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260B1 - 유기전계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전계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260B1
KR100615260B1 KR1020040082088A KR20040082088A KR100615260B1 KR 100615260 B1 KR100615260 B1 KR 100615260B1 KR 1020040082088 A KR1020040082088 A KR 1020040082088A KR 20040082088 A KR20040082088 A KR 20040082088A KR 100615260 B1 KR100615260 B1 KR 10061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lectrode terminal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130A (ko
Inventor
허세준
지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2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260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221Static displays, e.g. displaying permanent logo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부의 외곽부중 아이콘 표시부의 배선사이의 공간부에 더미전극패턴을 형성하여 외관상 불량으로 선별되는 메탈캡의 긁힘 또는 미세 이물질 등이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아이콘 표시부를 갖는 유기발광부를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유기발광부를 봉지하기 위한 봉지수단과;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는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전극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는 아이콘 형태의 다수의 제1전극이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제1전극상부에 제2전극이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제1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는 다수의 배선라인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2전극단자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기발광부의 외곽부중 아이콘 표시부의 배선라인사이의 공간부에는 다수의 더미전극패턴이 배열된다.

Description

유기전계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도 1a는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평면도,
도 1b는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유기 발광부의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화상표시부의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화상표시부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아이콘 표시부의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아이콘 표시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기판 110 : 유기 발광부
101 : 아이콘 표시부 105 : 화상 표시부
121, 125 : 애노드전극 141, 145 : 캐소드전극
130 : 유기발광층 170 : 봉지수단
150, 151, 155, 16, 161, 165 : 전극단자부
180 : 접착제 190 : 공간부
195 : 보조전극패턴
본 발명은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기발광부의 외곽부중 아이콘 표시부의 배선라인사이의 빈공간에 외관불량 방지용 더미 전극패턴을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발광층이 개재되는 두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발광층으로부터 광이 발광되는 자발광형 표시소자로서, 액정표시소자에 비하여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하며,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이점으로 차세대 평판표시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기판의 유기발광부상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교차하도록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이 배열되고, 이 두 전극사이에 발광층이 개재된 구조를 갖으며, 유기 발광부는 메탈 캡등과 같은 봉지수단으로 봉지되어 보호된다.
도 1a는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기발광부 중 아이콘 배선부에 대한 평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유기발광부를 구비한 기판(10)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10)의 유기발광부는 아이콘 표시부(11)를 구비하며, 상기 아이콘 표시부(11)는 아이콘에 대한 전극패턴을 갖는 다수의 애노드전극(20)이 배열된다.
상기 다수의 애노드전극(20)상부에는 전면전극형태의 캐소드전극(40)이 배열된다. 상기 애노드전극(20)과 캐소드전극(40)사이에는 유기막층이 개재된다. 상기 애노드전극(20)과 제1전극단자부(50)는 배선라인(20a)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다.
상기 유기 발광부의 외곽부(12)에는 상기 애노드전극(20)에 소정의 전압, 예를 들어 양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50)와, 상기 캐소드전극(40)에 소정의 전압, 예를 들어 음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제2전극단자부가 상기 제1전극단자부(50)와 같은 형태로 배열된다.
도 1b는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의 IB-IB선에 따른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기판(10)의 아이콘 표시부(11)상에 다수의 애노드전극(20)이 형성되고, 캐소드전극(40)이 전면전극 형태로 애노드전극(20)상부에 배열되며, 상기 애노드전극(20)과 캐소드전극(40)사이에 유기막층(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20)의 외곽부(12)에는 상기 애노드전극(20)으로 소정의 전압을 제 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50)가 배열된다. 상기 제1전극단자부(50)는 배선라인(20a)에 의해 애노드전극(20)에 연결된다. 상기 제1전극단자부(50)는 상기 배선라인(20a)에 연결되는 전극패턴(50a)와, 상기 전극패턴(50a)상에 배열되는 보조전극패턴(50b)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10)은 접착제(80)에 의해 봉지수단(70)으로 봉지되어 애노드전극(20)과 캐소드전극(40) 및 두 전극사이에 개재된 유기막층(30)이 배열되어 있는 유기발광부를 보호하게 된다.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기발광부의 아이콘표시부에서 다수의 애노드전극(20)이 배열되고 캐소드전극이 전면전극형태로 배열되어, 셀 내부에 봉지수단(70)인 메탈캡이 긁혀 발생된 긁히거나, 공정중에 발생한 미세 이물질이 부착되어도 전면전극 형태의 캐소드전극에 의해 가려져 인식되지 않는다.
