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135B1 -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 - Google Patents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135B1
KR100613135B1 KR1020050125424A KR20050125424A KR100613135B1 KR 100613135 B1 KR100613135 B1 KR 100613135B1 KR 1020050125424 A KR1020050125424 A KR 1020050125424A KR 20050125424 A KR20050125424 A KR 20050125424A KR 100613135 B1 KR100613135 B1 KR 100613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frame
door
space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윤호
Original Assignee
(주)원양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양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원양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25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2Base frames, i.e. template frames for openings in walls or the like, provided with means for securing a further rigidly-mounted frame; Special adaptations of frames to be fixed there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06Wooden frames
    • E06B1/08Wooden frame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26Frames of plastics
    • E06B1/30Frames of plastics composed of several parts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 of the frame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건축물 또는 공동주택 등의 문틀이 설치되는 벽체의 공간부와 문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출입문 보강구조체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공간부에서 문틀이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문틀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문틀 보강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문틀 보강구조체는
사각의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 연결플레이트의 내측에 제1 개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공의 인접한 일측에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서로 대향 관계를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내측에 제1 단턱이 마련되며, 외측에 제1 날개편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양측에는 각각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삽입/연결되는 제1 문틀보강프레임과,
사각의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 연결플레이트의 내측에 제2 개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공의 인접한 모서리부에 상기 체결홈에 삽입/연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의 내측에 제2 단턱이 마련되고, 외측에 제2 날개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제1 문틀보강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문틀보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문틀 보강프레임, 벽체, 문틀

Description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REINFOCE MEMBER OF DOOR FOR BUILDING}
도 1은 종래 출입문의 문틀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1 문틀 보강프레임 111 : 제1 연결프레임
112 : 제1 개구공 118 : 제1 단턱
119 : 제1 날개편 120 : 제2 문틀 보강프레임
121 : 제2 연결플레이트 122 : 제2 개구공
128 : 제2 단턱 129 : 제2 날개편
S : 공간부 B : 벽체
본 발명은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 등의 문틀 보강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이 설치되는 벽체의 공간부와 문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출입문 보강구조체를 구성하는 제1,2 문틀보강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공간부에서 문틀이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벽체 두께에 관계없이 제1,2 문틀보강프레임을 조절하면서 문틀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입문(Door/門)이란 건조물의 안팎을 연결시켜 주는 시설로서 출입(出入)을 위한 구조물의 총칭. 창호(窓戶) 중 호(戶)에 해당하며 큰 입구 즉 2짝의 문을 뜻한다. 이러한 출입문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근대에 들어와 출입문은 건축의 미적 구성에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
이와 같은 출입문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물의 기초공사를 위한 구조물을 축조한 후, 실내를 각방으로 구획하기 위한 벽을 축조한다. 이후, 상기 벽에 문틀과 출입문을 시공하여 출입문 설치를 마친다.
즉,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B)의 시공전에 먹 매김을 한 다음 목재를 이용하여 짜인 예비문틀을 거푸집과 함께 설치한다. 이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일정기간 양생 기간을 거치면 타설된 콘크리트가 굳어지게 된다. 이후, 상기 거푸집과 함께 설치된 예비문틀을 제거한다. 이후, 상기 예비문틀을 통해 형성된 공간부(S)에 문틀(10)을 삽입하여 연결부위에 시멘트를 타설하여 상기 공간부(S)에 문틀(10)을 고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출입문의 문틀 고정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문틀은 별도의 체결요소 없이 시멘트의 접합력에 의해 고정/지지되기 때문에 시공 후 소정 기간이 지나면 그 연결부위에 크랙이 발생하여 공간부에 견고히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출입문 문틀의 설치관계에 대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문틀이 설치되는 벽체의 공간부와 문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출입문 보강구조체인 제1,2문틀 보강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공간부에서 문틀이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문틀이 설치된 후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고, 문틀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를 이루는 제1 문틀보강프레임과 제2 문틀보강프레임의 결합은 시공된 벽체의 두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문틀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문틀 보강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문틀 보강구조체는
