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827B1 -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827B1
KR100611827B1 KR1020040084106A KR20040084106A KR100611827B1 KR 100611827 B1 KR100611827 B1 KR 100611827B1 KR 1020040084106 A KR1020040084106 A KR 1020040084106A KR 20040084106 A KR20040084106 A KR 20040084106A KR 100611827 B1 KR100611827 B1 KR 100611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terminal
fastening
groov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031A (ko
Inventor
주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8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82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탈착되는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양단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체결홈을 갖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배터리팩의 양단부에는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는 곳으로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회전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갖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internal battery pack}
도 1은 종래 단말기에 배터리팩이 결합되는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요부 결합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배터리팩이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 잠금수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배터리팩이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 잠금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배터리팩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배터리팩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본체
11 : 수납공간 12 : 단턱부
13 : 체결홈 131 : 삽입홈
132 : 가이드 홈 14 : 접속핀
20 : 배터리팩
21 : 안착부 22 : 체결돌기
23 : 접속단자
30 : 보조 잠금수단
31 : 고정노브 32 : 고정홈
33 : 요홈 34 : 고정돌기
본 발명은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회전모듈을 부착하지 않고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배터리팩을 회전 방식으로 착탈되도록 한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함)는 휴대폰이나 팜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또는 HPC(hand held PC; 휴대용 PC)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은 물론 네트 워크 접속을 통한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첨단 통신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단말기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각종 전자기기로 구성되어 있는 관계로, 본체에 내장된 PCB(printed circuit board;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데, 종래의 배터리팩은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후면에 형성된 소정의 수납공간에 착탈된다.
도 1과 도 2를 통하여 종래 단말기에 배터리팩이 결합되는 작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410)의 후면으로 배터리팩(420)이 삽입되는 수납공간(411)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411)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단말기 내부의 PCB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핀(412)과, 수납된 배터리팩을 고정하는 고정노브(413)를 포함하고 있으며, 배터리팩(420)에는 상기 수납공간(411)에 형성된 접속핀(412)과 대응되게 형성된 접속단자(4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배터리팩(420)이 수납공간(411)에 삽입되면 단말기 본체(410)의 후면에 형성된 고정노브(413)에 의해 배터리팩(420)이 단말기 본체(410)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고정노브(413)는 스프링(414)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그 끝단에는 결합돌기(41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돌기(415)가 배터리팩(420)의 끝단에 형성된 결합홈(422)에 삽입되면서 배터리팩(420)이 단말기 본체(410)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단말기 본체(410)와 배터리팩(420)의 결합이 완료되면 배터리팩(420)에 형성된 접속단자(421)가 수납공간(411) 내부에 형성된 접속핀(412)과 접속되어 전기적 으로 연결되게 된다. 배터리팩(420)을 단말기 본체(4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고정노브(413)를 밀어 올린 후 배터리팩(420)의 측면에 형성된 홈(423)을 잡고 잡아당기면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배터리팩의 결합구조를 갖고 있는 단말기들은 고정노브(413)가 후면 상부 중앙에 들어나 있어 일률적이므로 차별화된 디자인의 도입이 어려워 소비자에게 단조로움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 단말기 본체(410)의 후면에 형성된 수납공간(411)과 배터리팩(420)의 내면에 각각 서로 부착되어 회전되는 회전형 모듈을 장착하여 회전방식으로 배터리팩(420)을 착탈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 별도의 모듈비용이 추가되고, 이를 조립하는 과정이 추가로 소요됨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고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모듈을 따로 부착하지 않아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로부터 배터리팩을 회전식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과 생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기존 단말기와는 차별화된 디자인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탈착되는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양단부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체결홈을 갖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배터리팩의 양단부에는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는 곳으로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회전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갖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된 수납공간(11)의 양단부에 체결홈(13)을 갖는 단턱부(12)가 형성되고, 배터리팩(20)의 양단부에는 상기 단턱부(12)에 안착되는 곳으로 상기 체결홈(13)에 삽입되어 회전 결합되는 체결돌기(22)를 갖는 안착부(21)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된 수납공간(11)에 배터리팩(20)이 밀착된 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착탈되게 된다. 즉, 수납공간(11)의 양단부에 형성된 단턱부(12)에 배터리팩(20)의 양단부에 형성된 안착부(21)를 밀착시키되, 단턱부(12)에 형성된 체결홈(13)에 안착부(21)에 형성된 체결돌기(22)를 삽입한 후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배터리팩(20)이 체결되고,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배터리팩(20)이 분리되게 된다.
