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945B1 - 화상 판독 장치 및 복합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판독 장치 및 복합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945B1
KR100610945B1 KR1020040091466A KR20040091466A KR100610945B1 KR 100610945 B1 KR100610945 B1 KR 100610945B1 KR 1020040091466 A KR1020040091466 A KR 1020040091466A KR 20040091466 A KR20040091466 A KR 20040091466A KR 100610945 B1 KR100610945 B1 KR 100610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reading surface
medium
check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891A (ko
Inventor
나가타노리오
후리하타히데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5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16Handling flexible sheets, e.g. che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6Guiding cards; Checking correct operation of card-conveying mechanis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카드 및 수표와 같은 다수의 상이한 두께의 매체를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매체는 이 매체를 적절한 힘으로 화상 판독 센서쪽으로 가압함으로써 판독된다. 복합 처리 장치(1)가 화상 판독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합 처리 장치(1)는 카드(C)를 반송하는 카드 반송로(P2)와; 수표(S)를 반송하는 수표 반송로(P1)로서, 각 반송로(P1, P2)의 일부 섹션은 각 반송로에 대해 공통으로 위치되고 연속적인 중간 반송로(M)를 형성하는, 상기 수표 반송로(P1)와; 중간 반송로(M)에 배치된 화상 판독 센서(image scanning sensors)(12)와; 카드(C) 및 폭이 넓은 수표(S)를 화상 판독 센서(12)에 가압하는 제 1 가압 기구(30)와; 수표(S)를 상기 화상 판독 센서(12)에 가압하는 제 2 가압 기구(40)를 포함한다.
제 1 가압 기구(30)는 카드(C)와 폭이 넓은 수표(S)를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쪽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롤러(33a, 33b)와; 카드(C)[또는 수표(S)]의 두께가 소정치 이하일 때, 상기 제 1 가압 롤러(33a, 33b)를 상기 판독면(12a)쪽으로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34)과; 카드(C)의 두께가 소정치를 초과할 때, 제 1 가압 롤러(33a, 33b)를 판독면(12a)쪽으로 부세하는 제 1 인장 스프링(36)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가압 기구(40)는 수표(S)를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쪽으로 가압하는 제 2 롤러(43a, 43b)와, 제 2 롤러(43a, 43b)를 판독면(12a)쪽으로 부세하는 제 2 인장 스프링(46)을 구비한다.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판독면(12a)상에 가해지는 제 1 가압 롤러(33a, 33b)의 압력과, 제 2 인장 스프링(46)에 의해 판독면(12a)상에 가해지는 제 2 롤러(43a, 43b)의 압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Description

화상 판독 장치 및 복합 처리 장치{IMAGE SCANNING APPARATUS AND A HYBRID PROCESS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IMAGE SCANN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복합 처리 장치내의 반송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다이어그램,
도 3은 복합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복합 처리 장치의 중간 반송로 부근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내부 사시도,
도 5는 복합 처리 장치의 중간 반송로 부근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내부 사시도,
도 6은 제 1 가압 기구의 평면도,
도 7은 제 1 가압 기구의 측면도,
도 8은 제 1 가압 기구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제 2 가압 기구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제 1 가압 기구 및 제 2 가압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제 1 가압 기구 및 제 2 가압 기구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합 처리 장치 3 : 급지부
4 : 지폐 출구 11, 12 : 화상 판독 센서
13 : MICR 33a, 33b : 제 1 롤러
36, 46 : 인장 스프링 43a, 43b : 제 2 롤러
본 발명은 수표 및 슬립지(slips)와 같은 얇은 매체, 및 카드와 같은 두꺼운 매체 모두를 화상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 장치(image scanning apparatus), 및 이러한 화상 판독 장치를 구비하는 복합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럽 및 북아메리카를 중심으로 하여 수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결제 시스템은 사업가 및 고객이 여러가지 지불이나 송금을 하는데 수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수표가 사용되면, 사용된 수표는 최종적으로 은행에 가지고 가서, 입금 또는 환금 등이 행하여진다.
각 은행 지점의 창구 담당 은행원은 일반적으로 단시간에 다량의 수표를 처리한다. 또한, 지점의 창구 담당 은행원은 수표 자체의 확인, 날짜의 확인, 서명의 대조 등을 한 후에 입금이나 환금을 실행한다. 또한, 은행원은 수표의 뒷면에 배서(endorsement)를 실행하고, 요구에 따라서 거래 영수증을 발행한다. 또한, 은행원은 수표를 건네는 사람(수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기 위해서 면허증이나 다른 사진 ID(photo ID)의 제시를 고객에게 요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복사기로 면허증이나 사진 ID의 복사본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수표 스캐너(check scanner)를 이용해 수표를 판판독 수표의 화상을 보관한다.
