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150B1 -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 - Google Patents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150B1
KR100615150B1 KR1020040060742A KR20040060742A KR100615150B1 KR 100615150 B1 KR100615150 B1 KR 100615150B1 KR 1020040060742 A KR1020040060742 A KR 1020040060742A KR 20040060742 A KR20040060742 A KR 20040060742A KR 100615150 B1 KR100615150 B1 KR 100615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ube
horn
lamp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9002A (ko
Inventor
고치형
Original Assignee
고치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치형 filed Critical 고치형
Publication of KR2004008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4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hydraulic transmission; using pneuma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0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driven by gas; e.g. suction operated
    • G10K9/04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driven by gas; e.g. suction operated by compressed gases, e.g. compressed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6/00Signals and indicators
    • Y10S116/44Portable personal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플랜트 산업이나 조선산업의 현장에서 위험이 닥치거나 특별한 사항을 알리기 위한 신호로 사용되는 것으로 에어만 공급하면 혼과 램프가 동시에 소리와 빛을 내어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시켜 정확한 위치를 단 시간내에 파악하여 사고 방지를 하며 또한 메세지를 빨리 전달 할 수 있도록 한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에 덮개(2)를 결합하는 몸체(1) 상단 일측에는 에어 혼(3)을 타측에는 램프(4)를 고정하고 몸체(1) 내부에는 양측으로 에어공급구(10)와 에어배출구(11)을 결합하고 상단에 제1에어분배구(12)를 고정한 에어 관로 덮개(13)를 일체로한 제너레이트(5)를 고정하며 에어공급구(10)와 제1에어분배구(12)는 제1튜브(9)로 연결하고 제1에어분배구(12)의 타측은 몸체(1) 외측으로 돌출 고정한 에어주입구(6)와 제2튜브(9a)로 결합하며 에어주입구(6)와 제2튜브(9a)사이에는 첵크밸브(17)를 결합하며 일측 에어배출구(11)는 제3튜브(9b)를 연결한 제2에어분배구(12a)를 고정하여 제4튜브(9c)로 외부로 돌출고정된 에어 혼(3)에 연결하며 타측은 소리크기조절구(14)를 제5튜브(9d)로 고정하며, 제너레이트(5) 하단에서 인출되는 전원선(15)은 램프(4)와 결합하여 된 것이다.
몸체 덮개 혼 램프 제너레이트 에어주입구 제1튜브 제2튜브 제3튜브 제4튜브 제5튜브 에어공급구 에어배출구 제1에어분배구 제2에어분배구 덮개 소리크기조절구 전원선 첵크밸브 혼 몸체 에어통로 관통공 음 조절구 조절공 얇은 폴리에스텔 진동판 덮개 에어 공급용 몸체 회전체 삽입요입공 회전체 요입홈 슬라이딩 작동편 에어공급공 회전축 전기 모우터

Description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취사시도
도 3은 본발명의 에어 혼의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발취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알람 시스템 계통도
도 9는 종래것의 알람 시스템 계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몸체 2: 덮개
3, 3a: 혼 4: 램프
5: 제너레이트 6:에어주입구
9: 제1튜브 9a: 제2튜브
9b: 제3튜브 9c: 제4튜브
9d: 제5튜브 10:에어공급구
11: 에어배출구 12: 제1에어분배구
12a: 제2에어분배구
13: 덮개 14. 소리크기조절구
15: 전원선 17: 첵크밸브
30: 혼 몸체 31: 에어통로
32: 관통공 33: 음 조절구
34. 조절공 35: 얇은 폴리에스텔 진동판
36: 덮개 40: 에어 공급용 몸체
41: 회전체 삽입요입공 42 : 회전체
43: 요입홈 44: 슬라이딩 작동편
47, 48: 에어공급공 50: 회전축
60: 전기 모우터
본 발명은 각종 플랜트 산업이나 조선산업의 현장에서 위험이 닥치거나 특별한 사항을 알리기 위한 신호로 사용되는 것으로 에어만 공급하면 혼과 램프가 동시에 소리와 빛을 내어 시각과 청각을 동시에 자극시켜 정확한 위치를 단 시간내에 파악하여 안전사고 방지를 하며 또한 메세지를 빨리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플랜트 산업이나 조선산업이 급진적으로 발전되어 넓은 작업공간 활용을 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부작용도 많은 것으로 여러사람에게 위험을 알리는 경고음이나 신호를 보내기에는 작업장의 소음이나 넓은 작업장에서는 쉽게 확인하지 못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기존의 경보기는 도 5처럼 위험이나 메세지 전달을 위해서는 혼(Horn)과 램프를 각각 별개로 작동하여야 하는 관계로 혼을 울리고자하면 먼저 에어(Air)가 신호부(20)에 도달한 상태에서 신호 벨을 눌러주면 에어가 밸브(21)를 지나 에어 혼을 통해 신호가 발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 혼은 신호음을 내기 위해서는 에어 혼에 직접 에어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강도가 강한 두께가 다소 두꺼운 금속 진동판을 사용하므로 신호음 시작을 위한 초기 압력이 최소 7kg/㎠을 불어 넣어야만 신호음이 울려 에어의 소모량이 많으며 신호음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대부분 작업장의 규모에 관계없이 동일한 크기로만 사용한다.
