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129B1 - 상품 진열 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진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129B1
KR100615129B1 KR1020040059687A KR20040059687A KR100615129B1 KR 100615129 B1 KR100615129 B1 KR 100615129B1 KR 1020040059687 A KR1020040059687 A KR 1020040059687A KR 20040059687 A KR20040059687 A KR 20040059687A KR 100615129 B1 KR100615129 B1 KR 100615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rface
locking
engaging
shelf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1034A (ko
Inventor
토모나리노부유키
코스기켄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마토시 코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마토시 코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마토시 코교쇼
Priority to KR1020040059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12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07Display panels, grids or rods used for suspending merchandise or cards supporting articles; Movable brac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07Display panels, grids or rods used for suspending merchandise or cards supporting articles; Movable brackets therefor
    • A47F5/0838Rails or bars; Article supports therefor, e.g. brackets being slidably attached on the outsid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 돌조(突條; 2b)의 회동 동부(洞部)(2f) 내에 걸림 홈(2d, 2e)을 형성하고, 걸림 부재(3a)의 기립부(3b)에 걸어맞춤 돌기(3c, 3d)를 형성하며, 기립부(3b)를 회동(回動) 동부(2f) 내에 삽입함으로써, 걸림홈(2d, 2e)에 대하여 걸어맞춤 돌기(3c, 3d)가 걸림 부재(3a)의 자중에 의해 각각 걸어맞춰져서 유지되게 된다.
벽면, 걸림 돌조, 걸림홈, 걸어맞춤 돌기, 기립부

Description

상품 진열 장치{Commodity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형태에 의한 상품 진열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진열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벽면 부재를 벽면에 부착한 구조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반달기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반달기 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반달기 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걸림 돌조(突條)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벽면 2 : 벽면 부재
2a : 수직 벽면 2b: 걸림 돌조(突條)
2c : 굴곡 2d, 2e : 걸림홈
2f : 회동 동부(洞部) 2g : 개구부
3 : 선반달기 부재 3a: 걸림 부재
3b : 기립부 3c, 3d : 걸어맞춤 돌기
4 : 지지 부재 5 : 접시형 나사 구멍
6 : 고정 나사
본 발명은 점포나 전시장 부스 등의 벽면에, 이 벽면을 덮는 형태로 상품 진열 벽면을 형성하고, 이것에 상품을 매달거나 탑재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착탈(着脫)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품 등의 진열 장소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상품 진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점포나 전시회장 등의 벽면에 선반받침용 지주(슬릿구멍을 갖는 기둥) 등을 부착하고, 이것에 선반받침 브래킷(bracket), 선반판, 행거 파이프(hanger pipe), 훅(hook) 등의 부재를 장착해서 상품을 전시 진열하고 있었다. 또한, 점포나 전시장 부스 등의 벽면에, 선반 부재나 걸기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한 벽면 부재 등을 부착하고, 이것에 선반 부재나 걸기 부재를 장착하여 전시 판매 상 품의 진열 장소를 형성하고 있었다. 즉, 상기 벽면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에 걸쳐 장착하여 진열 벽면을 형성하고, 이것에 선반 부재나 걸기 부재를 부착하여 상품 진열 장소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일본국 특허공개 평9-189094호 공보 참조). 예를 들면, 수직 벽면 부재에 훅이나 브래킷이라고 불리는 선반 부재나 걸기 부재를 필요에 따라서 배치하고, 그 훅이나 브래킷에 상품을 직접 매달거나, 브래킷에 선반판을 얹어 놓고, 이 선반판상에 상품을 진열하고 있었다.
또한, 상품 진열은 벽면 부재 자체에도 장식적 효과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는, 그 벽면 부재 자체를 점포의 벽면이나 전시장의 부스 내에 설립되어 있는 지주에, 그 벽면 부재의 표면측으로부터 나사 등의 고정구(固定具)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품 진열의 벽면 부재에 있어서는, 벽면 부재에, 선반 부재나 걸기 부재를 장착하는 것은, 통상, 상방(上方)으로부터 장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들 부재를 부착하는 데에는 하중이 자연스럽게 가해져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방에 대한 힘에 대해서는 개방적이 되고, 이 때문에 상방으로의 가벼운 힘에 의해, 선반 부재나 걸기 부재가 빠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벽면 부재에 대하여 복수의 걸림 부재를 수평 배치해서 고정하는 작업이 성가시고, 이 때문에 상품 진열 작업을 원활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해 걸림 부재의 부착 후는 이들 걸림 부재에의 훅이나 브래킷의 하나 하나의 착탈 조작이 번거로워서, 그 착탈 위치가 고정적으로 되어 버린다.
