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960A -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 Google Patents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960A
KR20090131960A KR1020080057983A KR20080057983A KR20090131960A KR 20090131960 A KR20090131960 A KR 20090131960A KR 1020080057983 A KR1020080057983 A KR 1020080057983A KR 20080057983 A KR20080057983 A KR 20080057983A KR 20090131960 A KR20090131960 A KR 20090131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building material
formwork
fixing piece
improved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형
Original Assignee
김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형 filed Critical 김기형
Priority to KR102008005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960A/ko
Priority to KR20080057982A priority patent/KR20090131959A/ko
Publication of KR20090131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3Re-usable forms
    • E04G15/068Re-usable forms for channels open towards th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벽체, 바닥체 또는 슬라브에 매설되는 건축자재에 있어서, 건축자재의 외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건축자재를 거푸집에 장착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관통되며, 상기 거푸집이 해체됨과 함께 상기 건축자재의 끝단으로부터 절단되어 해체되도록 상기 건축자재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분리형 고정편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모든 건축자재에 제작시 설치하여 두는 것만으로 적용할 수 있어 건축자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한 건축자재별도 별도의 자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건축자재를 거푸집에 고정하는 작업이 신속해지는 장점이 있다.
건축물, 건축자재, 콘크리트, 거푸집, 시공