하지만, 유기발광부의 외곽부(12)에는 상기 애노드전극(20)과 제1전극단자부를 연결하기 위한 배선라인(20a)사이에는 공간부(14)이 많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빈공간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봉지수단(70)인 메탈캡이 긁혀 발생된 긁힌 자국(91)이 존재하거나, 공정중에 발생한 미세 이물질(92)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긁힌 자국(91)이나 메탈 캡(70)에 부착된 이물질(92)은 소자의 성능이나 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배선라인(14)사이의 빈공간을 통해 외관상 확연하게 표시되므로, 외관불량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기발광부의 외곽부중 아이콘 표시부의 배선라인 사이 빈공간에 더미 전극패턴을 형성하여 외관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이콘 표시부를 갖는 유기발광부를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유기발광부를 봉지하기 위한 봉지수단과;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는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는 제2전극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는 아이콘 형태의 다수의 제1전극이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제1전극상부에 제2전극이 배열되며, 상기 다수의 제1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는 다수의 배선라인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2전극단자부에 연결되며, 상기 유기발광부의 외곽부중 아이콘 표시부의 배선라인사이의 공간부에는 다수의 더미전극패턴이 배열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더미 전극패턴은 불투명 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전극단자부는 투명도전막의 전극패턴과, 불투명 도전막의 보조전극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투명도전막의 전극패턴과, 불투명 도전막의 보조전극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더미전극패턴은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의 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전극패턴과, 상기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의 보조전 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전극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더미전극패턴중 하부전극패턴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전극패턴은 불투명 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더미전극패턴은 적어도 상기 제2전극의 에지로부터 이웃하는 배선라인과 공정공차만큼 간격을 두고 상기 배선라인과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콘 표시부와 화상 표시부를 갖는 유기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화상 표시부에는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2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아이콘 형태의 다수의 제3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상부에 배열된 제4전극을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유기발광부를 봉지하기 위한 봉지수단과;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화상표시부의 다수의 제1전극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제1전극으로 제1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화상표시부의 다수의 제2전극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제2전극으로 제2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2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아이콘 표시부의 다수의 제3전극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제3전극으로 제3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3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아이콘 표시부의 상기 제4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제4전극으로 제4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4전극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콘 표시부의 다수의 제3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단자부는 다수의 배선라인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유기발광부의 외곽부중 아이콘 표시부의 배 선라인사이의 공간부에는 다수의 더미전극패턴이 배열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상표시부의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는 투명도전막의 전극패턴과, 불투명 도전막의 보조전극턴을 구비하고, 상기 아이콘 표시부의 제3전극단자부 및 제4전극단자부는 투명도전막의 전극패턴과, 불투명 도전막의 보조전극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더미전극패턴은 화상표시부의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와 아이콘 표시부의 제3전극단자부 및 제4전극단자부의 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전극패턴과, 화상표시부의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와 아이콘 표시부의 제3전극단자부 및 제4전극단자부의 보조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전극패턴을 구비한다.
상기 더미전극패턴중 하부전극패턴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전극패턴은 불투명 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더미전극패턴은 적어도 상기 제2전극의 에지로부터 이웃하는 배선라인과 공정공차만큼 간격을 두고 상기 배선라인과 분리되도록 형성된다.상기 제1전극은 애노드전극이고, 제2전극은 캐소드전극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표시소자는 유기 발광부를 구비하는 기판(100)과 상기 접착체(180)에 의해 상기 기판(100)과 봉지되어 상기 유기 발광부를 보호하기 위한 봉지수단(170)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100)은 유리기판 또는 플락스틱 기판을 사용한다. 상기 봉지수단(170)은 유리기판과 같은 봉지기판을 사용하거나 또는 메탈캡을 사용한다.