각 수표의 정보를 전자적으로 판독 및 처리하여 수표 처리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각 창구에 설치 가능한 소형의 수표 처리 장치가 개발되었으며, 따라서 각 은행원은 신뢰 정화도를 가지고 수표를 보다 신속히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수표 처리 장치는 수표 반송로를 따라서 배치되는 자기 잉크 문자 인식(magnetic ink character reading : MICR) 헤드, 스캐너 및 프린트 헤드를 구비한다. 고객으로부터 수표가 수취되면, 은행원은 수표를 수표 처리 장치에 통과시킨다. 그에 따라, 수표 처리 장치는 MICR 헤드를 이용해 수표 위에 기록된 자기 잉크 문자를 판독하고, 스캐너 헤드를 이용해 수표의 화상을 얻어지며, 프린트 헤드를 이용해 수표 뒤에 배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의 미심사 특허출원 공개 제 2000-344428 호 참조.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 2003-66747 호(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 10/759868 호)에 있어서, 운전면허증과 같은 카드 및 수표의 화상을 판독가능한 복합 처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복합 처리 장치내에서 수표 반송로와 카드 반송로가 동일의 중간 반송로의 일부를 공유하고 있다. 밀착형 화상 센서(contact image sensor : CIS) 스캐너가 반송로의 공통부에 배치됨으로써, 단일 스캐너가 상이한 종류의 매체(수표 및 카드)를 화상 판독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CIS 스캐너는 판독 매체(scanned medium)를 적절한 압력으로 CIS 스캐너의 센서면[문서 유리(document glass)]에 가압할 필요가 있다. 운전면허증 및 사진 ID 카드와 카드와, 수표와 같은 슬립지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크게 상이하다. 따라서, 판독 매체를 문서 유리에 가압하도록 사용된 힘(가압 스프링의 힘과 같음)이 수표에 대해 사용되도록 조절된 경우, 가압 수단은 카드를 문서 유리에 가압하기에는 너무도 힘이 약해서, 카드를 센서면에 확실하게 가압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카드가 휘어진 경우, 이 카드는 센서면에 충분히 가압될 수 없기 때문에, 카드가 스캐너의 초점에 유지될 수 없고, 판독 화상이 초점에서 어긋나 선명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가압 수단의 힘이 카드와 같은 두꺼운 매체에 대해 조절된 경우, 수표 및 다른 슬립지를 판독할 때 너무 큰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수표가 주름질 수 있거나, 또는 종이 공급 불량[잼(jam)]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표 및 카드와 같은 상이한 두께의 매체를 적절한 압력으로 화상 판독 센서의 표면에 가압할 수 있는 화상 판독 장치, 및 이러한 화상 판독 장치를 구비한 복합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는 제 1 매체(카드)를 반송하는 제 1 반송로와; 제 2 매체(수표)를 반송하는 제 2 반송로로서, 상기 각 반송로는 상기 제 1 반 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각기 연속적으로 놓이는 공통 반송로를 형성하는 공통 섹션을 가지는, 상기 제 2 반송로와; 상기 제 1 반송로 및 상기 제 2 반송로의 양자에 대한 상기 공통 반송로를 따라 배치된 화상 센서(image sensor)와; 상기 제 1 매체 및 상기 제 2 매체를 상기 화상 센서에 가압하는 제 1 가압 기구와; 상기 제 2 매체를 상기 화상 센서에 가압하는 제 2 가압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압 기구는 상기 제 1 매체와 상기 제 2 매체를 상기 화상 센서의 판독면쪽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부재와; 매체 두께가 소정치 이하일 때,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상기 판독면쪽으로 부세하는 제 1 탄성 부재와; 매체 두께가 상기 소정치를 초과할 때,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상기 판독면쪽으로 부세하는 제 2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가압 기구는 상기 제 2 매체를 상기 화상 센서의 판독면쪽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가압 부재를 상기 판독면쪽으로 부세하는 제 3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제 1 탄성 부재에 의해 판독면상에 가해지는 제 1 가압 부재의 힘과, 제 3 탄성 부재에 의해 판독면상에 가해지는 제 2 가압 부재의 힘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제 1 매체의 두께는 제 2 매체의 두께보다 크다.
제 2 매체가 반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두꺼워서 제 1 가압 기구 및 제 1 가압 기구 모두가 판독면쪽으로 가압된 제 2 매체를 유지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가압 기구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재밍(jamming) 및 편향된 공급과 같은 반송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매체는 평범하게 판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가압 부재는 공통의 제 1 회전 샤프트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가압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압 롤러와 제 2 가압 롤러의 사이에는 특정 갭이 있으며; 상기 제 1 가압 기구는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를 상기 판독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롤러 사이에서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를 부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 롤러가 그들 사이의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의 실질적인 축방향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가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 중심에 힘을 가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가압 기구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를 상기 판독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가이드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에 힘을 가해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상기 판독면쪽으로 가압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는 상기 제 2 탄성 부재에 의해 부세되어 상기 판독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판독면과 접촉할 때,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를 상기 판독면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가압 기구를 구성함으로써, 제 1 매체에 가해지는 압력은 매체의 두께에 따라 상당히 변한다. 따라서, 제 1 매체는 적절한 압력으로 판독면에 가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 1 매체의 보다 선명하고 정확한 화상이 얻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가압 부재는 공통의 제 2 회전 샤프트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적어도 제 3 및 제 4 가압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가압 롤러와 제 4 가압 롤러 사이에는 특정 갭이 있으며; 상기 제 2 가압 기구는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를 상기 판독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 2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탄성 부재는 상기 롤러 사이에서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에 힘을 가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및 제 4 가압 롤러는 그들 사이의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의 실질적인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의 실질적인 축방향 중심에 힘을 가한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가압 기구는 제 2 지지 부재를 판독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가이드 샤프트를 구비하고; 제 3 탄성 부재는 제 2 지지 부재에 힘을 가해 제 2 가압 부재를 판독면쪽으로 가압한다.
다른 목적, 기능 및 본 발명의 확실한 이해는 하기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화상 판독 기능을 갖는 복합 처리 장치의 일부로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급지부(3)에서 장전되어 수표 반송로(제 2 반송 로)(P1)를 지나는 수표(제 2 판독 매체)(S)를 반송하는 동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처리 장치(1)는 수표(S)의 화상을 판독하고, 수표(S)상에 기록된 자기 잉크 문자를 읽으며, 수표(S)에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처리 장치(1)는 카드 반송로(제 1 반송로)(P2)를 통해 카드(제 1 판독 매체)(C)를 반송하는 동아 카드(C)를 판독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표 반송로(P1)는 기본적으로 U자 형상을 갖는 반면, 카드 반송로(P2)는 직선 형상을 하고 있다. 수표 반송로(P1)와 카드 반송로(P2)는 특히 U자 형상 경로의 중간 부위(도 2에 음영 처리되어 있음)에서 공통 반송로를 형성하도록 중첩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러한 공통 부분을 중간 반송로(M)라 칭한다.
수표 반송로(P1)는 외측 가이드(2a)와 내측 가이드(2b)에 의해 형성되고 있어, 외측 가이드(2a)와 내측 가이드(2b) 사이의 공간을 통해 수표(S)가 반송된다. 수표(S)는 도 2의 화살표(A) 방향으로 급지부(3)를 통해서 수표 반송로(P1)에 삽입된다. 복수의 수표(S)가 급지부(3)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급지부(3)는 수표를 한장씩 수표 반송로(P1)내로 보내는 자동 용지 공급기(automatic sheet feeder)(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송 기구가 수표 반송로(P1)를 통해 수표(S)를 반송할 수 있도록, 제 1 반송 롤러 쌍(roller pair)(6)이 중간 반송로(M)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중간 반송 롤러 세트(16)가 중간 반송로(M)에 배치되며, 제 2 반송 롤러 쌍(7)이 중간 반송로(M)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배출 롤러 쌍(8)이 수표 반송 로(P1)의 지폐 출구(4) 근처에 배치된다.
제 1 반송 롤러 쌍(6)은 수표 반송로(P1)의 양측에 배치된 구동 롤러(6a)와 가압 롤러(6b)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 2 반송 롤러 쌍(7)은 수표 반송로(P1)의 양측에 배치된 구동 롤러(7a)와 가압 롤러(7b)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배출 롤러 쌍(8)은 수표 반송로(P1)의 양측에 배치된 구동 롤러(8a)와 가압 롤러(8b)를 구비한다.