Description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A Building Material Improved Construction Ability To A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자재의 측부에 분리형 고정편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편을 통하여 건축자재를 거푸집에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고, 거푸집을 해체하면 상기 고정편이 거푸집과 함께 건축자재로부터 분리되면서 건축자재의 노출부위에 남겨진 콘크리트를 떼어냄으로써 거푸집 해체의 건축자재에 대한 콘크리트의 제거 작업이 최소화될 수 있는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일반주택 또는 공장 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벽체, 바닥체 또는 슬라브와 같은 구조체를 관통하거나 매설되는 각종 슬리브류나 트랩류 또는 드레인류 및 전기박스와 같은 건축자재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고정을 위하여 거푸집에 체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자재(1)의 끝단의 외면에 고정편(3)을 일체로 마련하고 상기 고정편(3)의 관통공(3a)을 통하여 못(5)을 관통시켜 거푸집(7)에 고정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건축자재는 거푸집(7)을 제거 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3)에 못(5)이 체결된 상태로 있게 되어 못(5)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노출된 못에 대한 처리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못(5)을 통해 상기 건축자재(1)를 거푸집(7)에 고정한다 하더라도 타설된 콘크리트(9)가 건축자재(1)와 거푸집(7) 사이를 침투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축자재(1)의 노출부위에 타설된 콘크리트(9)의 일부가 덮여지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7)을 해체한 후에 건축자재(1)의 노출부위에서 콘크리트(9)를 제거하는 작업을 시행해야 함으로써 인건비가 상승하고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모든 건축자재에 적용할 수 있는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푸집을 해체한 후 건축자재의 노출부위에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작업을 최소화하는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벽체, 바닥체 또는 슬라브에 매설되는 건축자재에 있어서, 건축자재의 외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건축자재를 거푸집에 장착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관통되며, 상기 거푸집이 해체됨과 함께 상기 건축자재의 끝단으로부터 절단되어 해체되도록 상기 건축자재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분리형 고정편을 포함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분리형 고정편은, 상기 건축자재와의 연결부위가 상대적으로 얇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분리형 고정편에는, 상기 고정수단이 관통하여 상기 거푸집에 체결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분리형 고정편은 상기 건축자재의 외면에 등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분리형 고정편은 상기 건축자재의 외면을 연속적으로 둘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1발명 내지 제5발명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못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모든 건축자재에 제작시 설치하여 두는 것만으로 적용할 수 있어 건축자재를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한 건축자재별도 별도의 자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건축자재를 거푸집에 고정하는 작업이 신속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을 해체한 후 건축자재의 노출부위에서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콘크리트 제거 작업에 따른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거푸집을 해체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10)는 아파트나 일반주택 또는 공장 등과 같은 각종 건축물의 벽체, 바닥체 또는 슬라브와 같은 구조체를 관통하거나 매설되는 각종 슬리브류나 트랩류 또는 드레인류 및 전기박스 등 기타 건축자재를 포함한다.
상기 건축자재(10)에는 분리형 고정편(20)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형 고정편(20)은, 상기 건축자재(10)가 건축물의 구조체에 매설되는 경우에는 그 외면의 끝단에, 또는 건축물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거푸집(40)의 내측에 대응하는 외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수단(30)을 통하여 상기 건축자재(10)를 거푸집(40)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 고정편(20)은 상기 거푸집(40)이 해체됨과 함께 상기 건축자재(10)로부터 분리되어 해체된다.
다시 말해, 상기 분리형 고정편(20)은 상기 건축자재(10)의 외면에서 대략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설계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건축자재(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형 고정편(20)이 상기 건축자재(10)와의 연결부(21)는 다른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편(20)은 못과 같은 고정수단(30)을 통해 거푸집(4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비교적 연질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수단(30)을 통한 체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고정편(20)에는 관통공(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편(20)이 상기 건축자재(10)의 외면에 등간격으로 4개가 형성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편(20)의 개수는 상기 건축자재(10)를 상기 거푸집(40)에 고정할 수 있고, 콘크리트(50) 타설 및 양생 후 거푸집(40)을 해체할 때 건축자재(10)의 노출부위로부터 콘크리트(50)가 제거됨으로써 상기 건축자재(10)의 노출부위가 정리될 수 있는 정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의 제1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자재(10)의 외면에는 총 4개의 분리형 고정편(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20)은 상기 건축자재(10)가 건축물의 구조체에 매설될 것이므로 건축자재(10)의 끝단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20) 각각에는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축자재(10)를 거푸집(4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23)으로 못을 관통시켜 거푸집(40)에 체결한다.
상기 건축자재(10)가 거푸집(40)에 고정되면 거푸집(40)에 콘크리트(50)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40)을 콘크리트(50) 구조체로부터 떼어내는데, 이때 상기 고정편(20)도 거푸집(40)과 함께 건축자재(10)로부터 분리된다.
즉, 상기 고정편(20)은 상기 건축자재(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외력에 의해 상기 건축자재(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연결부(21)에 의해 건축자재(10)와 연결된다. 따라서 거푸집(40)을 해체하면 상기 고정편(20)은 거푸집(40)에 못에 의해 체결되어 있고, 그 체결력이 상기 연결 부(21)의 강도보다 크므로, 거푸집(40)의 해체와 함께 상기 고정편(20)은 상기 건축자재(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편(20)은 거푸집(40)에 체결되어 상기 건축자재(10)의 끝단을 거푸집(40)에 밀착되게 고정하지만, 콘크리트(50)를 타설하게 되면 콘크리트(50)의 일부가 건축자재(10)의 끝단에도 일부 유입된다. 따라서 거푸집(40)을 해체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자재(10)의 끝단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건축자재(10)의 끝단, 즉 구조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건축자재(10)의 노출부위에서 콘크리트(50)를 제거하는 작업을 하여야 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건축자재(10)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편(20)이 건축자재(10)의 외면을 따라 4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고정편(20)이 건축자재(10)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고정편(20) 주변의 콘크리트(50)도 떼어내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40)을 해체한 후 건축자재(10)의 끝단에서 콘크리트(50)를 제거하는 작업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건축자재(10)를 제작할 때 상기 고정편(20)을 마련하여 두기만 하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건축자재(10)의 형상에 관계없이 고정편(20)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건축자재(10)의 거푸집(40)에 대한 고정 및 거푸집(40) 해체후 콘크리트(50)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자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의 제2실 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형 고정편(20)이 건축자재(10)의 끝단의 외면을 연속적으로 둘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20)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공(23)으로 못과 같은 고정수단(30)이 관통하여 거푸집(40)에 체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도 고정편(20)의 연결부(21)가 상대적으로 얇게 구성되어 있어, 상기 건축자재(10)를 거푸집(40)에 고정하고 콘크리트(50)를 타설 및 양생한 후 거푸집(40)을 떼어낼 때, 상기 고정편(20)이 건축자재(1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편(20)이 건축자재(10)의 외면을 둘러 형성되므로, 건축자재(10)의 끝단의 노출부위에 남겨지는 콘크리트(50)가 상기 고정편(20)의 분리와 함께 제거된다. 따라서 거푸집(40)을 해체한 후 콘크리트(50)의 제거 작업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해 시공된 건축자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해 시공되어 거푸집이 해체된 상태의 건축자재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거푸집을 해체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건축자재 20 : 분리형 고정편
21 : 연결부 23 : 관통공
30 : 고정수단 40 : 거푸집
50 : 콘크리트

