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982B1 - 보조 트레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트레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982B1
KR100611982B1 KR1020040030934A KR20040030934A KR100611982B1 KR 100611982 B1 KR100611982 B1 KR 100611982B1 KR 1020040030934 A KR1020040030934 A KR 1020040030934A KR 20040030934 A KR20040030934 A KR 20040030934A KR 100611982 B1 KR100611982 B1 KR 100611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auxiliary tray
auxiliary
pap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5701A (ko
Inventor
서인식
박용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982B1/ko
Priority to US11/104,414 priority patent/US7395026B2/en
Publication of KR20050105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6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output s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착탈가능한 현상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과, 인쇄가 완료되어 배출된 용지가 적재되는 트레이와, 트레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 위로 접혀진 제1위치와 트레이의 적재길이를 연장하는 제2위치로 회동되는 보조 트레이를 포함하며, 보조 트레이는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될 때에 제2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조 트레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tra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적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외장 20......트레이
30......도어 40......카세트
43......배출롤러 50......보조 트레이
51......회동축 52......아암
53......코일 스프링 60......현상 카트리지
61......감광드럼 62......대전롤러
64......현상롤러 65......토너 챔버
66......정착기 67......노광기
70......인쇄유닛 80, 81, 82......간섭부
85......탄성부재 90......스캐닝 유닛
본 발명은 인쇄가 완료되어 배출되는 용지를 적재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소정의 인쇄과정을 거쳐 용지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화상을 인쇄한 후에 외부로 배출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이 배출된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트레이를 가진다. 화상형성장치의 설치공간(foot-print)를 줄이기 위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상측부를 트레이로서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화상형성장치가 소형화되면서 트레이의 길이가 용지의 길이보다 짧아져서 용지가 화상형성장치 밖으로 떨어지는 일이 발생된다. 따라서, 트레이의 길이를 연장할 필요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 7-315665호에는 프린터 본체에 힌지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 주 스태커와 이 주 스태커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 봉 형태의 보조 스태커를 구비하는 용지 스태커가 개시되어 있다. 짧은 용지를 적재할 때에는 보조 스태커를 주 스태커 내부에 수납시키고, 긴 용지를 적재할 때에는 보조 스태커를 회전시켜 주 스태커로부터 꺼낸다.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 4-60443호에는 하우징의 상부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용지의 선단부를 지지하여 조작패널을 덮지 않도록 하는 보조 가이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인용문헌들에 개시된 보조 스태커와 보조 가이드는 사용자가 미리 주 스태커로부터 꺼내거나 또는 용지의 선단을 가이드하는 위치로 회동시켜야 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 9-286556호에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용지 트레이와, 배출되는 용지를 정렬시키기 위하여 용지 트레이의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용지수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용지를 적재하기 위하여 용지 트레이를 본체로부터 빼내면 스토퍼는 용지의 선단을 가이드하는 위치로 회동된다. 본 인용문헌의 스토퍼는 용지의 선단을 가이드하여 가지런히 정렬하기 위한 것이며, 용지 트레이의 길이를 연장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의 설치공간을 키우지 않으면서 트레이의 적재길이를 연장하여 배출되는 용지를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착탈가능한 현상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인쇄 가 완료되어 배출된 용지가 적재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 위로 접혀진 제1위치와 상기 트레이의 길이를 연장하는 제2위치로 회동되는 보조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트레이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될 때에 상기 제2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보조 트레이에 마련된 아암;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될 때에 상기 아암을 밀어 상기 보조 트레이를 상기 제2위치으로 회동시키는 간섭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트레이가 제1위치로 복귀될 때에 상기 아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력적으로 후퇴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아암은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트레이가 제1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트레이의 회동축에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보조 트레이는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에 배출된 용지가 상기 트레이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트레이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인쇄유닛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상기 인쇄유닛의 일측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인쇄가 완료되어 배출된 용지가 적재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 위로 접혀진 제1위치와 상기 트레이의 길이를 연장하는 제2위치로 회동되는 보 조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트레이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에 상기 제2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이다.
도 1과 도 2를 보면, 화상형성장치는 전사사진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70)를 포함한다. 인쇄유닛(70)은 감광드럼(61)과, 대전롤러(62), 노광기(67), 전사롤러(65), 정착기(66)를 포함한다.
감광드럼(61)(감광체)은 원통형상의 드럼의 외주에 광도전성층이 형성된 것이다. 대전롤러(62)는 감광드럼(61)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62)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롤러(62)는 감광드럼(61)의 외주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 상태로 회전하면서 전하를 공급하여 감광드럼(6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한다. 대전기로서, 대전롤러(62) 대신에 코로나 방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노광기(67)은 감광드럼(6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67)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사용된다.