중간 반송 롤러 세트(16)는 1개의 구동 롤러(17)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롤러(17)로서의 중간 반송로(M)의 대향측에 배치된 2개의 가압 롤러(16a, 16b)를 구비한다.
수표 반송로(P1)내로 보내진 수표(S)는 제 1 반송 롤러 쌍(6), 중간 반송 롤러 세트(16), 및 제 2 반송 롤러 쌍(7)에 의해 반송되고, 그 후 배출 롤러(8)에 의해 화살표(B) 방향으로 지폐 출구(4)로부터 배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표 반송로(P1)의 바닥은 높이(L1)로 유지되고, 수표(S)는 중간 반송로(M)을 포함하는 수표 반송로(P1)의 바닥을 따라 높이(L1)를 기준으로 한 상태로 반송된다.
수표(S)의 폭(높이)이 소정 높이보다 작으면, 중간 반송 롤러 세트(16)의 하측 가압 롤러(16b)와 구동 롤러(17)에 의해 수표(S)가 반송된다. 수표(S)의 폭이 소정 높이 이상이면, 상측 가압 롤러(16a)와 하측 가압 롤러(16b) 그리고 구동 롤러(17)에 의해 수표(S)가 반송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반송로(P2)는 중간 반송로(M)와, 중 간 반송로(M)의 양단에 연속되는 카드 삽입구(20) 및 카드 역전로(reversing path)(21)로 구성되어 있다.
카드 삽입구(20)는 카드(C)를 중간 반송로(M)에 삽입하기 위한 개구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24, 24a)는 카드 삽입구(20)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하부 가이드(24, 24a)의 측면은 외측 가이드(2a)의 일부를 구성하고, 하부 가이드(24, 24a)의 상면은 카드 반송로(P2)의 바닥을 높이(L2)로 유지한다. 카드 삽입구(20)를 통해 화살표(D) 방향으로 카드 반송로(P2)내로 삽입된 카드(C)는 하부 가이드(24, 24a)를 따라서 높이(L2)로 반송된다.
따라서, 수표 반송로(P1)와 카드 반송로(P2)는 거리(L)(L=L2-L1) 만큼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상이한 높이로 형성된다.
수표 반송로(P1)를 따라서 반송된 수표(S)가 하부 가이드(24a)의 측면과 접촉하면, 하부 가이드(24a)는 진행 방향을 바꾸어 수표(S)가 지폐 출구(4)쪽으로 반송된다.
상측 가압 롤러(16a)는 카드 반송로(P2)의 높이(L2)보다 윗쪽의 높이에 배치되며, 따라서 카드(C)는 상측 가압 롤러(16a)와 구동 롤러(17)에 의해 중간 반송로(M)[카드 반송로(P2)]를 지나서 반송된다.
카드 역전로(21)는 카드 삽입구(20)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중간 반송로(M)의 직선 연장부로서 구성된 직선 가이드(21a, 21b)에 의해 형성된다. 제 3 반송 롤러 쌍(22)은 카드 역전로(21)의 단부(21c) 근방에 배치된다.
카드 삽입구(20)를 통해 중간 반송로(M)로 삽입된 카드(C)가 상측 가압 롤러(16a)와 구동 롤러(17)에 의해 카드 역전로(21)로 반송되면, 카드(C)는 제 3 반송 롤러 쌍(22)에 의해 반송되어, 상기 카드(C)가 카드 역전로(21)의 단부(21c)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그 후, 제 3 반송 롤러 쌍(22)은 카드(C)를 중간 반송로(M)내로 거꾸로 역전 반송한다. 그 후, 카드(C)는 상측 가압 롤러(16a)와 구동 롤러(17)에 의해 다시 중간 반송로(M)를 지나 반송되고, 카드 삽입구(20)로부터 화살표(E) 방향으로 배출된다.
제 1 및 제 2 화상 판독 센서(CIS 센서)(11, 12)가 중간 반송로(M)에 배치된다. 제 1 화상 판독 센서(11) 및 제 2 화상 판독 센서(12)는 중간 반송로(M)를 따라서 이동하는 수표(S) 또는 카드(C)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고, 수표(S) 또는 카드(C)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수표(S) 또는 카드(C)를 한번에 1 라인씩 이미지화함으로써, 2차원 화상을 취득한다.
제 1 및 제 2 가압 기구(30, 40)는 제 2 화상 판독 스캐너(12)의 판독면(12a)과 대향해 복합 처리 장치(1)에 높이 방향으로 상이한 수직 위치에 배치되고, 제 3 및 제 4 가압 기구(60, 70)는 제 1 화상 판독 센서(11)의 판독면(11a)에 대향해 복합 처리 장치(1)에 높이 방향으로 상이한 수직 위치에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OF(bottom of form) 검출기(9)는 급지부(3)와 제 1 반송 롤러 쌍(6) 사이에서 제 1 반송로(P1)에 배치되고, TOF(top of form) 검출기(10)는 제 1 반송 롤러 쌍(6)과 제 1 화상 판독 센서(11) 사이에 배치된다. 이들 검출기(9, 10)는 반사형 또는 투과형 광센서(photosensors)이며, 수표(S)가 개 별 검출 위치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이들 검출기(9, 10)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여, 복합 처리 장치(1)는 급지부(3)로부터 수표(S)가 삽입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수표(S)의 선단과 후단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처리 장치(1)는 이들 검출기(9, 10)의 출력에 근거하여 수표(S)의 반송 방향 길이, 및 제 1 반송 롤러 쌍(6)에 의해 수표(S)가 반송되는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처리 장치(1)는 BOF 검출기(9)와 TOF 검출기(10)에 의한 수표(S) 검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특히, 화상 판독 센서(11, 12)에 의한 수표(S)의 이미지화의 개시·정지가 검출기(9, 10)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해서 제어된다.
화상 판독 센서(11, 12)중 어느 하나가 수표(S)의 선단을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TOF 검출기(10)는 필요없어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14)는 제 2 반송 롤러 쌍(7)과 배출 롤러 쌍(8) 사이에서 수표 반송로(P1)의 직선 부분에 배치된다. 프린트 헤드(14)는 수표(S)에의 배서를 실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BOC(bottom of card) 검출기(25)는 카드 삽입구(20) 근방에서 제 2 반송로(P2)에 배치되고, TOC(top of card) 검출기(26)는 중간 반송 롤러 세트(16)와 제 2 화상 판독 센서(12) 사이에 배치된다. 이들 검출기(25, 26)는 반사형 또는 투과형 광센서이며, 카드(C)가 개별 검출 위치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이들 검출기(25, 26)의 출력에 근거하여, 복합 처리 장치(1)는 카드 삽입구(20)로부터 카드(C)가 삽입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카드(C)의 선단과 후단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처리 장치(1)는 이들 검출기(25, 26)의 출력에 근거하여 카드(C)의 반송 방향 길이, 및 중간 반송 롤러 세트(16)에 의해 카드(C)가 반송되는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처리 장치는 BOC 검출기(25)와 TOC 검출기(26)에 의한 카드(C) 검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특히, 화상 판독 센서(11, 12)에 의한 카드(C) 판독의 개시·정지가 BOC 검출기(25) 및 TOC 검출기(26)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해서 제어된다.