기판(100)의 유기발광부의 외곽부에는 상기 봉지기판(170)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유기발광부에 배열되는 제1전극인 다수의 애노드전극으로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50)와, 상기 봉지수단(17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유기발광부에 배열되는 제2전극인 캐소드전극으로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2전극단자부(160)를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있어서, 유기발광부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유기발광부(110)를 구비는 기판(100)을 구비한다. 상기 유기발광부(110)는 기호(102) 또는 숫자(103)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부(101)와, 화상(106)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표시부(105)를 구비한다. 도면중 도면부호 185는 접착제(180)가 도포되어 기판(100)과 봉지수단(170)이 봉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아이콘 표시부(101)는 아이콘형태의 전극패턴을 구비한 다수의 애노드전극과 전면전극형태의 캐소드전압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두 전극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에 의해 아이콘, 즉 기호 및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화상표시부(105)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라인형태의 다수의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두 전극이 교차하는 부분에 개재된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에 의해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기발광부중 화상표시부의 평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기판(100)의 유기발광부(110)는 아이콘 표시부(101)와 화상표시부(105)를 구비한다. 상기 화상표시부(105)에는 제1전극인 다수의 애노드전극(125)이 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제2전극인 다수의 캐소드전극(145)이 상기 애노드전극(125)과 교차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상기 유기발광부(110)의 외곽부(111)중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애노드전극(125)에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55)가 배열되고, 외곽부(111)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캐소드전극(145)으로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2전극단자부(165)가 배열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도 4a의 IVB-IV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유기발광부중 화상표시부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기판(100)의 유기발광부(110)상에 다수의 애노드전극(125)이 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제2전극인 다수의 캐소드전극(145)이 상기 애노드전극(125)과 교차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며, 애노드전극(125)과 캐소드전극(145)사이에 유기막층(130)이 개재된다. 상기 유기막층 (130)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유기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홀장벽층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막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부(110)의 외곽부(111)중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애노드전극(125)에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55)가 배열된다. 상기 제1전극단자부(155)는 상기 애노드전극(125)에 연결된 전극패턴(155a)과 상기 전극패턴(155a)상에 배열된 보조전극패턴(155b)을 구비한다.
상기 애노드전극(125)은 ITO와 같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소드전극(145)은 Al 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패턴(155a)은 상기 애노드전극(125)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며, ITO 등과 같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전극패턴(155b)은 크롬과 같은 불투명 금속물질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유기발광부(110)의 화상표시부(105)에는 다수의 애노드전극(125)과 다수의 캐소드전극(145)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두 전극의 교차부분에 개재된 유기발광층으로부터 광이 발광되어 화상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화상표시부(105)에 대응하는 봉지수단(170)에 종래와 같이 긁힘현상(191) 및 이물질(192)이 부착되어도, 외관상 사용자의 눈에 인식되지 않는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유기발광부중 아이콘 표시부의 평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유기발광부(110)중 아이콘 표시부(101)에는 아이콘 형태의 전극패턴으로 된 다수의 애노드전극(121)이 배열되고, 아이콘 표시부(101)에 해당하는 유기발광부(110)상에는 캐소드전극(141)이 전면전극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캐소드전극(141)과 애노드전극(121)사이에는 유기막층이 배열된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 발광소자가 풀칼라 유기전계 발광소자인 경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105)의 애노드전극(125)과 캐소드전극(145)사이에는 R, G, B를 표시하기 위한 R, G, B 유기발광층이 배열된다. 한편, 아이콘 표시부(101)는 기호나 숫자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각 아이콘이 단색을 표시하는 경우, 아이콘부(101)의 애노드전극(121)과 캐소드전극(141)사이에는 단색의 유기발광층이 배열된다.