Claims (6)

  1. 건축물의 벽체, 바닥체 또는 슬라브에 매설되는 건축자재에 있어서,
    건축자재(10)의 외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건축자재(10)를 거푸집(40)에 장착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30)이 관통되며, 상기 거푸집(40)이 해체됨과 함께 상기 건축자재(10)의 끝단으로부터 절단되어 해체되도록 상기 건축자재(10)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분리형 고정편(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고정편(20)은, 상기 건축자재(10)와의 연결부위가 상대적으로 얇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고정편(20)에는, 상기 고정수단(30)이 관통하여 상기 거푸집(40)에 체결될 수 있는 관통공(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고정편(20)은 상기 건축자재(10)의 외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고정편(20)은 상기 건축자재(10)의 외면을 연속적으로 둘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30)은 못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KR1020080057983A 2008-06-19 2008-06-19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KR20090131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983A KR20090131960A (ko) 2008-06-19 2008-06-19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KR20080057982A KR20090131959A (ko) 2008-06-19 2008-06-19 채소 보호캡 열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983A KR20090131960A (ko) 2008-06-19 2008-06-19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960A true KR20090131960A (ko) 2009-12-30

Family

ID=416910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983A KR20090131960A (ko) 2008-06-19 2008-06-19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KR20080057982A KR20090131959A (ko) 2008-06-19 2008-06-19 채소 보호캡 열림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57982A KR20090131959A (ko) 2008-06-19 2008-06-19 채소 보호캡 열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901319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125B1 (ko) 2020-07-27 2021-01-06 에스트래픽 (주) Rfid 리더, 및 rfid 리더들간의 통신 충돌 회피를 위한 시분할 통신 제어방법
KR102199126B1 (ko) 2020-07-27 2021-01-06 에스트래픽 (주) Rfid 리더, 및 rfid 리더들간의 통신 충돌 회피를 위한 시분할 통신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959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0864B1 (ko) 커튼 월 창틀의 구조
KR101893218B1 (ko) 균열방지를 위한 응력분산장치
KR20090131960A (ko) 건축물에 대한 시공성이 향상된 건축자재
KR102025991B1 (ko) 중단열벽체용 단열재고정구
KR10044747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0442013Y1 (ko) 벽체 관통 스리브 구조
KR101998321B1 (ko) 단열재모듈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KR20090000525U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KR101990217B1 (ko) 중단열벽체 시공구조
KR101100872B1 (ko) 천장 매입형 접속함의 고정장치
JP2022508577A (ja) インターロック式構造ブロック用の一体型構造フレーム、インターロック式構造ブロック、ならびにインターロック式構造ブロックのシステム
KR100679057B1 (ko) 건축용 자재 및 콘크리트 공법
KR102473430B1 (ko) 외측 단열재 지지구
KR200258522Y1 (ko) 천장 매립형 천장틀 고정 부재
KR200405393Y1 (ko) 거푸집용 전기배선박스 고정구
KR100797486B1 (ko) 천정 구조물 지지용 내열성 인서트
KR102300731B1 (ko) 외단열재 일체형 갱폼을 구비한 외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2108862B1 (ko)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KR200349428Y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200371600Y1 (ko) 건설구조물의 노출 상수도관 고정구조
KR100704387B1 (ko) 건설구조물의 노출 상수도관 고정구조
JP2012207506A (ja) 浴室天井の設置構造
KR200376992Y1 (ko) 건축용 인서트
KR20050079383A (ko)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KR200369209Y1 (ko)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