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963B1 -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963B1
KR100610963B1 KR1020040049249A KR20040049249A KR100610963B1 KR 100610963 B1 KR100610963 B1 KR 100610963B1 KR 1020040049249 A KR1020040049249 A KR 1020040049249A KR 20040049249 A KR20040049249 A KR 20040049249A KR 100610963 B1 KR100610963 B1 KR 100610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eat belt
stopper
belt webbing
lev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0400A (ko
Inventor
정두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9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963B1/ko
Publication of KR20060000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2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7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ar passeng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 웨빙이 인출되는 입출구로서, 웨빙 출입용 안내홀을 갖는 가이드가 차체 트림에 장착되는 바, 이 가이드를 승객의 신체조건에 맞게 전후방향으로 그 위치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웨빙 출입용 안내홀이 형성되고, 그 위쪽에 슬롯홀이 더 형성되며, 이면에는 지지단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리어필러트림에 형성된 슬라이홈과; 상기 가이드의 슬롯홀을 통하여 삽입되는 한 쌍의 레버와; 상기 레버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고, 위쪽은 좁고 아래쪽을 갈수록 넓은 폭을 갖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리어필러트림의 내면에 형성된 톱니홈과; 상기 스토퍼의 저면과 상기 가이드의 지지단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시트벨트 웨빙, 위치 조절 장치, 리어필러트림, 가이드, 레버, 스토퍼

Description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Device for adjusting position of seatbelt webb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의 배면도,
도 6은 종래의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필러트림 12 : 시트벨트 웨빙
14 : 가이드 16 : 웨빙 출입용 안내홀
18 : 슬롯홀 20 : 지지단
22 : 스토퍼 24 : 스프링
26 : 걸림홈 28 : 장착홀
30 : 슬라이드홈 32 : 레버
34 : 돌출턱 36 : 레버 고정용 스프링
38 : 경사면 40 : 톱니홈
본 발명은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리어 시트벨트 웨빙이 인출되는 입출구로서, 웨빙 출입용 안내홀을 갖는 가이드가 차체 트림에 장착되는 바, 이 가이드를 승객의 신체조건에 맞게 전후방향으로 그 위치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시트벨트 장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웨빙이 말려져서 인출 또는 차단 가능하게 저장된 리트랙터와; 이 리트랙터로부터 인출된 시트벨트 웨빙에 끼워져 있는 텅과; 상기 시트벨트의 착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텅이 삽입 체결되는 버클과; 상기 리트랙터로부터 인출된 시트벨트 웨빙의 거치 역할 및 중간 경로 그 리고 안내 역할을 하는 디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시트쪽의 시트벨트용 디링은 소위 센터필러 트림(앞도어와 뒷도어 사이)에 장착되는 반면에 리어시트쪽의 시트벨트용 디링은 리어필러트림(뒷도어와 리어 글래스 사이)의 내부에 보이지 않게 장착된다.
상기 리어시트쪽의 시트벨트용 디링은 리어필러트림의 내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리어필러트림(10)의 소정 위치(시트벨트 디링과 일치하는 위치)에는 디링을 경유한 시트벨트 웨빙(12)의 인출경로가 되는 별도의 가이드(14)가 더 장착되고, 그 장착 상태의 일례는 첨부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14)는 리어필러트림(10)에 고정 장착되는 직사각형태의 구조물로서, 전후(차체길이방향)방향을 따라 시트벨트 웨빙(12)의 폭보다 다소 큰 웨빙 출입용 안내홀(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어시트에 탑승한 승객은 상기 웨빙 출입용 안내홀을 통하여 시트벨트 웨빙을 인출시키면서 시트벨트의 착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리어필러트림에 장착된 가이드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개, 프론트 시트쪽은 센터필러트림에 장착된 디링에 그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시트벨트 웨빙의 체결 높이를 조절할 수 있지만, 리어필러트림에 장착된 가이드에는 높이조절 기능이 없기 때문에, 시트벨트의 착용 높이 및 각도를 승객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가이드가 리어필러트림에 고정 장착됨에 따라, 가이드의 웨빙 출입용 안내홀을 통하여 시트벨트 웨빙이 인출되는 높이 및 각도가 항상 동일하여, 작은 체격을 가진 승객의 경우 시트벨트 웨빙이 목부분에 걸쳐지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리어시트쪽의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리어시트쪽의 승객은 시트벨트 착용에 적극적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리어필러트림에 장착되는 가이드를 전후방향(차체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승객의 신체조건에 따라 가이드를 앞쪽 또는 뒤쪽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동시에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어시트에 