또한, 벽면 부재의 점포 등의 벽면이나 기둥에의 고정이 표면측으로부터 나 사 고정에 의해 행해지면, 그 나사의 머리가 벽면 부재의 표면에 노출되게 되어, 벽면 부재 자체의 장식적 효과, 인테리어 효과가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벽면 부재에 부착된 선반 부재나 걸기 부재를 아래쪽으로부터 원터치로 용이하게 또한 확실히 끼워 붙임으로써, 상품을 진열 또는 매달아 지지할 수 있는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벽면 부재의 고정용의 나사가 벽면에 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상품 진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장치는, 점포 등의 벽면 등에 부착하는 장척(長尺)의 수직 벽면에, 상기 수직 벽면으로부터 오버행(overhang) 형상으로 돌출하고, 아래쪽으로 반원호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내측에 걸림홈을 만들어 회동(回動) 동부(洞部)를 구성하는 걸림 돌조(突條)를 구비하는 벽면 부재 및 진열하는 상품 등을 지지하는 봉(棒) 형상의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선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걸림 부재를 구비하는 선반달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걸림 부재의 선단을 L자 형상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는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의 굴곡부와 첨단부에 형성되는 걸어맞춤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선반달기 부재의 기립부가 상기 벽면 부재의 회동 동부의 내벽면을 회동하여, 상기 기립부의 걸어맞춤 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수직 벽면에 밀접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수직 벽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벽면 부재의 회동 동부는, 상기 수직 벽면에 만들어진 걸림홈과, 반원호 형상으로 굴곡시킨 상기 걸림 돌조의 선단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걸림 부재가 회동하는 공동부(空洞部)로 구성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선반달기 부재의 걸어맞춤 돌기는, L자 형상으로 굴곡시킨 기립부의 배면부(背面部)에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걸림 부재를 굴곡한 첨단부를 경사시켜서 돌기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장치에 따르면, 상기 벽면 부재의 회동 동부 내에, 선반달기 부재의 걸림 부재의 기립부를 아래쪽으로부터 돌리도록 삽입하면, 기립부의 2부위의 걸어맞춤 돌기가 회동 동부 내를 회동하면서, 회동 동부 내의 걸림홈에 자동적으로 안내되어 끼워맞춰진다. 이 경우, 걸림 부재가 수직 벽면에 밀접하고, 그 때 자중에 의해, 걸림홈에 걸어맞춤 돌기가 끼워 붙여진다(감착(嵌着)된다). 감착은 상방으로의 힘으로는 탈락하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장치는, 상기 공동부 내의 걸림홈과 걸어맞춤 돌기의 끼워맞춤이, 상기 걸어맞춤 돌기의 회동 조작 및 상기 선반달기 부재의 자중에 의한 압접(壓接)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장치에 따르면, 선반달기 부재의 걸어맞춤 돌기에 대한 착탈 조작을 원터치로 신속 또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장치는, 상기 수직벽이 복수장의 벽면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조립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서로 이웃하는 한쪽의 벽면 부재의 고정 나사를 덮도록 다른쪽 벽면 부재가 나사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장치에 따르면, 수직벽을 점포의 넓이나 높이 등에 따른 면적에 조립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 나사의 노출을 회피하여 직접 수직 벽면 전체의 장식적 효과 및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지만, 그들 도면은 도해만의 목적을 위해서 제공되며, 어떠한 것에서도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형태에 의한 상품 진열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진열 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벽면 부재를 벽면에 부착한 구조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반달기 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장치의 조립 순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선반달기 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은 점포 등의 벽면(1)에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진열 장치를 붙여 고정한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진열 장치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면 부재(2)와, 선반달기 부재(3)로 구성된다.
벽면 부재(2)는 점포 등의 벽면(1) 등에 부착되는 장척(長尺)의 수직 벽면(2a)에, 상기 수직 벽면(2a)으로부터 오버행(overhang) 형상으로 돌출하는 걸림 돌 조(突條)(2b)를 만들고, 상기 걸림 돌조(2b)를 연장시켜서 아래쪽으로 반원호 형상으로 굴곡(2c)시켜 내측에 걸림홈(2d)과 수직 벽면(2a)의 내측에 걸림홈(2e)을 만든 회동 동부(2f)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선반달기 부재(3)는 진열하는 상품 등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4)의 선단에 걸림 부재(3a)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 부재(3a)의 선단을 L자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기립부(3b)로 하며, 상기 기립부(3b)의 굴곡부와 첨단부(尖端部)에 걸어맞춤 돌기(3c, 3d)를 형성한 것이다.