체결돌기(22)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체결홈(13)은 좀더 구체적으로 체결돌기(22)가 삽입되는 삽입홈(131)과, 상기 삽입홈(131)에 연결되어 체결돌기(22)의 회전을 안내하는 고정시키는 가이드 홈(13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 배터리팩(20)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체결돌기(22)를 삽입홈(131)에 삽입시킨 다음 가이드 홈(132)을 따라 회전시키면 용이하게 배터리팩(20)을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으로부터 배터리팩(20)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과정을 반대로 실시하면 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13)과 체결돌기(22)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적어도 한쌍 이상 형성하면 되는 것으로서, 그 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안정감을 주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단턱부(12)의 좌우측 끝단에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이에 대응되게 체결돌기(22)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단말기 본체(10)의 후면 수납공간(11)에 배터리팩(20)이 회전결합시 배터리팩(20)과 단말기 본체(10)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공간(11)의 내측으로 단말기 내부의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핀(14)이 형성되고, 배터리팩(20)의 내측면에는 배터리팩(20)의 회전결합시 상기 접속핀(14)과 접속되는 접속단자(23)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핀(14)과 접속단자(23)는 통상의 도전성 물질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단말기 본체(10)와 배터리팩(2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위치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20)의 후면에는 배터리팩(20)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팩(20)이 단말기 본체(10)에 회전식으로 체결 및 분리됨에 따라 차별화된 디자인의 도입이 가능하여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 배터리팩(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노브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디자인의 다변화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된 수납공간(11)에 배터리팩(20)을 회전식으로 탈부착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체결홈(13)을 갖는 단턱부(12)와 상기 체결홈(13)에 삽입되어 회전 결합되는 체결돌기(22)를 갖는 안착부(21)를 형성하였는데, 그에 따라 별도의 회전모듈을 따로 부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 향상과 생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방식은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본체(10)와 배터리팩(20)에 슬라이딩 회전 결합된 배터리팩(20)을 고정하는 보조 잠금수단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보조 잠금수단은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된 수납공간(11)에 회전 결합된 이후 배터리팩(2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분리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보조 잠금수단은 필용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도입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배터리팩이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 잠금수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잠금수단(30)으로 단말기 본체(10)의 측면으로 고정노브(31)를 형성하고, 배터리팩(20)의 측면 하단에 상기 고정노브(31)가 삽입되는 고정홈(3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잠금수단(30)은 배터리팩(20)이 회전결합된 후 고정노브(31)가 배터리팩(20)의 측면 하단에 형성된 고정홈(32)에 삽입되어 배터리팩(20)이 고정되게 된다. 배터리팩(2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고정노브(31)를 손으로 밀고, 이 상태에서 배터리팩(2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배터리팩이 결합된 상태에서 보조 잠금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잠금수단(30)으로 체결홈(13)의 바닥면에 요홈(33)을 형성하고, 체결돌기(22)의 하단부에 상기 요홈(3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 잠금수단(30)은 배터리팩(20)이 단말기 본체(10)에 회전결합된 후 요홈(33)에 고정돌기(34)가 끼워져 배터리팩(2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막아준다. 배터리팩(2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배터리팩(20)을 단말기 본체(10)와의 회전결합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밀면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34)와 요홈(33)은 필요에 따라 도면에 도시한 위치 이외에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수납홈의 바닥면과 이에 대응되는 배터리팩의 내측면에 바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배터리팩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배터리팩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B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 6 내지 9와 함께 전술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배터리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 본체(10)의 수납공간(11)에 배터리팩(20)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배터리팩(20)을 수납공간(11)에 약간 엇갈리게 놓으면서 배터리팩(20)의 안착부(21)에 형성된 체결돌기(22)를 수납홈의 단턱부(12)에 형성된 삽입홈(131)에 삽입시킨다(도 3, 도 6 및 도 7참조). 이후 배터리팩(20)의 측면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가이드 홈(132)을 따라 회전시키면 가이드 홈(132) 내측에 체결돌기(22)가 걸려지게 됨에 따라 배터리팩(20)이 단말기 본체(10)에 결합되게 된다(도 3, 도 6 및 도 7참조). 결합이 완료되면 단말기 본체(10)의 후면 수납공간(11)에 형성된 접속핀(14)과 배터리팩(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접속단자(23)가 서로 접속되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으로부터 배터리팩(20)을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과정을 반대로 실시하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별도의 회전모듈을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팩에 부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단말기 본체로부터 배 터리팩을 회전식으로 착탈할 수 있어 기존의 단말기와는 차별화된 디자인의 도입이 가능하며, 특히 별도의 회전모듈이 필요없어 생산성 향상과 생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하면서도 차별화된 디자인의 도입을 통해 소비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따라서 본 발명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자명하게 도출 가능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7)