사각의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 연결플레이트의 내측에 제1 개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공의 인접한 일측에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서로 대향관계를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내측에 제1 단턱이 마련되며, 외측에 제1 날개편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양측에는 각각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삽입/연결되는 제1 문틀보강프레임과,
사각의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 연결플레이트의 내측에 제2 개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공의 인접한 모서리부에 상기 체결홈에 삽입/연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의 내측에 제2 단턱이 마련되고, 외측에 제2 날개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의 타측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제1 문틀보강프레임과 연결되는 제2 문틀보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홈은 그 외주면에 상광하협의 직사각형상 홈 다수개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에 삽입/연결되는 체결돌기는 상기 직사각형상의 홈과 동일한 외형의 다수개 돌기를 갖는 연결편이 탄성력을 갖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문틀보강프레임과 제2 문틀보강프레임은 이들을 서로 연결시 제1 날개편과 제2 날개편 사이에는 공간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마련되며, 제1 문틀보강프레임과 제2 문틀보강프레임의 내측에는 문틀을 삽입/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단턱과 제2 단턱의 내측면에는 각각 탄성편이 삽입/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100)는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과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은 그 일측에 사각의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 연결플레이트(1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플레이트(111)의 내측에는 제1 개구공(112)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개구공(112)의 인접한 일측에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5)과 수평프레임(116)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대향관계를 갖도록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115)과 수평프레임(116)의 양측에는 각각 체결홈(11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115)과 수평프레임(116)의 내주면 면적은 상기 문틀(10)의 외주면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5)과 수평프레임(116)의 내측에는 제1 단턱(118)이 마련되며, 외측에는 제1 날개편(119)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117)은 그 외주면에 상광하협의 직사각형상 홈(113) 다수개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은 그 일측에 사각의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 연결플레이트(121)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제2 개구공(1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개구공(122)의 인접한 모서리부에는 상기 체결홈(117)에 삽 입/연결되는 체결돌기(12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127)의 내측에는 제2 단턱(128)이 마련되고, 그 외측에는 제2 날개편(129)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돌기(127)는 상기 체결홈(117)의 직사각형상 홈(113)과 동일한 외형의 다수개 돌기(127b)를 갖는 연결편(127a)이 탄성력을 갖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과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을 상기 공간부(S)를 사이에 두고 연결하면, 상기 제1 날개편(119)과 제2 날개편(129) 사이에는 "ㄷ"자 형상의 홈부(140)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과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의 내측에는 문틀(10)을 삽입/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30)이 마련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문틀보강구조체는 문틀이 설치되는 벽체의 공간부와 문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출입문 보강구조체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공간부에서 문틀이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일련의 설치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체(B)의 공간부(S) 일측에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의 수직프레임(115)과 수평프레임(116)의 외주면은 상기 공간부(S)의 내부면과 일체가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수직프레임(115)과 수평프레임(116)의 내주면에 문틀(10)을 삽입/연결한다. 이때, 상기 문틀(10)의 외주면 일측은 상기 제1 단턱(118)에 걸려 이탈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공간부(S)의 타측에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의 체결돌기(127)는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의 체결홈(117)에 삽입/연결한다. 즉,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의 체결홈(117) 내측으로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의 체결돌기(127)가 돌기(127a)(127b)에 의해 체결되게 되므로 벽체(B)가 최초 두께보다 두껍거나 얇게 시공된 경우에도 두께에 관계없이 체결돌기(127)를 통해 폭을 조절하면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홈(117)에 체결돌기(127)를 삽입하면, 상기 체결홈(117)의 직사각형상의 홈(113)에 상기 체결돌기(127)를 이루는 연결편(127a)의 돌기(127b)가 삽입/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에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을 삽입/연결하면,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의 제2 단턱(128)에 문틀(10)의 외주면 타측이 걸려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과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의 제1 날개편(119)과 제2 날개편(129)이 사이 "ㄷ"자형 홈부(140)에 상기 공간부(S)의 단부를 감싸줌으로써, 상기 문틀(10)의 연결관계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문틀 보강체를 