그리고 램프의 빛으로 경고를 알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동력이 항상 램프(25)가 연결되어 있는 콘트롤박스(26) 까지 연결된 준비상태에서 경고 버튼을 눌러주면 콘트롤박스(26)에서 전기를 램프에 공급하여 램프가 점멸되며 위치를 파악 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때는 혼의 경우 울림현상으로 청각으로만 정확한 위치파악이 어렵고 램프의 경우에도 점멸만 될 경우에 넓은 공간에서는 쉽게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사고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어려워 인명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뿐만아니라 에어 혼과 램프를 별도로 작동하여야 하므로 두가지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다소의 시차가 소요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에어 혼 과 램프 두가지 모두를 한곳에 설치하고자 하면 에어 공급관과 별도의 전력선과 콘트롤 박스를 시설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선을 가설함으로 오는 작업장의 불편함으로 작업 능률항상에 저해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플랜트 산업이나 조선산업의 작업 현장에서 이상 발생시나 인위적인 신호를 보내기 위해 시각과 청각으로 동시에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고의 위험이나 전달사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작업장 대부분 설치되어 있는 에어라인을 이용하여 에어 공급만으로 혼(Horn) 과 램프(Lamp)를 동시에 작동시킬수 있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육안으로 쉽게 파악되는 위치에는 에어 혼 만을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이의 경우 복잡하게 에어 파이프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의 전원선만 연결시키면, 에어 파이프를 통한 에어의 공급 없이 전원선을 이용하여 전기 모우터를 켜면 에어의 발생시켜 혼이 작동되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면에 덮개(2)를 결합하는 몸체(1) 상단 일측에는 에어 혼(3)을 타측에는 램프(4)를 고정하고 몸체(1) 내부에는 양측으로 에어공급구(10)와 에어배출구(11)을 결합하고 상단에 제1에어분배구(12)를 고정한 에어 관로 덮개(13)를 일체로한제너레이트(5)를 고정하며 에어공급구(10)와 제1에어분배구(12)는 제1튜브(9)로 연결하고 제1에어분배구(12)의 타측은 몸체(1) 외측으로 돌출 고정한 에어주입구(6)와 제2튜브(9a)로 결합한다.
이의 에어주입구(6)와 제2튜브(9a)사이에는 첵크밸브(17)를 결합하며 일측 에어배출구(11)는 제3튜브(9b)를 연결한 제2에어분배구(12a)를 고정하여 제4튜브(9c)로 외부로 돌출고정된 에어 혼(3)에 연결하며 타측은 소리크기 조절구(14)를 제5튜브(9d)로 고정하며, 제너레이트(5) 하단에서 인출되는 전원선(15)은 램프(4)와 결합한다.
상기의 에어 혼(3)은 혼 몸체(30) 하단에 에어통로(31)을 형성하고 일측면에 중앙에 관통공(32)을 뚫은 음 조절구(33)를 삽입하는 조절공(34)을 형성 나사 결합하며 내부에 얇은 폴리에스텔 진동판(35)을 삽입 뒤 덮개(36)를 일체로 결합하여 전면에 에어 혼(3)을 삽입 일체로 한다.
이렇게 혼 몸체(30)의 전방에 조절공(34)을 뚫어 음 조절구(33)를 결합하는 것은 에어통로(31)를 통한 에어의 량을 조절하여 음양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하디 위함으로 음 조절구(33)의 관통공(32)의 직경이 작거나 큼에 따라 음향이 달라지게되어 서로 다른 소리를 낼 수 있다.
그리고 에어주입구(6)에서 제너레이트(5)의 에어공급구(10) 까지 연결하는 제1튜브(9)(9a)는 에어배출구(11) 측에 연결되는 제3튜브(9b)(9c)(9d) 보다 직경이 작은 튜브를 사용한다.