  1.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탈착되는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양단부에 각각 적어도 한쌍 이상 형성된 체결홈을 갖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배터리팩의 양단부에는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는 곳으로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어 회전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갖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이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연결되어 체결돌기의 회전을 안내하는 고정시키는 가이드 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이 양쪽 단턱부의 좌우측 끝단에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이에 대응되게 체결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와 배터리팩에 슬라이딩 회전 결합된 배터리팩을 고정하는 보조 잠금 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잠금수단이 단말기 본체의 측면으로 고정노브를 형성하고, 배터리팩의 측면 하단에 상기 고정노브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형성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잠금수단이 가이드 홈의 바닥면에 요홈을 형성하고, 체결돌기의 하단부에 상기 요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형성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으로 단말기 내부의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핀이 형성되고, 배터리팩의 내측면에는 배터리팩의 회전결합시 상기 접속핀과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84106A 2004-10-20 2004-10-20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1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106A KR100611827B1 (ko) 2004-10-20 2004-10-20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106A KR100611827B1 (ko) 2004-10-20 2004-10-20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031A KR20060035031A (ko) 2006-04-26
KR100611827B1 true KR100611827B1 (ko) 2006-08-11

Family

ID=3714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106A KR100611827B1 (ko) 2004-10-20 2004-10-20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8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640A (ko) * 1996-10-04 1998-07-15 김영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30005541A (ko) * 2001-07-09 200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640A (ko) * 1996-10-04 1998-07-15 김영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20030005541A (ko) * 2001-07-09 200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031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0870B2 (ja) 組み合わせ留め具・電気コネクタを有する無線電話機
US808850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ecured battery
US20020187806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minimizing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value of electromagnetic waves
JP4436774B2 (ja) 携帯用端末機のバッテリ連結装置
US20070046257A1 (en) Electrical device
JP3763703B2 (ja)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JP2000069137A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
KR100611827B1 (ko) 회전 착탈식 배터리팩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08899721B (zh) 充电互联模组
JP4570574B2 (ja) 携帯端末
US7179098B2 (en) Terminal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US685681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parable and independently operab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150073471A (ko) 보조배터리가 내장된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CN210866585U (zh) 电源插头
CN214849330U (zh) 一种可更换插头的充电器
JP3526804B2 (ja) バッテリパックロック構造
KR100531890B1 (ko) 이동단말기
KR100480056B1 (ko) 카드이탈방지브래킷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20024261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구조
KR200369325Y1 (ko) 휴대 단말기 충전장치
CN116980504A (zh) 智能手机
KR20028010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착구조
KR200184589Y1 (ko) 하단 부착식 배터리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100650662B1 (ko) 슬림형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장치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