상기 유기발광부(110)의 외곽부(111)중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애노드전극(121)에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51)가 배열되고, 상기 캐소드전극(141)으로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2전극단자부(161)가 배열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도 5a의 VB-V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유기발광부중 아이콘 표시부의 단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기판(100)의 유기발광부(110)중 아이콘 표시부(101)에는 아이콘 형태의 전극패턴으로 된 다수의 애노드전극(121)이 배열되고, 캐소드전극(141)이 상기 애노드전극(121)을 덮도록 전면전극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애노드전극(121)과 캐소드전극(141)사이에 유기막층(130)이 개재된다. 상기 유기막층(130)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유기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홀장벽층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막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부(110)의 외곽부(111)중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애노드전극(121)에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51)가 배열된다. 상기 제1전극단자부(151)는 상기 애노드전극(121)에 배선라인(121a)을 통해 연결된 전극패턴(151a)과 상기 전극패턴(151a)상에 배열된 보조전극패턴(151b)을 구비한다.
상기 애노드전극(121)은 ITO와 같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소드전극(141)은 Al 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패턴(151a)은 상기 애노드전극(121)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며, ITO 등과 같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전극패턴(151b)은 크롬과 같은 불투명 금속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부(110)의 아이콘 표시부(101)에는 다수의 애노드전극(121)이 아이콘 형태로 배열되고 캐소드전극(141)이 전면전극형태로 배열되므로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바와같이 애노드전극(121)과 제1전극단자부(151)를 연결시켜 주는 배선라인(121a)사이에 화상표시에 사용되지 않은 데드스페이스로서 공간부(190)가 많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부(105)와는 달리, 아이콘 표시부(101)에는 공간부(190)가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공간부(190)중 상기 유기발광부(110)의 아이콘 표시부(101)에 존재하는 공간부(190)의 경우에는, 그의 상부에는 캐소드전극(141)이 전면전극형태로 배열되므로, 상기 공간부(190)에 대응하는 봉지수단(170)에 긁힘현상(191) 및 이물질(192)이 부착되더라도 외관상 사용자의 눈에는 인식되지 않는다.
하지만, 유기발광부(110)의 외곽부(111)중 아이콘 표시부(101)의 배선라인사이에 존재하는 공간부(190)에 대응하는 봉지수단(170)에 종래와 같이 긁힘현상(191) 및 이물질(192)이 부착되면, 외관상 사용자의 눈에 인식되게 된다.
이러한 외관상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기발광부(110)의 외곽부(111)중 아이콘 표시부(101)의 배선라인사이에 존재하는 공간부(190)에 더미전극패턴(195)을 형성한다. 상기 더미전극패턴(195)은 유기발광부(110)의 외곽부(111)중 캐소드전극(141)의 에지와 접착제(180)사이의 공간부(190)에 형성되는데, 이때 더미전극패턴(195)은 이웃하는 배선라인(121a)과 애노드전극(121) 그리고 캐소드전극(141)과는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더미전극패턴(195)은 이웃하는 배선라인(121a)과 애노드전극(121) 그리고 캐소드전극(141)간에 공정공차만큼 간격을 두고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더미 전극패턴(195)은 상기 화상표시부(105)와 아이콘 표시부(101)의 제1전극단자부(151), (161) 그리고 화상표시부(105)와 아이콘 표시부(101)의 제2전극단자부(155), (165)를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더미 전극패턴(195)는 전극단자부과 마찬가지로 ITO와 같은 투명도전막으로된 하부전극패턴과 크롬과 같은 불투명 금속막으로 된 상부전극패턴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더미전극패턴(195)은 전극단자부와는 별도로 불투명한 금속막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부(110)의 외곽부(111)중 아이콘 표시부(101)의 배선라인사이의 공간부(190)에 대응하는 봉지수단(170)에 긁힘현상(191) 및 이물질(192)이 부 착되어도, 공간부(190)에 형성된 더미전극패턴(195)에 의해 차단되어 외관상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봉지수단으로 메탈캡 등을 사용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봉지수단으로 메탈캡 등을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은 평편표시장치에 적용하여 외관상 불량을 방지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콘 표시부의 배선라인사이의 화상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 공간부에 더미전극패턴을 형성하여 봉지캡의 긁힘 또는 이물질 등의 부착에 의한 외관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아이콘 표시부를 갖는 유기발광부를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유기발광부를 봉지하기 위한 봉지수단과;
    상기 봉지수단의 외곽부로부터 인출되는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외곽부로부터 인출되는 제2전극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는 아이콘 형태의 다수의 제1전극이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제1전극상부에 제2전극이 배열되고,
    상기 아이콘 표시부의 상기 다수의 제1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는 다수의 배선라인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2전극단자부가 연결되며,
    상기 유기발광부의 외곽부중 아이콘 표시부의 배선라인사이의 공간부에는 다수의 더미전극패턴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더미 전극패턴은 불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단자부는 투명도전막의 전극패턴과, 불투명 도전막의 보조전극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투명도전막의 전극패턴과, 불투명 도전막의 보조전극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전극패턴은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의 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전극패턴과,
    상기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의 보조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전극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전극패턴중 하부전극패턴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전극패턴은 불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전극패턴은 적어도 상기 제2전극의 에지로부터 이웃하는 배선라인과 공정공차만큼 간격을 두고 상기 배선라인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애노드전극이고, 제2전극은 캐소드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8. 아이콘 표시부와 화상 표시부를 갖는 유기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화상 표시부에는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과 교차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2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아이콘 형태의 다수의 제3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상부에 배열된 제4전극을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유기발광부를 봉지하기 위한 봉지수단과;