이는 공기의 압력을 높여 고압이 발생토록하여 제너레이트(5)의 발전량을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면에 덮개(2a)를 결합하는 몸체(1a)의 상단 일측에는 에어 혼(3a)을 고정한다.
이의 몸체(1a) 내부에는 상부면(45) 일측 중간과 측면(46)에 에어공급공(47)(48)을 뚫고 에어 공급용 몸체(40)에 회전체 삽입요입공(41)를 만들어 회전체(42)의 다수 곳에 요입홈(43)을 회전축(50)과 수평되게 형성시켜 슬라이딩 작동편(44)을 매입한 회전체(42)를 편심되게 중심축공을 뚫은 회전체 삽입요입 공(41)에 삽입하며 에어 공급용 몸체(40)상부면(45)에 덮개(49)를 결합한다.
이의 슬라이드 작동편(44)은 회전체(42)의 요입홈(43)에 완전하게 삽입되어 작동된다.
상기의 에어 공급용 몸체(40) 하부에는 전기 모우터(60)를 회전축(50)과 일치시켜 결합한다.
에어 공급용 몸체(40)의 에어 공급공(47)을 몸체(1a)의 상단에 고정하는 에어 혼(3a)의 에어통로(31)와 일치되게하여 몸체(30)를 고정한다.
삭제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플랜트 산업 및 조선산업에서 작종 장비의 이상 발생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작동하게 하거나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인위적으로 원격 작동 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정위치을 정하여 몸체(1) 배면에 형성된 브라켓트(16)를 벽면에 보울트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에어 공급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일측의 에어주입구(6)에 연결한다.
이때 에어공급파이프 부분에 작동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반드시 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위적인 사고나 위험을 알리기 위해서 경고음과 빛을 발산시켜 시각과 청각으로 쉽게 구분시키고자 하면 먼저 작동밸브를 열어주면 에어가 외부에서 공급되는 에어 공급파이프를 통해 에어주입구(6)로 유입된다.
에어주입구(6)로 유입된 에어는 도 2처럼 첵크밸브(17)와 제2튜브(9a) 제1에어분배구(12)로 공급되어 일부는 에어 관로 덮개(13) 내부의 분배관로를 통해 다시 측면 에 돌출된 에어배출구(11)와 제3튜브(9b)를 거쳐 다시 제2에어분배구(12a)와 제4튜브(9c)지나 혼(3)을 불어주어 소리가 나게 된다.
상기의 에어 혼(3)의 혼 몸체(30)로 공급되는 에어는 혼 몸체(3) 내부의 에어통로(31)를 통해 유입되어 혼 몸체(30)에있는 내부의 얇은 폴리에스텔 진동판(35)이 진동하여 경보음을 내게된다.
이때 주입되는 에어는 내부의 압력에도 첵크밸브(17)에 의해 역류하지 않고 압력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에어분배구(12)에 도달한 일부 에어는 일측 제1튜브(9)를 거쳐 에어 관로 덮개(13) 타측에 형성한 에어유입구(10)로 유입되면 곧바로 제너레이트(5)로 공급되어 전류를 발전 시킴과 동시에 발전된 전류는 곧바로 전원선(15)에 연결된 램프(4)로 전달되어 램프가 켜져 신호를 보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에어밸브를 통해 에어를 공급하는 즉시 에어 혼(3)에서는 소리가 울리게 되며 램프(4)는 제너레이트(5)의 발전과 동시에 발전된 전원을 그대로 램프(4)로 보내어 두가지를 동시에 작동 시킬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에 있어 혼(3)에서 울려나오는 소리의 강,약을 조절하고자 하면 제2에어분배구(12a)의 제5튜브(9d)에 결합되어진 소리크기조절구(14)의 조절구를 조여주거나 풀어주면 소리의 강약이 조절되어지므로 사용 공간과 주변 환경에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몸체(1a)의 내부에 결합하는 제너레이트(5)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 모우터(6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전기모우터(60)를 사용하는 목적은 에어 공급파이프가 없는 곳에서는 별도로 에어 공급파이프를 설치하지 않고 전원선이 연결된 곳에서 손쉽게 전원선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렇게 전기 모우터(60)를 사용하여 에어가 공급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는 먼저 전기 모우터(60)에 전원을 공급한 상태에서 위급한 상황 발생으로 에어 혼(3a)을 통해 경보음를 울리고자 하면 스위치를 눌러주면 전기 모우터(60)가 작동하여 회전축(50)을 작동하면 회전축(50)에 연결된 회전체(42)가 회전을 하기 시작한다.