이 벽면 부재(2)와 선반달기 부재(3)를 도 2∼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벽면(1)에 붙여서 고정되는 벽면 부재(2)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의 수직 벽면(2a)에, 상기 수직 벽면(2a)으로부터 오버행 형상으로 돌출하는 걸림 돌조(2b)가 만들어진다. 이 걸림 돌조(2b)는 수직 벽면(2a)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예를 들면 2∼3이 일체로 만들어진다. 이 걸림 돌조(2b)를 연장시켜서 아래쪽으로 반원호 형상으로 굴곡(2c)시키면 그 내측에 걸림홈(2d, 2e)을 만든 회동 동부(2f)를 형성한다. 걸림 돌조(2b)의 선단에는, 선반달기 부재(3)의 기립부(3b)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2g)가 걸림 돌조(2b)의 하부에 형성된다.
벽면 부재(2) 상단부는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내부직경 및 깊이가 2단으로 변화하는 접시형 나사 구멍(5)이 만들어져 있다. 이 접시형 나사 구멍(5)을 통하여 벽면 부재(2)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점포 등의 벽면(1)이나 기둥 등에 고정하는 고정 나사(6)가 삽입되어 있다. 한편, 접시형 나사 구멍(5) 내에 고정 나사(6)의 머리가 수납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상단의 걸림 돌조(2b)의 수부(首部)에는 원호 형상 걸림면을 갖는 걸림홈(7)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 되어 있다.
한편, 벽면 부재(2)의 상방(上方)에 인접하는 벽면 부재(2) 하단부는, 배면(背面)이 도려내어진 것과 같은(노치된 것과 같은) 형태로 되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하단부가 벽면 부재(2)의 두께가 얇은 상단부를 덮도록 포개지고, 그 하단에 형성된 원호 형상 걸림면을 갖는 걸림 돌기(8)가 걸림홈(7) 내에 끼워맞춰진다. 이에 따라, 고정 나사(6)를 벽면 부재(2)의 표면에 노출시키지 않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벽면 부재(2)에 대하여 벽면 부재(2)가 상방에 인접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각 걸림 돌조(2b)는 모두 동일 형상, 치수의 오버행 형태를 이루며, 하부에 각각 개구부(2g)를 갖고, 벽면 부재(2)에 대향하는 위치이며, 개구부(2g)에 연속하도록 회동 동부(2f)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선반달기 부재(3)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달기 부재(3)는 진열하는 상품 등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4)의 선단에 걸림 부재(3a)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 부재(3a)의 선단을 L자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기립부(3b)로 하며, 상기 기립부(3b)의 굴곡부와 첨단부에 걸어맞춤 돌기(3c, 3d)를 만든 것이다. 이와 같이 선반달기 부재(3)의 걸어맞춤 돌기(3d)는 L자 형상으로 굴곡시킨 기립부의 배면부에 돌출시키고, 상기 걸림 부재(3a)측을 경사시켜서 형성된다. 일단(一端)에서 L자 형상으로 기립된 기립부(3b)는 개구부(2g)를 통하여 회동 동부(2f) 내에 삽입 가능한 형상,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기립부(3b)의 선단과 이 기립부(3b)의 기부(基部) 하면에는, 회동 동부(2f) 내의 걸림 홈(2d, 2e)에 각각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 부재로서의 걸어맞춤 돌기(3c, 3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 동부(2f)의 형상은 전체로서 기립부(3b)에 대하여 약간 큰 치수이며, 또한 닮은꼴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기립부(3b)를 포함하는 걸림 부재(3a)의 선단 부분은 걸림 돌조(2b)의 개구부(2g) 및 회동 동부(2f) 내에서 어느 정도의 틈새를 통하여 이동 가능한 형상,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걸림 부재(3a)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의 지지 부재로서의 선반판(15)을 대략 T자 형상으로 돌출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품 진열 장치의 조립 방법을 도 5, 도 6 및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포나 전시장 부스 등의 벽면(1)에, 벽면 부재(2)를 벽면(1)의 최하단에 고정 나사(6)로 부착하고, 또한, 벽면 부재(2)의 상부를 서로 포개서 순차 조립하여 벽면 부재(1)의 수직 벽면을 형성한다.
이어서, 걸림 부재(3a)를 벽면 부재(2)의 걸림 돌조(2b)에 장착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부재(3a)의 기립부(3b)를 걸림 부재(3a)가 거의 수평이 되는 각도로 걸림 돌조(2b)의 개구부(2g) 내에 면하게 한다.
