 길이 방향을 따른 왕복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홀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피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캠 홈에 구름 접촉하는 이동수단은 한 쌍의 홀더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에는,
    피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캠 홈에 구름 접촉하는 이동수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피드 동작의 반복에 따른 백 래시 발생 방지를 위한 보정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구는,
    상기 피드 캠 홈에 결합되는 한 쌍의 홀더 양측에 상기 유닛 구동축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천공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보정홀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홀더를 일체로 고정하는 보정 나사; 및
    상기 보정 나사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제1 보정홀과 직교되게 천공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보정홀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보정 나사에 단부가 접촉 고정되는 고정 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녹아웃 캠 홈과 결합되는 이동수단의 홀더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각각 결합되는 녹아웃 연결봉;
    상기 피드 캠 홈과 결합되는 이동수단의 홀더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각각 결합되는 피드 연결봉; 및
    상기 클램프 캠 홈과 결합되는 이동수단의 홀더 양단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각각 결합되는 클램프 연결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연결봉은 상기 하우징의 이송기구측 측면에 관통 형성된 연결공을 통하여 각각 녹아웃, 피드 및 클램프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이송기구와 연결되며,
    상기 클램프 캠 홈과 결합되는 홀더의 결합공 하부측에는 상기 피드 연결봉이 이동하는 관통공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KR1020060059043A 2006-06-29 2006-06-29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KR10061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043A KR100619534B1 (ko) 2006-06-29 2006-06-29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043A KR100619534B1 (ko) 2006-06-29 2006-06-29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534B1 true KR100619534B1 (ko) 2006-09-01

Family

ID=3762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043A KR100619534B1 (ko) 2006-06-29 2006-06-29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5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100B1 (ko) 2017-02-02 2017-06-12 임형빈 적층 코어 검사용 정밀 이송장치
KR101975300B1 (ko) * 2018-02-08 2019-05-07 주식회사 케디엠 3000ton 이상 대형 프레스의 트랜스퍼 피드바 고정구조
KR20200035538A (ko) 2018-09-27 2020-04-06 동은단조(주) 2축 샤프트 클램퍼를 갖는 트랜스퍼 프레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603U (ko) * 1987-09-16 1989-05-13 대우중공업주식회사 프레스의 공작물 이송장치
JPH08174105A (ja) * 1994-07-25 1996-07-09 Livernois Res & Dev Co モジュール式ダイ移送装置
JPH08276231A (ja) * 1995-04-04 1996-10-22 Aida Eng Ltd 高速プレス用トランスファ装置
JPH10146629A (ja) 1996-11-18 1998-06-02 Aida Eng Ltd トランスファプレスの手動クランプ・アンクランプ装置
JP2004337953A (ja) 2003-05-19 2004-12-02 Ito Kogyo Kk プレストランスファー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603U (ko) * 1987-09-16 1989-05-13 대우중공업주식회사 프레스의 공작물 이송장치
JPH08174105A (ja) * 1994-07-25 1996-07-09 Livernois Res & Dev Co モジュール式ダイ移送装置
JPH08276231A (ja) * 1995-04-04 1996-10-22 Aida Eng Ltd 高速プレス用トランスファ装置
JPH10146629A (ja) 1996-11-18 1998-06-02 Aida Eng Ltd トランスファプレスの手動クランプ・アンクランプ装置
JP2004337953A (ja) 2003-05-19 2004-12-02 Ito Kogyo Kk プレストランスファー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100B1 (ko) 2017-02-02 2017-06-12 임형빈 적층 코어 검사용 정밀 이송장치
KR101975300B1 (ko) * 2018-02-08 2019-05-07 주식회사 케디엠 3000ton 이상 대형 프레스의 트랜스퍼 피드바 고정구조
KR20200035538A (ko) 2018-09-27 2020-04-06 동은단조(주) 2축 샤프트 클램퍼를 갖는 트랜스퍼 프레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954B1 (ko) 휴대 단말기용 내부 하우징의 드릴링 및 탭핑 가공장치의 이송장치
US8302451B2 (en) Can manufacturing device and can manufacturing method
KR101561601B1 (ko) 터닝 레이저 마킹 장치
KR100619534B1 (ko) 프레스 트랜스퍼 유닛
US6213369B1 (en) Material feeding apparatus
JP2010284716A (ja) 金型
KR101416446B1 (ko) 소재물 이송용 갠트리 그립퍼 장치
JP2007044775A (ja) バルブガイドおよびバルブシートの圧入装置
US10944311B2 (en) Nozzle turning apparatus and winding machine
CN110869862B (zh) 用于旋转和/或线性移动工件的传输设备
KR101505780B1 (ko) 금속제 캔의 제조장치
KR101658518B1 (ko) 조립기의 조립부품 공급장치
KR101574348B1 (ko) 공작기계의 팰리트 이송장치
JP6508989B2 (ja) チューブ切断装置
JP6571992B2 (ja) 搬送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121353B2 (ja) 材料送り装置
JP6621433B2 (ja) プレス機及びプレス機改造セット
JP2004307066A (ja) グリップ装置
JP3783161B2 (ja) プレストランスファー装置
KR20170119980A (ko) 방전가공기의 중간 지지대
KR101999861B1 (ko) 공작기계
JP6423985B1 (ja) ノズル旋回装置及び巻線機
JP5842244B1 (ja) ワーク供給装置
JPS5823563Y2 (ja) トランスファ−機械装置
CN104741476A (zh) 连杆式板材送料装置及其送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