현상롤러(64)는 접촉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감광드럼(61)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며, 비접촉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감광드럼(61)의 외주면과 현상갭만큼 이격되어 회전된다. 현상갭은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롤러(64)에는 토너챔버(65)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6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전사롤러(65)는 감광드럼(61)과 대면되게 위치된다. 전사롤러(65)에는 감광드럼(61)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용지(S)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클리닝 블레이드(63)는 토너화상이 용지(S)로 전사된 후 감광드럼(61)의 외주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한다.
본 실시예의 정착기(66)는 한 쌍의 롤러가 서로 소정의 압력으로 맞물려 회전되도록 된 것이다. 한 쌍의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토너화상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미도시)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살펴보면, 대전롤러(62)에 의해 감광드럼(61)의 외주면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노광기(67)에 의해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신호가 회전하는 감광드럼(61)에 주사되면, 광이 주사된 부분은 저항이 감소하면서 감광드럼(61)의 외주면에 부착된 전하가 빠져나간다. 따라서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에 의해 감광드럼(6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롤러(64)에 현상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토너챔버(65)에 수용된 토너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픽업롤러(41)에 의하여 카세트(40)로부터 인출된 용지(S)는 이송롤러(42)에 의하여 이송된다. 용지(S)는 감광드럼(61)에 형성된 토너화상의 선단이 감광드럼(61)과 전사롤러(65)가 대면된 전사닙에 도달하는 때에 맞추어 전사닙에 도달된다. 전사롤러(65)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토너화상은 감광드럼(61)으로부터 용지(S)로 전사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S)가 정착기(66)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용지(S)에 정착됨으로써 화상의 인쇄가 완료된다.
화상형성이 완료된 용지는 배출롤러(43)에 의하여 트레이(20)로 배출되어 적재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설치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인쇄유닛(70)의 상부 즉, 화상형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장(10)의 상부에 트레이(20)가 마련된다. 화상형성장치가 소형화되면서 트레이(20)의 적재길이가 용지(S)의 길이보다 짧아지게 된다. 트레이(20)에는 트레이의 적재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보조 트레이(5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보조 트레이(50)는 트레이(20) 위로 접혀진 제1위치와 트레이(20)의 적재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제2위치를 갖는다.
감광드럼(61)과 토너챔버(65)는 카트리지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토너챔버(65), 감광드럼(61), 현상롤러(64)가 일체로 유니트화된 현상카트리지(6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현상카트리지(60)는 대전롤러(62)와 클리닝 블레이드(63)를 더 포함한다. 현상롤러(64)와 토너챔버(65)가 현상카트리지(60)의 형태로 제공되고, 감광드럼(61)은 별도의 유닛으로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현상카트리지(60)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토너를 현상롤러(64)로 부착시키는 공급롤러, 현상롤러(64)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수단, 토너챔버(65) 내에 수용된 토너를 공급롤러 및/또는 현상롤러(64) 쪽을 이송시키는 교반기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60)를 인쇄유닛(70)에 장착 또는 인쇄유닛(7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도어(30)가 마련된다. 도어(30)를 열어 인쇄유닛(70)의 일측을 개방하고 현상카트리지(60)를 인쇄유닛(70)에 장착하거나 또는 인쇄유닛(70)으로부터 분리한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카트리지(60)가 장착될 때에 보조 트레이(50)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회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현상카트리지(60)의 장착 동작에 연동되어 보조 트레이(50)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회동된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트레이(50)에는 아암(52)이 마련되고, 현상카트리지(60)에는 현상카트리지(60)가 장착될 때에 아암(52)을 미는 간섭부(80)가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아암(52)은 보조 트레이(50)의 회동축(5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간섭부(80)는 현상카트리지(60)의 상면에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어(30)를 열고 현상카트리지(60)를 도 2의 화살표시 A 방향으로 밀면, 간섭부(80)는 보조 트레이(50)의 아암(52)을 민다. 그러면, 보조 트레이(50)는 회동축(5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에 위하여 보조 트레이(50)는 제2위치로 회동된다. 그러면, 보조 트레이(50)의 길이만큼 트레이(20)의 적재길이가 연장된다. 보조 트레이(50)는 제2위치에 있을 때에 용지가 트레이(20)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20)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설치공간을 늘이지 않고도 배출되는 용지를 트레이(20)에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 경향에 대응하여 용지 적재길이의 부족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인쇄를 하기 위하여는 현상카트리지(60)가 인쇄유닛(70)에 장착되어 있어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현상카트리지(60)를 인쇄유닛(70)에 장착하면 보조 트레이(50)가 자동으로 제2위치로 회동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부러 보조 트레이(50)를 제2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조 트레이(50)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잊어서 용지가 트레이(20) 밖으로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60)가 인쇄유닛(70)에 장착된 상태에서 보조 트레이(50)가 다시 제1위치로 회동되도록 허용할 필요도 있다. 만일, 이를 허용하지 않는다면 보조 트레이(50)에 외부로부터 제1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된 경우에 아암(52)이 파손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80)는 탄성부재(85)에 의하여 지지된다. 