이때 편심으로 작동되게 한 회전체(42)가 회전 할 때 회전축(50)과 수평으로 만들어진 요입홈(43)에 삽입된 슬라이드작동편(44)이 원심력에 의해 회전체 삽입 요입공(41)의 공간이 넓은 곳으로 밀려 나오게 되면서 회전하여 에어를 일시 많은 량을 일측 에어 공급공(47)으로 불어주면서 에어 공급공(47)의 상단 몸체(1a)에 결합된 에어 혼(3a)의 에어 통로(31)로 에어가 유입되어 경보음이 발생된다.
상기처럼 회전체(42)가 회전되어지다 보면 슬라이드 작동편(44)이 회전체 삽입요입공(41)의 상사면에서 하사면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외벽면에 의해 자연적으로 회전체(42)의 요입홈(43)에 밀려들어가면서 회전한다.
이렇게 슬라이드 작동편(44)이 일측 에어 공급공(47)을 지나고나면 슬라이드 작동편(44)이 요입홈(43)에 완전히 밀려 들어간 상태에서 회전되어지다 에어 공급용 몸체(40)의 회전체 삽입 요입공(41)의 내벽의 하사면을 지남과 동시에다시 전자와 동일하게 슬라이드 작동편(44)이 요입홈(43) 밖으로 밀려나면서 에어를 발생한다.
상기 에어 공급용 몸체(40)의 측면(46)에 만들어진 에어공급공(48)은 전기 모우터(60)의 회전에 의해 만들어지는 에어를 적적하게 발생시키는 완충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에어 공급파이프의 설치가 어렵고 불편한 곳에 전원선에 간단히 연결하여 사용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에어 혼의 동작이 최소 0.5kg/㎠을 불어 넣어도 신호음이 울려 적은 에어 공급만으로도 에어 혼과 램프를 동시에 작동 할 수 있고 별도의 전기 공급을 위한 전원선 배선이 필요치 않아 주변이 깨끗하여 누전사고의 위험이 없고, 주위 환경과 작업여건에 따라 음량 조절이 가능하며 작업중 다수 개에서 작동하여 소리가 발생하여도 소리의 강약에 의해 위치 파악이 용이하며 혼과 램프가 몸체를 통한 일체형으로 되어져 설치 시설비용을 줄 일수 있고 일체형이라 설치가 간단하여 빠른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작업 공간이 넓은 플랜트 산업이나 조선산업은 물론 선박내부나 공장 내부에서도 설치가 간편하며 적은 설치 비용으로 높은 효율을 올릴 수 있으며 시각과 청각으로 동시에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기만으로도 에어를 발생시켜 경보음이 울려지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예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Claims (5)

  1. 전면에 덮개(2)를 결합하는 몸체(1) 상단 일측에는 에어 혼(3)을 타측에는 램프(4)를 고정하고 몸체(1) 내부에는 양측으로 에어공급구(10)와 에어배출구(11)을 결합하고 상단에 제1에어분배구(12)를 고정한 에어 관로 덮개(13)를 일체로한 제너레이트(5)를 고정하며 에어공급구(10)와 제1에어분배구(12)는 제1튜브(9)로 연결하고 제1에어분배구(12)의 타측은 몸체(1) 외측으로 돌출 고정한 에어주입구(6)와 제2튜브(9a)로 결합하며 에어주입구(6)와 제2튜브(9a)사이에는 첵크밸브(17)를 결합하며 일측 에어배출구(11)는 제3튜브(9b)를 연결한 제2에어분배구(12a)를 고정하여 제4튜브(9c)로 외부로 돌출고정된 에어 혼(3)에 연결하며 타측은 소리크기조절구(14)를 제5튜브(9d)로 고정하며, 제너레이트(5) 하단에서 인출되는 전원선(15)은 램프(4)와 결합함을 특징으로한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에어 혼(3)은 혼 몸체(30) 하단에 에어통로(31)을 형성하고 일측면에 중앙에 관통공(32)을 뚫은 음 조절구(33)를 삽입하는 조절공(34)을 형성 나사 결합하며 내부에 얇은 폴리에스텔 진동판(35)을 삽입 뒤 덮개(36)를 일체로 결합하여 전면에 에어 혼(3)을 삽입 일체로 함을 특징으로 한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에어주입구(6)에서 제너레이트(5)의 에어공급구(10) 까지 연결하는 제1튜브(9)(9a)는 에어배출구(11) 측에 연결되는 제3튜브(9b)(9c)(9d) 보다 직경이 작은 튜브를 결합함을 특징으로 한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에어관로 덮게(13)와 연결한 제1에어분배구(12)를 사용하지 않고 에어주입구(6)와 에어공급구(10)를 직접 튜브로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
  5. 상단에 에어 혼(3a)을 고정하는 몸체(1a) 내부에는 상부면(45) 일측 중간과 측면(46)에 에어공급공(47)(48)을 뚫고 에어 공급용 몸체(40)에 회전체 삽입요입공(41)를 만들어 회전체(42)의 다수 곳에 요입홈(43)을 회전축(50)과 수평되게 형성시켜 슬라이딩 작동편(44)을 매입한 회전체(42)를 편심되게 중심축공을 뚫은 회전체 삽입요입공(41)에 삽입하며 에어 공급용 몸체(40)상부면(45)에 덮개(49)를 결합하며 슬라이드 작동편(44)은 회전체(42)의 요입홈(43)에 삽입되며, 에어 공급용 몸체(40) 하부에는 전기 모우터(60)를 회전축(50)과 일치시켜 결합시켜 됨을특징으로 한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
KR1020040060742A 2003-04-14 2004-07-29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 KR100615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3532 2003-04-14