탑승한 승객에게 시트벨트 착용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웨빙 출입용 안내홀이 형성되고, 그 위쪽에 슬롯홀이 더 형성되며, 이면에는 지지단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리어필러트림에 형성된 슬라이홈과; 상기 가이드의 슬롯홀을 통하여 삽입되는 한 쌍의 레버와; 상기 레버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고, 위쪽은 좁고 아래쪽을 갈수록 넓은 폭을 갖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리어필러트림의 내면에 형성된 톱니홈과; 상기 스토퍼의 저면과 상기 가이드의 지지단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한 쌍의 레버의 중간부분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한 쌍의 돌출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돌출턱 사이에 상기 슬롯홀을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스토퍼의 하단부 전후면에는 상기 한 쌍의 레버가 가압 접촉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의 지지단에는 상기 스토퍼의 하단이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삽입되는 걸림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레버의 바깥쪽면과 상기 가이드의 이면 양측단 사이에는 레버 고정용 스프링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쪽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리어필러트림에 장착되는 가이드를 전후방향(차체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착하여, 승객의 신체조건에 따라 가이드를 앞쪽 또는 뒤 쪽으로 위치 이동시키면서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리어필러트림(10)에 장착되는 가이드(14)의 구조가 개선되는 바, 즉 본 발명의 가이드(14)는 웨빙 출입용 안내홀(16) 위쪽에 슬롯홀(18)이 더 형성되며, 이면에는 지지단(20)이 돌출 형성된 구조로 개선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14)의 지지단(20) 상면에는 후술하는 스토퍼(22)의 하단이 스프링(24)을 압축시키면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가이드(14)의 전후진을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되는 걸림홈(26)이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14)를 장착하기 위한 소정 크기의 장착홀(28)이 상기 리어필러트림(10)에 형성되며, 이 장착홀(28)의 상단면과 하단면에는 각각 상기 가이드(10)의 상단과 하단이 삽입되는 슬라이드홈(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14)는 슬라이드홈(30)을 따라 전후방향(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14)의 슬롯홀(18)을 통하여 원통형 막대 형상으로 성형된 한 쌍의 레버(32)가 삽입되며, 첨부한 도 3의 단면도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레버(32)의 중간부분에는 레버의 이탈방지를 위한 한 쌍의 돌출턱(34)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돌출턱 사이에 상기 슬롯홀(18)을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14)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레버(32)의 바깥쪽면과 상기 가이드(14)의 이면에서 그 양측단 사이에는 각 레버(32)를 고정시키는 동시에 레버(32)가 안쪽방향으로 이동 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 이동되게 하는 레버 고정용 스프링(36)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레버(32)의 후단 사이에는 스토퍼(22)가 배치되는 바, 이 스토퍼(22)는 위쪽은 좁고 아래쪽을 갈수록 넓은 폭을 갖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첨부한 도 4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상기 스토퍼의 상단(22)은 톱니모양으로 뽀족하게 형성되고, 스토퍼(22)의 하단부 전후면은 상기 한 쌍의 레버(32)가 가압 접촉되는 경사면(38)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어필러트림(10)의 이면 즉, 위쪽의 슬라이드홈(30)의 뒤쪽에는 상기 스토퍼(22)의 상단(톱니모양)이 삽입되도록 톱니홈(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22)의 저면과 상기 가이드(14)의 지지단(20) 사이에는 스토퍼(22)의 상하 이동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으로 지지하게 되는 스프링(24)이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의 배면도이다.
도 5의 (a)는 가이드가 가장 뒤쪽에 위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바, 상기 스토퍼(22)의 상단이 리어필러트림(10)의 톱니홈(40)의 가장 뒤쪽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와 같이 가이드(14)가 가장 뒤쪽에 위치된 상태는 상기 시트벨트 웨빙(12)의 인출 각도가 신체조건이 큰 승객에게 알맞게 조절된 상태가 된다. 즉, 신체조건이 큰 승객의 어깨높이가 높기 때문에 시트벨트 웨빙(12)이 뒤쪽으로부터 인출되어도 시트벨트의 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5의 (a) 상태에서 가이드(14)를 앞쪽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한 쌍의 레버(32)를 잡고 안쪽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바, 이때의 레버(32) 가압력이 스토퍼(22) 하단의 경사면(38)에 작용하게 되는 동시에 스토퍼(22)가 그 아래쪽에 위치한 스프링(24)을 압축시키면서 하강 이동을 하게 되고, 이때 스토퍼(22)의 상단이 리어필러트림(10)의 톱니홈(40)으로부터 이탈되어 전후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도 5의 (b) 참조).