화상 판독 센서(11, 12)중 어느 하나가 카드(C)의 선단을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TOC 검출기(26)는 필요없어 생략할 수 있다.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ader)(13)이 구동 롤러(17)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MICR(13)은 수표(S)상에 자기 잉크(magnetic ink)로 기록된 정보를 읽기 위한 자기 헤드(magnetic head)이다. MICR(13)은 이 MICR(13)에 대향 배치된 가압 레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수표(S)가 MICR(13)의 표면[갭 형성 표면(gap-forming surface)]에 가압되는 동안 수표(S)에서 자기 잉크로 인쇄된 정보를 읽으며, 가압 레버와 MICR(13) 사이에 중간 반송로(M)가 있다.
가압 기구(30, 40, 60, 70)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제 1 및 제 2 가압 기구(30, 40)와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작용 및 이들 사이의 관계는 제 3 및 제 4 가압 기구(60, 70)와 제 1 화상 판독 센서(11)의 작용 및 이들 사이의 관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하기의 설명은 제 1 및 제 2 가압 기구(30, 40) 및 제 2 화상 판독 센서(12)를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며, 제 3 가압 기구(60)의 제 3 롤러(63a, 63b)가 제 1 가압 기구(30)의 제 1 롤러(33a, 33b)에 대응하고 제 4 가압 기구(70)의 제 4 롤러(73a, 73b)가 제 2 가압 기구(40)의 제 2 롤러(43a, 43b)에 대응한다고 하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제 3 및 제 4 가압 기구(60, 70) 및 제 1 화상 판독 센서(11)의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되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압 기구(30) 및 제 2 가압 기구(40)는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픽셀 배열(pixel array)에 평행하게, 즉 복합 처리 장치(1)에 대해 높이 방향으로 정렬된다. 제 1 가압 기구(30)는 카드(C) 또는 수표(S)를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화상 판독면(12a)쪽으로 가압하고, 제 2 가압 기구(40)는 수표(S)를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화상 판독면(12a)쪽으로 가압한다.
제 1 가압 기구(30)는 카드 반송로(P2)에 배치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압 기구(30)는 제 1 가동 가이드(31)와, 제 1 회전 샤프트(32)와, 제 1 롤러(33a, 33b)와, 압축 코일 스프링(34)과, 제 1 인장 스프링(36)을 구비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동 가이드(3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기본적으로 C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가이드 베이스(31a)의 양 단부에서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측에 수직하게 굽혀진 상측 샤프트 지지부(31b) 및 하측 샤프트 지지부(31c)를 구비하며, 가이드 베이스(31a)는 복합 처리 장치(1)의 높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길이방향 부재이다. 상측 샤프트 지지부(31b)는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측에 하측 샤프트 지지부(31c)보다도 더욱 돌출하며, 상측 샤프트 지지부(31b)의 선단부(31d)가 판독면(12a)에 접촉하는 정지부 (stop)로서 작용한다.
직사각형(길쭉함) 구멍(37, 38)이 상측 샤프트 지지부(31b)와 하측 샤프트 지지부(31c)를 각기 수직하게 관통하는 대응 위치에 형성되고, 구멍의 종축은 카드 반송 방향에 수직하다[즉, 판독면(12a)에 수직함]. 제 1 롤러(33a, 33b)는 이들 롤러 사이에 특정 갭을 유지한채로 제 1 회전 샤프트(32)에 장착되고, 제 1 회전 샤프트(32)는 직사각형 구멍(37, 38)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회전 샤프트(32)는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에 평행하게 된다. 제 1 회전 샤프트(32)는 제 1 롤러(33a, 33b)용 회전축이며, 따라서 제 1 롤러(33a, 33b)는 롤러의 상측 및 하측 단부중 일부 및 롤러의 측면중 일부를 덮는 제 1 가동 가이드(31)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제 1 회전 샤프트(32)는 직사각형 구멍(37, 38)의 종축을 따라서, 즉,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에 수직하게 활주가능하다.
코일 스프링(34)은 제 1 롤러(33a, 33b) 사이의 제 1 회전 샤프트(32)의 중간부(32a)와, 가이드 베이스(31a)의 내측면(31h) 사이에 배치된다. 코일 스프링(34)은 제 1 회전 샤프트(32)를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측으로 부세하며, 따라서 제 1 롤러(33a, 33b)를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쪽으로 가압한다.
제 1 롤러(33a, 33b)는 제 1 회전 샤프트(32)의 축방향 중심에 대해 대칭적으로 바람직하게 배치되고, 코일 스프링(34)은 이러한 중심 위치를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에 수직하게 부세하도록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이드 장착부(31e, 31f)는 이 가이드 장착부(31e, 31f) 사이에 특정 수직 갭을 유지한채로 카드 반송 방향에 실질적 으로 평행한 카드 삽입구(20)측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베이스(31a)의 측면에 일치하여 배치된다. 제 1 가동 가이드(31)는 개재 가이드 장착부(31e, 31f)상의 가이드 샤프트(50)상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가이드 샤프트(50)는 수직 방향과 평행하게, 즉, 판독면(12a)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카드 반송로(P2)와 멀어지게 돌출하는 후크(31g)는 상측 가이드 장착부(31e)에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제 1 인장 스프링(36)의 일 단부는 이러한 후크(31g)와 결합한다. 제 1 인장 스프링(36)의 타단부는 제 1 화상 판독 센서(11)의 배면측에배치된 고정부(35)에 고정되며, 그에 따라 카드 반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후크(31g)를 부세한다. 따라서, 제 1 가동 가이드(31)는 가이드 샤프트(50)상에서 회전하고, 상측 샤프트 지지부(31b)의 말단부(31d)는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에 접촉하여 위치설정된다. 예를 들면, 도 6을 참조하기 바란다.