    상기 봉지수단의 외곽부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화상표시부의 다수의 제1전극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제1전극으로 제1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외곽부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화상표시부의 다수의 제2전극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제2전극으로 제2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2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외곽부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아이콘 표시부의 다수의 제3전극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제3전극으로 제3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3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외곽부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아이콘 표시부의 상기 제4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제4전극으로 제4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4전극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콘 표시부의 다수의 제3전극과 상기 다수의 제3전극단자부는 다수의 배선라인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유기발광부의 외곽부중 아이콘 표시부의 배선라인사이의 공간부에는 다수의 더미전극패턴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더미 전극패턴은 불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 광소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부의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는 투명도전막의 전극패턴과, 불투명 도전막의 보조전극턴을 구비하고,
    상기 아이콘 표시부의 제3전극단자부 및 제4전극단자부는 투명도전막의 전극패턴과, 불투명 도전막의 보조전극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전극패턴은 화상표시부의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와 아이콘 표시부의 제3전극단자부 및 제4전극단자부의 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하부전극패턴과,
    화상표시부의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와 아이콘 표시부의 제3전극단자부 및 제4전극단자부의 보조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상부전극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전극패턴중 하부전극패턴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전극패턴은 불투명 도전막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전극패턴은 적어도 상기 제2전극의 에지로부터 이웃하는 배선라인과 공정공차만큼 간격을 두고 상기 배선라인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애노드전극이고, 제2전극은 캐소드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KR1020040082088A 2004-10-14 2004-10-14 유기전계 발광소자 KR10061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088A KR100615260B1 (ko) 2004-10-14 2004-10-14 유기전계 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088A KR100615260B1 (ko) 2004-10-14 2004-10-14 유기전계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130A KR20060033130A (ko) 2006-04-19
KR100615260B1 true KR100615260B1 (ko) 2006-08-25

Family

ID=3714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088A KR100615260B1 (ko) 2004-10-14 2004-10-14 유기전계 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2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0435A (ja) 1999-03-04 2000-09-14 Tohoku Pioneer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回路
JP2001076883A (ja) 1999-09-09 2001-03-23 Denso Corp El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0435A (ja) 1999-03-04 2000-09-14 Tohoku Pioneer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回路
JP2001076883A (ja) 1999-09-09 2001-03-23 Denso Corp El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130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93682A1 (en) Display substrates,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KR102470042B1 (ko) 표시 장치
US20170364187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fabr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9545833B (zh) 一种显示面板及终端
CN108051943B (zh) 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CN105206644A (zh) 透明显示组件和显示装置
US20170154943A1 (en) Arr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20130293499A1 (en)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CN110021627B (zh) 柔性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JP2005196167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CN106501998B (zh) 背光源、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CN103792734B (zh) 显示装置以及显示器
KR20140095020A (ko) 표시장치
US20200243620A1 (en) Display device
US20110227838A1 (en) Touch Screen Pane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WO2022156290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894390B2 (en) Displ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KR100581099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0236473B2 (en)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80373368A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00174605A1 (en) Display panel
KR100615260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KR100683677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1156424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KR2017001740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