이때, 상기 레버 고정용 스프링(36)은 늘어난 상태가 되고, 상기 스토퍼의 하단은 상기 지지단(20)에 형성된 걸림홈(26)에 삽입 안착된 상태가 된다(도 5의 (b) 참조).
이어서, 도 5의 (b) 상태에서 상기 레버(32)를 전진(차량의 앞쪽방향)시키면, 이때의 전진력은 스토퍼(22)의 하단이 삽입된 가이드(14)의 걸림홈(26)에 전달되어, 결국 가이드(14)는 전진이동을 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가이드(14)를 가장 앞쪽까지 이동시킨 다음, 상기 레버(32)를 그대로 놓게 되면, 레버(32)는 스프링(36)에 의하여 원위치로 이동을 하게 되어 스토퍼(22)에 대한 구속력이 해제되고, 구속 해제된 스토퍼(22)는 스프링(24)에 의하여 위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동시에 스토퍼(22)의 상단이 상기 톱니홈(40)중 가장 앞쪽 톱니홈에 삽입되며, 결국 상기 가이드(14)는 첨부한 도 5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장 앞쪽 위치로 이동 고정된 상태가 된다.
도 5의 (a)와 같이 가이드(14)가 가장 앞쪽에 위치된 상태는 상기 시트벨트 웨빙(12)의 인출 각도가 신체조건이 작은 승객에게 알맞게 조절된 상태가 된다.
즉, 신체조건이 작은 승객의 어께높이가 낮기 때문에 시트벨트 웨빙(12)이 앞쪽으로부터 인출되어 시트벨트의 착용이 목부분이 아닌 어깨부위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리어시트에 탑승한 승객은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가이드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하여,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위치 및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에 의하면, 리어필러트림에 장착되는 가이드를 전후방향(차체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승객의 신체조건에 따라 가이드를 앞쪽 또는 뒤쪽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동시에 시트벨트 웨빙의 인출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가변에 의거, 리어시트에 탑승한 승객의 신체조건에 알맞는 시트벨트 착용에 대한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웨빙 출입용 안내홀이 형성되고, 그 위쪽에 슬롯홀이 더 형성되며, 이면에는 지지단이 돌출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상단 및 하단이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상기 리어필러트림에 형성된 슬라이홈과;
    상기 가이드의 슬롯홀을 통하여 삽입되는 한 쌍의 레버와;
    상기 레버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고, 위쪽은 좁고 아래쪽을 갈수록 넓은 폭을 갖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상기 리어필러트림의 내면에 형성된 톱니홈과;
    상기 스토퍼의 저면과 상기 가이드의 지지단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버의 중간부분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한 쌍의 돌출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돌출턱 사이에 상기 슬롯홀을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하단부 전후면에는 상기 한 쌍의 레버가 가압 접촉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지지단에는 상기 스토퍼의 하단이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삽입되는 걸림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버의 바깥쪽면과 상기 가이드의 이면 양측단 사이에는 레버 고정용 스프링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
KR1020040049249A 2004-06-29 2004-06-29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 KR100610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249A KR100610963B1 (ko) 2004-06-29 2004-06-29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249A KR100610963B1 (ko) 2004-06-29 2004-06-29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400A KR20060000400A (ko) 2006-01-06
KR100610963B1 true KR100610963B1 (ko) 2006-08-10

Family

ID=3710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249A KR100610963B1 (ko) 2004-06-29 2004-06-29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9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400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413B2 (en) Web position adjusting device
US6312015B1 (en) Clamp for retractor belt
US10272808B2 (en) Seat belt device for the vehicle seat
JPH05105029A (ja) 安全拘束機構用予備緊張掛金装置
US20170267209A1 (en) Adjustment device for seat belt mechanism
JP6529808B2 (ja) バックル装置及びバックル装置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EP3653451B1 (en) Anchor position adjustment device
JPH0228125Y2 (ko)
EP3212027B1 (en) Seatbelt buckling device and system
US5924731A (en) Height adjuster for seat belt webbing
KR100610963B1 (ko) 시트벨트 웨빙의 위치 조절 장치
US7497474B2 (en) Cross-car adjustable strap buckle
KR102118015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웨빙가이드
JP2010208466A (ja) シートベルト位置調節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EP3730355B1 (en) Vehicular passenger restraint device
US20030062714A1 (en) Safety belt arrangement in vehicles
GB2348402A (en) Adjustable guide means for a vehicle safety belt
KR200272541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위치 조절장치
JP3649425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KR0133480Y1 (ko)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KR100271954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체결장치
KR20060055659A (ko) 차량용 시트의 웨빙가이드 장치
JP6805921B2 (ja) 3点式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229743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텅 플레이트
KR100418504B1 (ko) 차량용 안전벨트 길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