수표(S) 또는 카드(C)가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상에 없을 경우, 상측 샤프트 지지부(31b)의 말단부(31d)는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에 접촉하여 위치설정되고, 제 1 회전 샤프트(32)는 제 2 화상 판독 센서(12)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직사각형 구멍(37, 38)의 종축상의 단부(37a, 38a)로부터 특정 거리(H)만큼 이격된다.
상측 샤프트 지지부(31b)의 말단부(31d)에 의해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에 압력을 가하는 제 1 인장 스프링(36)의 힘은 제 1 회전 샤프트(32) 및 제 1 롤러(33a, 33b)에 의해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에 압력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34)의 힘보다 크다.
상측 샤프트 지지부(31b)의 말단부(31d)가 판독면(12a)과 접촉하면, 제 1 인장 스프링(36)의 부세력은 판독면(12a)의 저항력(반발력)과 코일 스프링(34)의 부세력의 합과 평형을 이룬다. 이 경우, 제 1 회전 샤프트(32)와 제 1 롤러(33a, 33b)에 의해 판독면(12a)에 압력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34)의 힘은 제 1 인장 스프링(36)의 부세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코일 스프링(34)의 스프링 정수와 압축량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제 2 가압 기구(40)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 2 가압 기구(40)는 수표 반송로(P1)에 배치된다. 제 2 가압 기구(40)는 제 2 가동 가이드(41)와, 제 2 회전 샤프트(42)와, 제 2 롤러(43a, 43b)와, 제 2 인장 스프링(46)을 구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동 가이드(41)는 복합 처리 장치(1)의 높이와 평행하게 배치된 기다란 가이드 베이스(41a)와, 이 가이드 베이스(41a)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일체식으로 형성된 샤프트 지지부(41b)를 구비한다. 제 2 롤러(43a, 43b)는 제 2 회전 샤프트(42)에 조립되고, 제 2 회전 샤프트(42)의 중간부(42a)는 샤프트 지지부(41b)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제 2 회전 샤프트(42)는 제 2 롤러(43a, 43b)용 회전축이며, 제 2 롤러(43a, 43b)는 그들 사이에 특정 갭을 유지한채로 제 2 회전 샤프트(42)의 중간부(42a) 상하로 상기 샤프트에 끼워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가이드 장착부(41e, 41f)는 이 가이드 장착부(41e, 41f) 사이에 특정 수직 갭을 유지한채로 카드 반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 행한 카드 삽입구(20)측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베이스(41a)의 측면에 일치하여 배치된다. 제 2 가동 가이드(41)는 개재 가이드 장착부(41e, 41f)상의 가이드 샤프트(50)상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샤프트(50)는 수직 방향과 평행하게, 즉, 판독면(12a)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수표 반송로(P1)와 멀어지게 돌출하는 후크(41g)는 하측 가이드 장착부(41f)에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제 2 인장 스프링(46)의 일 단부는 이러한 후크(41g)와 결합한다. 제 2 인장 스프링(46)의 타단부는 제 1 화상 판독 센서(11)의 배면측에배치된 고정부(45)에 고정되며, 그에 따라 수표 반송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후크(41g)를 부세한다. 따라서, 제 2 가동 가이드(41)는 가이드 샤프트(50)상에서 회전하고, 제 2 롤러(43a, 43b)는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에 접촉하여 위치설정된다.
개재 제 2 롤러(43a, 43b)에 의해서 제 2 화상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상의 제 2 인장 스프링(46)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은 개재 제 1 롤러(33a, 33b)에 의해서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의 판독면(12a)상의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1 가압 기구(30)의 코일 스프링(34)과 제 2 가압 기구(40)의 제 2 인장 스프링(46)은 수표(S) 또는 얇은 카드(C)를 판독면(12a)쪽으로 가압하는 (약한) 스프링이며, 제 1 가압 기구(30)의 제 1 인장 스프링(36)은 두꺼운 카드(C)를 판독면(12a)쪽으로 가압하는 (강한) 스프링이다.
도 10a, 도 10b,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서, 제 1 가압 기구(30) 및 제 2 가압 기구(4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소정 길이(높이)(L) 이하(짧은)의 수표(Sa)를 판독할 경우를 설명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L1)로 수표 반송로(P1)를 따라서 제 2 화상 판독 센서(12)로 수표(Sa)가 반송되는 경우, 수표(Sa)는 제 2 롤러(43a, 43b)와 판독면(12a) 사이로 공급된다. 수표(Sa)의 두께는 2 가동 가이드(41)가 회전하도록 야기하는 반면, 수표(Sa)는 개재 제 2 롤러(43a, 43b)에 의해서 수표(Sa)에 가해지는 제 2 인장 스프링(46)의 부세력에 의해 판독면(12a)쪽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수표(Sa)는 제 2 인장 스프링(46)의 약한 힘에 의해 판독면(12a)쪽으로 가압된다. 수표가 수표 반송로(P1)를 통해 반송될 때, 제 2 화상 판독 센서(12)는 수표(Sa)를 이미지화한다.
소정 길이(높이)(L) 이상의 상이한 수표(Sb)를 판독할 경우를 설명한다.
이러한 수표(Sb)는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에 대해 앞서 설명된 좁은 수표(Sa)와 동일한 방법으로 높이(L1)로 수표 반송로(P1)를 통해 반송되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며, 수표(Sb)의 바닥부는 제 2 롤러(43a, 43b)와 판독면(12a) 사이에 유지되고, 수표(Sb)의 상부는 제 1 롤러(33a, 33b)[또는 제 1 롤러(33b)]와 판독면(12a) 사이에 유지된다. 수표(Sb)의 두께는 직사각형 구멍(37, 38)내의 판독면(12a)과 이격된 수표(Sb)의 상부에 있는 제 1 회전 샤프트(32)를 변위시키는 반면, 수표(Sb)의 바닥부의 두께는 제 2 가동 가이드(41)가 회전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수표(Sb)의 상부는 개재 제 1 롤러(33a, 33b)[또는 제 1 롤러 (33b)]에 의한 코일 스프링(34)의 힘에 의해 판독면(12a)쪽으로 가압되며, 바닥부는 개재 제 2 롤러(43a, 43b)에 의한 제 2 인장 스프링(46)의 힘에 의해 판독면(12a)쪽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넓은 수표(Sb)는 코일 스프링(34) 및 제 2 인장 스프링(46)의 약한 힘에 의해 판독면(12a)쪽으로 가압된다. 수표(Sb)가 수표 반송로(P1)를 통해 반송될 때, 제 2 화상 판독 센서(12)는 수표(Sb)를 이미지화한다.