현상카트리지(60)가 장착된 상태에서 보조 트레이(50)에 외부로부터 제1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되면, 아암(52)이 간섭부(80)를 밀게 되고, 간섭부(80)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후퇴되었다가 아암(52)과의 간섭이 해제되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아암(52)이 보조 트레이(50)에 대해 탄력적으로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보면, 보조 트레이(50)의 회동축(51)에 아암(52)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토션 스프링(53)은 회동축(51)에 끼워져서 그 일단부(54)는 아암(52)에 지지되고 타단부(55)는 보조 트레이(50)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현상카트리지(60)가 장착된 상태에서 보조 트레이(50)에 외부로부터 제1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되면, 코일 스프링(53)을 탄력적 으로 변형키시면서 보조 트레이(50)가 제1위치로 회동된다. 외부로부터의 힘이 해제되면, 보조 트레이(50)는 코일 스프링(53)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제2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단지 프린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는 스캐닝유닛(90)이 장착된 복합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스캐닝유닛(90)의 상세한 구성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보면, 트레이(20)의 상방에 스캐닝유닛(90)이 설치되고, 트레이(20)와 스캐닝유닛(90) 사이의 공간이 인쇄된 용지가 배출되는 적재공간이 된다. 트레이(20)에는 보조 트레이(50)가 설치된다. 보조 트레이(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현상카트리지(60)가 장착될 때에 제2위치로 회동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도어(30)의 개폐동작에 연동되어 보조 트레이(50)가 제2위치로 회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보면, 보조 트레이(50)에는 그 회동축(5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아암(52)이 마련된다. 도어(30)에는 아암(52)을 밀기 위한 간섭부(81)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어(30)를 닫으면, 간섭부(81)가 아암(52)을 밀어 보조 트레이(50)가 제2위치로 회동된다. 그러면, 보조 트레이(50)의 길이만큼 트레이(20)의 적재길이가 연장된다. 따라서, 도 1,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조 트레이(50)는 제2위치에 있을 때에 용지가 트레이(20)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도 6에 도시된 바 와 같이 트레이(20)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암(5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82)는 아암(52)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후퇴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간섭부(82)는 예를 들면 탄성재질로 제조되어 도어(3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보조 트레이(50)에 외부로부터 제1위치로 회동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되면, 아암(52)이 간섭부(82)를 밀게 되고, 간섭부(82)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후퇴되었다가 아암(52)과의 간섭이 해제되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아암(5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52)이 보조 트레이(50)의 회동축(51)에 탄력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도 6과 도 7에 실시예로서 개시한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팅 방식에 구애되지 않으며, 화상형성장치 내부를 액세스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하는 다양한 화상형성장치에 응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화상형성장치의 설치공간을 늘이지 않고도 배출되는 용지를 적재하는 트레이의 적재길이를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에 따른 적재길이 부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둘째, 현상카트리지를 장착하거나 또는 도어를 닫는 동작에 연동되어 보조 트레이가 트레이의 적재길이를 연장하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동되므로 배출된 용지가 트레이 밖으로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3)

  1. 착탈가능한 현상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인쇄가 완료되어 배출된 용지가 적재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 위로 접혀진 제1위치와 상기 트레이의 길이를 연장하는 제2위치로 회동되는 보조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트레이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될 때에 상기 제2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트레이에 마련된 아암;
    상기 현상카트리지에 마련되어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될 때에 상기 아암을 밀어 상기 보조 트레이를 상기 제2위치으로 회동시키는 간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트레이가 제1위치로 복귀될 때에 상기 아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력적으로 후퇴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트레이가 제1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트레이의 회동축에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트레이는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에 배출된 용지가 상기 트레이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트레이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인쇄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상기 인쇄유닛의 일측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인쇄가 완료되어 배출된 용지가 적재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레이 위로 접혀진 제1위치와 상기 트레이의 길이를 연장하는 제2위치로 회동되는 보조 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트레이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에 상기 제2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은 착탈가능한 현상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트레이에 마련된 아암;