이어서, 그 기립부(3b)를 개구부(2g)로부터 더욱 안쪽의 회동 동부(2f) 안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걸림 부재(3a)를 회동 조작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돌조(2b)의 회동 동부(2f) 내에서 회동시킨다.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면, 걸림 부재(3a)는 수직 상태로부터 벽면 부 재(2)의 수직 벽면(2a)과 평행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기립부(3b)는 회동 동부(2f) 내에 있고, 걸림 부재(3a)의 하면(도 6에서는 좌측면)이 벽면 부재(2)에 거의 접촉한다. 이 때문에, 지지 부재(4)는 벽면 부재(2)에 대하여 거의 수직이 된다. 여기에서, 회동 조작을 해제하면, 걸림 부재(3a)는 자중에 의해 약간 하강하고, 이 때 걸림홈(2d, 2e) 내에 걸어맞춤 돌기(3c, 3d)가 각각 끼워 넣어진다. 이 때문에, 기립부(3b)는 회동 동부(2f) 내로부터 탈출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걸림 부재(3a)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 부재(4)상에 물품을 탑재, 진열, 매달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선반달기 부재를 지지 부재(4)상에 배치하여, 벽면 부재(2)의 수직 벽면(2a)에 대하여 수직 또한 수평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그 위에 물품을 탑재하더라도 걸림 부재(3a)가 걸림 돌조(2b)로부터 탈락하지 않고, 그 물품을 안전하게 전시 또는 진열할 수 있다. 또한, 걸림 부재(3a)를 벽면 부재(2)로부터 떼어 내는 것은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낸 순서를 반대로 실행함으로써 간단,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일단 걸림 돌조(2b)에 장착된 선반달기 부재(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걸림 부재(3a)가 거의 수평이 되는 각도까지 회전하지 않으면 걸림 돌조(2b)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지지 부재(4)에 상품을 매달아 지지할 때에, 선반달기 부재(3)를 소정 각도 회전하더라도 걸림 돌조(2b)로부터 빠지지 않기 때문에, 상품의 진열 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는, 지지 부재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 형 상의 예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봉 형상이 아니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판형상의 지지 부재(15)에 판 형상의 걸림 부재(12)로 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는, 걸림 부재(12)를 통하여 형성되는 지지 부재(15)를 선반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달기 부재(3)를 걸림 부재(3a, 3a)와, 누름 부분(3e, 3e)으로 2분할해서 구성하고, 이것으로부터 지지봉(16)을 연장시키며, 중앙에 지지 부재(17)를 배치하는 구조여도 좋다. 이 경우, 걸림 부재(3a)의 기립부의 구조는, 도 4와 동일하다. 그 작용 효과도 동일하다.
또한, 걸림 돌조(2b)의 회동 동부(2f)측의 다른 구성을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는, 선반달기 부재(3)가 장착된 벽면 부재(2)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걸림 돌조(2b)의 회동 동부(2f)측의 상부에는, 돌조부(2h)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돌조부(2h)는 선반달기 부재(3)를 장착했을 때, 기립부(3b)의 상부 측면에 접촉하는, 또는 기립부(3b)의 상부 측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돌조부(2h)는 회동 동부(2f)에 있어서의 선반달기 부재(3)의 기립부(3b)의 회전 동작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림 돌조(2b)의 회동 동부(2f)측의 상부에 돌조부(2h)를 형성함으로써, 선반달기 부재(3)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상품을 진열할 때에, 선반달기 부재(3)를 소정 각도 회전하더라도, 선반달기 부재(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선반달기 부재(3)가 걸림 돌조(2b)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져서, 상품의 진열 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 부재(3a)의 기립부(3b)를 개구부(2g)로부터 삽입해서 회동시켜, 걸어맞춤 돌기(3c, 3d)를 걸림홈(2d, 2e)에 걸어맞추게 하고, 수직 벽면(2a)에 대하여 걸림 부재(3a)의 평면부를 따르도록 수하(垂下)시킴으로써, 수직 벽면(2a)에 대하여 지지 부재(4)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품의 진열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회동 동부(2f)와 걸림 부재(3a)의 기립부(3b)의 걸어맞춤 상태가 걸림 부재(3a)의 회동 조작 및 자중에 의한 하강에 의해 행해지도록 함으로써, 선반달기 부재(3)의 벽면 부재(2)에의 착탈을 원터치 조작으로 확실하게, 또한 간단,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복수장의 벽면 부재(2)를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조립하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한쪽의 벽면 부재(2)의 고정 나사를 덮도록 다른쪽 벽면 부재(2)를 나사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수직벽을 점포의 넓이나 높이 등에 따른 면적에 조립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때 고정 나사의 노출을 회피하여 벽면 전체의 장식적 효과 및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여기에 도해하여 서술한 특정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서, 그러나 이하의 청구범위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변형된 것은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된다.