소정 폭(L) 이상인 수표(Sb)를 가압할 때, 제 2 가압 기구(40)의 제 2 롤러(43a, 43b)는 수표(Sb)의 바닥부에 압력을 가하는 반면, 제 1 가압 기구(30)의 제 1 롤러(33b)[또는 제 1 롤러(33b, 33a)]는 수표(S)의 상부에 압력을 가한다. 수표(Sb)의 상부에 가해지는 코일 스프링(34)의 힘은 수표(Sb)의 바닥에 가해지는 제 2 인장 스프링(46)의 힘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압력이 수표(Sb)의 바닥부와 상부에 가해지므로, 수표의 두께에 따라 불균일한 힘이 가해짐으로써 발생되는 반송 문제가 방지된다.
두께(ha)[두께(ha) ≤ 소정 거리(H)]의 얇은 카드(Ca)를 판독하는 경우가 하기에 상술된다. 카드 삽입구(20)를 통해 삽입된 얇은 카드(Ca)는 높이(L2)로 카드 반송로(P2)를 통해서 제 2 화상 판독 센서(12)를 지나 카드 역적로(21)로 이송된다. 그 후, 카드(Ca)는 카드 역전로(21)내에서 역전되어 제 2 화상 판독 센서(12)로 다시 반송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Ca)가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에 도달할 때, 카드(Ca)는 제 1 롤러(33a, 33b)와 판독면(12a) 사이로 공급된다. 카드(C)의 두께는 제 1 롤러(33a, 33b)를 밖으로 밀어, 직사각형 구멍(37, 38)을 따라서 판독면(12a)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 1 회전 샤프트(32)를 변위시킨 다.
얇은 카드(Ca)의 두께(ha)는 제 1 회전 샤프트(32)가 직사각형 구멍(37, 38)의 단부(37a, 38a)를 밀도록 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ha ≤ H), 상측 샤프트 지지부(31b)의 말단부(31d)는 판독면(12a)을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제 1 롤러(33a, 33b)는 코일 스프링(34)에 의해서만 부세되고, 제 1 인장 스프링(36)의 부세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얇은 카드(Ca)는 개재 제 1 롤러(33a, 33b)에 의한 코일 스프링(34)의 힘에 의해 판독면(12a)쪽으로 가압된다. 즉, 카드(Ca)는 코일 스프링(34)의 약한 힘에 의해 가압된다. 카드(Ca)가 카드 반송로(P2)를 통해 반송될 때, 제 2 화상 판독 센서(12)는 카드(Ca)를 이미지화한다.
두께(hb)[두께(hb) 〉소정 거리(H)]의 두꺼운 카드(Cb)의 판독화가 하기에 설명된다. 얇은 카드(Ca)와 마찬가지로, 카드 삽입구(20)를 통해 삽입된 두꺼운 카드(Cb)는 높이(L2)로 카드 반송로(P2)를 통해 제 2 화상 판독 센서(12)를 지나 카드 역전로(21)내로 반송된다. 그 후, 카드(Cb)는 카드 역전로(21)내에서 역전되어 제 2 화상 판독 센서(12)로 다시 반송된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Ca)가 제 2 화상 판독 센서(12)에 도달할 때, 카드(Cb)는 제 1 롤러(33a, 33b)와 판독면(12a) 사이에 공급된다.
카드(Cb)의 두께는 제 1 롤러(33a, 33b)를 밖으로 밀어, 직사각형 구멍(37, 38)을 따라서 판독면(12a)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 1 회전 샤프트(32)를 변위시킨다. 카드(Cb)의 두께(hb)가 소정 거리(H) 이상이기 때문에, 제 1 회전 샤프트(32)는 직사각형 구멍(37, 38)의 단부(37a, 38a)를 밀고, 제 1 가동 가이드(31)가 회전 하도록 하며, 상측 샤프트 지지부(31b)의 말단부(31d)를 판독면(12a)과 분리시킨다. 결과적으로, 카드(Cb)는 개재 제 1 롤러(33a, 33b)에 의한 제 1 인장 스프링(36)의 힘에 의해 판독면(12a)쪽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카드(Cb)는 제 1 인장 스프링(36)의 강한 힘에 의해 판독면(12a)쪽으로 가압된다. 카드(Cb)가 카드 반송로(P2)를 통해 반송될 때, 제 2 화상 판독 센서(12)는 카드(Cb)를 이미지화한다.
매체의 두께가 소정 거리(두께)를 초과한 경우, 제 1 롤러(33a, 33b)는 카드에 가해지는 압력을 순간적으로 및 비선형적으로 변화시킨다. 특히, 제 1 가압 기구(30)는 코일 스프링(34)과 제 1 인장 스프링(36)에 의해 매체의 두께에 따라 [카드(C) 또는 수표(S)와 같은] 매체상에 작용하는 압력을 변화시킨다. 제 1 가동 가이드(31)에 대해 제 1 롤러(33a, 33b)를 지지하는 제 1 회전 샤프트(32)의 이동이 소정 거리내에 있을 경우, 코일 스프링(34)은 매체에 압력을 가한다. 그러나, 제 1 가동 가이드(31)에 대한 제 1 회전 샤프트(32)의 이동이 소정 거리를 초과한 경우, 제 1 인장 스프링(36)은 매체를 판독면(12a)쪽으로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처리 장치(1)는 상이한 높이로 구성된 수표 반송로(P1)와 카드 반송로(P2)를 구비하며, 압력을 가하는 2개의 가압 기구(30, 40)는 각각의 반송로내에서 반송되는 (두께 및 재질과 같은) 매체 유형에 적합하다. 결과적으로, 가해지는 초과 압력에 따른 재밍, 및 가해지는 불충분한 압력에 따른 초점 상실에 기인한 판독 불량이 회피된다.
또한, 얇은 카드(Ca)가 반송될 때 가해지는 압력과 두꺼운 카드(Cb)가 반송될 때 가해지는 압력은 단일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선형적으로 변하지 않고, 2개 의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비선형적으로 변한다. 따라서, 상이한 두께를 갖는 2종류의 카드(매체)를 판독하는 경우, 제 1 롤러(33a, 33b)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은 크게 변하며, 카드(C)는 카드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가해진 압력으로 반송될 수 있다.
특히, 얇은 카드(Ca)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짐에 따른 공급 잼, 오염(soiling), 및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두꺼운 카드(Cb)는 불충분한 압력으로 인해 슬립되지 않으며, 두꺼운 카드(Cb)는 신뢰성있게 반송될 수 있다. 또한, 두꺼운 카드(Cb)의 에지가 제 1 롤러(33a, 33b)에 의해 끼이거나(nipped) 또는 해제되는 경우, 강한 힘보다는 약한 반발력이 카드(Cb)에 작용한다. 단지 1개의 스프링을 사용하는 기구와 비교했을 때, 카드의 에지가 끼이거나 또는 해제되었을 경우의 반송 하중의 변화가 감소되며, 공급 피치 및 판독에 있어서의 변화가 방지될 수 있다.