구성하는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과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을 통해 벽체에 설치되는 문틀을 견고히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벽체 두께에 상관없이 문틀(10)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문틀보강구조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 및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200)는 상기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의 제1 단턱(118)과,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의 제2 단턱(128) 내측면에 각각 탄성편(250)이 삽입/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30)에 삽입되는 문틀(10)이 상기 탄성편(250)에 의해 더욱 면밀한 밀착을 이루게 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틀이 설치되는 벽체의 공간부와 문틀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출입문 보강구조체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공간부에서 문틀이 견고한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를 이루는 제1 문틀보강프레임과 제2 문틀보강프레임의 결합은 제1 문틀보강프레임의 체결홈 내측에 제2 문틀보강프레임의 체결돌기가 삽입설치되면서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체결돌기의 체결을 조절하면서 설치되게 되어 시공된 벽체의 두께에 관계없이 제1,2 문틀보강프레임의 폭을 조절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벽체(B)의 공간부(S)에 설치되는 문틀(10)을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문틀보강구조체(100)에 있어서,
    상기 문틀 보강구조체(100)는
    사각의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 연결플레이트(111)의 내측에 제1 개구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공(112)의 인접한 일측에 한 쌍의 수직프레임(115)과 수평프레임(116)이 서로 대향관계를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내측에 제1 단턱(118)이 마련되며, 외측에 제1 날개편(119)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15)과 수평프레임(116)의 양측에는 각각 체결홈(117)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S)의 일측에 삽입/연결되는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과,
    사각의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 연결플레이트(121)의 내측에 제2 개구공(1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공(122)의 인접한 모서리부에 상기 체결홈(117)에 삽입/연결되는 체결돌기(127)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127)의 내측에 제2 단턱(128)이 마련되고, 외측에 제2 날개편(129)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S)의 타측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과 연결되는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117)은 그 외주면에 상광하협의 직사각형상 홈(113) 다수개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117)에 삽입/연결되는 체결돌기(127)는 상기 직사각형상의 홈(113)과 동일한 외형의 다수개 돌기(127b)를 갖는 연결편(127a)이 탄성력을 갖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서로 대칭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과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은 이들을 서로 연결시 제1 날개편(119)과 제2 날개편(129) 사이에는 공간부(S)의 단부가 삽입되는 "ㄷ"자형 홈부(140)가 마련되며, 제1 문틀보강프레임(110)과 제2 문틀보강프레임(120)의 내측에는 문틀(10)을 삽입/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30)이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턱(118)과 제2 단턱(128)의 내측면에는 각각 탄성편(250)이 삽입/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
KR1020050125424A 2005-12-19 2005-12-19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 KR100613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424A KR100613135B1 (ko) 2005-12-19 2005-12-19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424A KR100613135B1 (ko) 2005-12-19 2005-12-19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3135B1 true KR100613135B1 (ko) 2006-08-17

Family

ID=3760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424A KR100613135B1 (ko) 2005-12-19 2005-12-19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1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152A (ja) * 1993-04-03 1994-10-11 Takenaka Komuten Co Ltd 扉のある間仕切の施工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152A (ja) * 1993-04-03 1994-10-11 Takenaka Komuten Co Ltd 扉のある間仕切の施工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901B1 (ko) 건축물 창호 보강 시스템
KR20070072097A (ko) 조립식 칸막이 벽체패널의 마감재
WO2009069080A1 (en) A window frame assembly
KR100613135B1 (ko) 건축물 출입문 문틀 보강구조체
KR100459842B1 (ko) 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0545370B1 (ko) 공동주택 창호에 설치되는 인방의 기능을 가진 조적구조물
KR101211696B1 (ko) 문틀 결합구조
KR101674257B1 (ko) 개보수가 쉬운 창호 틀용 프로파일
KR200307748Y1 (ko) 문틀의 프레임 연결구
KR20110005248U (ko) 화장실 칸막이용 프레임
KR200230517Y1 (ko) 문틀
KR101311150B1 (ko) 조립식 패널의 두께에 맞춰 설치되는 창호
KR101563551B1 (ko) 건축용 판상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57491Y1 (ko) 샤시를 이용한 도어프레임 어셈블리
JP4808576B2 (ja) サッシ
JP3204647B2 (ja) 和室用戸枠
KR20030014450A (ko) 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2295509B1 (ko) 체결식 보강 스터드
KR101297456B1 (ko) 복합형 칸막이 프레임
KR200335910Y1 (ko) 단자함 고정구
KR20090131960A (ko)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JP4868420B2 (ja) 建具を備えた建物
KR100501772B1 (ko) 공동주택 앵커 체결식 칸막이 설치구조
KR970007698B1 (ko) 아파트 발코니의 세대구분을 위한 칸막이용 시설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437894Y1 (ko) 보조칸막이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