    상기 도어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가 닫힐 때에 상기 아암을 밀어 상기 보조 트레이를 상기 제2위치로 회동시키는 간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보조 트레이가 제1위치로 복귀될 때에 상기 아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력적으로 후퇴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보조 트레이가 제1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트레이의 회동축에 탄력적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트레이는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에 배출된 용지가 상기 트레이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트레이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인쇄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30934A 2004-05-03 2004-05-03 보조 트레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0611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934A KR100611982B1 (ko) 2004-05-03 2004-05-03 보조 트레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11/104,414 US7395026B2 (en) 2004-05-03 2005-04-13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934A KR100611982B1 (ko) 2004-05-03 2004-05-03 보조 트레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701A KR20050105701A (ko) 2005-11-08
KR100611982B1 true KR100611982B1 (ko) 2006-08-11

Family

ID=3518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934A KR100611982B1 (ko) 2004-05-03 2004-05-03 보조 트레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95026B2 (ko)
KR (1) KR100611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4925B2 (ja) * 2004-07-13 2010-09-15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用紙排出トレイ
KR100609059B1 (ko) * 2005-03-31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톱퍼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314530B2 (ja) * 2005-05-31 2009-08-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40063B2 (ja) * 2006-06-09 2009-03-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090105044A (ko) * 2008-04-01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기기
US7963516B2 (en) * 2008-05-06 2011-06-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ctuation of output tray
JP5434893B2 (ja) * 2010-12-07 2014-03-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68722B2 (ja) * 2012-01-31 2017-07-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64569B2 (ja) * 2014-11-28 2018-01-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0164307A (ja) * 2019-03-29 2020-10-08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排紙部
EP3962846A4 (en) 2019-04-30 2023-0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AUTOMATIC MEDIA FILING EXPANDER
WO2021021183A1 (en) 2019-07-31 2021-02-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automated media tray
US11825048B2 (en) 2019-08-02 2023-11-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otatable media ramp for automatic document feeder
JP2022131318A (ja) * 2021-02-26 2022-09-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258A (ja) 1984-10-09 1986-05-12 ユナイテツド・テクノロジ−ズ・コ−ポレイシヨン 航空機用ガスタ−ビンエンジン及びその運転方法
JPS628259A (ja) 1985-07-03 1987-01-16 Ricoh Co Ltd かな漢字変換方式
JPH0460443A (ja) 1990-06-28 1992-02-26 Hoya Corp 屈折率差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JPH07315665A (ja) 1994-05-30 1995-12-05 Nec Eng Ltd 用紙スタッカー
JPH0853253A (ja) * 1994-08-08 1996-02-27 Casio Electron Mfg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該装置に使用する排紙トレイ
JP3658854B2 (ja) 1996-04-23 2005-06-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用紙収容装置
JP2003054821A (ja) * 2001-08-09 2003-02-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100445001B1 (ko) 2002-04-23 2004-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출용지 적재장치
JP2004010220A (ja) * 2002-06-05 2004-01-15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95026B2 (en) 2008-07-01
US20050244204A1 (en) 2005-11-03
KR20050105701A (ko) 2005-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50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tray
US751585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978997B2 (en) Developer cartridges, process cartridges, and image formation devices
US772042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hutter arm unit
US6131011A (en) Method of adjusting the mounting of cleaning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70160384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20031108A (ko)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5073070B2 (ja) 電子写真方式の印刷機
KR100553909B1 (ko) 스캐너기능을 갖는 프린팅기기
US20060115059A1 (en) Image-forming device
US105208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2024467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304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30643A (ja) 画像形成装置
US75585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sensing printing medium jam therein
JPS63244059A (ja) 画像形成装置
US9927766B2 (en) Removabl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US20190121277A1 (en) Replaceable unit having a media feed roll assembly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CN112147869B (zh) 图像形成装置
US10444661B2 (en) Toner cartridge having a biasing assembly for biasing a media feed roll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10185247B1 (en) Toner cartridge having a media feed roll assembly
KR100803608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인쇄매체의 걸림 현상을감지하는 방법
JP2024070920A (ja) 画像形成装置
JP3091559B2 (ja) 画像形成装置
JP2695530B2 (ja) 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