카드(C)의 양 측면을 판독하고자 할 경우, 제 1 가압 기구(30)와 제 3 가압 기구(60)는 코일 스프링(34) 및 제 1 인장 스프링(36)에 의해서 가해지는 압력을 비선형적으로 변화시킨다. 그러나, 카드(C)의 일 측면만이 판독될 경우, 다른 가압 기구[예를 들면, 제 3 가압 기구(60)]는 제 2 가압 기구(4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가동 가이드(31)의 상측 샤프트 지지부(31b)의 말단부(31d)가 판독면(12a)과 접촉하지만, 달리 내측 가이드(2b)와 접촉할 수 있다.
제 2 가압 기구(40)[제 4 가압 기구(70)]는 가이드 샤프트(50)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 2 가동 가이드(41)와, 이 제 2 가동 가이드(41)를 부세하는 제 2 인장 스프링(46)을 구비한다. 그러나, 그 대신에 제 1 가압 기구(30)내의 코일 스프링(34)과 유사하게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제 2 회전 샤프트(42)를 판독면(12a)쪽으로 부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수표 반송로(P1)와 카드 반송로(P2)는 위의 실시예의 중간 반송로(M)에서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었지만, 반송로는 서로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당업자에 의해 각종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 반송로와 수표 반송로 각각에 대해,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가압 부재를 설치했으므로, 카드 반송로에 반송되는 카드와 수표 반송로에 반송되는 수표를 적절한 가압력으로 가압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 반송로에 배치된 가압 부재는 2개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카드 두께에 따라서 가압력을 폭넓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두께가 다른 각 카드의 화상을 적절한 압력으로 판독할 수 있다.

Claims (13)

  1. 상이한 두께의 적어도 제 1 및 제 2 매체를 화상 판독하기 위한 화상 판독 장치(image scanning apparatus)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체를 반송하는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매체를 반송하는 제 2 반송로로서, 상기 각 반송로는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연속적으로 놓이는 공통 반송로를 형성하는 공통 섹션을 가지는, 상기 제 2 반송로와,
    상기 제 1 반송로 및 상기 제 2 반송로의 양자에 대한 상기 공통 반송로를 따라 배치된 화상 센서(image sensor)와,
    상기 제 1 매체 및 상기 제 2 매체를 상기 화상 센서에 가압하는 제 1 가압 기구와,
    상기 제 2 매체를 상기 화상 센서에 가압하는 제 2 가압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압 기구는 상기 제 1 매체와 상기 제 2 매체를 상기 화상 센서의 판독면쪽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부재와; 매체 두께가 소정치 이하일 때,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상기 판독면쪽으로 부세하는 제 1 탄성 부재와; 매체 두께가 상기 소정치를 초과할 때,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상기 판독면쪽으로 부세하는 제 2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가압 기구는 상기 제 2 매체를 상기 화상 센서의 판독면쪽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가압 부재를 상기 판독면쪽으로 부세하는 제 3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가압 부재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로 인해 상기 판독면상에 힘을 가하는데, 이러한 힘은 상기 제 3 탄성 부재로 인해 상기 제 2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판독면상에 가해지는 힘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제 1 매체의 두께는 상기 제 2 매체의 두께보다 큰
    화상 판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는 공통의 제 1 회전 샤프트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가압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압 롤러와 제 2 가압 롤러의 사이에는 특정 갭이 있으며,
    상기 제 1 가압 기구는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를 상기 판독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롤러 사이에서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에 힘을 가하는
    화상 판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압 롤러가 그들 사이의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의 실질적인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탄성 부재가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의 실질적인 중심에 힘을 가하는
    화상 판독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기구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를 상기 판독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가이드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에 힘을 가해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상기 판독면쪽으로 가압하는
    화상 판독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기구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를 상기 판독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가이드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상기 제 1 지지 부재에 힘을 가해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상기 판독면쪽으로 가압하는
    화상 판독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부재는 상기 제 2 탄성 부재에 의해 부세되어 상기 판독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판독면과 접촉할 때,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를 상기 판독면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화상 판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로 인해 상기 제 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판독면상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제 2 탄성 부재로 인해 상기 제 1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판독면상에 가해지는 힘보다 작은
    화상 판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압 부재는 공통의 제 2 회전 샤프트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적어도 제 3 및 제 4 가압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가압 롤러와 제 4 가압 롤러 사이에는 특정 갭이 있으며,
    상기 제 2 가압 기구는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를 상기 판독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 2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3 탄성 부재는 상기 롤러 사이에서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에 힘을 가하는
    화상 판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가압 롤러는 그들 사이의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의 실질적인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의 축방향의 실질적인 중심에 힘을 가하는
    화상 판독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압 기구는 상기 제 2 지지 부재를 상기 판독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가이드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탄성 부재는 상기 제 2 지지 부재에 힘을 가해 상기 제 2 가압 부재를 상기 판독면쪽으로 가압하는
    화상 판독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 부재와 제 2 가압 부재는 탠덤(tandem)형인
    화상 판독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체는 카드이고, 상기 제 2 매체는 수표인
    화상 판독 장치.
  13. 적어도 제 1 및 제 2 매체를 화상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를 구비하는 복합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판독 장치는,
    상기 제 1 매체를 반송하는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매체를 반송하는 제 2 반송로로서, 상기 각 반송로는 상기 제 1 반송로와 상기 제 2 반송로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연속적으로 놓이는 공통 반송로를 형성하는 공통 섹션을 가지는, 상기 제 2 반송로와,
    상기 제 1 반송로 및 상기 제 2 반송로의 양자에 대한 상기 공통 반송로를 따라 배치된 화상 센서(image sensor)와,
    상기 제 1 매체 및 상기 제 2 매체를 상기 화상 센서에 가압하는 제 1 가압 기구와,
    상기 제 2 매체를 상기 화상 센서에 가압하는 제 2 가압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압 기구는 상기 제 1 매체와 상기 제 2 매체를 상기 화상 센서의 판독면쪽으로 가압하는 제 1 가압 부재와; 매체 두께가 소정치 이하일 때,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상기 판독면쪽으로 부세하는 제 1 탄성 부재와; 매체 두께가 상기 소정치를 초과할 때, 상기 제 1 가압 부재를 상기 판독면쪽으로 부세하는 제 2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가압 기구는 상기 제 2 매체를 상기 화상 센서의 판독면쪽으로 가압하는 제 2 가압 부재와, 상기 제 2 가압 부재를 상기 판독면쪽으로 부세하는 제 3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복합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매체에 인쇄하기 위한 프린트 헤드 및/또는 자기 잉크 문자 인식(magnetic ink character reading : MICR) 헤드를 더 구비하는
    복합 처리 장치.