KR1020030023532 2003-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002A KR20040089002A (ko) 2004-10-20
KR100615150B1 true KR100615150B1 (ko) 2006-08-25

Family

ID=3737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742A KR100615150B1 (ko) 2003-04-14 2004-07-29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479B1 (ko) * 2010-11-12 2013-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0344A (en) 1982-08-11 1985-05-28 Shu Si Yan Wheel trouble detecting and warning device
US5131612A (en) 1990-12-07 1992-07-21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Arrangement for positively determining the actual sounding of a warning horn on a railway vehicle
JPH061181A (ja) * 1992-06-18 1994-01-11 On Kk シリンダータンクを具備した二連式エアーホーン
US5311851A (en) 1992-03-02 1994-05-17 Wright Jr Harold W Methane monitor and engine shutdown system
KR0151044B1 (ko) * 1995-05-15 1999-01-15 김광호 산업현장의 종합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0344A (en) 1982-08-11 1985-05-28 Shu Si Yan Wheel trouble detecting and warning device
US5131612A (en) 1990-12-07 1992-07-21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Arrangement for positively determining the actual sounding of a warning horn on a railway vehicle
US5311851A (en) 1992-03-02 1994-05-17 Wright Jr Harold W Methane monitor and engine shutdown system
JPH061181A (ja) * 1992-06-18 1994-01-11 On Kk シリンダータンクを具備した二連式エアーホーン
KR0151044B1 (ko) * 1995-05-15 1999-01-15 김광호 산업현장의 종합경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002A (ko)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3752B1 (en) Indoor wastewater disposal system and tank therefor
CN106556109B (zh) 空调系统和空调系统的线路检测方法
KR20050113649A (ko) 분무 방식 및 장치
KR100615150B1 (ko)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
US20060219814A1 (en) Nebulisation venturi and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20160078743A1 (en) Remote Pipe Lining Air Monitoring System
KR200324122Y1 (ko) 에어 혼과 램프를 일체화한 동시 경보기
JP3899849B2 (ja) 位置検出装置
KR200298174Y1 (ko) 간이형 스프링쿨러 시스템
US20130011278A1 (en) Sealing grommet for connection between terminal housing and interior of sealed compressor
CN218940331U (zh) 一种无负压供水带防小动物进入的控制柜
GB2379344A (en) Electricity supply alarm for an electrical appliance
CN218064189U (zh) 一种化工高压管道监控工装
CN213296514U (zh) 一种消防栓的数据集中装置
CN218238914U (zh) 一种消防工程用消防栓传感装置
CN211902294U (zh) 一种壁挂式空压机
CN215427110U (zh) 一种用于消防管道泄露检测仪
CN220982690U (zh) 一种航空发动机附件机匣传感器安装结构
KR102555772B1 (ko) 하베스팅에 의한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가지는 원심펌프 및 이를 적용한 부스터 펌프 시스템
CN219986972U (zh) 一种车床主轴吹气装置
CN215200066U (zh) 接头组件及充气工装
CN209875441U (zh) 一种消防泵控制设备
CN113597039A (zh) 一种故障报警的高安全电场发生器及其检测方法
CN205424702U (zh) 一种具备壁挂和悬挂安装方式的消防应急标志灯具
TWI607842B (zh) Low pressure warning device, low pressure warning device and low pressure warning method for pneumatic t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