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455B1 - 접철식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접철식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455B1
KR100616455B1 KR1020050025924A KR20050025924A KR100616455B1 KR 100616455 B1 KR100616455 B1 KR 100616455B1 KR 1020050025924 A KR1020050025924 A KR 1020050025924A KR 20050025924 A KR20050025924 A KR 20050025924A KR 100616455 B1 KR100616455 B1 KR 100616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s
wall
present
rig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주)럭키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럭키기술단 filed Critical (주)럭키기술단
Priority to KR1020050025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9/00Connecting arrangements, e.g.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ipes of brittle material, e.g. glass, earthenware
    • F16L4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배수관, 전선관, 상,하수관 등으로 사용되는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질의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소정의 각도로 만곡되며 내측에 중공구가 다수 형성된 경질의 원호형 벽체와; 상기 벽체의 양측 끝단 외측과 내측에 이격부를 두고 소정 길이로 서로 일체로 융착되는 연질이면서 가요성이 양호한 연결대;를 서로 교번적으로 원형으로 융착 연결하여 상기 연결대에 의해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반 시에는 간편하게 접철하여 운반이 가능하므로 운반체적이 적게 소요되어 물류 비용이 적게 들며, 사용 시에는 원형 상태를 유지하여 급,배수가 용이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며 사용이 양호한 발명이다.
파이프, 벽체, 접철, 연결대, 가요대

Description

접철식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파이프{Drain and electric wire for pi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횡방향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가 절첩되어 적층된 상태의 횡방향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과 고정링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를 서로 연결한 상태의 일부 절결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횡방향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파이프 21,21a : 중공구
22 : 원호형 벽체 23 : 이격부
24 : 연결대 30 : 연결관
31 : 지지대 32,41 : 체결부
33 : 격벽 40,40a : 고정링
본 발명은 급,배수관, 전선관, 상,하수관 등으로 사용되는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에 따른 적재 체적을 최대한 줄여 운반에 따른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견고성이 보강된 접철식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관 또는 전선관의 종류로 널리 사용하는 원형의 합성수지제 파이프는 지중 매설하거나 사용현장에 운반하는 도중에 차량이나 운반체에 적재하여서 이동하는데, 이는 소정의 직경와 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 시 체적에 따른 한계가 있으며 그에 따라 운반비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고 공사의 지연이 되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파이프를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작하여 롤링형태로 감아서 운반한 후, 이를 현장에서 다시 펼쳐서 사용하기도 하나, 이는 내수압 및 내구성에 대한 강도가 약해 사용이 어려운 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특히, 운반 시 적재 체적을 줄여 운반에 따른 물류비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파이프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접철할 수 있는 파이프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시에는 파이프가 원형을 유지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질의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소정의 각도로 만곡되며 내측에 중공구가 다수 형성된 경질의 원호형 벽체와; 상기 벽체의 양측 끝단 외측과 내측에 이격부를 두고 소정 길이로 서로 일체로 융착되는 연질이면서 가요성이 양호한 연결대;를 서로 교번적으로 원형으로 융착 연결하여 상기 연결대에 의해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호형 벽체에 형성된 중공구는 상하 이중으로 형성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이프의 양측 끝단에는 파이프의 내주면과 접하는 직경으로 경질의 연결관을 삽입하여 파이프가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관의 외측에는 고정링을 체결하여 파이프와 파이프를 견고히 연결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횡방향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가 절첩되어 적층된 상태의 횡방향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과 고정링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를 서로 연결한 상태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의 횡방향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접철식 파이프(20)는 내측에 중공구(21)가 형성된 다수의 원호형 벽체(22)와 연결대(24)가 서로 교번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공구(21)는 상,하 이중으로 형성하여 견고성을 보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원호형 벽체(2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소정의 각도로 만곡되어 이루어지며, 외부의 압력 및 내부의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내측에는 다수의 중공구(21)가 형성되고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연결대(24)는 연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원호형 벽체(22)의 양측 끝단의 내측 및 외측에 이격부(23)를 두고 소정의 길이로 각각 일체로 융착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접철식 파이프(20)를 현장에서 사용하고자 할 시에 상기 파이프(20)가 원형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파이프(20)의 끝단에는 연결관(30)을 삽입하는 것도 바람직한 바, 상기 연결관(30)은 상기 파이프(20)의 내주면과 일치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31)와, 상기 지지대(31)의 중도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체결구(32) 및 상기 체결구(32)를 양측으로 구획하는 격벽(3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관(30)의 외측에 결합되어 파이프(20)와 파이프(20a)를 견고히 연결 결속하여 주는 고정링(40)(40a)이 구비되는 바, 상기 고정링(40)(40a)은 상기 연결관(30)의 외측에 삽입 결합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 일측에는 상기 연결관(30)의 체결구(32)와 체결되도록 대접되는 형태의 체결구(41)(4la)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원호형 벽체(22)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합성수지재 압출기용 다이스의 다이립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균등하게 다수개로 분리되는 상태로 튜브를 압출하며, 상기 원호형 벽체(22) 사이사이에는 연질의 합성수지제 연결대(24)를 동시에 압출하여 상기 원호형 벽체(22)와 일체로 융착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이렇게 제작된 파이프(20)는 공지의 사이징과 냉각수통을 지나도록 하여 냉각시켜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접철식 파이프(20)를 운반하고자 하여 적재하게 되면, 상기 연질의 연결대(24) 부분이 접철되면서 본 발명의 파이프(20)는 접철이 되며, 운반 시 적층하기가 용이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적재량이 많아지게 되며 적재상태도 안정적이게 된다.
또한, 현장에서 시공을 하고자 할 시에는 본 발명의 접철식 파이프(20)의 끝단에 연결관(30)의 일측 지지대(31)를 삽입하여 연결함으로써, 접철된 파이프(20)가 다시 원형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파이프(20)에 연결된 연결관(30)의 타측 지지대(31a)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20a)를 삽입하여 연결하며, 그 외측의 양측에서 고정링(40)(40a)을 삽입하여 상기 연결관(30)의 체결구(32)와 고정링(40)(40a)의 체결구(41)(41a)를 서로 나사 결합하여 견고히 결속한다. 이때, 상기 고정링(40)(40a)은 연결관(30)의 격벽(33)에 의해 밀착되어 일측에서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접철식 파이프(20)를 연속하여 연결하여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된 파이프(20)는 중공부에 의해 견고성이 보강되며, 원형을 유지하므로 급,배수가 원활해지며, 간편하게 분리하여 접철 후 차량에 적재가 가능하므로 운반 공간이 적게 소요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반 시에는 간편하게 접철하여 운반이 가능하므로 운반체적이 적게 소요되어 물류 비용이 적게 들며, 사용 시에는 원형 상태를 유지하여 급,배수가 용이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며 사용이 양호한 발명이다.