KR1020040091466A 2003-11-10 2004-11-10 화상 판독 장치 및 복합 처리 장치 KR100610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9899 2003-11-10
JPJP-P-2003-00379899 2003-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891A KR20050045891A (ko) 2005-05-17
KR100610945B1 true KR100610945B1 (ko) 2006-08-09

Family

ID=3464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466A KR100610945B1 (ko) 2003-11-10 2004-11-10 화상 판독 장치 및 복합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10630B2 (ko)
KR (1) KR100610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404B1 (ko) 2007-02-28 2010-06-2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매체 송출 기구 및 매체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5554B2 (ja) * 2002-05-21 2006-08-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キャナ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処理装置
JP4321230B2 (ja) 2003-01-21 2009-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ータ読取装置
AU2004203128B2 (en) * 2003-11-17 2006-08-24 Seiko Epson Corporation Data reading apparatus
US7568620B2 (en) * 2004-11-15 2009-08-04 Atsi Holdings, Inc. Imager kit with MICR head for hybrid printer
JP4720161B2 (ja) * 2004-12-01 2011-07-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複合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617985B2 (en) * 2005-11-02 2009-11-17 Visioneer, Inc. Combination document and card reader scanner
JP4637807B2 (ja) * 2006-10-24 2011-02-2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カード状記録媒体情報処理装置
ES2326841T3 (es) * 2006-12-28 2009-10-20 Seiko Epson Corporation Dispositivo de procesamiento de medios.
EP1964801B1 (en) 2007-03-01 2014-02-26 Seiko Epson Corporation Media storage apparatus and media processing apparatus
KR101430933B1 (ko) * 2007-07-24 2014-08-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8098391B2 (en) * 2007-11-12 2012-01-17 Burroughs Payment Systems, Inc. Document processing system having improved operational sequencing
US20100014743A1 (en) * 2008-07-21 2010-01-21 James Michael Spall Compact multipass document processor
US8294919B2 (en) * 2008-12-31 2012-10-23 Burroughs Payment Systems, Inc. Endorsement printing by building characters
JP2012206497A (ja) 2011-03-15 2012-10-25 Seiko Epson Corp 複合型印刷装置
JP2013020331A (ja) * 2011-07-08 2013-01-31 Seiko Epson Corp 媒体処理装置
JP2013056491A (ja) 2011-09-09 2013-03-28 Seiko Epson Corp 媒体処理装置
CN103310532B (zh) * 2012-03-13 2016-03-30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均衡布置在清分机两侧板的自动扎把压钞机构
JP2017126161A (ja) * 2016-01-13 2017-07-2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読取装置及び情報読取方法
CN108229594B (zh) * 2017-03-23 2023-11-03 盛视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卡片识别收集仪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891A (ko) * 1989-09-16 1991-04-30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와 카아드의 반송장치
JPH0825747A (ja) * 1994-07-14 1996-01-30 Hitachi Ltd 冊子印字方法及び装置並びに冊子
KR19990079749A (ko) * 1998-04-09 1999-11-05 구자홍 지폐자동입출금기의 지폐두께검지장치
JP2001010745A (ja) 1999-05-28 2001-01-16 Heidelberger Druckmas Ag 多重枚葉紙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2090103A (ja) 2000-09-12 2002-03-27 Toshiba Corp 紙葉類の厚さ検知装置
JP2003237982A (ja) 2002-02-15 2003-08-27 Hitachi Printing Solutions Ltd 電子写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538494A (en) * 1992-10-30 1994-05-24 Microbilt Corporation Multi-reader transaction terminal
US5965862A (en) * 1994-10-18 1999-10-12 Seiko Epson Corporation Inform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on a medium and for reading information recorded on the medium
US6504623B1 (en) * 1998-01-05 2003-01-07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a control method therefor and a computer readable information storage medium for recording a control program therefor
JP2000344428A (ja) * 1999-03-30 2000-12-12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1041806A3 (en) 1999-03-30 2001-09-19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6651885B1 (en) * 2000-06-08 2003-11-25 Luis A. Arias Multi-functio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891A (ko) * 1989-09-16 1991-04-30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와 카아드의 반송장치
JPH0825747A (ja) * 1994-07-14 1996-01-30 Hitachi Ltd 冊子印字方法及び装置並びに冊子
KR19990079749A (ko) * 1998-04-09 1999-11-05 구자홍 지폐자동입출금기의 지폐두께검지장치
JP2001010745A (ja) 1999-05-28 2001-01-16 Heidelberger Druckmas Ag 多重枚葉紙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2090103A (ja) 2000-09-12 2002-03-27 Toshiba Corp 紙葉類の厚さ検知装置
JP2003237982A (ja) 2002-02-15 2003-08-27 Hitachi Printing Solutions Ltd 電子写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404B1 (ko) 2007-02-28 2010-06-2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매체 송출 기구 및 매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10630B2 (en) 2007-05-01
KR20050045891A (ko) 2005-05-17
US20050127182A1 (en)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945B1 (ko) 화상 판독 장치 및 복합 처리 장치
USRE43358E1 (en) Data reading apparatus
US5613783A (en) Point of sale printer with magnetic reader
US8018632B2 (en) Scanner/imager
US7258500B2 (en) Media processing apparatus and scanner unit
KR100776922B1 (ko) 인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67490B1 (ko) 수표 중복 이송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US8382102B2 (en) Transportation alignment device, control method for a transportation alignment device, and recording device
US6068187A (en) Inform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for recording media
US6695427B2 (en) Multifun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4998127B2 (ja) 記録媒体収納装置および記録媒体処理装置
US9324009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US71822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data from a document
WO2013080485A1 (ja) 媒体認識装置、紙幣取扱装置、媒体認識方法
JP4349259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複合処理装置
AU2004203128B2 (en) Data reading apparatus
EP0809208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inting on a medium and for detecting and reading information recorded on the medium
KR102063714B1 (ko) 매체 판독소인기의 인쇄장치
JP3483783B2 (ja) 重ね媒体の検知機構
JPH09270049A (ja) 明細書,通帳印字装置
CA24250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btaining data from a doc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4