Claims (5)

  1. 점포 등의 벽면 등에 부착하는 장척(長尺)의 수직 벽면에, 상기 수직 벽면으로부터 오버행(overhang) 형상으로 돌출하고, 아래쪽으로 반원호 형상으로 굴곡시켜서 내측에 걸림홈을 만들어 회동(回動) 동부(洞部)를 구성하는 걸림 돌조(突條)를 구비하는 벽면 부재; 및
    진열하는 상품 등을 지지하는 봉(棒) 형상의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의 선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걸림 부재를 구비하는 선반달기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걸림 부재의 선단을 L자 형상으로 굴곡시켜 형성되는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의 굴곡부와 첨단부에 형성되는 걸어맞춤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선반달기 부재의 기립부가 상기 벽면 부재의 회동 동부의 내벽면을 회동하여, 상기 기립부의 걸어맞춤 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상기 걸림 부재가 상기 수직 벽면에 밀접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수직 벽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 부재의 회동 동부(洞部)는
    상기 수직 벽면에 만들어진 걸림홈과,
    반원호 형상으로 굴곡시킨 상기 걸림 돌조의 선단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걸림 부재가 회동하는 공동부(空洞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달기 부재의 걸어맞춤 돌기는 L자 형상으로 굴곡시킨 기립부의 배면부(背面部)에 돌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걸림 부재를 굴곡한 첨단부를 경사시켜서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동부 내의 걸림홈에 상기 선반달기 부재의 걸어맞춤 돌기의 끼워맞춤은, 상기 걸어맞춤 돌기의 회동 조작 및 상기 선반달기 부재의 자중에 의한 하강에 의해 끼워 붙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벽면이 복수장의 벽면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조립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서로 이웃하는 한쪽의 벽면 부재의 고정 나사를 덮는 상태로 다른쪽 벽면 부재가 나사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진열 장치.
KR1020040059687A 2004-07-29 2004-07-29 상품 진열 장치 KR100615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687A KR100615129B1 (ko) 2004-07-29 2004-07-29 상품 진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687A KR100615129B1 (ko) 2004-07-29 2004-07-29 상품 진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034A KR20060011034A (ko) 2006-02-03
KR100615129B1 true KR100615129B1 (ko) 2006-08-23

Family

ID=37121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687A KR100615129B1 (ko) 2004-07-29 2004-07-29 상품 진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230B1 (ko) * 2013-07-05 2013-10-15 주식회사 디엔디 물품 진열을 위한 벽체 패널 구조
US11622628B2 (en) 2021-03-31 2023-04-11 Mcs Industries, Inc. Wall hang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230B1 (ko) * 2013-07-05 2013-10-15 주식회사 디엔디 물품 진열을 위한 벽체 패널 구조
US11622628B2 (en) 2021-03-31 2023-04-11 Mcs Industries, Inc. Wall han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034A (ko) 200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8479B2 (ja) 商品陳列装置
GB2299261A (en) Adjustable support system eg for shelving
US20120168579A1 (en) Overhead mounting bracket for tabbed accessories
KR100615129B1 (ko) 상품 진열 장치
KR100563276B1 (ko) 월판넬과 포인트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상품진열대
US20050001520A1 (en) Security shelf display case
KR101218299B1 (ko) 벽체 부착형 선반 본체 고정구를 갖는 선반
JPH10240155A (ja) 薄形映像機器のスタンド装置
JP2007086647A (ja) 表示装置
JP2006345951A (ja) 収納棚
JP2006122329A (ja) 商品陳列装置
JPH0434751Y2 (ko)
KR100949574B1 (ko) 쇼케이스용 선반 경사구조체
JP2017079979A (ja) 収納箱の吊り下げ構造
KR20070025055A (ko) 조립식 진열대 결합구조
JP4594490B2 (ja) 商品陳列棚
KR0142749B1 (ko) 진열용 행거의 포인트 부착과 진열용 월판넬 부착을 겸한 부착부재
JP7158747B2 (ja) 陳列用什器
JP3500978B2 (ja) 吊り棚の取付構造
JP3125483U (ja) パネル装置
JP3124810U (ja) 展示物支持装置
KR200222709Y1 (ko) 전시용 패널
KR200386082Y1 (ko) 선반 지지 장치
JPH0354621Y2 (ko)
JP3117277U (ja) 商品陳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613

Effective date: 200812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