Claims (4)

  1.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질의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소정의 각도로 만곡되며 내측에 중공구가 다수 형성된 경질의 원호형 벽체와;
    상기 벽체의 양측 끝단 외측과 내측에 이격부를 두고 소정 길이로 서로 일체로 융착되는 연질이면서 가요성이 양호한 연결대;를 서로 교번적으로 원형으로 융착 연결하여 상기 연결대에 의해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벽체에 형성된 중공구는 상하 이중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파이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양측 끝단에는 파이프의 내주면과 접하는 직경으로 경질의 연결관을 삽입하여 파이프가 원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파이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외측에는 고정링을 체결하여 파이프와 파이프를 견고히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파이프.
KR1020050025924A 2005-03-29 2005-03-29 접철식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파이프 KR100616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924A KR100616455B1 (ko) 2005-03-29 2005-03-29 접철식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924A KR100616455B1 (ko) 2005-03-29 2005-03-29 접철식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6455B1 true KR100616455B1 (ko) 2006-08-29

Family

ID=3760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924A KR100616455B1 (ko) 2005-03-29 2005-03-29 접철식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4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6335A (ja) * 1988-01-30 1989-08-08 Takiron Co Ltd 合成樹脂製チューブ及びリブ付き合成樹脂管の製造方法
JPH07133887A (ja) * 1993-11-10 1995-05-23 Ohbayashi Corp フレキシブルホース
US5423353A (en) * 1993-09-17 1995-06-13 Sorensen; Jeff Hose
KR19980035165A (ko) * 1996-11-12 1998-08-05 공태진 농예의 관수용 타원형 호스 제조방법
KR20010085783A (ko) * 1998-09-11 2001-09-07 추후제출 복합재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제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6335A (ja) * 1988-01-30 1989-08-08 Takiron Co Ltd 合成樹脂製チューブ及びリブ付き合成樹脂管の製造方法
US5423353A (en) * 1993-09-17 1995-06-13 Sorensen; Jeff Hose
JPH07133887A (ja) * 1993-11-10 1995-05-23 Ohbayashi Corp フレキシブルホース
KR19980035165A (ko) * 1996-11-12 1998-08-05 공태진 농예의 관수용 타원형 호스 제조방법
KR20010085783A (ko) * 1998-09-11 2001-09-07 추후제출 복합재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제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85783000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7119B2 (en) Flexible and extendable hose for holding tank drainage
JPH09280430A (ja) 樹脂製波形管
KR100616455B1 (ko) 접철식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파이프
KR100768794B1 (ko) 상하수관 또는 전선관용 접철식 파이프
JP2009047302A (ja) 金属樹脂複合管の接続構造、及び該接続構造に用いる金属樹脂複合管
KR10093382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2006090047A (ja) マンホール直壁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マンホール
KR19990085346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JP5770536B2 (ja) 製管用部材
CA2517159C (en) Hollow profil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pipe
CN210397968U (zh) 一种耐冲击的管件
KR200331513Y1 (ko) 체결구조를 갖는 합성수지 띠
KR101034517B1 (ko) 결속부재가 구비된 합성수지 코로게이트관
KR20050033870A (ko)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만곡성 나선관
KR20200112232A (ko) 신축부재가 형성되는 관 연결구
JPH087192Y2 (ja) 螺旋管
KR200367099Y1 (ko) 소켓부 보강구조가 형성된 편수식 이중벽 코러게이트관
KR100451323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의 합성수지제 나선 보강 하수관
JPH0413152Y2 (ko)
CN210890441U (zh) 一种frpp外肋螺旋缠绕管
CN101942920A (zh) 一种组合式塑料型材容器
KR20050034656A (ko) 상하수관 및 전선관용 만곡성 보강 나선관
CN106051324B (zh) 一种钢塑复合加筋管的加强筋肋的成型方法
KR200286164Y1 (ko)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
KR200320451Y1 (ko) 합성수지제 이중벽하수관의 관이음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